KR0138423Y1 - 원격환경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원격환경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423Y1
KR0138423Y1 KR2019960013642U KR19960013642U KR0138423Y1 KR 0138423 Y1 KR0138423 Y1 KR 0138423Y1 KR 2019960013642 U KR2019960013642 U KR 2019960013642U KR 19960013642 U KR19960013642 U KR 19960013642U KR 0138423 Y1 KR0138423 Y1 KR 0138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alarm
remote
unit
green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3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250U (ko
Inventor
최윤석
이인혁
Original Assignee
최윤석
주식회사씨그널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석, 주식회사씨그널정보통신 filed Critical 최윤석
Priority to KR2019960013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423Y1/ko
Publication of KR9700602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2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4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촌의 비닐하우스나 온실관리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원격환경감시장치로 온실내부의 급격한 환경변화를 무인 감시하고 이를 일반 공중망을 이용한 무선호출기, 사설망무선호출기 및 음성을 이용한 무선중계기 등을 이용하여 적절한 원격경보를 취하면서 감시하게 되므로 상기 온실내부의 환경변화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사후처리를 신속히 유도하여 감시의 신뢰성을 높힐 수 있는 원격환경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중 전화망(1)과 접속되는 주감시부(2)에 1km내 1개의 트위스트라인(4)을 통해 비닐하우스나 온실내의 온도, 습도, 가스 및 문개폐 등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경해주는 온도변환부(5), 습도변환부(6), 가스변환부(7) 및 문개폐변환부(8)등이 각기 다수개 연결되어, 상기 주감시부(2)는 원격경보 및 감시를 제어 및 통제하는 중앙처리장치(11), 상기 변환부(5-8)의 직렬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처리해주는 직병렬신호처리부(12), 설정된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16), 모뎀(15), 경보메세지를 발생 및 송출하는 경보음성발생기(13) 및 무선중계송신기(14), 임계치변경, 경보감시 및 호출번호변경 등의 보조적인 조작하는 키패드(17)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원격환경감시장치.

Description

원격환경감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원격환경장치의 주감시부를 도시해 놓은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원격환경감시장치내 트위스트라인에 접속된 다수의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원격환경감시장치를 공중무선호출망에 적용한 계통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원격환경감시장치를 사설무선호출망에 적용한 계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중전화망 2 : 주감시부
3 : 컴퓨터 4 : 트위스트라인
5-8 : 변환장치 9 : 중계기
[기술분야]
본 고안은 농촌의 비닐하우스나 온실관리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원격환경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실내부의 급격한 환경변화를 무인 감시하고 이를 일반 공중망을 이용한 무선호출기, 사설망무선호출기 및 음성을 이용한 무선중계기 등을 이용하여 적절한 원격경보를 취하면서 감시하게 되므로 상기 온실내부의 환경변화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사후처리를 신속히 유도하여 감시의 신뢰성을 높힐 수 있는 원격환경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복잡해지고 바쁜 현대사회에서 농어촌의 농장이나 비닐하우스 및 온실 등을 관리 및 운영하고 있는 관리자들은 많은 일들을 수행하다보면 해당 하우스내의 이상상태가 발발했을 경우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해 커다란 손실을 보곤 하였고, 이런 여러 가지 사정 때문에 고유업무뿐만 아니라 다른 업무 또한 수행하는 데에 어려운점이 있었다.
즉, 농촌의 비닐하우스 또는 유리온실등과 같은 일정한 시설영역내에서 식물, 동물을 재배, 사육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주변환경을 유지 및 관리하는 농업기술이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고, 그 중 실제 비닐하우스나 온실의 환경을 통합제어하는 온실제어수단과 기기등이 실용화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개발된 온실제어기기들은 온실 등을 유지 및 관리하는 데에 필수적인 장치로서, 관리자가 직접 일일이 제어하게 되는 수동형과 해당 기계가 알아서 제어하게 되는 자동형등이 있는데, 이들은 비닐하우스나 온실내부의 온도, 습도 등을 완전히 통합 제어하는 기능 등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이런 온실제어장치의 경보기능을 사용함에 있어 해당 제어 및 경보범위는 비닐하우스 또는 온실내부에 국한되고, 관리자가 항상 상기 비닐하우스나 온실내부에 상주하고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안게 된다.
또한 이들 온실제어기기들의 주된 목적으로는 온실내부의 온도, 습도를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기 위한 바, 이는 정전, 자연재해등과 같은 불의의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경보기능이 미약하였고, 또 관리자는 이들 기기의 이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상 기기의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는 번거로움도 상존하였다.
그러므로, 비닐하우스 등의 시설영역이 광범위하거나 지역별로 분산되어 있는 경우, 또는 1개의 농가가 여러개의 시설농을 관리하는 경우에는, 정전 또는 겨울철 보일러파이프의 과열로 인한 파손등과 같은 불의사고로 인하여 한꺼번에 비닐하우스내의 작물이 손상을 입는 경우에 농가의 피해는 막중하다할 것이다.
[고안의 목적]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온실제어장치가 가지고 있는 사용상 경보기능의 취약점을 보안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종래의 온실제어장치의 이상작동으로 인한 온도, 습도등과 같은 환경요소의 변화를 검출하여 이를 관리자에게 원격경보 및 감시하고, 정전, 폭우, 폭설등 인재 또는 자연재해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요소 등을 검출하여 관리자에게 조기에 원격경보하므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비상대비책을 강구할 수 있고, 또한 간편하게 환경감시 및 경보장치를 설치 및 유지하는 데에 있어 신뢰성 및 편의성을 원시감시 및 원격경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도모하므로 시설농가의 피해를 극소화시킬 수 있는 원격환경감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원격환경감시장치는, 공중 전화망(1)과 접속되는 주감시부(2)에 1km내 1개의 트위스트라인(4)을 통해 비닐하우스나 온실내의 온도, 습도, 가스 및 문개폐 등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경해주는 온도변환부(5), 습도변환부(6), 가스변환부(7) 및 문개폐변환부(8)등이 각기 다수개 연결되고, 상기 주감시부(2)는 원격경보 및 감시를 제어 및 통제하는 중앙처리장치(11), 상기 변환부(5-8)의 직렬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처리해주는 직병렬신호처리부(12), 설정된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16), 모뎀(15), 경보메시지를 발생 및 송출하는 경보음성발생기(13) 및 무선중계송신기(14), 임계치변경, 경보감시 및 호출번호변경 등의 보조적인 조작하는 키패드(17)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원격환경감시장치의 주감시부를 도시해 놓은 블록도로서, 본 고안의 원격환경감시장치는 농촌의 비닐하우스나 온실관리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온실내부의 급격한 환경변화를 무인 감시하고 이를 일반 공중망을 이용한 무선호출기(제3도 참조), 사설망무선호출기(제4도 참조) 및 음성을 이용한 무선중계기(제3도 참조)등을 이용하여 적절한 원격정보를 취하면서 감시하게 되므로 상기 온실내부의 환경변화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사후처리를 신속히 유도하여 감시의 신뢰성을 높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먼저, 경보의 수단으로 공중 무선호출망을 이용하기 위하여 주감시부(2)가 공중전화망(1)과 접속되어 있고, 이 주감시부(2)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km내 1개의 트위스트라인(4)을 통해 비닐하우스나 온실내의 온도, 습도, 가스 및 문개폐 등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경해주는 온도변환부(5), 습도변환부(6), 가스변환부(7) 및 문개폐변환부(8)등이 각기 다수개 연결된다. 상기 신호변환부(5-8)는 고유의 번지를 가지고 디지털로 변환된 신호들을 적절한 신호로 변조되어 주감시부(2)의 직병렬신호처리부(12)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1개의 트위스트라인(4)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km 이상일 때 일정한 거리별로 중계기(9)를 추가하고 다수의 신호변환부(5-8)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주감시부(2)는 상기 1개의 트위스트라인(4)에 전력 및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고 각 신호변환부(5-8)에 각각의 주소를 부여하여 이들을 판별한다.
상기 주감시부(2)는 원격경보 및 감시를 제어 및 통제하는 중앙처리장치(11), 상기 변환부(5-8)의 직렬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처리해주는 직병렬신호처리부(12), 설정된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16), 모뎀(15), 경보메세지를 발생 및 송출하는 경보음성발생기(13) 및 무선중계송신기(14), 임계치변경, 경보감시 및 호출번호변경 등의 보조적인 조작하는 키패드(17)로 구성된다.
상기 키패드(17)대신에 컴퓨터(3)가 접속되어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동시 또는 각각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원격환경감시장치는 경보신호발생을 위하여 주감시부(2)내 비휘발성 메모리(16)에 경보신호의 임계치, 즉 온도의 상한값과 하한값이 저장되어 있는 바, 이 값들은 키패드(17)를 이용하거나 컴퓨터(3)를 통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16)에 저장시킨다.
만일 임의의 신호변환부에서 트위스트라인(4)을 통해 주감시부(2)의 직병렬신호처리부(12)에 전달되면, 중앙처리장치(11)는 이 값이 비휘발성 메모리(16)에 저장된 경보임계치와 비교하게 되고 그 값이 설정임계치에서 벗어나면 경보준비에 돌입하고, 만일 일정한 시간(예컨데 10초)이상 경보가 지속된다면 중앙처리장치(11)는 즉시 모뎀(15)을 통한 경보내용을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전화망(1)을 통하여 무선호출망을 거쳐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선호출기(2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관리자가 휴대용 무전기(10)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11)는 경보음성발생기(13) 및 무선중계송신기(14)를 통해 경보내용을 음성으로 별도의 무선중계망을 이용하여 관리자에게도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관리자가 1사람이 아니고 여러명인 경우에는 주감시부(2)는 여러개의 무선호출번호를 기억하고 있고, 변환장치(5-8)의 번호에 따라 해당하는 관리자에게 적절한 경보를 제공하고, 정전 등의 사고에 대해서는 모든 관리자에게 일괄적으로 경보메세지를 송출할 수 있다.
제4도는 사설 무선호출망(31)을 이용한 원격감시 및 경보를 위한 것으로, 관리자는 사설 무선호출망(31)에서 제공하는 문자서비스용 단말기(32), 숫자서비스용 단말기(33) 및 음성서비스용 단말기(34)를 소지하고 있고, 이들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사설 무선호출발신기는 적절한 신호를 각 단말기로 송출한다.
한편,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트위스트라인(4)상의 직렬데이터는 각 변환부(5-8)의 주소와 그 값이 직렬로 변환되어 주감시부(2)의 직병렬신호처리부(12)에서 적절한 오류제어 수순을 거친 다음 병렬데이터로 변환되어 중앙처리장치(11)로 보내어진다. 이 중앙처리장치(11)는 이 병렬데이터를 받고 그 값이 비휘발성 메모리(16)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고 그 값이 임계치를 벗어날 때 모뎀(15)을 작동시켜 공중 또는 사설 무선호출망(1:31)을 통하여 경보메세지를 발생하고, 이때 경보음성발생기(13)에서 생성된 경보메세지는 무선중계송신기(14)를 통해 안테나로 송출한다.또한 관리자는 제1도에 도시된 컴퓨터(3) 대신에 키패드(17)를 이용하여 임계치변경, 경보감시, 호출번호변경 등의 보조적인 조작을 할 수 있다. 만일 관리자가 호출된 내용에 의문이 생겼을 때에는 공중전화망(1)을 통해 주감시부(2)에 연결하면 현재의 경보상황이 경보음성발생기(13)를 통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고안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비닐하우스 또는 유리온실등 일정한 시설영역내에서 식물 또는 동물을 재배 또는 사육함에 있어 제공되는 온도, 습도, 가스 및 창문개폐등 제반 환경적인 요소를 여러 가지 수단을 사용하여 제어하는 경우에 이들 수단의 오동작 또는 불의의 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설치가 용이하고 경보의 신뢰성을 위하여 경보신호의 모호성을 줄일 수 있고 문자데이터를 직접 송출하는 공중망 및 사설 무선호출을 이용하고 별도의 무선중계기를 사용하고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음성응답장치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설치의 편의성을 위하여 1개의 트위스트라인에 다수개의 신호변환부를 사용하여 신호와 전력을 동시에 송출하고, 필요한 경우 약 1km 간격으로 설치하여 원거리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며, 일반적인 온도, 습도, 가스 및 창문개폐 제어시 이들의 상태를 원거리에서 감시하고 필요시 적절한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들 값의 급격한 변화 또한 예상치 못한 사고에 조기에 대처할 수도 있다.

Claims (4)

  1. 공중 전화망(1)과 접속되는 주감시부(2)에 1km내 1개의 트위스트라인(4)을 통해 비닐하우스나 온실내의 온도, 습도, 가스 및 문개폐 등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경해주는 온도변환부(5), 습도변환부(6), 가스변환부(7) 및 문개폐변환부(8)등이 각기 다수개 연결되어, 상기 주감시부(2)는 원격경보 및 감시를 제어 및 통제하는 중앙처리장치(11), 상기 변환부(5-8)의 직렬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처리해주는 직병렬신호처리부(12), 설정된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16), 모뎀(15), 경보메세지를 발생 및 송출하는 경보음성발생기(13) 및 무선중계송신기(14), 임계치변경, 경보감시 및 호출번호변경 등의 보조적인 조작하는 키패드(1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환경감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감시부(2)는 상기 1개의 트위스트라인(4)에 전력 및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고 각 신호변환부(5-8)에 주소를 부여하여 이들을 판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환경감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트위스트라인(4)이 1km 이상일 때 일정한 거리별로 중계기(9)를 추가하고 다수의 신호변환부(5-8)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환경감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트위스트라인(4)대신에 하나의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환경감시장치.
KR2019960013642U 1996-05-29 1996-05-29 원격환경감시장치 KR0138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642U KR0138423Y1 (ko) 1996-05-29 1996-05-29 원격환경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642U KR0138423Y1 (ko) 1996-05-29 1996-05-29 원격환경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250U KR970060250U (ko) 1997-12-10
KR0138423Y1 true KR0138423Y1 (ko) 1999-03-20

Family

ID=19457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3642U KR0138423Y1 (ko) 1996-05-29 1996-05-29 원격환경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42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372B1 (ko) * 2000-09-08 2003-12-11 김성식 유무선 전화망을 이용한 원격 제어 및 경보 장치
KR100699162B1 (ko) * 2005-04-27 2007-03-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0877B1 (ko) * 2005-04-27 2007-03-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0878B1 (ko) * 2005-04-27 2007-03-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698B1 (ko) * 2005-11-29 2008-02-11 이용진 온실 제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372B1 (ko) * 2000-09-08 2003-12-11 김성식 유무선 전화망을 이용한 원격 제어 및 경보 장치
KR100699162B1 (ko) * 2005-04-27 2007-03-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0877B1 (ko) * 2005-04-27 2007-03-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0878B1 (ko) * 2005-04-27 2007-03-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250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4644A (en) Data communication device
US70882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purpose, automatic remote utility meter reading, utility shut off, and hazard warning and correction
KR100806255B1 (ko) 상수도시설용 통합관리시스템
DE3885350T2 (de) Überwachtes wechselwirkendes Alarmmeldersystem.
JP2009509237A (ja) プログラムされた無線センサシステム
KR100802580B1 (ko) 피엘씨 기반 농어촌 설비의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AU2006200598A1 (en) Network of Wireless, Stand-Alone Alarm Units
KR102340571B1 (ko) 배수갑문이 설치된 물관리 시설의 자율운영과 상시점검을 위한 모듈 타입 운영 및 관리 장치
KR0138423Y1 (ko) 원격환경감시장치
CN110197567A (zh) 一种窨井盖监控系统
KR20090027284A (ko) 온실 무선경보 감시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감시방법
US20050184879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JP2005229320A (ja) 水門遠隔監視システム
KR101392484B1 (ko) 시설물의 통합감시 시스템
KR100408372B1 (ko) 유무선 전화망을 이용한 원격 제어 및 경보 장치
KR101797730B1 (ko) 스마트형 알람 경보시스템
JP3231966U (ja) 河川用水門の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KR200431958Y1 (ko) Plc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 및 그방법
US2004006344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s
CN206910613U (zh) 海上风电应急避险舱远程监控和报警系统
JP2001229481A (ja) 自動警報システム
KR100416958B1 (ko) 무인 운용 재난 경보장치
CN201725197U (zh) 太阳能电站安防监控及驱害装置
AU730168B2 (en) A fluid level alarm
JP2003067870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