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958Y1 - Plc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Plc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958Y1
KR200431958Y1 KR2020060020568U KR20060020568U KR200431958Y1 KR 200431958 Y1 KR200431958 Y1 KR 200431958Y1 KR 2020060020568 U KR2020060020568 U KR 2020060020568U KR 20060020568 U KR20060020568 U KR 20060020568U KR 200431958 Y1 KR200431958 Y1 KR 200431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entral control
control unit
ca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규
Original Assignee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0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9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9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6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power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업용 관정 등 저압선(전선) 도난에 의하여 전력을 적기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전선방치로 인한 인간 및 가축의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PLC 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PLC 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는, 전력선에 투입되는 전원의 공급 여부를 감지하는 정전검출부와, 상기 정전검출부에서 공급전력의 차단시 구동되는 경보상태부와, 내부에 보조 전원을 구비하고 정전시 공급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의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결되어 시스템의 이상 여부 및 현재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자가진단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퍼스널 컴퓨터와 통신이 가능 하도록 구성된 PC 연결부로 구성된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제어용 프로그램이나 전원복구시 관리자의 전화번호 및 통보를 위한 데이터가 내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결되어 비상상태 발생시 관리자 등과 통신을 위하여 설치되는 통신용 포트와,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결되고, 재해방지를 위하여 온도, 습도, 방재, 방범을 위한 각종 센서의 온/오프 접점을 통하여 감지하는 다목적용 검출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결되고, 전력선을 통하여 농가시설물의 원격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PLC 모듈로 구성되며,
PLC 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은, 전력선의 도난, 감전 사고, 정점과 같은 비상 상태시 외부로 통신하여 관리자 등에게 통보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상상태 발생시 정전, 온습도 경보, 원격이벤트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스텝과, 상기 판단스텝의 수행 후 CDMA 방식 및 PSTN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통신 선택스텝과, 상기 통신선택스텝의 수행 후 선택된 각각의 전화 1, 2, 3...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통화하는 통화연결스텝과, 상기 통화연결스텝 후 음성이나 메시지를 전달하는 통화스텝으로 이루어져 비상 상태시 그 내용을 3회 출력하여 관리자 등에게 통보하도록 한 것이다.
PLC 전력선 통신, 중앙제어부, 정전검출부, 다목적검출부. 경보상태 출력부, 통보장치

Description

PLC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 및 그 방법{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of occurred emergency signal in PLC and the method thereof}
도 1는 본 고안의 PLC 기반의 원격 자동통보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PLC 기반의 원격 자동통보장치에 대한 주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 3는 본 고안의 시스템에서 비상상태 발생시 각각의 전화들의 연결순서를 나타낸 자동통보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고안의 시스템에서 자동통보시 전화의 통화연결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고안의 시스템에서 통화연결 실패시 다음 전화로 진행하는 처리관계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변대주 2 : 주제어장치
3 : 통신망 4 : 농어민
5 : 한국전력 6 : 방범/방재기관
10 : 중앙제어부 20 : 정전검출부
30 : 경보상태출력부 40 : 다목적용검출부
50 : 전원부 60 : PC 연결부
70 : PLC 모듈 80 : 통신 모듈(PSTN/CDMA 모듈 인터페이스)
90 : 자가 진단부 S1, S2, S3,... : 스텝
본 고안은 농업용 관정 등 저압선(전선) 도난에 의하여 전력을 적기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전선방치로 인한 인긴 및 가축의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PLC 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원격제어 및 감시시스템은 대부분 점포 혹은 가정집의 보안 감시와 정전, 온도 습도 변화, 방범, 방재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홈오토메이션가 추진되면서 IT 분야의 영역을 점차 넓히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반하여 농어촌의 농장, 축사, 양어장 및 물류 창고 등과 같은 분야에 이와 같은 IT기술은 부분적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지만, 영세한 농어촌에서 별도의 통신회선을 사용하여야만 되기 비경제적이었다.
즉, 농어촌 IT화를 위해서는 통신회선이 꼭 필요하지만, 도시보다 낙후된 시설이 현재 농어촌의 경우에는 경제적 문제로 고가의 통신회선을 시설하기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그러나 농어촌의 근대화를 위하고, 농가와 근거리에 위치한 비닐하우스, 양어장, 양계장, 화훼농장 및 축사 등(농어촌 시설이라 칭함)에 IT화 된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농어촌 시설에 상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노동력을 해소하여 인력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자들은 PLC기반의 원격감시 제 어시스템을 착안하게 되었으며, 비닐하우스, 양어장, 화훼농장 등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산간오지, 논, 밭에 시설되어 있는 전력선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현실에 있어 전력선의 도난사고가 빈번히 발생 되고 있으며, 전력선이 분실되는 경우에 적기에 전력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어 농작설비 및 수산설비(냉동시설)등이 작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많은 피해가 속출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전력선이 분실될 경우에 방치된 전선에 의하여 감전사고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전력선이 분실된 경우 바로 관리자 등에게 통보하여 바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력선 통신(PLC)망을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양어장, 화훼농장, 축사 등에 설치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정전센서, 화재센서 등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PLC통신으로 농가의 종합감지 제어반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종합감시제어반에서는 제어명령을 송출하여 비닐하우스, 양어장 등에 시설된 보일러, 물펌프, 조명, 환기 팬 등을 제어할 수 있는 PLC 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전력선 도난, 방법, 방재 등의 비상 상태시 관리자 등에게 실시간으로 통보하여 바로 조치를 할 수 있는 PLC 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 통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계통전원 복구시 국선 전화나 개인용 모바일폰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관리자의 부재시에도 전력복구 상태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PLC 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PLC 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는, 전력선에 투입되는 전원의 공급 여부를 감지하는 정전검출부와, 상기 정전검출부에서 공급전력의 차단시 구동되는 경보상태부와, 내부에 보조 전원을 구비하고 정전시 공급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의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결되어 시스템의 이상 여부 및 현재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자가진단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퍼스널 컴퓨터와 통신이 가능 하도록 구성된 PC 연결부로 구성된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제어용 프로그램이나 전원복구시 관리자의 전화번호 및 통보를 위한 데이터가 내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결되어 비상상태 발생시 관리자 등과 통신을 위하여 설치되는 통신용 포트와,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결되고, 재해방지를 위하여 온도, 습도, 방재, 방범을 위한 각종 센서의 온/오프 접점을 통하여 감지하는 다목적용 검출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결되고, 전력선을 통하여 농가시설물의 원격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PLC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통신용 모듈을 CDMA 방식의 모듈 및 PSTN 방식의 모듈을 구비하여 국선 전화 및 모바일폰과 연결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PLC 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와 연결된 메모리부에는, 비상상태 발생시 정전, 온습도 경보, 원격이벤트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스텝과, 상기 판단스텝의 수행 후 CDMA 방식 및 PSTN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통신 선택스텝과, 상기 통신선택스텝의 수행 후 선택된 각각의 전화 1, 2, 3...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통화하는 통화연결스텝과, 상기 통화연결스텝 후 음성이나 메시지를 전달하는 통화스텝으로 이루어져 비상 상태시 그 내용을 3회 출력하여 관리자 등에게 통보하도록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고안의 PLC 기반의 원격 자동통보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전신주인 변대주(1)에는 주제어장치(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주제어장치(2)의 일측은 통신망(3)을 통하여 농어민(4), 한국전력(5), 방범/방재기관(6)이 연결되어 있다.
이 통신망(3)은 국선인 PSTN 방식, CDMA 방식, 전력선 망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가 있다.
상기 주제어장치(2)의 타측에는 전력선을 통하여 각각의 원격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원격장치는 농가시설인 다수개의 비닐하우스, 화훼단지, 관정, 양어장 등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전력선 통신망을 통하여 농가시설인 각각의 원격장치의 상태에 대한 데 이터가 주제어장치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국선인 PSTN 방식, CDMA 방식, 전력선 망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농어민(4), 한국전력(5), 방법/방재기관(6)등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PLC 기반의 원격 자동통보장치에 대한 주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전력선의 1차측 전원 및 2차측 전원에 접속되어 각 전원의 전압 출력 유무를 검출하는 정전검출부(20)가 중앙제어부(1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정전검출부(20)는 파워전원선의 1차측 및 2차측에 변류기(CT)로 구성하여 그 변류기에 유도되는 전류로서 전원의 공급 여부를 감지하여 정전 여부가 판단된다.
또한 중앙제어부(10)는 정전사고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문자 메시지 및 그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5)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메모리부(15)에는 중앙제어부(10)가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한 중앙제어부(10)는 상기 정전검출부(20)로 부터 전원 이상시에는 경고를 발하고, 후술하는 각종의 센서에 의한 이상을 감지시 경고를 발하는 경보상태부(30)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경보상태부(30)는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알람신호나 점멸하는 빛으로 이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제어부(10)는 전원부(50)와 연결되어 구동 전원을 공급받고 있으며, 이 전원부(50)에는 별도의 보조 전원인 충전용 밧데리가 내장되어 있어 전원공 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보조전원으로 중앙제어부(10)가 구동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부(10)의 일측에는 PC연결부(60)를 구성하여 퍼스널 컴퓨터를 통하여 중앙제어부의 제어용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인가하도록 구성하고, 타측으로 통신용 모듈(60)을 연결하여 전원복구시 관리자 등에게 통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상기 통신용 모듈(80)은 국선을 통하여 전화를 거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용 모듈과 CDMA 방식용 모듈을 내장하고 있어 국선이나 모바일 폰으로 전송을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제어부(10)는 자가진단부(90)와 연결되어 이 시스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즉, 자가진단부(90)는 상기 전원의 정상공급 여부, 보조전원인 충전용 밧데리의 충전여부 및 각종 구동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중앙제어부(10)와 연결된 PLC 모듈(70)은 전력선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뎀으로서 도 1의 전력선과 연결되어 원격장치는 농가시설물(비닐하우스, 양어장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부(10)와 연결된 다목적용 검출부(40)는 재해방지를 위하여 온도, 습도, 방재, 방범을 위한 각종 센서와 연결되어 온/오프 접점을 통하여 이상 상태를 중앙제어부가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중앙제어부(10)는 자가진단부(90)를 통하여 현재 시스템의 이상 여부 및 정상상태인 경우에는 현재의 정상구동 상태를 도시되 지 아니한 자가진단부(90)를 통하여 표시하여 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정상상태에서 농어촌 설비인 원격장치인 비닐하우스, 양어장, 화훼단지 등에 시설된 각종 센서에서 얻어진 데이터는 전력선 망을 통하여 변대주(1)에 설치된 주제어장치(2)의 PLC 모듈(70)을 통하여 중앙제어부(10)에 인가되면, 재차 그 PCL 모듈을 통하여 농어민(4)에게 인가되므로 실시간으로 농어촌 설비인 원격장치인 비닐하우스, 양어장, 화훼단지 등의 상황을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농어민(4)이 농어촌 설비인 원격장치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농어민(4)의 가택에 설치된 서버를 통하여 제어신호를 보내면, 이 제어신호가 상기 주제어장치(2)의 PLC 모듈(70)을 통하여 농어촌 설비인 원격장치에 입력되어 도시되지 아니한 조명, 팬, 보일러 및 워터 펌프 등을 구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PLC(전력선) 망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농어촌 설비를 제어하는 기술은 인터넷 망을 통하여 원격으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 아파트 내의 커튼 및 주방기기를 구동시키는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내용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일반적인 구동상태가 아니라, 정전, 도난 등의 비상상태에서 그 통보를 위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정상 구동상태에서 전력선을 통하여 공급되던 전력이 차단되면, 중앙제어부(10)는 상술한 전원부(50)의 보조전원으로 구동되며, 중앙제어부(10)는 변류기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류가 없으므로 정전검출부(20)를 통하여 정전된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이 정전상태는 경보상태부(30)를 통하여 알람 신호나 점멸하는 빛으로 외부에 나타내며, 동시에 알람신호 및 점멸하는 빛을 외부에 나타내어 경고를 줄 수도 있다.
또한 다목적 검출부(40)를 통하여 전력선이 도난을 당하게 되는 경우에는 전력선과 연결된 센서에서 이를 감지하면 중앙제어부(10)에서 상기와 동일하게 경보상태 출력부(30)로 경보를 보내게 현재 전력선 도난상태임을 감지하게 되며, 감전사고가 발생시에도 다목적 검출부의 센서에 의하여 부하측이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와 같이 경보상태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비상 상태시에는 직접 농어민(4), 한국전력(5) 및 방범/방재기관(6)에 통보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전력선의 도난사건 등의 경우에는 신속한 처리를 요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이 비상 상태시에는 중앙제어부(10)는 메모리부(15)를 참조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로 음성 및 메시지를 통신용 모듈(60)을 통하여 농어민(4), 한국전력(5), 방범/방재기관(6)(이하 “관리자 등”이라 칭함)에게 연락을 취하게 된다.
이 때 메모리부(15)에 저장되는 전화번호, 음성 및 문자 메시지 등의 데이터는 PC연결부(50)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들이다.
이와 같이 정전후 재전원이 공급된 경우 중앙제어부(10)에서 프로그램된 순서대로 관리자 등에게 알려주어 관리자는 정전 후 재 전원 투입시기를 신속히 알 수가 있어 전력투입용 스위치를 순차적으로 접속시켜 신속히 아파트 등의 인구밀집 지역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비상 상태시의 통보를 도 3 내지 도 5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시스템에서 비상 상태시 자동통보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여기서 도 3는 자동통보시 각각의 전화들의 연결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고, 도 4는 자동통보시 통화연결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이며, 도 5는 자동통보시 통화연결 실패시 다음 전화로 진행하는 처리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플로우는 상기한 중앙제어부(10)와 연결된 메모리부(15)내에 저장되어 있으며, 그 메모리부(15)에는 정전, 온습도 경보, 원격 이벤트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스텝(S1),(S2,(S3)과, 상기 판단스텝(S1),(S2,(S3)의 수행 후 CDMA 방식 및 PSTN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통신 선택스텝(S4),(S5)과, 상기 통신선택스텝(S4),(S5)의 수행후 선택된 전화번호로 통화하는 통화 연결스텝(S6),(S7)...(S10)과, 상기 통화 연결스텝(S6),(S7)...(S10)후 음성이나 메시지를 전달하는 통화스텝(S12)의 순서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정전, 온습도 경보, 원격 이벤트와 같은 비상상태가 발생한 경우에 판단스텝(S1),(S2,(S3)에서 어느 경우에 해당되는지 판단하여 해당되는 비상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램(32-2)에서 참조하여 비상상태임을 외부 전화를 통하여 알려주게 된다.
여기서 원격장치 이벤트는 PLC통신을 사용하여 농어민 등에게 전달할 수도 있지만, 농어민이 부재중일 경우도 고려하여 별도의 전화선을 통하여 그 정보를 전달하여 주는 내용으로 이는 프로그램의 등록시 이를 설정할 수가 있다.
이때 메모리부(15)에 저장된 전화번호가 CDMA 방식인 경우에는 스텝(S4)을 수행하 고, PSTN의 국선인 경우에는 스텝(S5)으로 진행하여 선택된 전화1(스텝 S6) 및 전화 2(스텝 S7)로 전화를 걸어 음성과 문자 메시지를 농어민 등에게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전화1,2 등의 다수의 전화를 선택하는 여러 관리자 등의 부재시 휴대용 모바일폰 등에 부재시 연락되는 전화번호로 전력의 개통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과정이며, 이와 같이 연락을 취하여 관리자와 통화가 되면, 스텝(S11)으로 진행되어 정전내용 음성통보를 3회 이상 출력하여 확실하게 관리자 등이 인지하게 한 후 종료한다.
또한 전화 1,2 등을 다수개 설정하고 있는 이유는 알림 메시지로서 중요한 비상상태의 발생시(예를 들면 정전 또는 화재 등), 농어민, 방범/방재기관, 한국전력 등에 알릴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스텝이며, 이 역시 프로그램을 통하여 서버(32)내 메모리부(15)에 저장되는 데이터 들이다.
이때 문자로도 통보하여 관리자 등에게 전력투입 상황을 알려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화 1(스텝 S6) 내지 전화 5(스텝 S10)에서 각각의 전화에 대한 플로우는 도 4와 같다.
즉, 각각의 전화 1, 2, 3들이 순차적으로 통화시 도 4와 같은 전화가 연결 플로우를 실행한다.
이 플로우는 설정된 횟수 이상 호출하였는지는 판단하는 스텝(S21)과, 전화 다이얼링후 통화중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S24-1),(S24-2),(S24-3)과, 통화 연결시 메시지를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제공하는 스텝(S25),(S26)과, 완료코드를 생성하여 정상 통화신고를 저장하는 스텝(S29)과, 상기한 완료코드가 생성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다시 과정을 반복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스텝(S21)에서 전화 호출이 3회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3회를 초과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스텝(S23)에서 전화를 1회 한 후 통화중 여부를 스텝(S24-1),(S24-2),(S24-3)에서 판단한다.
통화중 여부는 지금 통화중인가(S24-1)가 여부를 판단하고, 링백 톤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여(S24-2) 링백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정상 통화상태로서 상대방(관리자 등)의 음성이 있는가를 판단하고(S24-3), 그 후 상대방이 나오면, 잠시 대기후(S25)(상대방이 말하는 시간을 잠시 기다림) 현재의 비상 상황을 음성으로 3회 출력한다(S26).
이와 같이 3회의 음성신호를 출력(S26)후 완전히 3회 출력이 된 경우에는 완료코드(S27)를 생성하고, 전화 1의 통화가 완료되었음을 메모리부(15)에 저장한다.
상기에서 3회의 음성신호로 설정하고 있으나, 이 횟수에 제한을 가하는 것이 아니며, 문자 신호 등으로도 대체할 수가 있다.
그러나 통화 중에 중단된 경우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스텝(S28)에서 3초 대기후 다시 스텝(S21)으로 넘어가 재 시도를 하여 전화 1(도 3의 스텝 S6)의 통화가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3회 이상의 전화 통화를 시도하여도 통화 연결이 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전화 1에서 다음 전화인 전화 2로 넘어가게 된다.
즉, 스텝(S21)에서 스텝(S22)으로 진행되어 전화 1 통보 실패된 데이터를 메모리 부(15)에 저장하고, 다음 단계의 스텝(S30)으로 넘어간다.
도 5에는 다음단계의 전화 2와 통화 연결 플로우를 진행한다.
이때 스텝(S30)에서 재시도 횟수를 초기화 한 후 상술한 도 4의 과정과 동일한 순서로 구동된다.
이와 같이 도 3에 나타내고 있는 전화 1(S6), 전화 2(S7), 전화 3(S8),.... 순으로 전화를 걸어 비상상태임을 통보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농어민, 한국전력, 방범/방재기관 등에 순차적으로 연락을 취하여 비상시 긴급초치를 취할 수가 있어 경제적인 손실을 예방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력선 통신(PLC)망을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양어장, 화훼농장, 축사 등에 설치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정전센서, 화재센서 등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PLC통신으로 농가의 종합감지 제어반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종합감시제어반에서는 제어명령을 RTU에 송출하여 비닐하우스, 양어장 등에 시설된 보일러, 물펌프, 조명, 환기 팬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농어민 등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신의 농장 등의 관리 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어 별도로 농장주가 농장에 상주할 필요가 없으므로 운용이 효율적이고 설치 비용 및 유비 보수 면에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선 도난, 방법, 방재 등의 비상 상태시 관리자 등에게 실시간으로 통보하여 바로 조치를 할 수가 있으므로 또한 관정 등의 정전 및 저압 선로사고(도 난, 감전사고 등)에 따른 원격 자동통보를 통한 인축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전력선 도난, 정전, 온도 습도 변화, 방범, 방재 등의 모든 이벤트 정보를 히스토리로서 저장하고 있으므로, 사고 발생시 야기될 분쟁의 소지를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력선에 투입되는 전원의 공급 여부를 감지하는 정전검출부(20)와, 상기 정전검출부(20)에서 공급전력의 차단시 구동되는 경보상태부(30)와, 내부에 보조 전원을 구비하고 정전시 공급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의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중앙제어부(10)와, 상기 중앙제어부(10)에 연결되어 시스템의 이상 여부 및 현재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자가진단부(90)와, 상기 중앙제어부(10)의 일측에 연결되어 퍼스널 컴퓨터와 통신이 가능 하도록 구성된 PC 연결부(60)로 구성된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제어용 프로그램이나 전원복구시 관리자의 전화번호 및 통보를 위한 데이터가 내장되는 메모리부(15)와,
    상기 중앙제어부(10)에 연결되어 비상상태 발생시 관리자 등과 통신을 위하여 설치되는 통신용 포트(80)와,
    상기 중앙제어부(10)에 연결되고, 재해방지를 위하여 온도, 습도, 방재, 방범을 위한 각종 센서의 온/오프 접점을 통하여 감지하는 다목적용 검출부(40)와,
    상기 중앙제어부(10)와 연결되고, 전력선을 통하여 농가시설물의 원격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PLC 모듈(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모듈(60)을 CDMA 방식의 모듈 및 PSTN 방식의 모듈을 구비하여 국선 전화 및 모바일폰과 연결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10)와 연결된 메모리부(15)에는,
    비상상태 발생시 정전, 온습도 경보, 원격이벤트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스텝(S1),(S2,(S3)과,
    상기 판단스텝(S1),(S2,(S3)의 수행 후 CDMA 방식 및 PSTN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통신 선택스텝(S4),(S5)과,
    상기 통신선택스텝(S4),(S5)의 수행 후 선택된 각각의 전화 1, 2, 3...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통화하는 통화연결스텝(S6),(S7)...(S10)과,
    상기 통화연결스텝(S6),(S7)...(S10) 후 음성이나 메시지를 전달하는 통화스텝(S12)이 순으로 저장되어 비상 상태시 그 내용을 3회 출력하여 관리자 등에게 통보하는 PLC 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
  4.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10)와 연결된 메모리부(15)에 저장
    된 전화연결스텝(S6),(S7)...(S10)은, 각각의 전화 1, 2, 3...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통화시 설정된 횟수 이상 호출하였는지는 판단하는 스텝(S21)과,
    전화 다이얼링후 통화중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S24-1),(S24-2),(S24-3)과,
    통화 연결시 메시지를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제공하는 스텝(S25),(S26)과, 완료코드를 생성하여 정상 통화신고를 저장하는 스텝(S29)과,
    상기한 완료코드가 생성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다시 과정을 반복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져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10)와 연결된 메모리부(15)에 저장
    된 설정횟수 판단은 상기 설정된 횟수 이상 호출하였는지는 판단하는 스텝(S21)에서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화 1통보 실패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텝(S22)과,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텝(S22)후 재시도 횟수를 초기화 하는 스텝(S30)과,
    설정된 횟수 이상 호출하였는지는 판단하는 스텝(S31)과,
    다음관리자 등의 전화 2로 통화하기 위하여 전화 다이얼링후 통화중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S34-1),(S34-2),(S34-3)과,
    통화 연결시 메시지를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제공하는 스텝(S35),(S36)과, 완료코드를 생성하여 정상 통화신고를 저장하는 스텝(S39)과,
    상기한 완료코드가 생성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다시 과정을 반복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져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
KR2020060020568U 2006-07-31 2006-07-31 Plc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 및 그방법 KR200431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568U KR200431958Y1 (ko) 2006-07-31 2006-07-31 Plc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568U KR200431958Y1 (ko) 2006-07-31 2006-07-31 Plc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958Y1 true KR200431958Y1 (ko) 2006-11-27

Family

ID=4178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568U KR200431958Y1 (ko) 2006-07-31 2006-07-31 Plc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9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388B1 (ko) 2007-03-19 2009-03-02 석문전기 주식회사 기어박스 원격 관리 시스템
KR20160141976A (ko) * 2015-06-02 2016-12-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388B1 (ko) 2007-03-19 2009-03-02 석문전기 주식회사 기어박스 원격 관리 시스템
KR20160141976A (ko) * 2015-06-02 2016-12-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KR102189479B1 (ko) * 2015-06-02 2020-12-11 엘에스일렉트릭(주) 전원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580B1 (ko) 피엘씨 기반 농어촌 설비의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US8831784B2 (en) Automated building monitoring system
US10754360B2 (en) Wireless leak alarm, and wireless valve, apparatus, system and a method thereof
KR100766542B1 (ko)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KR100806255B1 (ko) 상수도시설용 통합관리시스템
US20120158336A1 (en) Management of a number of swimming pools
CN112333142A (zh) 一种智能设备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KR200431958Y1 (ko) Plc기반의 전력선 이상발생시 원격 자동통보장치 및 그방법
KR101525845B1 (ko) 해상 가두리 자가 진단 시스템
CN108107869A (zh) 智能家居的故障报警系统
CN109343585A (zh) 核电站集水坑液位控制方法、装置和液位控制器
CN210166922U (zh) 智能报警控制装置及系统
CN205429888U (zh) 基于调度数据网的故障录波装置的重启装置
EP2494532A1 (de) Alarmeinrichtung zur erkennung und mitteilung von umgebungs- und anlagenspezifischen zuständen
KR101392484B1 (ko) 시설물의 통합감시 시스템
CN110113204A (zh) 一种在智能网关上实现应用程序管理的方法
JP4529079B2 (ja) 制御システム
TW201303799A (zh) 雲端污水處理監控系統
CN113538869A (zh) 一种养殖区故障报警多级推送方法和系统
JP5324300B2 (ja) 警報器及び警報システム
KR0138423Y1 (ko) 원격환경감시장치
KR101758100B1 (ko) 그린에너지를 이용한 원클릭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CN207816328U (zh) 一种泵站运行状态实时在线监测及故障诊断系统
CN206452978U (zh) 一种基于云平台的智能宠物喂食器
KR200402185Y1 (ko) 음성 안내 부스터 펌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