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309A -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309A
KR20060112309A KR1020050034236A KR20050034236A KR20060112309A KR 20060112309 A KR20060112309 A KR 20060112309A KR 1020050034236 A KR1020050034236 A KR 1020050034236A KR 20050034236 A KR20050034236 A KR 20050034236A KR 20060112309 A KR20060112309 A KR 20060112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ame operation
game
button
w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4965B1 (ko
Inventor
오형종
Original Assignee
오형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형종 filed Critical 오형종
Priority to KR1020050034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965B1/ko
Publication of KR20060112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2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having an element mounted for rotation independently of wheel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026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 B60B7/0033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the dominant aspect being the surface appearance
    • B60B7/0053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the dominant aspect being the surface appearance the surface being deco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72Visual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을 할 때 버튼 조작의 편의성을 제고하도록 단말기 본체에 접철식 게임 조작부가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 본체 전면 일측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본체의 전면 타측에 배치되는 숫자버튼부 및 기능버튼을 포함하는 폰 조작버튼;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출입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에 의하여 가려져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하지 못하는 제1 위치와 본체로부터 좌우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 가능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제1 게임조작날개 및 제2 게임조작날개; 및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전면에 각각 마련된 게임버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의 본체의 양측에 게임버튼이 형성된 게임조작날개부를 각각 마련함으로써 소형화 및 컴팩트화된 휴대폰에서도 게임시의 버튼 조작성이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게임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게임을 위하여 별도의 게임접속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폰 조작버튼의 최적화된 배치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게임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lephone having game operrating panel}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여러가지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1은 바형 휴대폰에 본 발명이 구현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홀더형 휴대폰에 본 발명이 구현된 예들 도시한 사시도,
도3 및 도4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에 본 발명이 구현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5 및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게임조작날개를 접철하는 수단의 여러가지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7은 도6의 라인 "A-A"에 따른 단면도,
도8은 도6의 라인 "B-B"에 따른 단면도,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전면부 사시도 및 배면부 사시도,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을 할 때 버튼 조작의 편의성을 제고하도록 단말기 본체에 접철식 게임 조작부가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PCS폰, PDA 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이하, 휴대폰)가 보편적으로 보급되면서 휴대폰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콘텐츠들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게임이 있다.
종래의 휴대폰은 본체의 상부 중심에 방향버튼이 마련되고 그 주변으로 각종 기능버튼, 즉 메뉴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버튼과 각종 동작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확인버튼,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통화버튼, 각종 동작모드를 종료하거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종료버튼 및 각종 기능을 취소할 수 있는 취소버튼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하부로는 숫자버튼(이하, "폰 조작버튼"이라 함)이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게임을 할 경우, 사용자는 방향버튼을 이용하여 방향을 조정하고 확인버튼이나 종료버튼 등의 기능키를 사용하여 총을 쏘는 등의 작동을 수행한다.
그러나 휴대폰이 점점 소형화 및 컴팩트화되고 있는 관계로 휴대폰의 각종 조작버튼이 크기가 작고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게임시의 버튼 조작성이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점차 복잡해져 가는 게임을 즐기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336057호 및 제31828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각종 게임조작버튼이 마련된 휴대폰 접속 게임조작기를 휴대폰과 접속하여 게임을 즐기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휴대폰 접속 게임조작기는 사용자가 게임조작기를 항상 휴대하여야 하므로 취급이 매우 불편하여 실용화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31336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의 폰 조작버튼의 배치구조를 변경함으로써 게임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도 컴팩트화된 휴대폰에 다양한 게임버튼을 마련하여야 하는 기술적 과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의 최적화된 버튼 배치구조를 변경하여야 하므로 통화 시에 폰 조작버튼의 조작이 불편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휴대폰 본체에 접철식으로 게임조작날개부를 구비함으로써 폰 조작버튼의 최적화된 배치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게임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 본체 전면 일측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본체의 전면 타측에 배치되는 숫자버튼부 및 기능버튼을 포함하는 폰 조작버튼;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출입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에 의하여 가려져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하 지 못하는 제1 위치와 본체로부터 좌우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 가능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제1 게임조작날개 및 제2 게임조작날개; 및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전면에 각각 마련된 게임버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게임조작날개에는 게임 방향버튼이 마련되고 상기 제2 게임조작날개에는 게임 기능버튼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양측면의 일 지점에는 상기 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상단부와 힌지결합되는 힌지핀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양측면의 타 지점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하단부와 결합 또는 해제되는 날개조작스위치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부본체와 하부본체가 상호 힌지 결합된 폴더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는 하부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상기 본체는 상부본체가 하부본체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타입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는 상기 상부본체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는 상부본체에 마련된 회동핀과 결합되어 상부본체와 함께 상부 및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내측에는 상부본체의 이동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상기 가이드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핀 이 상기 하부본체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되고, 본체에 의하여 완전히 가려져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하지 못하는 제1 위치와 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본체로부터 노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할 수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숫자버튼부 및 기능버튼을 포함하는 폰 조작버튼; 및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적어도 타측에 배치되는 게임조작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서로 인접하는 모서리는 본체의 중앙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타측 모서리에는 본체의 하면에 형성된 곡선 가이드홈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버튼이 노출된 바-형 휴대폰에 본 발명이 구현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0)는 본체(11), 본체(11) 전면 상측에 형성된 액정화면의 디스플레이부(12), 본체(11)의 전면 아래측에 배치되는 숫자버튼부 및 기능버튼을 포함하는 폰 조작버튼(13)으로 구성된다.
상기 폰 조작버튼(13)은 상부 중심에 방향버튼(13a)이 마련되고 그 주변으로 각종 기능버튼(13b), 즉 메뉴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버튼과 각종 동작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확인버튼,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통화버튼, 각종 동작모드를 종료하거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종료버튼 및 각종 기능을 취소할 수 있는 취소버튼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하부로는 숫자버튼(13c)이 배치된다.
상기 본체(11)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출입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게임조작날개(15a) 및 제2 개임조작날개(15b)가 마련된다. 한편 본체(11)의 전면의 양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15a)(15b)를 사용자가 본체(11) 밖으로 노출시키거나 본체 안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조작스위치(16a)(16b)가 각각 마련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15a)(15b)는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본체에 의하여 완전히 가려지는 제1 위치와 본체로부터 좌우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 가능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15a)(15b)의 전면에는 각각 게임버튼(17a)(17b)이 각각 마련된다.
뱌람직하게는 본체(11)의 좌측에 위치한 상기 제1 게임조작날개(15a)에 게임 방향 버튼(17a)이 마련되고, 본체(11)의 우측에 위치한 제2 게임조작날개(15b)에는 게임 기능 버튼(17b)이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휴드폰(10)을 파지한 상태에서 좌측 손가락을 이용하여 게임의 방향을 조절하고 우측 손가락을 이용하여 총을 쏘는 등의 작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2는 상부본체(21a)와 하부본체(21b)가 상호 힌지결합된 폴더형 휴대폰(20)에 본 발명이 구현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20)는 상부본체(21a)와 상부본체(21a)에 대하여 힌지결합되는 하부본체(21b)로 이루어진다. 상부본체(21a)의 전면에는 액정화면의 디스플레이부(23)가 마련되고, 하부본체(21b)의 전면에는 폰 조작버튼(23)이 마련된다. 상기 폰 조작버튼(23)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의 폰 조작버튼(13)과 다르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하부본체(21b)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제1 게임조작날개(25a) 및 제2 개임조작날개(25b)가 마련된다. 하부본체(21b)의 전면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25a)(25b)를 본체 밖으로 노출시키거나 본체 안으로 삽입시키는 조작스위치(26a)(26b)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25a)(25b)는 하부본체(21b)의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손바닥 및 손가락으로 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25a)(25b) 상의 게임 버튼(27a)(27b)을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3 및 도4는 상부본체(31a)가 하부본체(31b)에 대하여 휴대폰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폰(30)에 본 발명이 구현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폰(30)의 본체(31)는 하부본체(31b)와, 상기 하부본체(31b) 상면에서 휴대폰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본체(31a)로 이루어진다.
상부본체(31a)의 전면 상부에는 액정화면의 디스플레이부(32)가 마련되고, 상부본체(31a)의 전면 하부에는 방향버튼(33a)과 각종 기능버튼(33b), 즉 메뉴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버튼과 각종 동작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확인버튼, 통화가 가 능하도록 하는 통화버튼, 각종 동작모드를 종료하거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종료버튼 및 각종 기능을 취소할 수 있는 취소버튼이 마련된다. 하부본체(31b)의 전면 하부에는 숫자버튼(33c)이 배열되어 있다. 상부본체(31a)와 하부본체(31b)의 사이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부본체(31a)를 하부본체(31b)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현재 통용되는 통상적인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본체(31b)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출입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게임조작날개(35a) 및 제2 개임조작날개(35b)가 마련된다. 또한 도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부본체(31a)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출입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게임조작날개(45s) 및 제2 게임조작날개(45b)가 마련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1 및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본체(31a) 또는 하부본체(31b)의 전면의 좌우 양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35a, 35b)(35a, 35b)를 본체(31) 밖으로 노출시키거나 본체 안으로 삽입시키는 조작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내부구조 및 이에 형성되는 게임버튼의 구체적인 배치구조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를 본체로부터 출입시키는 접철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에 도시된 실시예의 접철수단은 힌지결합방식을 사용한다. 즉 본체(11)의 양측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제1 및 제2 게임 조작날개(15a, 15b)가 수용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15a, 15b)의 상단부(도면에서 삼각형의 상부꼭지점 부분)는 상기 본체(11)의 일 지점에 마련된 힌지축(51)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힌지축(51)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15a, 15b)를 제2 위치(게임조작날개가 본체 밖으로 노출된 위치)를 항햐여 탄성바이어스시킨다.
본체의 양측면의 타 지점(상기 힌지축이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게임조작날개의 길이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아래쪽으로 이격된 부분)에는 날개조작스위치(16b)가 마련되어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15a, 15b)의 하단부와 결합 또는 해제된다. 상기 날개조작스위치(16b)의 하단부에는 제1 위치에서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15a, 15b)의 하단부와 걸리는 걸림턱(52)이 마련된다. 상기 날개조작스위치(16b)는 스프링(53)에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스프링(53)의 탄성력을 이기고 날개조작스위치(16b)를 아래로 밀어내리면, 상기 걸림턱(52)의 걸림작용이 해제되어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15a, 15b)는 비틀림 코일스프링(51)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회동하여 본체 밖으로 노출된 제2 위치로 전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형 휴대폰(10)에 적용된 접철수단이 설명되어 있으나, 상기 접철수단은 바-형 휴대폰 이외에 도2에 도시된 폴더형 휴대폰(20) 및 도3 및 도4에 도시된 슬라이드형 휴대폰(3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6 내지 도8은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를 본체로부터 출입시키는 접철수단 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접철수단은 슬라이딩형 휴대폰(30)에 적용된다.
상기 접철수단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35a)(35b)가 상부본체(31a)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35a)(35b)는 하부본체(31b)에 형성된 수용공간(S)에 수용된다. 상기 수용공간(S)은 상부본체(31a)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게임조작날개(35b)를 수용하도록 휴대폰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35a)(35b)의 상단부는 상부본체(31a)에 마련된 회동축(61)과 힌지 결합되어 상부본체(31a)와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35a)(35b)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부본체(31a)의 이동방향과 소정의 각도(α)를 형성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슬롯(62)이 마련된다. 하부본체(31b)에는 상기 가이드 슬롯(6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가이드핀(63)이 마련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하부본체(31b)의 가이드핀(63)이 게임조작날개의 가이드 슬롯(62)의 상단부에 삽입된다. 휴대폰 사용자가 게임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본체(31a)를 손으로 밀어올리고, 상부본체(31a)와 힌지 결합된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35a)(35b)가 상기 수용공간(S) 내에서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가이드슬롯(62)이 상기 가이드핀(63)에 의하여 안내되므로, 결국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35a)(35b)는 회동축(6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본체(31)로부터 노출된 제2 위치로 이동된다.
게임조작날개의 접철수단은 위에서 개시된 것 이외에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PDA 폰(70)의 본체(71)의 양측 하면에 반원형 형상의 날개 수용홈(72a, 72b)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73a, 73b)를 반원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수용홈(72a, 72b)에 내장시킴과 동시에, 게임조작날개(73a, 73b)의 양단부를 본체(71)에 힌지결합한다. 사용자가 게임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반원형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73a, 73b)를 180도 만큼 회동시킴으로써 게임버튼(74a, 74b)이 마련된 부분을 본체(71)의 바깥쪽으로 노출시켜 사용한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80)는 디스플레이부(82)를 구비한 본체(81)와 상기 본체(81)의 하면에 나란히 배치된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84a)(84b)를 구비한다.
도1 내지 도4에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서는 디스플레이부를 본체의 전 면적에 걸쳐 형성하였다. 즉 폰 조작버튼이 본체에 형성되지 않고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84a)(84b)에 게임조작버튼과 함께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84a)(84b)는 본체(81)에 의하여 완전히 가려지는 제1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본체로부터 노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할 수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84a)(84b)의 서로 인접하는 모서리(85a)(85b)는 본 체(81)의 중앙에 힌지 결합되고,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84a)(84b)의 타측 모서리에는 본체(81)의 하면에 형성된 곡선 가이드홈(83)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86a)(86b)이 각각 마련된다.
사용자가 게임을 하거나 통화 버튼을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84a)(84b)를 파지하고 밖으로 빼내면 게임조작날개의 타측 모서리에 형성된 가이드핀(86a)(86b)이 곡선 가이드홈(83)을 따라 이동하여 제2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제1 게임조작날개(84a)에는 폰 조작버튼의 숫자버튼부(87a)와 게임버튼의 게임 방향버튼(88a)가 배치되고, 제2 게임조작날개(84b)에는 폰 조작버튼의 방향버튼, 메뉴머튼, 확인버튼(87b) 등과 게임버튼의 게임 기능버튼(88b)이 형성된다.
상기 폰 조작버튼과 게임 조작버튼은 당업자가 설계 필요성에 따라 제1 게임조작날개 또는 제2 게임조작날개에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11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11은 휴대폰을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12는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90)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휴대폰과 마찬가지로 상부본체(91a)가 하부본체(91b)에 대하여 휴대폰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폰이므로, 이하에서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휴대폰과 상이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휴대폰의 상부본체(91a)의 전면에는 전 면적에 걸쳐 디스플레이부(92)가 마련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을 최대화한다. 폰 조작버튼, 즉 메뉴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버튼과 각종 동작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확인버튼,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통화버튼, 각종 동작모드를 종료하거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종료버튼 및 각종 기능을 취소할 수 있는 취소버튼(97a, 97b)은 제1 게임조작날개(95a) 및 제2 개임조작날개(95b)에 나누어 배치된다. 하부본체(31b)의 전면 하부에는 숫자버튼(93)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하부본체(91b)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출입가능하게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제1 게임조작날개(95a) 및 제2 개임조작날개(95b)가 마련된다. 제1 게임조작날개(95a)에는 게임버튼(96a)과 폰 조작버튼의 일부, 즉 메뉴 버튼과 시작버튼(97a)이 마련되다. 제2 개임조작날개(95b)에는 게임기능 버튼(96b)과 폰 조작버튼의 일부, 즉 취소버튼, 확인버튼, 종료버튼 등이 마련된다.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95a, 95b)를 본체로부터 출입시키는 접철수단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95a)(95b)가 상부본체(91a)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철수단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95a)(95b)가 상부본체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서 본체 밖으로 빠져나오거나 본체 안으로 삽입된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들 사항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의 본체의 양측에 게임버튼이 형성된 게임조작날개부를 각각 마련함으로써 소형화 및 컴팩트화된 휴대폰에서도 게임시의 버튼 조작성이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게임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게임을 위하여 별도의 게임접속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폰 조작버튼의 최적화된 배치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게임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8)

  1. 본체;
    본체 전면 일측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본체의 전면 타측에 배치되는 숫자버튼부 및 기능버튼을 포함하는 폰 조작버튼;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출입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에 의하여 가려져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하지 못하는 제1 위치와 본체로부터 좌우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 가능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제1 게임조작날개 및 제2 게임조작날개; 및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전면에 각각 마련된 게임버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임조작날개에는 게임 방향버튼이 마련되고 상기 제2 게임조작날개에는 게임 기능버튼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측면의 일 지점에는 상기 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상단부와 힌지결합되는 힌지핀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양측면의 타 지점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하단부 와 결합 또는 해제되는 날개조작스위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본체와 하부본체가 상호 힌지 결합된 폴더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는 하부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본체가 하부본체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타입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는 상기 상부본체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는 상부본체에 마련된 회동핀과 결합되어 상부본체와 함께 상부 및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내측에는 상부본체의 이동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상기 가이드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핀이 상기 하부본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7.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되고, 본체에 의하여 완전히 가려져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하지 못하는 제1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본체로부터 노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할 수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숫자버튼부 및 기능버튼을 포함하는 폰 조작버튼; 및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적어도 타측에 배치되는 게임조작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서로 인접하는 모서리는 본체의 중앙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게임조작날개의 타측 모서리에는 본체의 하면에 형성된 곡선 가이드홈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50034236A 2005-04-25 2005-04-25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54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236A KR100654965B1 (ko) 2005-04-25 2005-04-25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236A KR100654965B1 (ko) 2005-04-25 2005-04-25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309A true KR20060112309A (ko) 2006-11-01
KR100654965B1 KR100654965B1 (ko) 2006-12-06

Family

ID=37620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236A KR100654965B1 (ko) 2005-04-25 2005-04-25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9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380B1 (ko) * 2008-07-21 201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101035125B1 (ko) * 2009-08-14 2011-05-19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380B1 (ko) * 2008-07-21 201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US8712487B2 (en) 2008-07-21 2014-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1035125B1 (ko) * 2009-08-14 2011-05-19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965B1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3321B2 (en) Personal entertainment device (PED) with double-opening flap
FI118073B (fi) Kannettava, ainakin kaksi käyttöasentoa käsittävä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sekä saranamekanismi sitä varten
US7911773B2 (en) Apparatus with user interface
JP2009153224A (ja) 電子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WO2006097186A1 (en) Hinged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with a double action hinge
EP1579587B1 (en) Self operat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EP1850565A1 (en) Portable terminal
US20080214252A1 (en) Handheld electronic keypad access case
KR10051816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0654965B1 (ko) 게임 조작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US20040189597A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WO2009064323A1 (en) Mobile terminal having a slidable keyboard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7966046B2 (en) Mobile communication and/or gaming terminal
EP1887762A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game function
JP4032728B2 (ja) キーボード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1125668A (ja) ノート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のヒンジ機構
KR10065066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게임전용 키패드 장치
JPH11196167A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
KR1008716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게이밍 단말기
KR100673521B1 (ko)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1351488B1 (ko) 이동통신단말기
KR200370666Y1 (ko)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EP1763714B1 (en) Personal entertainment device (ped) with double-opening flap
KR100718258B1 (ko) 게임 기능을 동시에 구비한 휴대용 통신장치
EP1774507A2 (en) Compact handset communication and processing device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