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521B1 -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521B1
KR100673521B1 KR1020040075816A KR20040075816A KR100673521B1 KR 100673521 B1 KR100673521 B1 KR 100673521B1 KR 1020040075816 A KR1020040075816 A KR 1020040075816A KR 20040075816 A KR20040075816 A KR 20040075816A KR 100673521 B1 KR100673521 B1 KR 100673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keypad
display means
hing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019A (ko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이노디자인,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디자인,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이노디자인,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4007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521B1/ko
Publication of KR20060027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키패드를 구비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 수단을 상기 2개의 키패드 사이에 위치시켜 폰북 기능 또는 단문 메시지 기능 수행을 위한 숫자 및 문자 입력시 사용자의 이용 편이성 및 정보처리 기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의 각각의 일단은 힌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힌지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의 개폐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패널에는 제 1 키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패널 상에는 제 2 키패드 및 표시 수단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이 오픈되어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때 상기 표시 수단이 상기 제 1 패널쪽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상기 제 2 패널 상의 제 2 키패드가 선택적으로 노출되며, 상기 표시 수단의 일단은 착탈 가능한 결착 수단을 통해 상기 힌지와 연결되며, 상기 결착 수단은 상기 힌지 내측에 구비되는 결함 홈부와 상기 표시 수단의 일단의 상기 결함 홈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결합 돌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듀얼 키패드

Description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 key pad}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표시 수단의 이동 전후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0 : 제 1 패널 111a : 제 1 버튼부
111b : 제 2 버튼부 120 : 제 2 패널
121 : 제 2 키패드 130 : 표시 수단
131 : 표시 수단의 일단 140 : 힌지
141a : 결합 돌기부 141b : 결합 홈부
본 발명은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키패드를 구비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 수단을 상기 2개의 키패드 사이에 위치시켜 폰북 기능 또는 단문 메시지 기능 수행을 위한 숫자 및 문자 입력시 사용자의 이용 편이성 및 정보처리 기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신 산업의 발달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신장으로 인하여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이 대중화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의 다양한 기능 향상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는 무선 전화통신 기능 이외에 음악 파일의 재생, 무선 인터넷, 전자 메일 등의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와 같은 부가 기능이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정보처리 기능이다. 즉, 전화번호 및 해당 이름을 저장, 검색하여 발신할 수 있도록 하는 폰북 기능, 소정의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단문 메시지 기능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폰북 기능 및 단문 메시지 기능을 사용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연관되는 이동통신단말기기의 장치적 구성 요소는 키패드(key pad)이다. 일련의 숫자, 문자 및 기호 버튼들이 구비되어 있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상기의 전화번호 저장 및 검색 또는 단문 메시지의 작성 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살펴보면, 기본적으로(또는 필수적으로) 키패드와 표시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키패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 및 문자 입력을 위한 일련의 숫자/문자/기호 버튼들과,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넷, 통화 등의 기능 버튼들과, 이동통신단말기 기능 수행시 항목 변경을 수행하는 방향 버튼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 수단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수행 상태를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를 이용하여 전화번호 입력, 저장 및 검색 등의 폰북 기능 및 단문 메시지 송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 상태는 상기 표시 수단에 디스플레이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에는 숫자 및 문자 입력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한된 버튼 예를 들어, 12개의 버튼을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한된 12개 버튼 상에 숫자와 영어, 한글 등의 문자 등이 표기되어 있으며 소정의 변환 버튼 등을 이용하여 상기 숫자 및 문자를 이용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는 제한된 버튼 상에 숫자 및 문자가 모두 표기되어 있음에 따라 하나의 버튼 상에 표기되어 있는 숫자 및 문자의 수가 많을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화번호 입력, 저장 및 검색 등의 폰북 기능 수행시 또는 단문 메시지 송수신 기능 수행시 사용상의 불편이 야기된 다. 또한, 종래의 키패드 구성은 키패드가 이동통신단말기의 길이방향으로 좁은 폭으로 구성됨에 따라 숫자 및 문자 입력시 대개의 경우 사용자가 한 손만을 이용할 수밖에 없어 숫자 및 문자 입력의 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2개의 키패드를 구비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 수단이 상기 2개의 키패드 사이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폰북 기능 또는 단문 메시지 기능 수행을 위한 숫자 및 문자 입력시 사용자의 이용 편이성 및 정보처리 기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의 각각의 일단은 힌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힌지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의 개폐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패널에는 제 1 키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패널 상에는 제 2 키패드 및 표시 수단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이 오픈되어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때 상기 표시 수단이 상기 제 1 패널쪽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상기 제 2 패널 상의 제 2 키패드가 선택적으로 노출되며, 상기 표시 수단의 일단은 착탈 가능한 결착 수단을 통해 상기 힌지와 연결되며, 상기 결착 수단은 상기 힌지 내측에 구비되는 결함 홈부와 상기 표시 수단의 일단의 상기 결함 홈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결합 돌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키패드는 숫자, 문자 및 기호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제 1 버튼부와 기능 버튼 및 방향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제 2 버튼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키패드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버튼이 구비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키패드 및 제 2 키패드의 버튼 상에 표기되는 문자 및 기호의 표기 방향은 상기 숫자의 표기 방향에 직각 방향을 이룬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이 접철되어 개폐되는 폴더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 상에 제 1 키패드를 구비되고 상기 제 2 패널 상에 제 2 키패드 및 표시 수단을 순차적으로 적층, 구비된다. 이와 같은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을 완전히 오픈 상태에서 상기 제 2 패널 상의 표시 수단이 상기 제 1 패 널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제 2 키패드가 노출된다. 이에 따라, 제 1 키패드 및 제 2 키패드를 이용하여 숫자, 문자 및 기호 입력이 사용자의 양손 사용을 통해 용이하게 입력 가능하게 되며 하나의 버튼 상에 표기되는 숫자, 문자 및 기호가 적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먼저, 이동통신단말기를 외형상으로 구분하면 키패드가 외부로 노출된 바형(bar type), 키패드 커버가 구비된 플립형(flip type), 접철식 단말기인 폴더형(folder type), 슬라이드식 착탈형 단말기인 슬라이드형(slide typ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기본적인 외형으로서 상기 폴더형으로 구성된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는 크게 제 1 패널(110)과 제 2 패널(12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패널(110)과 제 2 패널(120)은 각각의 일단이 힌지(hinge)(140)를 통해 연결되며 힌지(140)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제 1 패널(110)과 제 2 패널(120)의 접철에 의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 패널(110)에는 제 1 키패드(111)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패널(120)에는 제 2 키패드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키패드(111) 및 제 2 키패드(121) 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패널(120) 상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와 같은 표시 수단(130)이 적층되어 구비된다. 상기 표시 수단(130)은 상기 제 2 패널(120)의 크기에 상응하는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표시 수단(130)의 일단(131)은 상기 힌지(140)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상기 표시 수단(130)의 일단(131)이 상기 힌지축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힌지(140)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 1 패널(110)과 제 2 패널(120)의 접철에 의한 힌지(140)의 회전시 상기 표시 수단(130) 역시 제 2 패널(12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140)의 회전시 상기 표시 수단(1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상기 표시 수단의 일단(131)은 원형의 형상으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수단(130)의 일단(131)과 상기 힌지(140)의 결합을 위해 상기 표시 수단(130)의 일단(131)과 상기 힌지(140)에는 각각 결착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착 수단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표시 수단(130)의 일단(131)과 상기 힌지(140)의 내측에 각각 결합 돌기부(141a)와 결합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부(141a)와 상기 결합 홈부(141b)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표시 수단(130)의 일단(131)과 상기 힌지(140)에 구비되는 결합 돌기부(141a)와 결합 홈부(141b)는 서로 형성 위치를 달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c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의 물리적 힘 즉, 사용자의 손놀림에 의해 결착 상태의 상기 표시 수단(130)과 상기 힌지(140)가 서로 이탈되어 상기 표시 수단(130)이 제 1 패널(110)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140)와 상기 표시 수단(130) 사이의 결합 및 이탈은 제 1 패널(110)과 제 2 패널(120) 상에서 상기 표시 수단(130)을 이동시킨다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와 같은 결합 돌기부(141a)와 결합 홈부(141b)로 구성되는 결착 수단 이외에 다른 방식으로도 충분히 변형 실시 가능하다.
또한, 상기 표시 수단(130)이 제 1 패널(110)과 제 2 패널(120) 상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패널(110)과 제 2 패널(12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또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표시 수단(130)의 배면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에 부가하여,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패널(110)로부터 이동된 표시 수단(130)이 상기 제 2 패널(120) 상의 소정 위치에 멈추도록 하는 정지 수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 또는 제 2 패널(120) 상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 수단(130)이 이동되는 조건은 상기 제 1 패널(110)과 제 2 패널(120)이 완전히 오픈되어 상기 제 1 패널(110)과 제 2 패널(120)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때이다. 즉, 상기 제 1 패널(110)과 제 2 패널(120)이 완전히 오픈되지 않아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 수단(130)은 상기 제 2 패널(120) 상에서 고정되어 이동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표시 수단(130)이 상기 제 2 패널(120) 상으로부터 이동하여 이동할 수 있는 최대한의 거리를 이동하면 즉, 상기 정지 수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표시 수단(130)이 상기 제 1 패널(110) 상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 2 패널(120) 상의 제 2 키패드(121)가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 수단(130)이 상기 정지 수 단에 도달함에 따라 제 1 패널(110) 상의 제 1 키패드(111)가 상기 표시 수단(130)에 의해 가려지는 부위는 숫자, 문자 버튼 즉, 제 1 버튼부(111a)를 제외한 기능 버튼 또는 방향 버튼 부분 즉, 제 2 버튼부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키패드(111)와 제 2 키패드(121)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소정 개수의 버튼을 구비하며 각각의 버튼 상에는 전화번호 입력, 저장, 검색 및 단문 메시지 작성을 위한 숫자, 문자 및 기호들이 표기되어 있다. 종래의 경우, 제한된 소수의 버튼 상에 모든 문자, 숫자 및 문자들을 표기해야 함에 따라 하나의 버튼 상에 많은 숫자, 문자 및 기호들이 표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키패드에 상응하는 버튼을 구비하는 제 1 키패드(111)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키패드(111)와 상응하는 버튼을 구비하는 제 2 키패드(121)를 구비함에 따라 하나의 버튼 상에 표기되는 숫자, 문자 및 기호는 종래의 단말기에 비하여 현저하게 적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패드(111) 및 제 2 키패드(121)의 버튼 상에 표기되는 문자 및 기호는 정렬 방향은 숫자의 정렬 방향으로부터 90도 틀어져 있다. 즉, 숫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표기되며 문자 및 기호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폭 방향으로 표기된다. 상기 문자 및 기호를 이동통신단말기의 폭 방향으로 표기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이용 편이성을 증대시키기 위함인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표시 수단(130)을 중심으로 제 1 키패드(111)와 제 2 키패드(121)가 상기 표시 수단(130)의 좌우에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 수단(130)을 보면서 양 손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키패드(121)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시각은 종래의 단말기에서와 같이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지 않고 단말기의 폭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키패드(121)의 버튼 상에 표기되는 문자 및 기호들이 상기 단말기의 폭 방향으로 표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및 도 2b의 경우, 영문자를 도시하였으나 한글 및 기타 문자를 표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표시 수단(130)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 배열 역시 상기 제 1 및 제 2 키패드(121)의 버튼 상에 구비되는 문자 및 기호와 동일한 방향을 갖는다.
이와 같이, 문자 및 기호들이 단말기의 폭 방향 즉, 가로 방향으로 양측에 배열됨에 따라, 두손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문자 입력 효율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인터넷 채팅, 게임 등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표시 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 역시 상기 문자 및 기호의 배열과 같이 가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 편이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이 접철되어 개폐되는 폴더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 상에 제 1 키패드를 구비되고 상기 제 2 패널 상에 제 2 키패드 및 표시 수단을 순차적으로 적층, 구비된다. 이 와 같은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을 완전히 오픈 상태에서 상기 제 2 패널 상의 표시 수단이 상기 제 1 패널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제 2 키패드가 노출된다.
이에 따라, 제 1 키패드 및 제 2 키패드를 이용하여 숫자, 문자 및 기호 입력이 사용자의 양손 사용을 통해 용이하게 입력 가능하게 되며 하나의 버튼 상에 표기되는 숫자, 문자 및 기호가 적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인터넷 채팅, 게임 등을 보다 빠르게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표시 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 등이 상기 문자, 기호의 배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효과는 배가될 수 있다.

Claims (8)

  1.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의 각각의 일단은 힌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힌지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의 개폐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패널에는 제 1 키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패널 상에는 제 2 키패드 및 표시 수단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이 오픈되어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때 상기 표시 수단이 상기 제 1 패널쪽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상기 제 2 패널 상의 제 2 키패드가 선택적으로 노출되며,
    상기 표시 수단의 일단은 착탈 가능한 결착 수단을 통해 상기 힌지와 연결되며, 상기 결착 수단은 상기 힌지 내측에 구비되는 결함 홈부와 상기 표시 수단의 일단의 상기 결함 홈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결합 돌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패드는 숫자, 문자 및 기호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제 1 버튼부와 기능 버튼 및 방향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제 2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키패드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삭제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패드 및 제 2 키패드의 버튼 상에 표기되는 문자 및 기호의 표기 방향은 상기 숫자의 표기 방향에 직각 방향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40075816A 2004-09-22 2004-09-22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673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816A KR100673521B1 (ko) 2004-09-22 2004-09-22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816A KR100673521B1 (ko) 2004-09-22 2004-09-22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219U Division KR200370666Y1 (ko) 2004-09-22 2004-09-22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019A KR20060027019A (ko) 2006-03-27
KR100673521B1 true KR100673521B1 (ko) 2007-01-29

Family

ID=37138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816A KR100673521B1 (ko) 2004-09-22 2004-09-22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5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162B1 (ko) * 2004-11-15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겸용 폴딩형 휴대 통신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039A (ja) 1997-04-25 1998-11-13 Nec Corp 携帯無線情報端末装置
KR20010066462A (ko) * 1999-12-31 2001-07-11 윤종용 슬라이딩 액정부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KR20040025624A (ko) * 2002-09-19 2004-03-24 송민규 듀얼 슬라이드 표시장치
EP1432215A1 (en) 2002-12-19 2004-06-2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039A (ja) 1997-04-25 1998-11-13 Nec Corp 携帯無線情報端末装置
KR20010066462A (ko) * 1999-12-31 2001-07-11 윤종용 슬라이딩 액정부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KR20040025624A (ko) * 2002-09-19 2004-03-24 송민규 듀얼 슬라이드 표시장치
EP1432215A1 (en) 2002-12-19 2004-06-2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2562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019A (ko) 2006-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6325B2 (en) Triple-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EP180446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wo keypads
US7813776B2 (en)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FI118073B (fi) Kannettava, ainakin kaksi käyttöasentoa käsittävä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sekä saranamekanismi sitä varten
KR100678200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US7283847B2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100788995B1 (ko) 추가 키패드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EP1806909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US20050245251A1 (en)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50185788A1 (en) Keypad adapted for use in dual orientations
WO2003034695A1 (en) Textual and telephony dual input device
EP1746808B1 (en) Sliding and swing portable terminal
US7899505B2 (en) Portable terminal
KR100673521B1 (ko)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703459B1 (ko) 슬라이딩 키패드를 구비하여 데이터 입력이 편리한 휴대장치
KR200370666Y1 (ko) 듀얼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GB2417851A (en) Mobile phone with sliding and rotating hinge
KR100718892B1 (ko) 확장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3616525B2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機のキーボタン構造
KR100630560B1 (ko) 부가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60014300A (ko) 보조 입력키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375653Y1 (ko) 슬라이딩 기능이 포함된 폴더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11800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반자동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060099130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작동방법
KR20070049848A (ko) 힌지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