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072A -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072A
KR20060112072A KR1020050034476A KR20050034476A KR20060112072A KR 20060112072 A KR20060112072 A KR 20060112072A KR 1020050034476 A KR1020050034476 A KR 1020050034476A KR 20050034476 A KR20050034476 A KR 20050034476A KR 20060112072 A KR20060112072 A KR 20060112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vibration
speaker
fastening ho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0300B1 (ko
Inventor
권순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30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2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커의 진동으로 인해 음질이 저하되거나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부 구조가 개선된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의 전면에 결합되며, 각 모서리부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프론트 캐비닛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보스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외면 둘레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하면에는 상기 보스가 삽입되는 제 1체결공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 1체결공과 연통되고 상기 보스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 2체결공이 형성되는 진동방지부재와, 상기 제 2체결홀을 통해 상기 보스와 결합되어 프레임을 프론트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스피커 어셈블리, 진동방지부재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Speak assembly for video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방지부재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절단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스피커 110 : 프레임
111 : 결합공 120 : 보스
121 : 결합홈 130 : 진동방지부재
131 : 걸림편 140 : 고정부재
141 : 스크류 142 : 와셔
150 : 프론트 캐비닛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V등과 같은 영상표시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등의 영상표시장치에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어셈블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피커 어셈블리는 CRT나 액정패널의 양 측부의 프론트 커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커 어셈블리(20)는 크게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21)와, 상기 스피커(21)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레임(2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피커 어셈블리(20)는 영상표시장치의 전면 외관을 이루는 프론트 캐비닛(10)의 좌우측 내면, 좀더 자세하게는, 음극선관(5) 또는 액정패널(5)의 좌우 양측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22)의 각 모서리부에는 결합공(23)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2)이 결합되는 프론트 캐비닛(10)의 내측면에는 스크류(25) 체결을 위한 체결보스(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21)는 결합공(23)과 체결보스(24)의 위치가 정렬된 후 스크류(25)가 결합공(23)을 통해 체결보스(24)에 결합됨에 따라 프론트 캐비닛(10)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25)와 프레임(22) 사이에는 스크류(25)와 프레임(22)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공(23) 및 체결보스(24)에 스크류(25)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와셔(2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2)과 접하는 프론트 캐비닛(10)에는 스피커(21)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외부로 잘 전파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홀(11)이 형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는 스피커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청취하는 음질이 저하됨은 물론 진동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스피커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스크류의 체결력이 약화되어 스크류와 와셔간에 간격이 발생할 경우 와셔가 진동하며 프레임과 부딪쳐 불쾌한 소음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커의 진동으로 인해 음질이 저하되거나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부 구조가 개선된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의 전면에 결합되며, 각 모서리부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프론트 캐비닛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보스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외면 둘레가 프레임 에 의해 지지되며, 하면에는 상기 보스가 삽입되는 제 1체결공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 1체결공과 연통되고 상기 보스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 2체결공이 형성되는 진동방지부재와, 상기 제 2체결홀을 통해 상기 보스와 결합되어 프레임을 프론트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방지부재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동방지부재의 상하부 외측 둘레면에는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결합공에 삽입된 진동방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편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체결공의 직경은 보스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2체결공을 통해 보스에 결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진동방진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보스의 내부에는 스크류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방지부재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절단부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00)와, 상기 스피커(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과 영상표시장치의 전면 외관을 이루는 프론트 캐비닛(150)을 상호 연결시키는 보스(120), 진동방지부재(130), 그리고 고정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0)의 각 모서리부에는 결합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진동방지부재(130)는 상기 결합공(111)에 삽입되어 외면 둘레가 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어 진다.
이러한 상기 진동방지부재(130)는 스피커(100)에서 발생되어 프레임(11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스피커(100)의 진동에 의한 음질 저하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방지부재(130)는 탄성을 가진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피커(100)의 진동을 흡수하며 결합공(111)에 쉽게 삽입될 수 있는 재료라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진동방지부재(130)의 상하단 외측 둘레면에는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편(131)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걸림편(131)은 프레임(110)의 상하면에 각각 접촉하여 진동방지부재(120)가 스피커(100)의 진동에 의해 결합공(111)에서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스(120)는 프론트 캐비닛(14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진동방지부재(1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진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방지부재(130)의 하면에는 상기 보스(120)가 삽입되는 제 1체결공(1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진동방지부재(130)는 외면이 프레임(110)과 접함과 동시에 내부에는 보스(120)가 삽입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진동방지부재(130)는 프레임(110)을 통해 전달되는 스피커(100)의 진동 뿐만 아니라 보스(120)를 통해 전달되는 스피커(100)의 진동 역시 감쇠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 1체결공(132)의 직경은 보스(120)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보스(120)가 제 1체결공(131)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진동방지부재(130)가 보다 효율적으로 스피커(100)의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보스(120)의 직경이 제 1체결공(132)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면, 상기 보스(120)를 제 1체결공(131)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큰 외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보스(120)가 제 1체결공(132)에 압입되어 진동방지부재(130)의 내면에 밀착되어 지면 진동방지부재(130)의 유동성이 없어지게 되어 프레임(110) 및 보스(120)을 통해 전달되는 스피커(100)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쇠시키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체결공(132)의 직경이 보스(1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면, 상기 보스(120)가 진동방지부재(130)의 내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프레임(110) 및 보스(120)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진동방지부재(130)가 함께 진동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스피커(100)의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40)는 보스(120)와 결합되어 프레임(110) 및 스피커(100)를 프론트 캐비닛(15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재(140)와 보스(120)의 결합을 위해 상기 진동방지부재(130)의 상면에는 상기 제 1체결공(132)과 연통되는 제 2체결공(133)이 형성되며, 상기 보스(120)의 내부에는 결합홈(1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40)는 제 2체결공(133)을 통해 상기 보스(120)의 결합홈(121)에 삽입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재(140)는 제 2체결공(133)을 통해 보스(120)의 결합홈(121)에 삽입되는 스크류(141)와, 상기 스크류(151)와 진동방진부재(130)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14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 2체결공(133)의 직경은 상기 보스(120)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1체결공(132)에 삽입된 보스(120)의 상단이 제 2체결공(13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 2체결공(133)의 직경이 보스(120)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면 상기 보스(120)의 상면은 제 2체결공(13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고정부재(140)와 접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140)가 스크류(141)와 와셔(142)로 구성될 경우, 보스(120)의 상면은 와셔(142)와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141)가 스피커(100)의 진동 또는 작업 불량등에 의해 체결이 느슨해져 와셔(142)와 보스(120) 사이에 간격이 생기게 되면 상기 와셔(142)가 상하 진동하며 보스(120)의 상면에 부딪치게 되고 이에 따라 불쾌한 소음이 지 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제 2체결공(133)의 직경이 보스(120)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면 상기 보스(120)의 상면은 제 2체결공(133)이 형성되는 중앙 일부를 제외하고 진동방지부재(130)로 둘러싸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141)의 체결이 느슨해져 와셔(142)가 유동할 경우에도 상기 와셔(142)와 보스(120) 사이에는 진동방지부재(130)가 위치하게 되어 와셔(142)가 보스(120)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어셈블리가 영상표시장치 내부에 고정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프레임(110)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결합공(111)에 진동방지부재(130)가 삽입되어진다. 이때, 상기 진동방지부재(130)는 외면 둘레가 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어 지고, 이와 동시에 상하부에 형성된 걸림편(131)이 프레임(110)의 상하면에 접하게 되어 진동방지부재(130)가 스피커(100)의 진동에 의해 결합공(11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방지부재(130)의 내부에 형성된 제 1체결공(132)에 프론트 캐비닛(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보스(120)가 삽입되어 진다. 이때, 상기 보스(120)는 제 2체결공(133)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후, 상기 제 2체결공(133)을 통해 스크류(141)가 보스(120)의 결합홈(121)에 삽입됨에 따라 프레임(110) 및 스피커(100)가 프론트 캐비닛(150)에 고정되어진 다. 물론, 상기 진동방지부재(130)의 상면과 스크류(141) 사이에는 와셔(142)가 구비되어 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진동방지부재에 의해 감쇠되므로 음질이 저하되지 않으며, 또한, 스피커의 진동에 따른 소음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보스를 탄성재질의 진동방진부재가 감싸고 있어 보스와 결합되는 스크류의 체결이 느슨해질 경우에도 와셔와 보스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1.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의 전면에 결합되며, 각 모서리부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프론트 캐비닛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보스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외면 둘레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하면에는 상기 보스가 삽입되는 제 1체결공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 1체결공과 연통되고 상기 보스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 2체결공이 형성되는 진동방지부재와,
    상기 제 2체결홀을 통해 상기 보스와 결합되어 프레임을 프론트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방지부재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방지부재의 상하부 외측 둘레면에는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결합공에 삽입된 진동방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편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체결공의 직경은 보스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2체결공을 통해 보스에 결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진동방진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의 내부에는 스크류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
KR1020050034476A 2005-04-26 2005-04-26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 KR100710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476A KR100710300B1 (ko) 2005-04-26 2005-04-26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476A KR100710300B1 (ko) 2005-04-26 2005-04-26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072A true KR20060112072A (ko) 2006-10-31
KR100710300B1 KR100710300B1 (ko) 2007-04-23

Family

ID=37620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476A KR100710300B1 (ko) 2005-04-26 2005-04-26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3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080B1 (ko) * 2007-05-29 2009-02-10 최성국 흡음성능이 개선된 스피커 하우징 및 스피커시스템의체결구조
KR200455841Y1 (ko) * 2009-11-10 2011-09-27 (주)디앤티 스피커 잡음 제거를 위한 화상 회의용 대형 lcd 모니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197A (ko) * 1997-06-27 1999-01-15 배순훈 텔레비젼의 스피커시스템의 방진고정구조
KR100273435B1 (ko) * 1998-07-30 2000-12-15 구자홍 티브이용 내장 스피커의 진동방지구조
KR20000060243A (ko) * 1999-03-12 2000-10-16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용 스피커 장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080B1 (ko) * 2007-05-29 2009-02-10 최성국 흡음성능이 개선된 스피커 하우징 및 스피커시스템의체결구조
KR200455841Y1 (ko) * 2009-11-10 2011-09-27 (주)디앤티 스피커 잡음 제거를 위한 화상 회의용 대형 lcd 모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0300B1 (ko) 2007-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7121B2 (ja) 映像表示機器用のスピーカーシステム
JP4988103B2 (ja) テレビジョンキャビネット内のスピーカによって発生される振動を減少する装置
KR20000060243A (ko) 영상표시기기용 스피커 장착장치
WO2011074225A1 (ja) スピーカ保持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195535B1 (ko)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떨림 방지 장치
KR100609796B1 (ko)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 스피커 장치의 부착 구조및 부착 방법
KR100710300B1 (ko)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어셈블리
US5956412A (en) Loudspeaker case structure for video display appliances
JP3998618B2 (ja) 表示装置
JPH1066179A (ja) スピーカの取付け機構
KR100732167B1 (ko) 스피커 어셈블리 및 영상기기
JP3619746B2 (ja) テレビのスピーカ取付構造
WO2015093445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99175A (ja) 映像表示機器のスピーカー出力による画面振え防止装置
JP2011035577A (ja) スピーカ装置及びスピーカ取付構造
KR20080000067A (ko) 스피커의 진동방지 및 음손실 방지구조
KR200146719Y1 (ko) 스피커의 방진 결합 구조물
KR20060016944A (ko) 영상표시장치의 스피커 취부구조
KR20090075155A (ko) 스피커
KR200172306Y1 (ko) 스피커 고정 장치
KR0158270B1 (ko) 스피커 출력에 의한 모니터 또는 티브이 화면의 진동 방지 장치
KR0158271B1 (ko) 스피커 출력에 의한 모니터 또는 티브이화면의 진동 방지 장치
KR20070040678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피커 커버 장착구조
KR100209636B1 (ko) 텔레비젼의 화면 떨림 방지를 위한 음압 및 진동 차단형 스피커 유니트 고정장치
KR0184048B1 (ko) 영상표시기기에서 스피커에 의한 브라운관의 화면 떨림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