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967A - 단부에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 철근 - Google Patents

단부에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 철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967A
KR20060111967A KR1020050034278A KR20050034278A KR20060111967A KR 20060111967 A KR20060111967 A KR 20060111967A KR 1020050034278 A KR1020050034278 A KR 1020050034278A KR 20050034278 A KR20050034278 A KR 20050034278A KR 20060111967 A KR20060111967 A KR 20060111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deformed
cross
reinforcing bars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우균
Original Assignee
두우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우균 filed Critical 두우균
Priority to KR1020050034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1967A/ko
Publication of KR20060111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2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hooks or 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이형 철근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공지된 이형 철근의 단부에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를 형성하여, 배근할 때 상기 철근의 체결 부위에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체결 부위를 끼워 맞춰서 철근과 철근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공지된 이형 철근(11a, 11b)의 단부를 냉간 또는 열간 방식 등으로 부풀리면서 체결용 홈(120aa, 120ba)과 체결용 돌출부(120ab, 120bb)가 있는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12a, 12b)를 형성하여,
상기 철근의 체결 부위(12a, 12b)에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철근의 체결 부위를 서로 끼워 맞춰서 체결함과 함께 그 체결된 부위에 체결된 부위의 이탈을 방지해 주는 슬리브를 감싸 씌워서, 철근과 철근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근, 배근, 이형 철근, 철근 이음, 철근 콘크리트,

Description

단부에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 철근{Reinforcing bar witch has a specially designed shape of prominence and depression on its connecting parts of end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입면도
도 2 내지 도 2a는 상기 도 1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입면도
도 3 내지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체결 과정을 실시 예로 도시한 단면도
도 5 내지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체결 과정을 다른 실시 예로 도시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체결 과정을 또 다른 실시 예로 도시한 단면도
도 9 내지 도 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체결 과정을 또 다른 실시 예로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11b : 이형 철근 12a, 12b는 : 철근 단부의 체결 부위
120aa, 120ba : 체결용 홈 120ab, 120bb : 체결용 돌출부
13 : 체결용 슬리브 14a, 14b : 철근의 리브
15aa∼15bb : 테이퍼 부분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이형 철근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공지된 이형 철근의 단부를 냉간 또는 열간 방식 등으로 부풀리면서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를 형성하여,
배근 시 상기 철근의 체결 부위에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체결 부위를 서로 끼워 맞춰서 체결함과 함께 그 체결된 부위에 체결된 부위의 이탈을 방지해 주는 슬리브를 압착 감싸 씌워서 철근과 철근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근 시 사용하는 철근의 연결 방식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단부를 서로 맞댄 상태로 용접하는 방식이 있으며,
다른 연결 방식으로는, 일정한 길이 마큼의 철근이 서로 겹쳐지게 배근하는 겹쳐 잇는 방식과 기계적 연결 방식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적 연결 방식 중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맞닿은 단부 각각에 일정 길이만큼의 나사산을 형성한 다음 그 나사산과 나사산을 암나사가 형성돼 있는 슬리브로 나사 연결하는 방식이 있으며,
다른 기계적 연결 방식에는, 철근과 철근이 맞닿은 연결 부위를 이형 철편 등으로 감싸 주는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기계적 철근 연결 방식들은, 사용되는 슬리브와 이형 철편같은 체결구의 가격이 비싼 문제점과, 상기 체결구의 체결 작업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철근의 생산 과정에서 철근의 단부가 부풀려지거나, 철근이 생산된 이후에 냉간 및 열간 방식에 의해 단부가 부풀려진 그 철근의 단부에 체결용 홈과 체결용 돌출부 등이 있는 체결 부위를 형성하여,
배근할 때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들의 체결 부위를 서로 끼워 맞춰서 체결함과 함께 그 체결된 부위에 체결 부위의 이탈을 방지해 주는 슬리브를 압착 감싸 씌워서 철근과 철근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단부에 요철형태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 철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지된 이형 철근의 단부를 냉간 또는 열간 방식 등으로 부풀리면서 체결용 홈과 체결용 돌출부가 있는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를 형성하여,
상기 철근의 체결 부위에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철근의 체결 부위를 서로 끼워 맞춰서 체결함과 함께 그 체결된 부위에 체결된 부위의 이탈을 방지해 주는 슬리브를 압착 감싸 씌워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에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 철근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c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입면도며,
도 2 내지 도 2a는 상기 도 1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입면도로서,
도 2는 상기 도 1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입면도며,
도 2a는 상기 도 2의 체결된 부위에 슬리브가 씌워진 상태를 도시한 입면도며,
도 3 내지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로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며,
도 3a는 상기 도 3의 단면도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체결 과정을 실시 예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4a는 체결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한 체결 부위의 단면도며,
도 4b는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체결 부위의 단면도며,
도 4c는 상기 도 4b의 체결된 부위에 슬리브가 씌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며,
도 5 내지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로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며,
도 5a는 상기 도 5의 단면도며,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체결 과정을 다른 실시 예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6a는 체결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한 체결 부위의 단면도며,
도 6b는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체결 부위의 단면도며,
도 6c는 상기 도 6b의 체결된 부위에 슬리브가 씌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며,
도 7 내지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로서,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며,
도 7a는 상기 도 7의 단면도며,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체결 과정을 또 다른 실시 예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8a는 체결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한 체결 부위의 단면도며,
도 8b는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체결 부위의 단면도며,
도 8c는 상기 도 8b의 체결된 부위에 슬리브가 씌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며,
도 9 내지 도 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로서,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며,
도 9a는 상기 도 9의 단면도며,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체결 과정을 또 다른 실시 예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0a는 체결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한 체결 부위의 단면도며,
도 10b는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체결 부위의 단면도며,
도 10c는 상기 도 10b의 체결된 부위에 슬리브가 씌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철근을 생산할 때 그 철근의 단부에 체결용 홈(120aa, 120ba)과 체결용 돌출부(120ab, 120bb) 등이 있는 체결 부위(12a, 12b)를 형성할 수 있으며,
철근(11a, 11b)의 생산 과정에서 그 철근의 단부를 부풀려주거나, 또는 철근이 생산된 이후에 냉간 및 열간 방식으로 철근의 단부를 부풀려 주면,
상기 부풀려진 단부에 냉간 및 열간 방식 등으로 체결용 홈(120aa, 120ba)과 체결용 돌출부(120ba, 120bb) 등이 있는 체결 부위(12a, 12b)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방법으로 체결 부위(12a, 12b)가 형성된 이형 철근(11a, 11b)은,
배근할 때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11a, 11b)의 체결 부위(12a, 12b)를 서로 끼워 맞춰서 체결하면, 상기 체결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용 홈(120aa, 120ba)에 체결용 돌출부(120ab, 120bb)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같은 종류의 철근에는 모두 동형(同形)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철근(11a, 11b)의 굵기가 같은 경우는 물론 그 굵기가 같지 않고 비슷 한 경우에도, 체결 부위끼리 끼워 맞춤이 될 수 있도록 굵기가 비슷한 철근의 체결 부위(12a, 12b) 역시 모두 동형으로 형성된 구조다.
그러므로 본 발명 단부에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 철근으로 배근을 하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철근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다.
둘째; 연결 부위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셋째; 가격이 저렴한 슬리브를 사용할 수 있다.
넷째; 고장이 없는 구조가 간단한 슬리브를 사용할 수 있다.
다섯째; 굵기가 비슷한 철근끼리도 서로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Claims (4)

  1. 공지된 이형 철근에 있어,
    단부의 체결 부위(12a, 12b)에 체결용 홈(120aa,120ba)과 체결용 돌출부(120ab, 120bb)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에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 철근.
  2. 제 1항에 있어서,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12a, 12b)는,
    굵기가 같은 철근끼리는 물론 굵기가 비슷한 철근끼리도 체결 부위를 서로 끼워 맞춰서 연결할 수 있도록 굵기가 같거나 비슷한 철근에는 동형(同形)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에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 철근.
  3. 제 1항에 있어서,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12a, 12b)는,
    체결 부위(12a, 12b)의 강도를 높여주기 위해 철근(11a, 11b)의 단부가 부풀려진 상태로 체결 부위(12a, 1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에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 철근.
  4. 제 1항에 있어서,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12a, 12b)는,
    체결 부위(12a, 12b)에 슬리브(13)를 씌워 줄 때 그 슬리브 안에 체결 부위가 쉽게 삽입 될 수 있도록 체결 부위의 전후 부분(15aa, 15ab, 15ba, 15bb)이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에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 철근.
KR1020050034278A 2005-04-26 2005-04-26 단부에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 철근 KR20060111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278A KR20060111967A (ko) 2005-04-26 2005-04-26 단부에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 철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278A KR20060111967A (ko) 2005-04-26 2005-04-26 단부에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 철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967A true KR20060111967A (ko) 2006-10-31

Family

ID=3762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278A KR20060111967A (ko) 2005-04-26 2005-04-26 단부에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 철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19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9246A1 (en) * 2016-07-26 2018-02-01 Jiangsu Ernest Technology Co Ltd A connector for joining bars
TWI716088B (zh) * 2019-08-27 2021-01-11 愛地雅工業股份有限公司 桿件連接裝置、包含桿件連接裝置的自行車及協力車
KR102639740B1 (ko) * 2022-12-27 2024-02-22 다산기업 주식회사 결속 확인이 가능한 유리섬유강화폴리머 보강근 소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3613U (ko) * 1988-04-30 1989-11-15
KR950011789A (ko) * 1993-10-06 1995-05-16 김우중 이형철근의 단부 부풀림 나사 내기식 철근이음 공법
JPH07217076A (ja) * 1994-01-26 1995-08-15 Nippon Steel Corp 棒鋼およびその締結方法
KR19980062473U (ko) * 1997-04-03 1998-11-16 박재혁 철근 연결구
JP2004019164A (ja) * 2002-06-13 2004-01-22 Keisei Chin 目視検査型接続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3613U (ko) * 1988-04-30 1989-11-15
KR950011789A (ko) * 1993-10-06 1995-05-16 김우중 이형철근의 단부 부풀림 나사 내기식 철근이음 공법
JPH07217076A (ja) * 1994-01-26 1995-08-15 Nippon Steel Corp 棒鋼およびその締結方法
KR19980062473U (ko) * 1997-04-03 1998-11-16 박재혁 철근 연결구
JP2004019164A (ja) * 2002-06-13 2004-01-22 Keisei Chin 目視検査型接続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9246A1 (en) * 2016-07-26 2018-02-01 Jiangsu Ernest Technology Co Ltd A connector for joining bars
EA037541B1 (ru) * 2016-07-26 2021-04-09 Джиангсу Эрнест Текнолоджи Ко Лтд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стержней
TWI716088B (zh) * 2019-08-27 2021-01-11 愛地雅工業股份有限公司 桿件連接裝置、包含桿件連接裝置的自行車及協力車
CN112441173A (zh) * 2019-08-27 2021-03-05 爱地雅工业股份有限公司 杆件连接装置、包含杆件连接装置的自行车架及协力车架
KR102639740B1 (ko) * 2022-12-27 2024-02-22 다산기업 주식회사 결속 확인이 가능한 유리섬유강화폴리머 보강근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014B1 (ko) 철근 연결구
KR20060111967A (ko) 단부에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 철근
KR101374598B1 (ko) 철근 커플러
KR101033681B1 (ko) 철근 커플러
KR100309611B1 (ko) 철근 연결구
KR200286101Y1 (ko) 철근 연결장치
KR100355494B1 (ko) 철근이음장치
KR200341839Y1 (ko) 철근 이음장치
KR200321183Y1 (ko) 철근 이음장치
KR101160532B1 (ko) 철근 연결구
KR100307569B1 (ko) 철근이음쇠
KR200308578Y1 (ko) 철근 연결구
KR200400440Y1 (ko) 철근 연결장치
KR200210602Y1 (ko) 슬리브결합형 철근이음쇠
KR200223677Y1 (ko) 철강 조각을 활용한 내진용 철근이음 시스템
KR200398060Y1 (ko) 철근 연결장치
KR100308547B1 (ko) 철근연결구
KR101116703B1 (ko) 철근 커플러
KR200317137Y1 (ko) 이형철근 연결 커플러
KR200207138Y1 (ko) 철근이음장치
KR100497305B1 (ko) 철근 이음구
KR200321164Y1 (ko) 더블 커넥터를 이용한 철근 이음 장치
KR20040069099A (ko) 외부돌기를 갖는 일체형 철근 이음구
KR200178987Y1 (ko) 철근 연결장치
KR20040024686A (ko) 철근 연결구 및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