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606A - 형광증백제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그로부터제조된 얀 및 이 얀의 열경화 방법 - Google Patents

형광증백제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그로부터제조된 얀 및 이 얀의 열경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606A
KR20060111606A KR1020067012469A KR20067012469A KR20060111606A KR 20060111606 A KR20060111606 A KR 20060111606A KR 1020067012469 A KR1020067012469 A KR 1020067012469A KR 20067012469 A KR20067012469 A KR 20067012469A KR 20060111606 A KR20060111606 A KR 20060111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s
fabric
polymer
yarn
poly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조지 해리스
챨스 리차드 랑그릭
로버트 듀허스트
리차드 제임스 메리골드
Original Assignee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06011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60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41C3/142Stiffenin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5/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 A41C5/005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by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5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mers of unsaturated nitril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7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8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co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06P3/24Polyamides;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형광증백제를 항균제 또는 산화방지 안정제, 또는 둘다와 함께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얀(yarn), 및 상기 얀으로부터 직물, 의복, 성형품 또는 다른 제품(예: 카페트(carpet))을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합체 및 얀에 형광증백제를 도입하여, 열경화 후 우수한 백색도를 나타내는 직물 및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또한 개시되어 있다.
형광증백제, 폴리아미드, 항균제, 산화방지제, 백색도

Description

형광증백제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그로부터 제조된 얀 및 이 얀의 열경화 방법{POLYAMIDE COMPOSITION COMPRISING OPTICAL BRIGHTENER, YARNS MADE THEREFROM AND PROCESS FOR HEAT SETTING SUCH YARNS}
본 발명은 개선된 합성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얀(yarn)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형광증백제, 및 항균제 또는 산화방지 안정제중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형광증백제 처리된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얀의 제조 방법, 및 이 얀으로부터 제조된 염색된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우수한 백색도를 갖는 열경화된 폴리아미드 직물의 제조 방법, 및 우수한 백색도를 갖는 성형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든 폴리아미드는 열처리시 약간의 변색을 나타낸다. 이러한 문제는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열경화에 가하는 직물(스판덱스-함유 직물, 일부 속옷류 및 성형된 브래지어 컵)에서 특히 분명히 나타난다. 나일론 변색의 문제는 항균제의 사용시 특히 분명히 나타난다. 많은 유기 항균제는 용융방사 공정중에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특성을 나타낼 수 없는 종을 형성하기 때문에 나일론에 쉽게 사용될 수 없다. 대부분의 무기 대안물질은 은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며, 이들 은 특히 열경화시 또는 후속 세탁시에 변색을 일으키는 특별한 경향이 있다.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 또는 나일론 6,6(N66) 중합체-기재의 얀은, 특히 폴리카프로아미드, 또는 나일론 6(N6) 중합체-기재의 얀과 대등하게 비교할 때, 종종 약간 황색을 나타낸다. 그러나, 직물이 더 열경화되면 두 얀 모두가 변색된다.
N66사 및 N6사의 제조사는 그들의 제품의 황변에 대한 방지책을 찾았고, 일반적으로 형광증백제에 의한 국소 처리에 의존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국소"란 용어는 직물 표면에 국부적으로 적용된 처리를 뜻한다. 얀, 직물 또는 의복을 형광증백제로 국소 처리하는 것은 효과적이지만, 영구적이지는 않다. 직물을 형광증백제로 국소 처리하는 방법은 "패딩-온(padding-on)"으로서 알려져 있다. 또 다르게는, 얀 또는 직물을 형광증백성 백색 염료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식으로 염색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서나, 형광증백 효과는 염색 및 통상의 세탁 작업과 같은 후속 직물 처리에서 점차 손실된다.
이스트만 케미칼 캄파니 퍼블리케이션(EASTMAN Chemical Company Publication) AP-27C(1996년 12월)에 의해 발표된 보고서에는 나일론 6 "섬유등급" 수지와 함께 형광증백제인 이스토브라이트(EASTOBRITE, 등록상표) OB-1[2,2'-(1,2-에텐디일디-4,1-페닐렌)비스벤족사졸]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광증백제는 스펙트럼의 자외선 부분을 흡수하고 가시 스펙트럼의 청색 영역에서 빛을 재방사함으로써 기능을 한다. 청색 형광은 형광증백제를 함유하는 물질에서 황색의 발현을 감소시킨다. 이스트만 보고서에는 분말상 형광증백제(트리아진 형, 쿠마린형, 벤조옥사졸형, 스틸벤형 및 OB-1)와 두 폴리아미드 나일론 6 수지의 블렌딩이 논의되어 있다. 이들 수지는 이산화티탄 0.3%를 함유하는 제1 광택제거 수지 및 이산화티탄 1.6%를 함유하는 제2 수지였다. 이들 나일론 6 수지를 3밀리미터 메쉬 크기로 분쇄하고 증백제 조성물과 건식 블렌딩하였다. 상이하게 형광증백제 처리된 나일론 6 수지를 연신사로 방적하고 편직하여 직물을 제조하고, 이를 내광성 및 백색도 측정에 앞서 문질러 닦았다. 이스트만 보고서에는 또한 "생산 조건을 모의하기 위하여" 증백제와 융해된 나일론 6,6을 산소가 없는 습한 분위기에서 블렌딩하는 것이 논의되어 있다. 이스트만의 보고에 의하면, 이스토브라이트(등록상표) OB-1은 상기 블렌드에서 "안정하고 형광성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나일론 66의 경우에는 섬유 방적 결과 또는 백색도 데이터가 보고되지 않았다. 또한 이스트만에는 임의의 폴리아미드에 대해서 인장강도 및 내광성의 중요한 섬유 특성도 보고되지 않았다.
합성 중합체-기재의 얀 및 직물의 백색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의 방지책, 특히 나일론 6,6 "직물 백색도"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찾아낸 방지책은 상업적 제조 공정에 적절하지 않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패딩 또는 염색 기법은 고비용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활성이 유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여전히 합성 폴리아미드 중합체에 형광증백제를 도입하여 열경화와 같은 직물 후처리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 영구적인 백색도 개선을 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패딩-온 및 백색 염색 방법은 백색 직물에 한정된다. 후속적으로 염색하여 더 깨끗하고 밝은 색을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백색 직물을 제조할 방법을 찾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 다.
발명의 요약
본 출원인은 합성 폴리아미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얀이 얀 자체내로의 형광증백제의 도입에 의해 백색도 외관이 개선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얀은 영구적인 백색도 개선을 나타내고 열경화와 같은 공정 중에도 이러한 백색도 개선을 유지할 수 있다. 특정 경우에서, 이들은 또한 직물이 염색될 때 더 깨끗하고, 더 강력하게 착색되는 직물을 생성한다. 착색된 직물에 대한 이런 효과는 통상의 형광증백 기법을 통해서는 달성될 수 없는데, 증백제가 염색 공정중에 직물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산화방지 안정제 또는 항균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특히 형광증백제를 항균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데, 은-기재의 항균제를 갖는 나일론사는, 특히 열경화시 또는 후속 세탁시에 형광증백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변색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나일론 중합체 및 코폴리아미드는 산에 의해 본질적으로 염색가능하고, 반응성이고, 특히 염료를 분산시키지만, 이들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중합체내에 공중합된 5-술포-이소프탈산과 같은 첨가제로 개질시킴으로써 염기성 염색 형태가 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개질에 의해, 얀이 특히 염기성 염료에 의한 착색에 감수성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또한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다른 첨가제(비제한적인 예: 자외선(UV) 흡수제, 광안정제, 촉매, 핵형성제, 착색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형광증백제를 항균제 또는 산화방지 안정제, 또는 이들 둘다와 함께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이 제공된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 또는 폴리카프로아미드,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일 수 있지만, 이들 중합체 및 공중합체에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산 염색성 중합체이거나 또는 염기 염색성(양이온 염색성) 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얀, 및 이러한 얀으로부터 제조된 직물 및 의복, 형광증백제를 함유하는 염색된 직물, 및 상기 중합체, 조성물 및 얀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형광증백제 처리된 나일론사로부터 직물을 구성하고, 이 직물을 약 20초 내지 약 90초동안 약 160 내지 약 220℃로 가열함을 포함하고, 상기 직물이 열경화 후에 측정된 CIE 백색도가 75 이상인, 만족스러운 백색도의 열경화 나일론 직물의 제조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된 백색도를 갖는 성형품(예: 브래지어 컵)의 제조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형광증백제 처리된 나일론사로 제조된 직물을 예정된 시간동안 주형내에서 열 및 압력에 가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형광증백제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이 제공된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산-염색성 중합체 또는 염기-염색성 중합체(양이온 개질된 중합체로도 알려짐)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나일론 6,6), 또는 폴리카프로아미드(나일론 6), 또는 이들 폴리아미드중 하나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형광증백제는 조성물의 약 0.005 내지 약 0.2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항균제 또는 산화방지 안정제, 또는 두 첨가제의 혼합물을 더 포함한다. 항균제는 은-함유 화합물일 수 있다. 항균제는 전형적으로 조성물에 약 0.1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산화방지제의 농도는 유기 시스템이 사용되는 경우 0.1 내지 2중량%일 수 있지만, 산화방지제가 구리 이온 함유 화합물의 사용을 기본으로 하는 경우 5ppm 정도로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1종 초과의 형광증백제, 항균 첨가제 또는 산화방지 첨가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중합하기 전, 중합하는 동안 또는 중합한 후에 형광증백 첨가제(OBA)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즉, OBA는 단량체 물질(나일론 6,6의 경우에는 헥사메틸렌 디아민 및 아디프산; 또는 나일론 6의 경우에는 카프로락탐) 자체와 함께 도입될 수 있거나, 또는 단량체 물질이 중합체로 가공되는 동안 또는 중합 공정의 완료시 융해된 중합체내로 도입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OBA는 또한 캐리어 중합체의 사용에 의해 마스터배치(masterbatch)내로 더 높은 농도로 배합될 수 있고, 그 후에 이 마스터배치의 중합체 과립은 용융, 혼합 및 필라멘트로의 압출 이전에 통상의 중합체내로 계량된다. 또 다르게는, 후속 혼합 및 압출을 위하여, 고체 과립의 혼합과는 대조적으로, 마스터배치 농축물 또는 순수한 OBA를 용융시켜 정상적인 융해 중합체 흐름내로 개별 스트림으로서 공급할 수 있다.
특히,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오토클레이브(autoclave)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공정에서, 오토클레이브 용기에 나일론 6,6 염의 진한 수용액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용액은 단량체인 헥사메틸렌 디아민 및 아디프산의 수용액으로부터 당업계에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임의로는, 이 용액은 또한 미량의 다른 단량체(예: 디아민, 디카르복실산, 또는 카프로락탐 용액으로서 나일론 6 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 임의로 첨가된 공단량체는 약 0.5 내지 약 20중량%의 최종 공중합체 함량을 제공하는 양으로 나일론 6,6 염과 혼합될 수 있다. 그 다음, 오토클레이브 용기를 약 220℃로 가열하여 내부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오토클레이브에, 광택제거제인 이산화티탄(TiO2)과 같은 다른 첨가제가 수분산액으로서 임의로 주입될 수 있다.
형광증백제 처리된 중합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형광증백제의 수분산액을 또한 동일한 시점에서 오토클레이브 용기내의 혼합물에 주입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오토클레이브에 먼저 농축 염 용액을 도입할 때, 형광증백제를 수분산액 또는 유기 용매(예: 카프로락탐) 용액으로서 첨가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농축 및 오토클레이브내로의 도입 이전에, 염 용액이 먼저 제조될 때 형광증백제가 포함될 수도 있다. 그 다음, 혼합물을 오토클레이브내에서 약 245℃로 가열할 수 있다. 이 온도에 있는 동안, 오토클레이브 압력은 대기압으로 감압될 수 있고, 또한 공지의 방식으로 진공을 가하여 더 감압시켜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함유하는 오토클레이브는 전형적으로 이 온도에서 약 30분동안 유지될 것이다. 이 단계 이후에, 오토클레이브에서 폴리아미드 중합체 조성물을 약 285℃로 더 가열하고, 오토클레이브 용기에 무수 질소를 도입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약 4 내지 약 5바의 절대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중합체 조성물은 오토클레이브 용기의 출입구를 개방하고 이 용기로부터 융해된 폴리아미드 조성물이 레이스(lace)의 형태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오토클레이브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이들 레이스를 흐르는 물에서 냉각시키고 급냉시켰다. 그 다음,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레이스를 공지의 방법에 의해 과립화하고 물로 더 냉각시킬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조성물은 연속 중합(CP) 경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나일론 66 및 그의 공중합체의 경우, 필수 공정 단계는 오토클레이브 공정과 유사하다. 나일론 66 염 및 적당한 공단량체의 농축 용액을 예비중합 장치에 도입하여, 대부분의 물을 제거하고, 저분자량의 중합체로 괴상 중합한다. 그 다음, 용융물은 가열된 관 아래쪽으로 지나서, 더 고분자량의 중합체로서 나타나고, 이 중합체로부터 분리기 장치에서 증기가 제거될 수 있다. 그 다음, 융해된 중합체를 레이스로서 압출하여, 물에서 냉각시키고, 염색, 임의로는 고상 중합도의 증가, 및 후속 방적을 위한 재용해에 적합한 과립으로 절단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냉각하고 과립으로 절단하는 중간 단계들을 통하지 않고도 직접 방적이 가능하도록 CP 라인을 방적기에 연결할 수 있다. 배치 공정에서와 같이, 형광증백제는 바람직하게는 수분산액으로서, 몇몇 상이한 시점에서 도입될 수 있다. 따라서, 형광증백제는 농축 전에 원래의 염 용액에 첨가되거나, 또는 농축된 염 용액과 동시에 중합의 제1 단계에 도입되거나, 또는 용융물내로 더 하류쪽에 주입되거나, 또는 최종 나타나는 중합체 스트림내로 용융된 상태로 주입될 수 있다.
나일론 6 및 그의 공중합체는 거의 항상 CP 경로에 의해 생성되는데, 이때 카프로락탐, 소량의 물 및 개시 촉매(예: 아세트산 또는 벤조산)를 공단량체 및 첨가제 슬러리(예: 이산화티탄)와 함께 CP 중합기에 공급한다. 이것은 빈번하게는 간단한 VK 관이지만, 최신식 공장은 일반적으로 예비중합기 용기를 포함하는 2단계 시스템을 사용한다. 혼합물을 가열하고, 증기를 제거하고, 중합체 덩어리를 압출 다이로 펌핑하여, 압출된 레이스를 물에서 냉각시키고, 과립으로 절단한다. 과립은 일반적으로 고온수로 추출하여 단량체를 제거한 다음, 후속 방적을 위하여 건조시킨다. 단량체 및 올리고머를 추출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방적 설비에의 직접 연결은 드물다. 형광증백제 처리된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형광증백제는 공정중 임의의 단계에서 도입될 수 있지만, 시스템에 들어갈 때 다른 원료와 함께 수성 슬러리로서 형광증백제를 공급하는 것이 단연 가장 편리하다. 나일론 중합체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문헌["Nylon Plastics Handbook", Edited by M. I. Kohan, ISBN 3-446-17048-0]에 숙련자를 위하여 잘 요약되어 있다.
또 다르게는,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마스터배치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데, 고농도(예를 들어, 1 내지 10중량%)의 형광증백제를 적합한 캐리어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에 도입한다. 이러한 마스터배치는 이론상, 적당한 고농도의 첨가체가 얻어질 수 있다면, 상기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배합 공정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전형적인데, 이때 예정된 양의 분말상 첨가제 및 캐리어 중합체를 혼합하고, 압출기에서 함께 용융시키고, 레이스로 압출하고, 물로 냉각하고, 과립으로 절단한다. 과립의 후속 블렌딩은 처음부터 끝까지 균일한 농축물을 제공한다. 그 다음, 이러한 농축된 마스터배치를 계량 시스템을 통하여 일반적인 중합체 과립과 혼합할 수 있고, 이들 둘을 함께 용융시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거나, 또는 마스터배치를 개별적으로 용융시킨 다음, 융해된 기준 중합체의 흐름내로 주입할 수 있다. 1종 초과의 성분이 첨가되어야 하는 경우(예를 들어, 항균제 및(또는) 산화방지제와 함께 형광증백제), 모든 성분을 함께 하나의 중합체 마스터배치내로 배합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다양한 대안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형광증백제를 마스터배치에 의존하지 않고 용융시킨 다음, 방적기에 들어갈 때 융해된 표준 중합체의 흐름내로 주입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이스트만 참조문헌에 제시된 바와 같이, 형광증백제를 임의의 단계에서 표준 중합체에 고형 분말상 형태로 투입할 수 있지만, 이러한 투입은 농도의 조절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또 다르게는, 형광증백제를 유화가능한 왁스내에 도입할 수 있고, 이를 수분산액을 형성하는데 사용한다. 분산액을 폴리아미드 중합체 과립상에 필요한 양으로 분무한 다음, 건조시킨다. 그 다음, 처리된 과립을 용융시키고 섬유로 방적할 수 있다.
전술된 마스터배치 공정, CP 공정 또는 오토클레이브 공정은 포름산 방법 상대 점도(RV)가 약 32 내지 약 62이고 중합체 1000㎏당 아민 말단 약 45g 당량을 갖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임의로는, 각각의 공정은, 나일론 6,6 염의 수용액에 과량의 유기 디아민(예: 헥사메틸렌 디아민 용액)을 첨가하거나, 또는 나일론 6 중합기에 카프로락탐을 공급함으로써, 중합체 1000㎏당 아민 말단 약 50 내지 약 75g 당량을 갖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제조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중합체는 고상 장치에서 더 높은 점도 수준으로 추가로 중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나일론 중합체 및 코폴리아미드는 본질적으로 산-염색성이다. 이들 중합체내의 자유 아민 말단기(AEG)의 수는 나일론 중합체 1000㎏당 25g 당량 이상이다. 중합체를 더 강하게 산 염색성으로 만들기 위하여, 증가된 수준의 자유 아민 말단기가 바람직하다. 더 강한 산 염색성 나일론 중합체는 나일론 중합체 1000㎏당 35g 당량 이상의 증가된 AEG 수준을 가지고, 나일론 중합체 1000㎏당 60 내지 130g 당량의 AEG 수준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나일론 중합체 및 코폴리아미드는 또한 염기성 염색 형태, 즉 양이온성 염료로도 불리는 염기 염료에 의한 착색에 대해 감수성인 염기성 염색 형태로 될 수 있다. 이러한 염기-염색성 얀은 중합체내에 양이온성 염료 개질제가 공중합되어 있는 폴리아미드 중합체로부터 제조된다.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윈들리(Windle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164,261호에는 이러한 양이온성 염료 개질된 폴리아미드의 제조가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중합하는 동안 바람직한 양이온성 염료 개질제인 5-술포이소프탈산의 나트륨염 또는 그의 디메틸 에스테르 0.3 내지 4%로 중합체를 개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오토클레이브내에서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중합 과정을 사용하여 칭량된 양의 5-술포이소프탈산의 나트륨 염 또는 그의 디메틸 에스테르를 공지된 양의 폴리아미드 전구체 염과 혼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는, 중합체의 총 황 분석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양이온성 염료 개질제를 약 0.75 내지 약 3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이러한 양의 양이온성 염료 개질제는 등가의 술포네이트기로서 보고된다. 바람직한 술포네이트기 농도는 중합체 1000㎏당 25g 당량 이상 내지 중합체 1000㎏당 약 200g 당량 이하이다.
형광증백제가 조성물내에 있고 따라서 직물이 형성될 때 형광증백제가 얀 자체내에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얀으로 방적될 때 특히 유용한데, 이는 직물에 패딩하는 경우와 대조적이다. 본 발명의 얀은 특히 열경화와 같은 직물 가공 후에 개선된 백색도를 나타낸다. 추가의 이점은 형광증백제 처리된 직물이 통상의 방식으로, 산 염료, 양이온성 염료, 반응성 염료 등을 사용하여, 표준의 직물보다 더 깨끗하고, 더 신선하고, 더 밝게 보이는 착색된 직물을 제공하도록 후속적으로 염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패딩-온 또는 백색 염료 방법을 통해서는 달성하기가 불가능한데, 증백제는 염료 공정중에 벗겨지기 때문이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얀은 저연신사(low orientation yarn, LOY), 부분연신사(partially oriented yarn, POY) 또는 완전연신사(fully drawn yarn, FDY)중 하나의 형태의 다중필라멘트 텍스타일사(textile yarn)이다. 얀은 부분연신사, 또는 에어-젯(air-jet) 텍스쳐사(textured yarn)로부터 제조된 텍스쳐사일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얀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이거나 또는 더 짧은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얀을 사용하여, 의복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얀은 벌킹 연속식 필라멘트사(bulked continuous filament yarn, BCF) 또는 방적 스테이플(spun staple)일 수 있고, 카페트사로서 유용성이 있다. 얀은 또한 더 높은 강도의 공업용 얀일 수 있고, 이때 특정 분야(예: 고온 공기 기구를 위한 투명한 밝은 색의 직물) 또는 운동복용 슈-레이스(shoe-lace)의 더 내구성인 백색사에서 분명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얀은 공지의 용융방사 공정 기법을 적합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으로, CP 또는 오토클레이브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된 과립화 폴리아미드 조성물(전술된 바와 같이 형광증백제를 함유함)이 방적기에 제공된다. 과립화된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또한 캐리어 수지를 형광증백제 및 임의로는 다른 첨가제와 함께 포함하는, 표준의 중합체와 측정된 양의 마스터배치 농축물의 블렌드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연속 중합 장치(CP)로부터의 형광증백제 처리된 융해 산물은 이러한 방적기에 직접 소통될 수 있다. 융해된 중합체를 계량 펌프에 의해 필터 팩(filter pack)으로 보내고, 방적 온도에서 바람직한 필라멘트 횡단면을 얻도록 선택된 모양의 모세관 오리피스를 함유하는 방사구 판을 통해 압출시킨다. 이러한 횡단면 모양으로는 원형, 비-원형, 삼각구조 및 원뿔형, 중공 또는 그외 다수가 있다. 방사 온도는 전형적으로는 나일론 66 및 그의 공중합체의 경우 270 내지 300℃이고, 나일론 6 및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250 내지 280℃이다. 방사구 판으로부터 나오는 필라멘트 다발을 컨디셔닝 급냉 공기에 의해 냉각시키고, 스핀 피니시(spin finish)(오일/물 유화액)로 처리하고, 임의로는 인터레이싱(interlacing)하였다. FDY(연신사)의 경우에, 방적기상에서의 인-라인(in-line) 가공은 고데 롤(godet roll)(공급 롤) 세트 주위를 수회 회전한 다음(회전수는 이들 롤 위에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에 충분함), 얀을 예정된 정도(연신비)로 연신시키기에 충분한 속도로 회전하는 다른 롤(연신 롤) 세트 위로 얀을 통과시키고, 마지막으로 권취 장치상에 권취하기 전에, 예를 들어 증기 상자에 의해 얀을 가열하고 이완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4000m/분 이상의 속도가 최신식 공정의 전형이다. 임의로는, 또 다른 가열(또는 이완) 방법(예: 가열된 롤)을 사용할 수 있고, 추가의 고데 롤 세트를 연신 롤과 권취기 사이에 도입하여, 얀을 경화하거나 이완하는 동안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임의로는 최종 권취 단계 전에 제2 스핀 피니시 및(또는) 추가의 인터레이싱을 적용할 수 있다. POY의 경우에, 추가의 인-라인 가공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두 고데 롤에 걸쳐 S-랩(S-wrap)을 만든 다음, 얀을 고속 권취기로 통과시키고, 3500m/분 이상의 속도로 권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S-랩의 사용은 장력을 조절하는데 유리하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POY는 직조하거나 편직하기 위한 편평한 얀으로서, 또는 텍스쳐 가공을 위한 원료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다. LOY 방적 공정은, 1000m/분 이하의 더 낮은 권취 속도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POY와 유사하다. 이러한 저연신사는 일반적으로 제2 단계를 거쳐, 예를 들어 통상의 연신-연사기 또는 연신-권취기상에서 더 가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얀을 약 20초 내지 약 90초 동안 소정의 온도로 가열함을 포함하고, 이때 얀을 약 160 내지 약 220℃의 온도에서 열경화한 후 측정한 얀의 CIE 백색도가 75 이상인, 형광증백제 처리된 나일론사의 열경화 방법이 제공된다. 185℃의 열경화 온도 및 45초의 가열 시간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서 사용되는 얀에 산화방지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유기 물질(예: 입체장해 페놀), 또는 물질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구리 이온(바람직하게는 >5ppm) 및 할라이드를 산화방지제로서 형광증백제와 함께 사용한다. 또한 형광증백제 처리된 나일론 제품(예를 들어, 성형된 브래지어 컵)을 상기 조건하에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시험 방법
얀 강도 및 얀 신도는 인스트론(INSTRON) 인장 시험 장치(미국 02021 매사츄세츠주 캔톤 소재의 인스트론 코포레이션(Instron Corp.)) 및 일정한 크로스헤드 속도를 사용하여 ASTM 방법 D 2256-80에 따라 측정한다. 강도는 ISO-2062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고, 센티-뉴톤/텍스(cN/tex)로서 표현한다. 얀 신도(%)는 파단 하중에서 측정한 시험편의 길이 증가이고, 원래 길이의 백분율로서 표현된다.
중합체 RV는 ASTM D789-86에 따른 포름산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는데, 단 오스왈드(Ostwald) 점도계 대신에 우베로드(Ubbelohde) 점도계를 사용한다.
중합체 아민 말단 농도는 페놀/메탄올 혼합물에 용해된 칭량된 중합체 샘플의 표준화된 퍼클로르산 용액으로의 직접 적정에 의해 측정된다. 용액은 불용성 광택제거 안료를 제거하도록 여과되지 않았지만, 농도를 계산할 때 이들을 참작하였다.
얀 백색도는 각각의 얀 샘플에 대한 CIE 백색도 등급에 적합화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샘플은 개별적으로 그레타그 맥베쓰(GRETAG MACBETH) "칼러 아이(COLOR EYE)" 반사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백색도(W) 및 황색도(Y)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색 좌표 L, a 및 b를 결정한 다음, 당업계에 공지된 수단에 의해 W 및 Y를 계산한다(ASTM 방법 E313-1996 Standard Practice for Calculating Whiteness and Yellowness Indices from Instrumentally Measured Color Coordinates 참조). 이 측정의 상세한 내용은 문헌[Color Technology in the Textile Industry 2nd Edition, published by Committee RA 36, AATCC(1997)](상기 문헌에서 Special Scales for White Colors by Harold and Hunter, pp.140-146 참조), 및 그의 참조문헌에 있으며, 모두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형광증백제 처리된 중합체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메리켐 유케이 리미티드(Americhem UK Ltd.)의 나일론 6 기재의 캐리어 수지내 형광증백제의 마스터배치와 함께 TiO2 0.009중량%를 함유한, 40 RV, 50 AEG(중합체 1000㎏당 아민 말단기)의 나일론 66 중합체로부터 96dtex 및 68 원형 횡단면 필라멘트의 얀을 제조하였다. 얀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양의 형광증백제를 함유하며, 따라서 형광증백제가 분산되어 있는 다양한 양의 나일론 6 중합체를 함유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중합체를 용융방사하고 POY로서 가공하였다. 이러한 얀을 텍스쳐 가공하고, 얀 튜브(yarn tube)로 편직하고, 185 내지 200℃ 범위내의 몇몇 온도에서 열경화한 다음, 전술된 CIE 백 색도 평가에 따른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CIE 백색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형광증백제 % 나일론 6 % CIE 백색도 @ 열경화 온도
1 0.02 0.98 95(185℃) 65(200℃)
2 0.04 1.96 95(185℃) 70(200℃)
3 0.08 3.92 90(185℃) 60(200℃)
4 0.16 7.84 75(185℃) 55(200℃)
비교예
일련의 비교예에서,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TiO2 0.009중량%, 다양한 양의 나일론 6 중합체를 함유하고 형광증백제는 함유하지 않는, 40 RV, 50 AEG(중합체 1000㎏당 아민 말단기)의 나일론 66 중합체로부터 96dtex 및 68 원형 횡단면 필라멘트의 얀을 제조하였다. 이것은 상기 표 1의 처음 실시예 1 내지 4에 나타난 임의의 효과가 사실은 형광증백제의 존재로 인한 것이지, 마스터배치내에 형광증백제를 동반한 소량의 나일론 6에 의해 우발적으로 인한 것이 아님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비교예 형광증백제 % 나일론 6 % CIE 백색도 @ 열경화 온도
1 0.0 0.00 65(185℃) 40(200℃)
2 0.0 0.98 65(185℃) 45(200℃)
3 0.0 1.96 70(185℃) 40(200℃)
4 0.0 3.92 65(185℃) 42(200℃)
5 0.0 7.84 68(185℃) 48(200℃)
표 1 및 표 2의 상기 데이터는 첨가제 0.02 내지 0.04중량%로 형광증백제 처리된 나일론 6,6 융해 중합체가 얀 백색도의 열경화후 유지에 매우 유리함을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얀은 더 낮은 온도(185℃)에서 열경화된 비교예보다 200℃에서 열경화된 후의 백색도 유지가 우수하다.
산화방지 첨가제와 함께 형광증백제 처리된 중합체의 실시예
정확히 표 1의 실시예 2와 같은 제1 얀, 및 정확히 표 2의 실시예 1과 같은 제2 얀을 제조하였는데, 단 두 얀 중합체는 미국 노쓰 캐롤라이나주 하이 포인트 소재의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캄파니(CIBA Specialty Chemicals Company)로부터 구한 중합체 산화방지제인 어가녹스(IRGANOX, 등록상표) B1171을 0.2% 함유하였다. 화학적으로, 이 산화방지제는 입체장해 페놀 어가녹스(등록상표) 1098 및 유기 포스파이트 어가포스(IRGAFOS, 등록상표) 168의 혼합물이다. 얀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편직하고, 열경화하고, CIE 백색도를 측정하였다. 이들 데이터는 하기 표 3에 제시되어 있는데, 중합체에 어가녹스(등록상표) B1171 산화방지제를 추가로 첨가함으로써 우수한 백색도가 얻어짐을 나타낸다.
형광증백제 % 나일론 6 % 어가녹스 (등록상표) VT B1171 % CIE 백색도/열경화 온도
열경화 없음 185℃ 200℃
비교예 0 0 0.2 85 83 72
실시예 1 0.04 1.96 0 121 95 71
실시예 2 0.04 1.96 0.2 124 113 101
표 3의 실시예 1은 형광증백제의 사용이 표준의 중합체(이 중합체가 산화방지제를 함유할지라도)를 방사하여 달성한 것보다 훨씬 더 백색의 얀을 제공하지만, 이 백색도는 더 높은 경화 온도에서 점차 손실된다. 실시예 2는 형광증백제를 산화방지제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200℃에서 열경화한 후에도, 열경화없는 표준의 중합체로부터의 얀보다 더 백색의 얀 또는 직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항균 첨가제와 함께 형광증백제 처리된 중합체의 실시예
표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얀을 제조하였고, 단 광택 제거된 중합체는 1.5%의 이산화티탄, 다양한 양의 나일론 6 및 형광증백제 및 0.25%의 은-기재 이온퓨어(IONPURE) 항균 첨가제(이시즈카 글래스 캄파니(Ishizuka Glass Company)로부터 구하였고, 영국 스타포드셔주 스톤 소재의 웰스 플라스틱스 리미티드(Wells Plastics Limited)에 의해 나일론 6과 함께 마스터배치로 제조됨)를 함유하였다. 전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얀을 편직하고, 열경화하고, CIE 백색도를 측정하였다. 이들 데이터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형광증백제 % 나일론 6 % 이온퓨어 항균제% CIE 백색도/열경화 온도
열경화 없음 185℃ 200℃
비교예 0.00 0.00 0.00 81 77 60
실시예 1 0.00 1.00 0.25 70 65 55
실시예 2 0.025 2.225 0.25 105 95 82
표 4에서, 비교예의 데이터는 표준의 중합체로부터 얀을 방적할 때 예상되는 백색도 결과 및 얀이 점차 더 높은 온도에서 열경화됨에 따라 어떻게 백색도가 81로부터 77 내지 60으로 열화되는지를 나타낸다.
실시예 1의 데이터는 소량의 은-기재의 항균제의 도입이 열경화 없이도 방적되는 얀의 유의적이고 허용불가능한 백색도 손실(81부터 70단위로)을 어떻게 일으키는지 및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이것이 얼마나 더 악화되는지를 나타낸다.
실시예 3의 데이터는 항균제와 함께 형광증백제의 도입이 어떻게 항균제가 없는 비교예의 얀보다 백색도가 우수한 얀을 제공하고, 200℃에서 경화한 후에도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남아 있는지를 나타낸다.
나일론 6은 마스터배치에 사용되는 캐리어 중합체이기 때문에, 이들 샘플에 또한 소량의 나일론 6이 존재하고, 나일론 6은 백색도 데이터에 임의의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형광증백제 처리된 염기 염색성 얀의 실시예
표 1과 유사한 방식으로 두 얀을 제조하였는데, 단 중합체는 염기(양이온) 염색성이었다. 제1 얀은 약간의 나일론 6 및 표 1의 형광증백제를 함유하였다. 동일한 염기 염색성 중합체의 제2 비교 얀은 형광증백제를 함유하지 않았다. 이들 얀을 표 1에서와 같이 처리하고, 하기 표 5에 보고된 CIE 백색도를 측정하였다.
형광증백제 % 나일론 6 % CIE 백색도@열경화 온도
비교예 염기 염색성 중합체 0.00 0.00 65(185℃) 40(200℃)
실시예 염기 염색성 중합체+형광증백제 0.04 1.96 95(185℃) 73(200℃)
형광증백제 처리된 폴리아미드 66 중합체의 제조 방법의 실시예
바람직한 양의 30% 헥사메틸렌디아민 수용액(최종 중합체에 바람직한 아민 말단기 수준을 제공하도록 첨가된 디아민의 과량 정도는, 디아민이 증발에 의해 없어지기 때문에 실험에 의해서 결정됨), 소포제 44ppm 및 이스토브라이트 OB-1 약 100ppm과 함께, 교반되는 용기내에 있는 51.5% 나일론-6,6 염(헥사메틸렌 디아민 및 아디프산으로부터 제조됨) 수용액으로부터 나일론-6,6 단독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 혼합물을 2.7바의 절대 압력하에 실온으로부터 155℃까지 가열함으로써 증발시켰다. 증발은 80 내지 85% 고체 함량일 때 종결하였다. 농축된 슬러리를 불활성 기체(질소)하에 오토클레이브로 옮기고 용기에 열을 가하여 혼합물의 온도를 상승시켰다. 오토클레이브내 자체압은 18.2바 절대 압력에서 유지되었다. 230℃ 및 18.2바 절대 압력에서, TiO2의 40% 수분산액 330ppm을 20바의 질소 압력을 사용하여 오토클레이브에 주입하였다. 245℃에서, 오토클레이브내 압력을 대기압으로 감압시켰고, 용기에 진공을 가하여 0.65바 절대 압력으로 더 감압시키고 약 30분동안 유지시켰다. 용기의 온도를 방금 형성된 중합체의 융점보다 높게 유지시킨 다음, 진공을 빼고 무수 질소를 도입함으로써 용기 압력을 대기압으로 증압시켰다. 약 285℃에서, 4 내지 5바 절대 압력의 가압 질소를 용기에 도입하였다. 과압은 중합체 용융물을 레이스의 형태로 용기 개구로부터 냉각수의 흐름내로 유동시켰다. 이러한 급냉된 레이스의 중합체를 잘게 썰고(과립화하고) 물로 더 냉각시켰다. 그 다음, 중합체 조각(약 길이 4㎜×직경 3㎜)을 물로부터 분리하여 공기중에서 약 60℃ 미만의 온도로 건조시켰다. 생성된 나일론 6,6 단독중합체는 90% 포름산중에서 측정된, 아민과 카르복실 말단기의 균형을 나타내는 상대 점도(RV)가 38 내지 50이었다. 측정된 아민 말단기는 전형적으로 중합체 1000㎏당 약 45 내지 55g 당량이었다(적정하고 공지의 중합체 표준 샘플과 비교하여 측정됨). 이렇게 제조된 중합체는 이산화티탄 TiO2 광택제거제 0.025 내지 0.035%, 및 형광증백제 이스토브라이트 OB-1 약 0.02%를 함유하였다.
다른 형광증백제인 유비텍스(Uvitex) OB를 상이한 농도로 사용하여 실험을 반복하였다. 중합체의 특성을 하기 표 6에 기록하였다.
형광증백제 농도(중량%) RV 아민 말단
실시예 1 이스토브라이트 OB-1 .02 47.2 54.0
실시예 2 유비텍스 OB .01 48.0 54.8
실시예 3 유비텍스 OB .05 47.7 55.0
형광증백제 처리한 후 과잉-건조하여 착색 직물을 제공하는 직물의 실시예
형광증백제 처리된 폴리아미드 직물의 염색 효과는 이전에 경험된 바 없는데, 염색의 바로 그 작용은 패딩되거나 백색 염료로서 적용된 형광증백제의 대부분 또는 전부를 직물로부터 제거하기 때문이다.
실시예 1
공칭값 40 RV의 밝은 (0.009% TiO2 수준) 나일론 66 중합체로부터 공지의 방식으로 96데시텍스 및 68 필라멘트의 POY 얀을 제조한 다음, 76데시텍스의 텍스쳐사로 가연(false-twist) 직조하였다. 얀을 판넬내로 편직하고, 직물을 190℃에서 45초동안 열경화하였다. 그 다음, 1.5℃/분의 온도 상승속도를 사용하여, 직물을 대기압에서 60분동안 98℃에서 염색하였다. 사용되는 염료는 pH 7의 0.15% 나일로산 브릴리언트 블루(Nylosan Brilliant Blue) N-FL(180% 강도)이었다. 제2 POY 얀을 제조하고, 직조하고, 직물로 변환시키고, 정확히 상기와 같이 염색하였고, 단 형광증백제 0.04%를 마스터배치 부가(어메리켐)를 통해서 표준의 브라이트 중합체내로 도입하였다. 최종 얀내의 나일론 6 캐리어 중합체의 양은 1.96%가 되었다.
두 직물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깊이의 음영으로 염색되었지만, 기계에 의해 측정된 색가로부터 형광증백제를 함유하는 직물은 뚜렷하게 더 깨끗하고 덜 황색이었으며, 하기 표 7에 기록하였다.
CIE L*a*b*
직물 L a b C h
표준 65.28 -3.03 -35.45 35.58 265.11
OBA 함유 65.89 -2.16 -39.02 39.08 266.82
'b' 값(황색-청색 축)은 형광증백제로 제조된 직물은 거의 4유닛(unit) 정도 덜 황색이라는 평가를 확인하는 한편, 'C'(채도) 값은 또한 대조보다 더 밝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2
두 상이한 청록색 염료에 관한 이 실시예는 형광증백제 처리된 얀을 사용하여 더 밝고 깨끗하게 착색된 직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놀랍게도 두 염료의 광택제거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형광증백제 처리된 직물은 일반적으로 더 밝은 염료로 달성가능한 휘도를 달성할 수 있다. 이는 더 밝은 염료가 일반적으로 더 큰 분자량을 가지고 균일한, 줄무늬 없는 외관이 필요한 상업에서 매우 어렵기 때문에 중요하다. 형광증백제와 함께 더 작은 염료 분자의 사용은 직물을 선택된 색으로 균일화하는 훨씬 더 쉬운 방식을 제공한다.
형광증백제의 존재하 및 부재하의, 76데시텍스로 연신-가공된 상기 실시예 1의 텍스쳐사, 즉 96f68 POY를 다시 직물내로 편직하고, 이때 185℃에서 45초동안 열경화하였다. 그 다음, 직물을 문질러 닦고 pH 7.0에서 60분동안 98℃에서 염색하였고, 온도 상승속도는 1.5℃/분이었다. 각각의 경우에 두 염료를 사용하였는데, 밝은 청록색을 제공하는 직접적인 염료 아시돌 브릴리언트 블루(Acidol Brilliant Blue) M5G, 및 줄무늬를 생성하는 경향이 덜한(그러나 더 단조로운 흐린 색을 제공함) 산 염료 수프라놀 터쿠오이즈(Supranol Turquoise) GGL을 사용하였다. 전문가 위원회에 의해 주관적으로 평가된, 형광증백제 처리된 직물은 각각의 경우에 수프라놀(광택제거)로 염색된 경우 대조 직물보다 훨씬 더 밝은 색을 제공하고, 형광증백제 처리된 수프라놀 직물은 더 밝은 아시돌 염료에 의해 표준 직물보다 훨씬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판단은 하기 표 8에 나타낸, 기계에 의한 측정에 의해 확인되었다.
96(78)f68 텍스쳐사 직물의 CIE L*a*b*
염료 L a b C h
대조 아시돌 69.45 -32,58 -22.95 39.85 215.16
대조 수프라놀 68.13 -31.95 -22.18 38.89 214.76
형광증백제 함유 수프라놀 69.09 -31.79 -25.54 40.77 218.78
여기에서, C 값(채도)이 가장 관련있는 변수이다. 표 8의 상기 데이터는 밝은 아시돌 청록색 염료를 갖는 표준 얀의 경우 39.85의 값을 나타낸다. 채도는 광택제거된 수프라놀 청록색을 사용하는 경우에 38.89로 떨어진다. 그러나, 광택제거된 수프라놀은 형광증백제 처리된 얀에 사용되는 경우 40.77의 C 값을 제공한다.

Claims (16)

  1. 형광증백제, 및 항균제, 산화방지 안정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를 양이온성 염료에 대해 감수성으로 만드는 개질제를 더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헥사메틸렌 디아민 아디프아미드, 폴리카프로아미드,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형광증백제가 트리아진형, 쿠마린형, 벤조옥사졸형, 스틸벤형 및 2,2'-(1,2-에텐디일디-4,1-페닐렌)비스벤족사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폴리아미드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형광증백제가 전체 조성물의 0.01 내지 0.2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항균제가 2 내지 800중량ppm 양의 은을 함유하는 은-함유 화합물인 폴리아미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항균제가 조성물내에 0.1 내지 0.4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1000㎏당 아민 말단을 25 내지 130g당량 가지고, 상대 점도가 32보다 큰 폴리아미드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단일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얀(yarn).
  10. 제9항에 있어서, 저연신사(low oriented yarn), 부분연신사(partially oriented yarn), 완전연신사(fully drawn yarn), 평연신사(flat drawn yarn), 연신 텍스쳐사(draw textured yarn), 에어-젯(air-jet) 텍스쳐사, 벌킹 연속식 필라멘트사(bulked continuous filament yarn) 및 방적 스테이플(spun stap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얀.
  11. 제9항의 얀으로부터 제조된 직물.
  12. 제11항의 직물로부터 제조된 의복.
  13. 제9항의 얀으로부터 제조된 카페트.
  14. 형광증백제 처리된 나일론사로부터 직물을 구성하고, 직물을 160 내지 220℃의 온도로 20초 내지 90초 동안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을 열경화한 후 측정된 CIE 백색도가 75 이상인, 열경화된 폴리아미드 직물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열경화된 폴리아미드 직물을 주형내로 도입하고, 상기 직물을 열경화 온도보다 5 내지 15℃ 높은 온도에서 60초 이하 동안 6바 이상의 압력에 가하여 성형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성형품이 브래지어 컵인 방법.
KR1020067012469A 2003-12-23 2004-12-21 형광증백제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그로부터제조된 얀 및 이 얀의 열경화 방법 KR200601116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3195203P 2003-12-23 2003-12-23
US60/531,952 2003-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606A true KR20060111606A (ko) 2006-10-27

Family

ID=3473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469A KR20060111606A (ko) 2003-12-23 2004-12-21 형광증백제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그로부터제조된 얀 및 이 얀의 열경화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050183216A1 (ko)
EP (2) EP1709220B1 (ko)
JP (1) JP2007534789A (ko)
KR (1) KR20060111606A (ko)
CN (1) CN1898419A (ko)
AT (1) ATE427372T1 (ko)
AU (1) AU2004309392A1 (ko)
BR (1) BRPI0416719A (ko)
CA (1) CA2547854A1 (ko)
DE (1) DE602004020387D1 (ko)
IL (1) IL175748A0 (ko)
MX (1) MXPA06007039A (ko)
WO (1) WO2005064049A2 (ko)
ZA (1) ZA2006046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4391B2 (ja) * 2004-07-26 2011-07-13 純三郎 情野 鮮明青緑色の濃色染色方法
US20070174972A1 (en) * 2005-11-14 2007-08-02 Invista North America S.A R.I. Spandex having enhanced whiteness, and fabrics and garments comprising the same
WO2008039671A2 (en) * 2006-09-19 2008-04-03 Invista Technologies S.A.R.L. Polyamide composition with improved heat stability and whiteness
US7754625B2 (en) * 2006-12-22 2010-07-13 Aglon Technologies, Inc. Wash-durable and color stable antimicrobial treated textiles
US8158140B2 (en) * 2008-10-14 2012-04-17 Eastman Kodak Company Silver polyamide composite
KR20130117790A (ko) * 2010-10-13 2013-10-28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즈 유에스에이, 엘.엘.씨. 내오염성 섬유, 직물 및 카펫
WO2014057363A1 (en) * 2012-10-10 2014-04-17 Invista North America S.A R.L. Polyamide compositions and processes
KR101455002B1 (ko) 2013-06-28 2014-11-0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담배필터용 라이오셀 소재 및 그 제조방법
CN103898627A (zh) * 2014-04-01 2014-07-02 浙江裕鑫聚磐实业有限公司 一种抗黄变锦纶弹力丝的生产方法
KR102211219B1 (ko) * 2014-06-30 2021-02-0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담배필터용 이형단면 라이오셀 소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6087887A1 (en) * 2014-12-03 2016-06-09 Rhodia Poliamida E Especialidades Ltda Method for providing resistance to yellowing in polyamide articles and polyamide articles obtained from this method
KR102211186B1 (ko) 2014-12-31 2021-02-0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담배필터용 라이오셀 소재 및 그 제조방법
US20190292689A1 (en) 2016-06-13 2019-09-26 Invista North America S.A.R.L.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mmunicating fiber properties of a yarn, intensifying yarn color and improving processing of bulked continuous filament fiber
US10973268B2 (en) * 2016-08-25 2021-04-13 Nike, Inc. Garment with zoned insulation and variable air permeability
KR20200105921A (ko) 2018-01-15 2020-09-09 프리즈미안 에스피에이 광섬유 리본 그리고 그 제조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4478A (en) * 1966-04-01 1969-03-25 Endsdown Co Inc Molded garment
US3584074A (en) * 1968-11-01 1971-06-08 Teijin Ltd Fibrous materials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er copolymer and polyamide
DE1917601C3 (de) * 1969-04-05 1980-09-25 Bayer Ag, 5090 Leverkusen Benzoxazolyl-(2)-dihydronaphtho [4,5-b] thiophene und deren Verwendung als optische Aufheller
US3654235A (en) * 1970-05-11 1972-04-04 Monsanto Co Antistatic polycarbonamide filaments
US3981310A (en) * 1975-01-22 1976-09-21 International Playtex, Inc. Molded brassiere cups
JPS6251940A (ja) * 1985-09-02 1987-03-06 東レ・モノフィラメント株式会社 透明着色釣糸
DE68926129T2 (de) * 1988-03-07 1996-08-14 Kanebo Ltd Geformte Artikel aus Polyamid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4983448A (en) * 1988-06-07 1991-01-08 Basf Corporation Polyamide filaments having improved properties and method of preparation
JPH0384066A (ja) * 1989-08-25 1991-04-09 Toray Ind Inc 抗菌作用を有する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4002607A1 (de) * 1990-01-30 1991-08-01 Bayer Ag Polyamid-bzw. polyesterfasern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US5164261A (en) * 1990-08-08 1992-11-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yed antistain nylon with cationic dye modifier
JPH04108180A (ja) * 1990-08-21 1992-04-09 Unitika Ltd 抗菌性を有する防汚性白色布帛の製造方法
JP3281177B2 (ja) * 1994-05-26 2002-05-13 旭化成株式会社 耐黄変性濃染性ポリヘキサメチレンアジパミド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325081A2 (en) * 2000-10-10 2003-07-0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ranslucent polyamide blends
US6676710B2 (en) * 2000-10-18 2004-01-13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Process for treating textile substr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75748A0 (en) 2006-09-05
EP1992722A3 (en) 2009-12-09
EP1709220A2 (en) 2006-10-11
DE602004020387D1 (de) 2009-05-14
CN1898419A (zh) 2007-01-17
MXPA06007039A (es) 2006-08-31
WO2005064049A3 (en) 2005-09-22
WO2005064049A2 (en) 2005-07-14
CA2547854A1 (en) 2005-07-14
EP1709220B1 (en) 2009-04-01
JP2007534789A (ja) 2007-11-29
AU2004309392A1 (en) 2005-07-14
ATE427372T1 (de) 2009-04-15
ZA200604660B (en) 2007-10-31
BRPI0416719A (pt) 2007-01-16
EP1992722A2 (en) 2008-11-19
US20050183216A1 (en) 200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90945A1 (en) Polyamide composition with improved heat stability and whiteness
CA2887654C (en) Polyamide apparel textile yarns and fabrics and garments made therefrom
US6537475B1 (en) Melt extrusion spinning polyamide fibers with sulfonated reagent
EP1709220B1 (en) Polyamide composition comprising optical brightener, yarns made therefrom and process for heat setting such yarns
EP3310948B1 (en) Polyamide fiber with enhanced dyeing properties, process for obtaining such fiber and polyamide article made therefrom
EP3388562B1 (en) Moisture-absorbing core-sheath composite yarn, and fabric
CN108602950A (zh) 抑制亲水性聚酰胺制造中的泡沫形成的方法
EP0590365B1 (en) A method for producing polyamide with reduced flammability
JP3038011B2 (ja) 着色ナイロン繊維の加工
WO2018031229A1 (en) Nylon polymer
ZA200207068B (en) Process for improving characteristics of a polyamide.
WO2020262511A1 (ja) 芯鞘複合糸及び布帛
CN112458567A (zh) 阳离子染料可染聚酰胺纤维及有色聚酰胺织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