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481A -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 측정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 측정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481A
KR20060111481A KR1020067008583A KR20067008583A KR20060111481A KR 20060111481 A KR20060111481 A KR 20060111481A KR 1020067008583 A KR1020067008583 A KR 1020067008583A KR 20067008583 A KR20067008583 A KR 20067008583A KR 20060111481 A KR20060111481 A KR 20060111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recording layer
data recording
recording medium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에르트 스탈링아
테우니스 빌렘 투케르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111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2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 G11B7/13925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active, e.g. controlled by electrical or mechanical means
    • G11B7/13927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active, e.g. controlled by electrical or mechanical means during transducing, e.g. to correct for variation of the spherical aberration due to disc tilt or irregularities in the cover layer thicknes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9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 G11B2007/001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for carriers having multiple discrete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두께, 입사면을 갖는 커버층과, 예를 들면, 제 1 데이터층(L0), 제 2 데이터층(L1) 및 제 3 데이터층을 갖는 광 저장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광학장치는, 구면수차 보상기와, 액추에이터에 장착된 대물렌즈를 구비한다. 구면수차 보상기에 정확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려면, 각 데이터 층의 깊이를 측정해야 하고, 단일- 또는 다중층의 데이터 층(들)의 깊이를 측정하는 수단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이것은 포커스 오차신호(FES)의 제로 크로싱 사이의 거리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액추에이터 전류와 기록층의 깊이간의 비례상수를 계산한다. 회전하는 매체의 진동은 보상할 수 있다.
광 저장 디스크, 구면수차, 액추에이터, 데이터 층 깊이.

Description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 측정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PTH OF A DATA RECORD LAYER IN AN INFORMATION RECORD MEDIUM}
본 발명은, 정보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와, 이 깊이 측정을 이용한 구면수차 보상장치와, 데이터 기록장치 및/또는, 상기 구면수차 보상장치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층을 갖는 정보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디스크에 큰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그 데이터는, 레이저 빔을 디스크의 데이터 층에 포커싱한 후 그 반사된 광빔을 검출하여 액세스된다. 하나의 공지된 시스템에서, 데이터는 디스크에서 피트 등의 마크로서 영구적으로 삽입되고, 그 데이터는 레이저 빔이 마크 상에 통과할 때의 반사도의 변이로서 검출된다.
소거가능형 광학 시스템도 공지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레이저를 사용하여 그 데이터 층을 임계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 소거한다. 광자기 기록 시스템은, 업(up) 또는 다운(down) 위치로 스폿의 자구를 배향시켜서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 데이터는, 저전력 레이저를 데이터 층으로 향하게 하여 판독된다. 자구방향의 차이에 의해, 광빔의 편광 평면이 어느 쪽이든간에, 시 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래서, 이러한 편광 방위의 변이를 검출한다. 상변이 기록은, 데이터 층 자체의 구조적 변이(비정질 및 결정질이 2가지 공통 타입의 상태이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 데이터는, 빔이 서로 다른 상태를 통과할 때 반사도의 변이로서 검출된다.
컴퓨터 기술의 진보는, 메모리 용량의 증가를 요한다. 2차원 광 저장 디스크로서 광 디스크는, 현재 가장 널리 보급된 광 저장을 위한 물리적 포맷이다. 광 디스크의 데이터 용량은, 제 3의 물리적 차원을 추가하여 증가될 수 있다. 이는 다중층 광 디스크를 사용하여, 즉 단일 광 디스크 내에 다수의 정보 반송층을 축방향으로 적층하여 행해질 수 있다. 이론상, 2개 이상의 데이터 층을 갖는 광 디스크는, 렌즈의 초점 위치를 변경하여 서로 다른 층에서 액세스되어도 된다.
일부의 적층된 광 디스크 시스템은, 예를 들면, 스페이서가 인접한 디스크 사이에 갭을 나타내도록 그 인접한 디스크 사이에 설치되는 적층체에 개개의 디스크를 함께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광 디스크 용량 증가시키는 용적 체적방법을 개시한, US특허번호 5,202,875 및 US특허번호 5,255,262에 제안되어 있다. 어떤 때에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이동가능형 렌즈는, 레이저를 디스크 중 하나의 일 표면에 포커싱하여 데이터를 판독한다. 레이저의 포커스는, 반복적으로 변화시켜서 순차적으로 여러 가지 디스크 표면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레이저 소스로부터 가장 먼 각 디스크 또는 적어도 대부분의 디스크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디스크를 넘어 놓인 디스크를 판독하도록 부분적으로 투과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각 디스크 표면도, 그 데이터가 판독될 수 있도록 충분히 반사적이어야 한 다.
고밀도 대용량 기록매체로서 피트 패턴을 갖는 광 디스크를 이용하는 광 디스크 저장 기술은,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비디오 디스크, 문서 파일 디스크 및 데이터 파일까지 그것의 애플리케이션을 확대하면서 실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정보를 성공적으로 기록/재생하는데 필요하고 미세하게 포커싱된 광빔(예를 들면, 직경이 1mm 이하)에 의해 광 디스크에 관한 고신뢰성을 갖는 기능은, 3가지 주요 카테고리, 즉 회절 제한 스폿을 형성하는 포커싱 기능과, 광학 시스템의 포커싱 제어(포커스 서보) 및 트랙킹 제어 기능과, 피트 신호(정보신호) 검출기능으로 분류된다.
광 디스크의 기록밀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최근에 대물렌즈의 개구수(NA)의 증가를 연구하고 있다. 대물렌즈는, 광 빔을 광 디스크에 포커싱하여 회절 제한 스폿을 형성한다. 그러나, 광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층을 보호하기 위한 기저재의 두께의 오차에 의해 생긴 구면수차는, NA에 따라 상당히 증가한다. 그래서, 광 저장 디스크가 밀도에 있어서 증가하고 대물렌즈의 개구수가 보다 높아짐에 따라, 구면수차로 인한 영향은 그에 따라서 증가할 것이어서, 포커스 오차신호에 왜곡이 있을 것이다.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결합 렌즈의 광 픽업에의 설치, 또는 액정 셀의 광 픽업에의 설치 등의 구면수차를 보정하는 기구를 제안한다.
그래서, 높은 NA 판독 시스템일 경우, 상술한 것처럼, 구면수차에 대한 보상을 필요로 하고, 이때 구면수차는, 광축에 근접한 디스크를 주사하는 광의 수속 콘(cone)에서의 광선이 광축과 각도를 이루는 수속 콘에서의 광선과 서로 다른 초점을 갖는 현상이다. 이것으로, 스폿이 흐려지고 비트 스트림을 판독할 때 충실도가 손실된다. 비록 고정된 구면수차의 양이 광의 수속 콘을 생성하는 대물렌즈에 의해 보상될지라도, 보상하는데 필요한 구면수차의 양은, 포커싱되는 데이터 층의 깊이에 비례한다. 이것은, 단일층만을 갖는 디스크에 대해 충분할지 모르지만, 다중층 디스크에 대해서는 충분하지 않다. 또한, 후자의 형태의 디스크는, 가변 수의 스페이서층을 통한 포커싱에 관련된 구면수차의 가변양의 보상을 필요로 한다.
상술한 것처럼,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면수차를 교정하는 기구를 제안하고, 당업자는, 유용한 제어신호를 구면수차 보상기에 제공하기 위해서, 각 데이터 층의 깊이에 대한 값을 나타내야 하고, 종래의 구조에서, 구면수차 보상기구에 의해 수행되는데 필요한 구면수차 정정의 양은 다중층 디스크에서 층의 표준 두께에 의거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알 것이다.
실제로, 그러나 커버 두께와 스페이서 두께는 디스크마다 변화시킬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향상된 구조를 고안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기록층을 갖는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측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되, 이 측정장치는, 전자기 방사선의 빔을 데이터 기록층에 포커싱하는 광학부재수단과, 공급된 제어전류에 따라 상기 광학부재수단을 상기 정보 기록매체에 관하여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포커스 오차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전자기 방사빔을 상기 데이터 기록층에 포커싱되게 유지하는 포커스 오차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포커스 오차신호의 하나 이상의 제로-크로싱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에 공급된 제어 전류를 결정하여 상기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상기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광학부재는 대물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액추에이터 전류와 깊이간의 비례 상수를 계산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커스 오차신호는, 전형적으로 실질적으로 정현파를 포함하기도 하고, 이 경우에, 그 비례상수는 상기 정현파의 2개의 소정의 포인트간의 거리에 비례하기도 한다. 이들 2개의 소정의 포인트는, 각각의 포지티브 피크와 네가티브 피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정보 기록매체는 회전하고 있고, 이 경우에, 그 정보 기록매체의 합친(resultant) 진동을 보상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상수단은, 예를 들면, 진동 전류를 액추에이터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 액추에이터가 정보 기록매체의 진동을 실질적으로 수반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보상수단은, 액추에이터가 그 회전으로 인한 정보 기록매체의 임의의 높이 변동을 실질적으로 수반되게 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기록층을 갖는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확대되고, 이 방법은, 전자기 방사선의 빔을 데이터 기록층에 포커싱하는 광학부재수단을 설치하는 단계와, 공급된 제어전류에 따라 상기 광학부재수단을 상기 정보 기록매체에 관하여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포커스 오차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 방사빔을 상기 데이터 기록층에 포커싱되게 유지하는 단 계와, 상기 포커스 오차신호의 하나 이상의 제로-크로싱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에 공급된 제어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와, 이로부터 상기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상기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기록층을 갖는 정보 기록매체에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광학 시스템에 대하여 계산하는 장치로 확대되고, 그 광학 시스템은, 전자기 방사선의 빔을 데이터 기록층에 포커싱하는 광학부재수단과, 공급된 제어전류에 따라 상기 광학부재수단을 상기 정보 기록매체에 관하여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포커스 오차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 방사빔을 상기 데이터 기록층에 포커싱되게 유지하는 포커스 오차신호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계산장치는, 상기 포커스 오차신호의 하나 이상의 제로-크로싱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에 공급된 제어 전류를 결정하고 이로부터 상기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상기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결정하도록 배치 및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기록층을 갖는 정보 기록매체에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광학 시스템에 대하여 계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그 광학 시스템은, 전자기 방사선의 빔을 데이터 기록층에 포커싱하는 광학부재수단과, 공급된 제어전류에 따라 상기 광학부재수단을 상기 정보 기록매체에 관하여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포커스 오차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 방사빔을 상기 데이터 기록층에 포커싱되게 유지하는 포커스 오차신호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계산방법은, 상기 포커스 오차신호의 하나 이상의 제로-크로싱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에 공급된 제어 전류를 결정하고 이로부터 상기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상기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장치를 구비한 구면수차 보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면수차 보상장치를 구비한 광 데이터 기록 또는 검색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판독되는 데이터 기록층 또는 판독되는 각 데이터 기록층을 갖는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깊이를 정확히 계산하고, 두께와, 그 기록층의 깊이가 디스크마다 변화시킬 수도 있다는 사실에 생긴 종래기술의 시스템에서의 부정확성의 문제와, 그 결과의 충실도의 저하를 해소하는, 간편한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들 국면과 다른 국면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로부터 명백해지고, 이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서 발생된, 액추에이터 전류 I의 함수로서 포커스 오차신호(FES)와 중심 구경(CA) 신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서 발생된, 시간 t의 함수로서 포커스 오차신호(FES)와 중심 구경(CA) 신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전형적인 광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5는 전형적인 구면수차 보상기구의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액정 수차 정정부재(104) 등의 수차 정정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차 정정부재 구동회로(102)와, 광 픽업(108)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액추에이터(110), 수차 정정부재 구동회로(102) 및 레이저 소스(112)를 제어 및 구동하는 제어회로(106)를 구비한, 공지된 광 디스크 장치(100)를 나타낸다. 그 제어회로(106)는, 레이저 소스(112)가 발광되게 하여 그 광 픽업(108)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대물렌즈(114)의 위치를 제어한다. 더욱이, 제어회로는, 광 픽업(108)으로부터의 정보신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차 정정부재 구동회로(102)를 구동한다.
도 5는 레이저 소스, 시준렌즈 및 광검출기 이외의 광학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시준렌즈에 의해 평행빔으로 변환되는 광빔은, 수차 정정 렌즈군(200)을 통과하여 대물렌즈군(204)에 의해 광 디스크(202)에 포커싱된다. 그 수차 정정 렌즈군(200)은, 네가티브 렌즈군(206)과 포지티브 렌즈군(208)을 구비한다. 대물렌즈군(204)은, 대물렌즈(210)와 전방향 렌즈(212)를 구비한다. 네가티브 렌즈군(206)과 포지티브 렌즈군(208) 사이의 공간을 변경하여 전체 광학 시스템에서의 구면수차를 정정한다. 이 2개의 렌즈군 사이의 공간을 변경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상기 네가티브 렌즈군(206)을 광축방향으로 시프트하는 구동부(214)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14)는, 예를 들면 음성 코일, 압전소자, 초음파 모터, 스크류 피더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위에서는 특정 예를 설명하였지만,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타입의 공지된 구면수차 정정수단이 공지되어 잇고, 본 발명은 이에 관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 중 도 1을 참조하면, 두께 d의 커버층과, 입사면 S, 제 1 데이터층 L0, 제 2 데이터층 L1 및 제 3 데이터 층 L2을 갖는 광 저장 디스크를 생각해보자. 광학장치는, 구면수차 보상기 SA와, 액추에이터 AC 내에 장착된 대물렌즈 OL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추에이터 AC는 전류 I를 수신하고 대물렌즈 OL을 광 저장 디스크에 대해 z(축방향) 축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 및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대물렌즈 OL에 입사되는 광을 콘형 빔으로 수속하여, (비록 제 2 데이터층이 데이터 층 중 어느 하나일지라도) 이러한 경우에, 제 2 데이터 층 L1에 포커싱된다. 제어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층 L1에 주사 스폿을 계속 포커싱한다. 이러한 제어신호는, 포커스 오차신호(FES)이고, 액추에이터 드라이브에 의해 제공된다. 그 FES는 주사 스폿이 포커싱되어 있는 경우 제로이다. 제어회로(미도시됨)가 온으로 전환될 때, FES는 액추에이터 AC를 구동시키는 전류를 변화시킴으로써 제로로 유지된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데이터 층 L0가 광 저장 디스크에서 깊이 d0에 있고, 데이터 층 L1이 깊이 d1=d0+s1에 있고, 데이터 층 L2는 깊이 d2=d0+s1+s2에 있고, 이때 d0, s1, s2는 디스크마다 변화할 수 있다. 구면수차 보상기 SA에 정확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려면, 각 데이터 층의 깊이를 측정해야 하고, 본 발명은 단일- 또는 다중층의 데이터 층(들)의 깊이를 측정하는 수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좌표 z는 대물렌즈 OL과 판독되는 데이터 층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구면수차 보상기 SA는 데이터 층의 깊이(이 경우에, d=d0+s1)에 의해 제어된다.
도면 중 도 2에는, 액추에이터 전류의 함수로서 포커스 오차신호(FES)와 (검출기의 서로 다른 세그먼트에서 집속된 모든 광의 합신호인) 중심 구경(CA)신호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포커스 오차신호의 제로 크로싱에 대한 액추에이터 전류의 차이는, 보다 상세히 후술할 것처럼, 대응한 데이터 층들 사이의 축방향 거리에 대한 측정값이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디스크가 회전하지 않고 있고, 액추에이터 전류 I를 주사하여 도 2에 나타낸 신호가 된다. 길이의 측정값은, 포커스 S-곡선 b의 길이, 즉 포커스 오차신호 FES의 포지티브 피크와 네가티브 피크간의 z-거리이다. 상기 길이 b는, 공지된 설계 파라미터이므로, 전류를 거리로 변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류와 거리간의 비례 상수 k는,
k=b/dI
이다.
그래서, 커버 및 스페이서 두께 값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31288417-PCT00001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디스크가 회전하고 있어, 실제 높이 z는 (제 1 실시예에서처럼) 일정하지 않지만, 대신에 시간에 따라 변한다.
Figure 112006031288417-PCT00002
여기서, v는 디스크 회전의 각도 주파수이고, f는 위상 오프셋이다. 이러한 진동은, 회전축이 결코 디스크 표면에 완전히 수직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난다. 본 실시예에서, 전형적으로, 포커스 오차신호 FES와 중심 구경(CA)신호는 도면 중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보일 것이다. 상술한 디스크 회전의 효과는, 실질적으로 액추에이터 AC를 진동시켜서 제거될 수 있어, 디스크 회전에 의한 진동이 수반되고, 이것은 액추에이터 AC에 의한 다음식의 작은 진동 전류,
Figure 112006031288417-PCT00003
를 추가한 후, 제로 크로싱이 일어나는 시간(도 3에서 각각 t-와 t+)이 액추에이터에 의한 상기 추가의 진동 전류가 없는 경우에 대해 변하지 않도록 상기 위상 f'를 조정하고나서, 최종적으로 시간에 따른 신호 FES와 CA의 변동이 제거되도록 전류 진폭 DI를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준비 단계 후,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은, 여러 가지 두께 값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서는, 디스크가 또 한번 회전하고 있지만, 서로 다른 절차를 사용하여 디스크 회전의 효과를 제거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포커스 제어회로를 사용하여 액추에이터 AC가 디스크 회전으로 인한 높이 변동을 수반되게 하기도 한다. 1회 디스크 회전시 전류 I(t)는 기록되고, 그 후에 포커스 제어회로는 다시 오프로 전환된다. 전류 Is+I(t)는 액추에이터에 공급되고, 그 FES와 CA신호는, 여러 가지 두께 값이 도면 중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도록 Is의 함수로서 측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단지 예시로만 위에서 설명하였고, 당업자에게 있어서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상술한 실시예를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또한, 청구항에서, 괄호 사이에 놓인 어떠한 참조부호도 청구항을 한정하는 것으로서 파악되어서는 안 된다. "포함하는"이란 용어는, 청구항에 열거된 것들 이외의 구성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 "an"이란 용어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일부의 진성 소자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또한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수단을 열거한 장치 청구항에서, 이들 수단의 일부는, 하드웨어의 동일한 항목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종속항에서 방법을 인용한다는 단순한 사실은, 이들 방법의 조합이 이롭게 하는데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

Claims (14)

  1. 하나 이상의 데이터 기록층을 갖는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이 측정장치는, 전자기 방사선의 빔을 데이터 기록층에 포커싱하는 광학부재수단과, 공급된 제어전류에 따라 상기 광학부재수단을 상기 정보 기록매체에 관하여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포커스 오차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전자기 방사빔을 상기 데이터 기록층에 포커싱되게 유지하는 포커스 오차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포커스 오차신호의 하나 이상의 제로-크로싱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에 공급된 제어 전류를 결정하여 상기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상기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재는 대물렌즈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 전류와 깊이간의 비례 상수를 계산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오차신호는, 실질적으로 정현파를 포함하고, 그 비례상수는 상기 정현파의 2개의 소정의 포인트간의 거리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소정의 포인트는, 각각의 포지티브 피크와 네가티브 피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록매체는 회전하고 있고, 상기 장치는 그 정보 기록매체의 합친 진동을 보상하도록 배치 및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은, 액추에이터가 정보 기록매체의 진동을 실질적으로 수반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에 진동 전류를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은, 액추에이터가 그 회전으로 인한 정보 기록매체의 임의의 높이 변동을 실질적으로 수반되게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장치.
  10. 하나 이상의 데이터 기록층을 갖는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전자기 방사선의 빔을 데이터 기록층에 포커싱하는 광학부재수단을 설치하는 단계와, 공급된 제어전류에 따라 상기 광학부재수단을 상기 정보 기록매체에 관하여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포커스 오차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 방사빔을 상기 데이터 기록층에 포커싱되게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포커스 오차신호의 하나 이상의 제로-크로싱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에 공급된 제어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와, 이로부터 상기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상기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방법.
  11. 하나 이상의 데이터 기록층을 갖는 정보 기록매체에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광학 시스템에 대하여 계산하는 장치로서, 상기 광학 시스템은, 전자기 방사선의 빔을 데이터 기록층에 포커싱하는 광학부재수단과, 공급된 제어전류에 따라 상기 광학부재수단을 상기 정보 기록매체에 관하여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포커스 오차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 방사빔을 상기 데이터 기록층에 포커싱되게 유지하는 포커스 오차신호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계산장치는, 상기 포커스 오차신호의 하나 이상의 제로-크로싱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에 공급된 제어 전류를 결정하고 이로부터 상기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상기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결정하도록 배치 및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산장치.
  12. 하나 이상의 데이터 기록층을 갖는 정보 기록매체에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광학 시스템에 대하여 계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광학 시스템은, 전자기 방사선의 빔을 데이터 기록층에 포커싱하는 광학부재수단과, 공급된 제어전류에 따라 상기 광학부재수단을 상기 정보 기록매체에 관하여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포커스 오차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 방사빔을 상기 데이터 기록층에 포커싱되게 유지하는 포커스 오차신호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계산방법은, 상기 포커스 오차신호의 하나 이상의 제로-크로싱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에 공급된 제어 전류를 결정하고 이로부터 상기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상기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산방법.
  13.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구비한 구면수차 보상장치.
  14. 청구항 13에 따른 구면수차 보상장치를 구비한 광 데이터 기록 또는 검색 시스템.
KR1020067008583A 2003-11-03 2004-10-27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 측정방법 및장치 KR200601114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300194.2 2003-11-03
EP03300194 2003-11-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481A true KR20060111481A (ko) 2006-10-27

Family

ID=3453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583A KR20060111481A (ko) 2003-11-03 2004-10-27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 측정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159937A1 (ko)
EP (1) EP1683147A2 (ko)
JP (1) JP2007511022A (ko)
KR (1) KR20060111481A (ko)
CN (1) CN1875417A (ko)
TW (1) TW200519900A (ko)
WO (1) WO20050435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5824B2 (en) * 2005-07-19 2010-03-09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Optical disc apparatus
TWI349934B (en) 2008-01-15 2011-10-01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ciding spherical aberration compensation value of optical storage medium
US20090231965A1 (en) * 2008-03-12 2009-09-17 Lite-On It Corporation Method for setting spherical aberration correction and device using th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1794A (en) * 1984-05-29 1989-01-31 Xerox Corporation Data detection and optical focus error detection system for rotating optical media
JPH04146527A (ja) * 1990-10-08 1992-05-20 Canon Inc フォーカシング制御装置
JPH09326161A (ja) * 1996-06-06 1997-12-16 Kenwood Corp 光ディスク装置
JP3538171B2 (ja) * 2001-09-26 2004-06-14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装置
JP3609791B2 (ja) * 2002-03-20 2005-01-12 株式会社東芝 フォーカス制御装置と光ディスク装置及びこれらの方法
JP4285381B2 (ja) * 2004-09-17 2009-06-24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描画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43528A3 (en) 2005-10-13
US20070159937A1 (en) 2007-07-12
WO2005043528A2 (en) 2005-05-12
JP2007511022A (ja) 2007-04-26
EP1683147A2 (en) 2006-07-26
TW200519900A (en) 2005-06-16
CN1875417A (zh)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45980B1 (en) Optical pickup device
EP1724771B1 (en)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ptical hea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skew detection method
JP2005100483A (ja) 光情報記録装置
JP4088472B2 (ja) 光ディスク装置
WO2006018749A1 (en) Optical scanning device
US5789743A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apparatus provided with such a device, employing scanning element having reflective measuring reference face
JPH038024B2 (ko)
JP2804118B2 (ja)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KR20060111481A (ko)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데이터 기록층의 깊이 측정방법 및장치
US6661769B2 (en) Optical storage medium, a tilt detection apparatus, and a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001134961A (ja) 光記録再生装置
US8437239B2 (en) Optical pickup, optical disk drive device,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EP1929472B1 (en) Actuator for an optical scanning device
JP3064860B2 (ja) フォーカス制御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8192310A (ja) 光情報記録装置
JP4185553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652561B1 (ko)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
WO1998001851A1 (en) Optical apparatus for scanning a tape-shaped record carrier
CN101093683A (zh) 光盘设备
JP2003323738A (ja) 光記録再生装置
KR20080069786A (ko) 액츄에이터의 초기위치 설정 방법
CN101213600A (zh) 切向盘倾斜测量和校正行动
EP1728246A1 (en) Optical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KR20030073885A (ko) 광 기록재생장치의 포커싱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