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369A - 광 가이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 가이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369A
KR20060110369A KR1020067018618A KR20067018618A KR20060110369A KR 20060110369 A KR20060110369 A KR 20060110369A KR 1020067018618 A KR1020067018618 A KR 1020067018618A KR 20067018618 A KR20067018618 A KR 20067018618A KR 20060110369 A KR20060110369 A KR 20060110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light guide
light
optical films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5447B1 (ko
Inventor
토니 오스테르가르드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67018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447B1/ko
Publication of KR20060110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47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8Light guide, e.g. tap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법, 장치, 시스템 및 광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장치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위한 백라이트(backlighting) 또는 프론트라이트(frontlighting) 광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낮은 생산비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광 가이드기판은 연속 호일로 제공되고, 회절격자들은 롤링에 의하여 상기 호일의 최소한 일측 상에 엠보싱된다.

Description

광 가이드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guide}
본 발명은 광 가이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장치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위한 백라이트(backlighting) 또는 프론트라이트(frontlighting) 광 가이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 가이드 제조시스템 및 광 가이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광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수요자 전자기기, 통신장치, 광고들 또는 간판들 및 도로표지판와 같은 비발광 디스플레이 기술들은 낮은 광 조건들에서 식별되는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조명시스템을 요구한다.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다른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액정디스플레이들(LCD)과 같은 투과형, 또는 부분 투과형(예를 들어, 반투과형) 디스플레이 기술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는 적절한 광 가이드들(light guide, LG)을 사용하여 조명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광 가이드들은 광 모듈레이팅 디스플레이의 뒤에 배열되어 백라이트(backlighting) 광 가이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반사형 디스플레이 전면에서는 소위 프론트라이트(frontlighting)를 형성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백라이트 또는 프론트라이트 광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하여, 회절 광학을 이 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회절 광학은 유럽특허 EP 1 016 817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공지된 배열은 "두꺼운", "플레이트형(plate-like)"광 가이드들을 사용하고, 그 일단부에는 광원이 있고, 그리고 가장 넓은 면적의 플레이트의 평평한 일측 상에 및/또는 광 파이프 내부에 균일한 조명을 하기 위해 조명된 목적물이 있다.
그 일단부로부터 광원이 광 가이드의 상하부 표면들 사이의 공간으로 광을 방출하는 얇은 플레이트형 광 가이드를 사용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광 가이드의 바닥면은 랜덤하게 또는 연속적으로 거칠거칠할 수 있다. 이 거친 표면은 관찰자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또는 광가이드의 상부 표면 위에 위치한 상응하는 목적물을 조명하게 한다. 일 표면을 거칠게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가능한 한 균일하게 광을 산란하게 한다. 거칠게하는 것은 랜덤하게 또는 연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절 광 가이드들은 디스플레이들의 균일한 조명을 허용한다. 그러나, 표면을 랜덤하게 거칠게 하는 것은 광의 균일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미국특허 제US 6,598,987호는 얇은 광 가이드 내에 광을 배분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 시스템은 발광 다이오드들(LED)와 같은 광원으로부터 광 가이드로 광을 광학적으로 커플링하는 수단으로써 회절격자들을 사용한다. 커플링 메커니즘으로서 회절격자들 등을 사용하면, 광 가이드의 두께가 상당할 정도로 감소되고, 커플링 효율은 증가된다. 광 가이드 내로 광의 커플링을 할 수 있도록, LED들의 어레이로부터 방출된 광을 회로기판을 통하여 이용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광 가이드와 관계되는 회절격자들과 같은 입력 회절광학요소들(diffraction optical elements, DOE)의 사용에 의해 광은 광 가이드 내로 커플링된다. 광 가이드가 더 두꺼운 경우에는(예를 들어, 대략 LED들의 높이의 두께이거나 또는 더 두꺼운 경우), 광 가이드의 일측에서 LED들을 사용하여, 소위 사이드 화이어링(side firing)에 의하고, 동시에, 광 가이드의 특정한 면적으로부터 균일하게 광을 커플링하여 배출하도록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인-커플링(in-coupling)이 달성될 수 있다.
적절한 광학적 관계를 이용하여, LED의 각 스펙트럼과 치수들, 광 가이드의 치수들과 구조, 및 필요한 광량을 고려하여 입력 격자패턴이 디자인된다. 회절격자들은 광 가이드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측에 의존하여 광원이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받기 위해 위치한다. 이 격자들은 광 가이드의 특성들과 일치하게 광을 회절하여 광 가이드 내에 광을 효율적으로 분포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광 가이드 내에 회절격자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스터(master) 격자패턴이, 예를 들어, 전자빔 리소그래피에 의해 형성되며, 광 가이드의 몰딩 또는 프레싱 공정에서 광 가이드 상에 모사된다. "마스터"는 주로 직접 사용되지 않고, 그것의 모사체(replication)가 사용된다. 따라서, "실패"한 경우 마스터는 새로운 "몰드"를 만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통합된 인-커플링 및 아웃-커플링(out-coupling) 회절격자들을 사용하여 광 가이드를 제조할 수 있고, 0.2 내지 1.5 mm 사이의 두께를 갖는 광 가이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더 얇거나 더 두꺼운 광 가이드들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광 가이드들 내로 회절격자들을 프레싱 또는 몰딩하는 것은 프로세스가 연속적이 아니라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회절격자들을 광 가이드들 내로 프 레싱 또는 몰딩할 때, 추가되는 제조공정에서 여분의 광학필름들이 광 가이드에 부가되어야 한다. 이 제조공정은 추가적인 비용의 원인이 되고, 시간을 소모하게 된다.
상기의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 가이드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특히, 전자장치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위한 백라이트(backlighting) 또는 프론트라이트(frontlighting) 광 가이드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광 가이드 기판은 호일로서 제공되고, 또한 회절격자들은 롤링에 의해 상기 호일의 최소한 일측 상에 엠보싱된다.
상기 광 가이드 기판은 효율적으로 광을 가이드할 수 있는 어떤 재료도 가능하며,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이 기판을 호일로서 제공하는 것은 광 가이드 재료의 연속 제공을 허용한다. 상기 호일은 롤링에 의하여 연속하여 더 프로세스될 수 있다. 롤링은 상기 호일의 최소한 일측 상에 회절격자들을 엠보싱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광 가이드들은 연속 프로세스 내에서 제조될 수도 있다. 사용되는 플라스틱 기판들의 두께는 0.5 내지 0.6 mm 또는 그 미만일 수 있다. 광이 효율적인 방법, 예를 들어 회절 인-커플링 요소들을 사용하여, 커플링될 수 있다면, 물리적으로는 사용된 광의 파장만으로 광 가이드의 두께를 제한하고, 따라서 0.1 내지 0.2 mm 두께의 광 가이드들도 가능하다. 따라서, 회절격자들의 "인쇄"는 연속 웹(web) 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특히, 0.1 mm 내지 3 mm 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호일들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더 두꺼운 호일들도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보빈(bobbin)들로부터 호일을 제공하기 보다는 시트들로써 호일들을 제공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광 가이드들의 연속 패턴(즉, 웹으로부터 후에 컷팅되는 개개의 광 가이드들)은 소정의 면적(예를 들어, 3 cm X 2 cm)내에서 회절격자들/패턴들을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이 면적은 공간(요구되는 경계 면적 및 기계적 디자인을 가지는 것을 고려한다)을 가지는 것과 같이 종종 연속 웹 상에 복사될 수도 있다.
회절 광 가이드들의 경우에는, "거칠게 함(roughening)" 이란 단어사용은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종종 "랜덤 또는 카오스적인" 표면 구조로 언급되기 때문이다. 회절 패턴 내의 그루브들(grooves)은 잘 한정된 치수들(깊이와 폭)을 가질 수도 있고, 따라서 최적의 성능(예를 들어, 광 가이드의 일정한 아웃-커플링 면적 및 두께를 위해)을 제공하기 위해 패턴은 수학적으로 계산된다.
상기 회절격자들이 연속 패턴으로 상기 호일 내로 엠보싱되면, 결과적인 광 가이드는 개선된 광학적 특성들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호일 내로 불연속 패턴을 엠보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원하는 패턴에 따라서 상기 롤링 롤들을 불연속적으로 조절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롤들이 연속 엠보싱 패턴을 제공하는 경우, 연속 패턴을 사용하여 회절격자들을 연속하여 엠보싱할 수도 있다.
백라이트 광 가이드는 광이 투과되는 디스플레이 뒤에 위치한다. 또한, 프론트라이트 광 가이드도 가능하다. 프론트라이트 광 가이드는 광 가이드로부터 광을 반사하는 디스플레이 앞에 위치한다.
상기 호일을 연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호일을 보빈으로부터 롤링을 위해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엠보싱할 호일의 길이는 보빈의 크기에 의하여만 제한될 수도 있다.
상기 광 가이드의 광학적 특성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롤링 후에 상기 엠보싱된 호일 상에 추가적인 광학필름들을 부분적으로 라미네이트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것은 단일 프로세스 단계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플라스틱 기판이 보빈으로부터 제공되어, 롤링될 때 엠보싱부를 통하여 가이드되고, 이에 따라서 광학필름들이, 예를 들어 호일의 어느 일측 상에 제공되고, 라미네이션 부내에서 최종 광 가이드 호일이 라미네이트 된다.
상기 호일의 연속제공을 위하여, 상기 추가적인 광학필름들 또한 보빈으로부터 연속하여 라미네이션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 제안된다. 프론트라이트 광 가이드의 경우에 있어서, 라미네이트 된 호일들은 최소한 일측 상에 단지 보호층들일 수도 있다.
광학필름과 호일의 길이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광 가이드를 연속하여 처리하게 한다.
상기 추가적인 광학필름들이 가열 및/또는 글루잉에 의하여 상기 엠보싱된 호일 상에 부분적으로 라미네이팅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그러나, 다른 어떤 라미네이트 처리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광 가이드의 기능을 손상할 수도 있으므로, 호일들은 전체 면적에 걸쳐 라미네이트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광학필름들은 상기 호일 상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호일의 외각 가장자리를 따라, 또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호일의 세그먼트들의 구석들에, 또는 어떤 적절한 위치들에 라미네이트되는 것이 제안된다. 광 가이드의 경계들을 따라서 특정한 포인트들 또는 면적들에 호일들을 함께 라미네이팅하는 것은 우수한 결과를 제공한다.
상기 광 가이드의 광학적 특성의 개선은 상기 호일의 최소한 일측 상에 추가적인 광학필름들을 라미네이팅하여 제공된다. 이것은 상기 호일의 제1 또는 제2 측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광학적 격자들이 엠보싱된 측 상에, 최소한 확산필름 및/또는 휘도향상필름(brightness enhancement film; BEF)이 라미네이트될 것이 제안된다. 또한, 상기 호일의 타측 상에는 반사필름이 라미네이트될 것이 제안된다.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광학적 성능은 광학필름들의 사용에 의하여 개선될 수 있다. 광 가이드의 휘도 및 다른 광학적 특성들은 확산 및 휘도향상필름들을 추가하여 개선될 수도 있다. 프론트라이트 광 가이드의 경우에 있어서, 호일의 앞측 상에 최소한 하나의 보호필름을 라미네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필름들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PMMA일 수도 있다.
회절 아웃-커플링에 있어서, 광 가이드 시스템은 바닥면으로부터 시작하여, 먼저 반사기, 그리고 반사기를 대면하는 측(즉, 아래방향) 상에 회절 패턴을 가지는 광 가이드, 그리고 광 가이드의 위에 두 개의 휘도향상필름들(또한, 가능하면 다른 광학필름들)이 배열되도록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광 가이드를 방위잡는 양 방향, 즉, 회절격자 하방/상방이 가능하다. 어떤 방위가 사용되는지 여부는 본 발명의 광 가이드가 적용되는 애플리캐이션과 같은 "환경설정(preference)"에 의존한다.
모든 호일들이 라미네이트 된 경우에 있어서는, 광 가이드들은 컷팅, 레이저 컷팅, 및/또는 스탬핑에 의하여 연속 호일들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호일의 개개의 광 가이드들은 스탬핑 또는 컷팅에 의해 상기 호일로부터 분리될 것이 제안된다. 라미네이션을 광 가이드의 분리와 하나의 단계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라미네이션 중에 상기 개개의 광 가이드들이 상기 호일로부터 분리될 것이 제안된다. 이는 호일들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특정한 위치들에 라미네이션 및 컷팅/스탬핑 도구들을 배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호일 내로 상기 호일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조명하는 조명요소로부터 광의 커플링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롤링에 의하여 상기 호일 내로 회절 커플링 격자들이 엠보싱될 때에, 상기 호일의 상기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또는 다른 어떤 각도 분포로 배열된 LED들로부터 광을 커플링-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절 커플링 격자는 우수한 인-커플링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배열된다. 광 가이드가 얇은 경우, 즉, LED들의 높이보다 더 얇은 경우에는 인-커플링이 바람직하다. 이와 다르게, 더 두꺼운 광 가이드의 경우, 광 가이드의 일가장자리/일측에서 "사이드 화이어링(side firing)" LED들을 사용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할 수도 있다.
우수한 인-커플링 특성들을 허용하기 위하여, 광 가이드가 호일로부터 컷팅되거나 스탬프되는 동일한 처리 중에, LED들을 위한 홀들은 추가적인 호일들을 스탬프 또는 컷팅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광 가이드들이 분할(segmentation)되는 동안, 스루홀(through hole)들은 상기 회절 커플링 격자들의 위치들에서 상기 광학필름들의 최소한 하나를 컷팅하여 형성하는 것이 제안된다. 상기 호일이 0.1 to lOO m/min의 속도, 또는 다른 적절한 속도에서 롤링될 때 빠른 제조가 가능하다. 바람직한 속도는 15 m/min이다.
측면에서 발광하는 LED들, 즉, 사이드 화이어링(side firing) LED들과 스루홀들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LED들은 완전히 광 가이드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홀들이 모든 층들을 통하여 바람직하게 스탬프되거나, 또는 최소한 광 가이드 내로 깊게 엠보싱되어, LED가 광 가이드 내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절 인-커플링 요소가 매우 얇은 광 가이드 내로 광을 커플링-인하도록 사용된다면, 라미네이션이 수행되기 전에 추가적인 필름(들)의 개구부가 인-커플링 회절 요소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홀이 추가적인 "광학필름들"의 최소한 하나에 먼저 컷팅/스탬핑된다.
상기 격자들이 공지의 롤링 방법들인 로토그라비어(rotogravure), 오프셋(offset) 또는 플렉소-인쇄(flexo-printing)에 의해 엠보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격자들을 엠보싱하기 위하여 열간프레스(hot press)에서 롤 주위로 쐐기(shim)를 고정시키는(strap) 것이 또한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엠보싱 롤을 직접 패터닝할 수 있는 롤링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직접 레이저 패터닝 또는 주문형(custom) 엠보싱 롤 개발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엠보싱 롤 주위로 엠보싱 플레이트(또는 쐐기)를 고정하는 대신에 이러한 주문형 기술(customizing techniques)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제안은 격자들의 높이가 0.1 내지 1 μm의 경우에 엠보싱 플레이트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더 높은 표면 릴리프들이 또한 가능하다. 더 깊은 격자들의 엠보싱이 더 요구됨에 따라 온도와 압력, 및 "인쇄"속도가 조절된다면 더 높은/더 깊은 격자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호일 및/또는 상기 광학필름들 내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재료들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아크레이트(polymethylacrylate),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terephthalate), 또는 서모플라스틱(thermoplastic) 폴리에스테르(polyester)이다. 이 재료들뿐만 아니라 조성물들이 호일 및 필름들에 사용될 수도 있다.
광의 우수한 아웃-커플링을 위하여, 상기 호일 및/또는 상기 광학필름들은 1.3 내지 1.8 사이의 굴절률을 가질 것이 제안된다. 다른 굴절률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롤링 프로세스는 롤링 온도들의 조절에 의하여 조절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롤링 속도에서 상기 호일 내로 상기 격자들의 엠보싱을 허용하도록 롤링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제안된다.
회절 광 가이드들의 유연한 디자인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호일의 부분들이 회절격자들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되고, 상기 호일의 다른 부분들은 전기적, 전자적 및/또는 광-전자적 구성요소들과 같은,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들은 상기 호일의 상기 부분들 상에 인쇄된다. 그러므로, 호일은 인쇄회로들을 위한 기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인쇄 도전라인들, 인쇄 레지스터들, 캐패시터들, 또는 심지어 인쇄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격자들과 함께 상기 호일 상에 인쇄될 수도 있다. 인쇄 프로세스는 롤링과 같은 프로세스에 통합될 수도 있다. 전기적, 전자적 또는 광-전자적 구성요소들의 인쇄는 별개의 롤에 의한 롤링 프로세스 내에서, 또는 격자들을 롤링하기 전 또는 롤링한 후의 추가적인 인쇄 프로세스 내에서 가능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인쇄 프로세스들은 잉크젯 또는 스크린 인쇄 프로세스들일 수도 있다. 따라서, 호일은 플렉시블 인쇄배선기판(flexible printed wiring board)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광학적 신호들 및/또는 광을 아웃-커플링 요소들로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상기 호일의 부분들은 연장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이는 데이터전달을 위해서, 또는 광이 커플링-아웃되는 곳의 다른 요소들에 광을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는 모바일 폰들의 키들에서 커플링 아웃되는 광일 수 있다.
롤링 프로세스의 사용은 광 가이드들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동일한 프로세스에서 다른 호일들을 함께 라미네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광 가이드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기판들의 두께는 0.5 mm 까지이거나 또는 더 두꺼울 수도 있다. 이것은 광 가이드 기판을 사이드 화이어링 LED들과 함께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현재 가능한 0.6 mm 두께의 LED들과 함께 작동될 수도 있다. 또한, LED들은 광 가이드의 두께보다 높으나, 인-커플링의 효율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심지어는 더 얇은 광 가이드들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호일 내로 엠보싱된 회절 인-커플링 요소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롤링 프로세스는 단일 그리고 극히 비용효율적인 대량생산 프로세스로 회절 광 가이드들을 엠보싱하고 추가적인 광학적 호일들을 라미네이트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광 가이드 제조장치, 특히, 전자장치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위한 백라이트 또는 프론트라이트 광 가이드의 제조장치는, 호일로서 광 가이드 기판을 제공하는 제1 공급수단 및 상기 호일의 최소한 일측 상에 회절격자들을 엠보싱하는 롤링수단을 포함한다.
이 장치는 롤링 프로세스에서 광 가이드들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광 가이드 제조시스템, 특히, 전자장치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위한 백라이트 또는 프론트라이트 광 가이드의 제조시스템은, 호일로서 광 가이드 기판을 제공하는 공급수단 및 상기 호일의 최소한 일측 상에 회절격자들을 엠보싱하는 롤링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광 가이드, 특히, 전자장치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위한 백라이트 또는 프론트라이트 광 가이드는, 롤링에 의해 광 가이드 기판의 호일의 최소한 일측 상에 회절격자들을 엠보싱하여 제조된다. 또한,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기와 같은 이동통신장치는 본 발명의 일 태양이다.
본 발명은 특히, 휴대이동전화기와 같은 전자장치들을 위한 고품질의 광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다른 전자장치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가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a와 2b는 라미네이션 포인트들을 가지는 광 가이드 세그먼트(segment)들을 도시한다.
도 3은 광 가이드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마스터(master)를 제조하는 자외선(ultraviolet; UV)-리소그래피의 개략도이다.
도 5는 광 가이드들의 분할(segmentation)을 도시한다.
도 6은 광 가이드들의 여러가지의 세그먼트(segment)들을 도시한다.
도 7은 길이방향으로 컷팅된 광 가이드 세그먼트들을 도시한다.
도 8은 광을 키들에게 전달하는 광 가이드 수단을 도시한다.
도 9는 회절격자들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가이드를 롤링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장치는 보빈들(bobbins, 6,12,14), 롤링부(4), 및 라미네이션부(16)를 포함한다.
광 가이드 기판(2)의 호일, 제1 광학필름(8), 제2 광학필름(10) 및 결과적인 광 가이드 시스템(18)이 더 도시되어 있다.
결과적인 광 가이드 시스템(18)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상기 보빈(6)으로부터, 광 가이드 기판의 호일은 롤링부(4)로 연속하여 제공된다. 롤링부(4) 내에 서, 상기 호일(2)은 롤링에 의해 엠보싱되어 상기 호일(2)의 최소한 일측 상에 회절격자들을 구현한다. 상기 회절격자들은 상기 광 가이드(18)로부터 광의 조절되고 평평한 아웃-커플링(out-coupling)을 허용한다. 상기 회절격자들의 패턴은 특별한 디자인 및 광 가이드 두께를 위해 최적의 광학적 성능을 제공하도록 수학적으로 계산된다. 상기 격자들 내에 회절 및 인/아웃-커플링 요소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격자는 다를 수 있으며, 즉 다른 목적을 위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롤링부(4)내에서 상기 호일(2)을 롤링한 후에, 보빈들(12,14)은 상기 호일(2)의 어느 일측에 광학필름들(8,10)을 제공할 수 있다. 광학필름(8)은 확산 필름(diffuser film) 또는 휘도향상필름(brightness enhancement film, BEF)일 수도 있다. 또한, 광학필름(8)은 서로에 대하여 90도 경사의 방위를 갖는, 즉, 하나는 광 가이드의 방향과 평행하게, 다른 하나는 그 방향에 수직으로 방향을 갖는, 휘도향상필름들(BEF)과 같은 두 광학필름들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호일(2)의 일측 상에 2 이상의 광학필름(8)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보빈(12)이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호일(2)의 하측 상에는 반사필름(reflector film)일 수도 있는 다른 광학필름(10)이 제공된다. 상기 호일(2)을 상기 광학필름들(8,10)과 함께 연속하여 상기 라미네이션부(16)에 제공하여, 광 가이드(18)의 연속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광학필름들은 완전히 투명할 필요는 없다.
라미네이션부(16)내에서, 호일(2)은 상기 광학필름들(8,10)과 함께 라미네이트된다. 라미네이션부(16)내에서, 개개의 광 가이드 시스템(18)은 상기 라미네이트 된 호일들로부터 컷팅되거나 스탬프된다(미도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개개의 광 가이드들의 통합된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호일 내로 회절 격자들을 엠보싱하고 라미네이팅에 의해 호일을 더 프로세싱하는 것은 광 가이드들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도 2a는 개개의 광 가이드(24)의 평면도이다. 상기 광 가이드(24)에 회절 요소들이 개략적으로 사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호일(2) 상에서, 상기 광학필름들(8,10)은 전체 표면에 라미네이트 되어있지는 않고, 대신 일정한 라미네이션 포인트들(20)에 라미네이트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션 포인트들(20)은 각각의 광 가이드 세그먼트(24)의 구석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b는 광 가이드 세그먼트(24)를 유사하게 도시한다. 그러나, 호일(2)에 광학필름들(8,10)은 약간 다르게 라미네이트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션 세그먼트들(22)은 세그먼트(24)의 가장자리들을 따라 이어지며, 이에 의하여, 호일(2)은 광학필름들(8,10)과 적절하게 고정된다. 스루홀들(26)이 도 2a에 더 도시되어 있다. 이 스루홀들(26)은 상방향 또는 사이드 화이어링(side firing) LED들로부터의 광의 인-커플링을 허용한다. 만일, 회절 인-커플링 요소들이 사용되면, 홀들은 광학필름들의 최소한 하나에 있는 개구부들일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광 가이드의 상기 회절 인-커플링 요소를 노출한다. 즉, "스루홀들"(26)(즉, 광학필름들의 개구부들)은 인-커플링 격자들이 상기 호일 내로(2) 엠보싱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사이드 화이어링 LED들의 경우에는, 스루홀들은 전체 광 가이드를 통하여, 또는 최소한 LED들이 광 가이드 내로 완전히 끼어들 수 있도록 깊이로 컷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사용자 장치, 특히 모바일 휴대용원격통신장치의 디스플레이의 단면도이다. 상기 호일(2)의 어느 한 표면 상에 라미네이트 된 상기 광학필름들(8,10)과 함께 상기 호일(2)이 도시되어있다. 스루홀들(26), 회절 인-커플링 요소(27), 발광 다이오드(28), 플렉시블 인쇄배선기판(printed wiring board, PWB, 30), 액정 디스플레이(32) 및 커넥터(34)가 더 도시되어있다.
커넥터(34)는 상기 플렉시블 인쇄배선기판(30)을 전원공급장치와 다른 배선에 연결한다. 인쇄배선기판(30) 상에, 상기 호일(2)의 표면으로 발광하는 상방향 화이어링 LED(28)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필름(8)은 회절 인-커플링 요소(27)의 위치에 스루홀(26)을 포함한다. 이는 상기 LED(28)로부터 광의 인-커플링을 상기 호일(2) 내로 허용한다. 회절 인-커플링 요소(27)를 통하여 광 가이드(2) 내로 LED(28)의 광을 인-커플링함에 의하여, LCD(32)는 백라이트될 수도 있다. 그러나, 특히 광 가이드가 충분히 두꺼운 경우에는, 광 가이드의 일가장자리/일측에서 사이드 화이어링 LED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회절 인-커플링 요소는 생략될 수도 있다.
조명특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호일(2)은 광학필름들(8,10)로 라미네이트 된다. 광학필름(10)은 반사필름일 수도 있으나, 반면, 광학필름(8)은 확산필름 또는 BEF, 또는 적절한 방향을 갖는 두 개의 BEF, 또는 양쪽 모두 일 수도 있다.
호일(2) 및 광학필름들(8,10)을 포함하는 광 가이드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대량생산 프로세스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것은 제조비용을 많이 줄일 수 있다. 상기 호일(2) 상으로 회절 요소들을 롤링함에 의하여 연속 프로세스가 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프로세스 내에서, 광학필름들(8,10)은 상기 호일(2) 상으로 라미네이트될 수도 있으며, 개개의 광 가이드들은 연속 호일로부터 컷팅되거나 스탬프될 수도 있다.
도 4는 롤링 마스터(master)를 에칭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포토레지스트층(60)으로부터 최종구조를 에칭할 수 있는 단계들(36 내지 54)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단계(36)에서는, 자외선(ultraviolet,UV)-광(56)이 포토레지스트층(60), 에칭 마스크(59) 및 마스크 기판(58)을 포함하는 기판(62)에 조사된다. 포토레지스트층(60)이 UV-광(56)에 의하여 노광되어, 에칭 마스크(59)는 포토레지스트층(60) 상으로 맵핑될 수도 있다.
현상단계(38)에서, 마스크(59)는 현상되며, 이에 따라서 포토레지스트층(60)이 존재하는 구역과 존재하지 않는 구역이 형성된다. 결과적인 구조가 단계(40)에 도시되어 있다.
그 이후에 두 가지 가능한 방법들(42a,42b)로 최종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재료증착방법(42a)에서는, 재료가 단계(44)에서 잔류 포토레지스트층(60) 상으로 증착될 수도 있다. 증착된 재료는 단계(46)에서 잔류 포토레지스트층(60)을 리프트-오프(lift-off)하게 할 수 있다. 결과적인 구조(48)는 최종 회절격자 패턴 또는 계획한 회절 패턴의 네가티브를 표시하는 격자들을 포함한다.
에칭프로세스(42b)에서는 기판(62)은 포토레지스트층(60)과 함께 에칭제에 노출된다. 결과적으로, 기판(62) 상에 포토레지스트층(60)이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서 기판(62)은 제거된다. 단계(52)에서 포토레지스트층(60)이 제거된 후에, 최종 구조(54)가 달성된다. 또한, 이 구조는 최종 회절격자들 또는 이들의 네가티브일 수도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절격자들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리소그래피 방법들에 기반한다. 이와는 달리, 표면 릴리브들(relieves)의 제조는 UV-리소그래피의 경우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shadow mask)를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 빔 또는 전자빔 표시와 같은 직접표시기술에 기반할 수도 있다. 제작된 격자들은 최종 회절격자들일 수도 있고, 또는 계획한 회절격자들의 네거티브일 수도 있다.
도 4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회절격자들을 가지는 기판은 종종 마스터(master)라고 불릴 수도 있다. 마스터는 기판에 직접 모사될 수도 있고, 또는 같은 표면구조를 갖는 목적물의 다수 개의 제작을 위하여 먼저 복사될 수도 있다. 상기의 방법을 사용하여 마스터들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마스터들의 모사 또는 복제에 대하여 "Diftractive optics: For Industrial and Commercial Applications" Jari Turunen, Frank Wyrowski, Akademieverlag GmbH, Berlin 1997에 개시되어있다. 대량생산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마스터는 쇄기(shim), 스탬퍼(stamper), 롤러 등으로 종종 언급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방법에 따라 대량생산 프로세스에서 사용된다.
롤링에 의한 엠보싱을 실현하기 위하여, 회절격자패턴은 롤러 플레이트로 복사되어야 하며, 이는 엠보싱 롤 주위에 고정(strap)된다. 플레이트의 크기에 의존하여, 디자인된 패턴, 또는 많은 유사 패턴들은 상기의 제조 프로세스들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직접 플레이트 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조되는 모사품의 수가 많 은 경우에는, 2 이상의 마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플레이트가 큰 경우, 또는 플레이트가 오리지널 마스터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는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은 크기의 마스터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동일한 패턴을 여러 번 복사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적절한 크기로 컷팅될 다른 연속 회절격자패턴들의 제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호일(2)은 회절격자패턴들(Ll, L2, 및 L3)의 2 이상의 연속 스트립들로 롤링된다. 광 가이드들의 다른 길이는 광 가이드들 내로 다른 강도(intensity)의 광을 방출하는 다른 LED들에 기인된 것일 수도 있다. 다양한 "광학적 길이"(Ll, L2, L3)의 다른 연속 회절격자패턴들을 롤링하여, 광 가이드 크기의 큰 다양성은 같은 웹으로부터 컷팅될 수도 있다. 단일 롤링부에 가능한 광 가이드 치수들은 소형 이동전화기를 위한 광 가이드로부터 대형 LCD텔레비젼 또는 백라이트 또는 프론트라이트를 필요로 하는 대형 광고판 및/또는 포스터까지의 범위가 될 수도 있다. 회절 아웃-커플링 디자인은 사용되는 각각의 "광학적 길이" 및/또는 기판 재료, 및/또는 광원을 위하여 각각 자연스럽게 최적화된다.
도 6은 다른 폭들(wl, w2)을 갖는 광 가이드들을 도시한다. 다른 폭들(wl, w2)은 웹을 다른 길이로 컷팅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x-방향으로 광 가이드의 광학적 길이를 짧게 하여, 광 가이드의 크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적 길이가 Ll 인 광 가이드는 컷팅 라인(64)에서 컷팅될 수도 있다. 광학적 길이가 Lx인 결과적인 광 가이드가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많은 양의 광이 짧아진 광 가이드의 말단에서 누설(leak out)된 다고 하여도, 이는 다른 광학적 길이를 갖는 광 가이드를 생성하는 경제적인 방법이 될 수도 있다.
도 8은 연장된 광 가이드를 도시한다. 도 8a는 평면도이며, 도 8b는 측면도이다. 공지의 광 가이드는 연장부분(66)에 의해 연장된다. 이러한 연장부분(66)은 격자들에 의해 아웃-커플링되지 않은 광을 디스플레이의 필요한 위치에 가이드할 수 있다. 이 위치들에서, 광은 아웃-커플링 격자들(68)에 의해 아웃-커플링될 수도 있다. 이는 키패드 조명이나 장식목적의 조명을 위하여 광을 아웃-커플링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절 아웃-커플링 격자들(68)의 위치에, 회로기판 상의 스위치를 활성화할 수 있는 키들(71)을 위한 홀들(70)이 제공된다. 광 가이드 기판의 연장부분은 인쇄회로들을 위한 기판으로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회절격자들(25)이 엠보싱된 기판은 인쇄 도전 라인들(76), 인쇄 레지스터들(74), 캐패시터들(미도시), 또는 심지어는 인쇄 트랜지스터들(미도시)을 위한 기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기판 상으로 전자 회로들의 인쇄는 공지되어 있고, 회절격자들(25)이 롤링하는 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른 호일들이 라미네이트 되고 회절 요소들과 함께 엠보싱된 광 가이드들의 통합된 대량생산을 허용한다, 또한, 인-커플링 요소들 및 스루홀들이 제공되고, 광 가이드는 백라이트, 또는 프론트라이트가 제공되어야 하는 전자장치의 요구에 따라서 디자인될 수도 있다.
참조번호의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2; 호일 4; 롤링부 6; 보빈
8; 광학필름 10; 광학필름 12; 보빈
14; 보빈 16; 라미네이션부 18; 광 가이드 시스템
20; 라미네이션 포인트들 22; 라미네이션 부분들
24; 광 가이드 세그먼트 25; 회절격자들
26; 스루홀 27; 회절 인-커플링 요소 28; LED
30; 플렉시블PWB 32; LCD 34; 커넥터
36; 자외선(UV)-노광 38; 현상 40; 결과적인 구조
42a; 재료 증착 42b; 에칭 44; 증착된 재료
46; 리프트-오프 48; 최종 구조 50; 에칭된 구조
52; 제거된 저항층 54; 최종 구조 56; 자외선(UV)-광
58; 마스크 기판 59; 마스크 60; 포토레지스트 층
62; 기판 64; 컷팅 라인 66; 연장된 광 가이드
68; 회절 아웃-커플링 70; 홀들 71; 키들
72; 콘택트 패드들 74; 인쇄 레지스터 76; 인쇄 도전라인들

Claims (42)

  1. 광 가이드 제조방법, 특히, 전자장치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위한 백라이트(backlighting) 또는 프론트라이트(frontlighting) 광 가이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광 가이드 기판은 호일로서 제공되고,
    회절격자들은 롤링에 의하여 상기 호일의 최소한 일측 상에 엠보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격자들은 연속 패턴으로 상기 호일 내로 엠보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일은 롤링을 위해 보빈(bobbin)으로부터 연속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후에, 엠보싱된 호일 상에 추가적인 광학필름들이 부분적으로 라미네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광학필름들은 라미네이션을 위해 보빈으로부터 연속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광학필름들은 가열 및/또는 글루잉에 의하여 상기 엠보싱된 호일 상에 부분적으로 라미네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들은 상기 호일 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호일의 외측 가장자리들을 따라서 라미네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들은 상기 호일 상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호일의 세그먼트들의 구석들에 라미네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은 상기 호일의 최소한 일측 상에 추가적인 광학필름들을 라미네이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광학필름들은 상기 호일의 제1 측상에 라미네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필름들은 확산필름들(diffuser films) 및/또는 휘도향상필름들(brightness enhancement fil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광학필름들은 상기 호일의 제2 측상에 라미네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필름은 반사필름(reflector fil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개의 광 가이드들은 스탬핑(stamping) 또는 컷팅으로 상기 호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개의 광 가이드들은 라미네이션 동안 상기 호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일 내로 상기 호일의 표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 분포로 조명하는 조명요소들로부터 광의 인-커플링을 제공하도록, 회절 인-커플링(in-coupling) 격자들이 상기 롤링에 의하여 상기 호일로 엠보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들을 분할(segmentation)하는 동안, 상기 회절 인-커플링 격자들의 위치에서, 스루홀들은 상기 광학필름들의 최소한 하나를 컷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이드 화이어링(side firing) 조명요소들에 의하여 상기 광 가이드 내로 광의 인-커플링이 가능하도록 사이드 화이어링 조명요소들이 위치하는 위치에서, 스루홀들은 개개의 광 가이드들의 최소한 부분들을 컷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일은 0.1 내지 100 m/min 사이의 속도로 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들은 로토그라비어(rotogravure), 오프셋(offset) 또는 플렉소-인쇄(flexo-printing)에 의해 엠보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들의 높이는 0.1 내지 1 μ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일 및/또는 상기 광학필름들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olymethylacrylate, PMMA),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PV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또는 서모플라스틱(thermoplastic) 폴리에스테르(polyester)의 재료들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일 및/또는 상기 광학필름들은 1.3 내지 1.8 사이의 굴절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링 온도는 롤링 속도에서 상기 호일 내로 상기 격자들이 엠보싱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격자들은 상기 호일의 부분들로 엠보싱되고,
    전자적 및/또는 광-전자적 구성요소들은 상기 호일의 부분들 상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적 및/또는 광-전자적 구성요소들은 추가적인 롤링 프로세스 및/또는 추가적인 인쇄 프로세스에 의하여 상기 호일 상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학적 신호들 및/또는 광을 아웃-커플링(out-coupling) 요소들로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상기 호일의 부분들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방법.
  28. 광 가이드 제조장치, 특히, 전자장치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위한 백라이트 또는 프론트라이트 광 가이드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호일로서 광 가이드 기판을 제공하는 제1 공급수단; 및
    상기 호일의 최소한 일측 상에 회절격자들을 엠보싱하는 롤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보빈을 사용하여 상기 호일을 실질적으로 연속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장치.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롤링 후에, 추가적인 광학필름들을 상기 엠보싱된 호일 상에 라미네이션 수단을 사용하여 라미네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장치.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및/또는 제3 공급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추가적인 광학필름들을 상기 호 일의 일측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장치.
  32.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일에 상기 추가적인 광학필름들을 라미네이팅한 후에, 컷팅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호일의 개개의 광 가이드들을 컷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장치.
  33. 제28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일에 상기 추가적인 광학필름들을 라미네이팅한 후에, 스탬핑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호일의 개개의 광 가이드들을 스탬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장치.
  34. 제28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 수단 또는 상기 스탬핑 수단은 라미네이션 동안 상기 호일을 분할하도록 상기 라미네이션 수단 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장치.
  35. 제28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수단은 상기 호일 상에 회절격자패턴들의 면적들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장치.
  36. 광 가이드 제조시스템, 특히, 전자장치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위한 백라이트 또는 프론트라이트 광 가이드의 제조시스템, 특히, 제19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는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호일로서 광 가이드 기판을 제공하는 제1 공급수단; 및
    상기 호일의 최소한 일측 상에 회절격자들을 엠보싱하는 롤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제조시스템.
  37. 광 가이드, 특히, 전자장치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위한 백라이트 또는 프론트라이트 광 가이드에 있어서,
    롤링에 의해 광 가이드 기판의 호일의 최소한 일측 상에 회절격자들을 엠보싱하여 제조되는, 특히,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호일의 최소한 일측 상에 추가적인 광학필름들을 라미네이팅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호일의 최소한 외곽 가장자리들을 따라서 및/또는 상기 호일의 세그먼 트들의 구석들에 라미네이트된 광학필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일 내로 상기 호일의 표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 분포로 조명하는 조명요소들로부터 상기 광 가이드 내로 광의 인-커플링을 위한 상기 추가적인 광학필름들 중 최소한 하나에 있는 스루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41.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이드 화이어링 조명요소들에 의하여 상기 광 가이드 내로 광의 인-커플링이 가능하도록 사이드 화이어링 조명요소들이 위치하는 위치에, 상기 호일 및/또는 상기 필름들을 컷팅하여 형성한 스루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이드.
  42. 제37항 내지 제 4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
KR1020067018618A 2006-09-11 2004-02-13 광 가이드, 광가이드 제조 장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100795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8618A KR100795447B1 (ko) 2006-09-11 2004-02-13 광 가이드, 광가이드 제조 장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8618A KR100795447B1 (ko) 2006-09-11 2004-02-13 광 가이드, 광가이드 제조 장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369A true KR20060110369A (ko) 2006-10-24
KR100795447B1 KR100795447B1 (ko) 2008-01-16

Family

ID=3761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618A KR100795447B1 (ko) 2006-09-11 2004-02-13 광 가이드, 광가이드 제조 장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5591B1 (en) * 2016-12-16 2022-07-06 Quantum-Si Incorporated Optical coupler and waveguid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1839A (en) * 1996-03-22 1997-08-26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Light guide employing multilayer optical film
US6447135B1 (en) * 1999-10-08 2002-09-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guide having a directly secured refl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GB0006327D0 (en) * 2000-03-16 2000-05-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 Light guides suitable for illuminated display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5591B1 (en) * 2016-12-16 2022-07-06 Quantum-Si Incorporated Optical coupler and waveguid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447B1 (ko) 200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417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guide
AU2008327693B2 (en) Light guides
CN101606090B (zh) 光导装置及相关应用
KR101751711B1 (ko) 광 가이드들
KR101122151B1 (ko) 초박막 광소자
KR10134310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액정 표시 장치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
US8462292B2 (en) Optically transmissive substrates and light emitt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and methods of displaying images using the optically transmissive substrates and light emitting assemblies
US9568657B2 (en) Light guide plate for backligh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00110724A1 (en) Thin film light diffusion guide
JP2009059545A (ja) 導光板の製造方法
US10948651B1 (en) Keyboard backlight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95447B1 (ko) 광 가이드, 광가이드 제조 장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20140093917A (ko) 마이크로 구조의 광제어 패턴이 형성된 디스플레이용 도광 시트의 제조방법
KR101202960B1 (ko) 도광판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1211726B1 (ko) 반사판 일체형 패턴 도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90103731A (ko) 광 추출 구조체들을 갖는 도광 필름
JP5457984B2 (ja) 導光板の製造方法
KR100997953B1 (ko) 일체형 도광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06114380A (ja) 導光板およ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1051088B1 (ko) 백라이트용 도광판
JP2022546612A (ja) 丸い角を有する矩形反射器を備えるバックライトとそのバックライ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