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279A - Z-축 리던던트 디스플레이 및 다층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Z-축 리던던트 디스플레이 및 다층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279A
KR20060110279A KR1020067008065A KR20067008065A KR20060110279A KR 20060110279 A KR20060110279 A KR 20060110279A KR 1020067008065 A KR1020067008065 A KR 1020067008065A KR 20067008065 A KR20067008065 A KR 20067008065A KR 20060110279 A KR20060110279 A KR 20060110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module
state
visual
opa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틴 셀브레드
Original Assignee
유니-픽셀 디스플레이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픽셀 디스플레이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유니-픽셀 디스플레이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10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7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88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 H04N13/395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with depth sampling, i.e. the volume being constructed from a stack or sequence of 2D image pl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7Optical elements for superposit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62Switchable arrangements whereby the element being usually not switch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8Fault-tolerant or redundant circuits, or circuits in which repair of defects is prepa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정보를 하나 이상의 평면들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면에 수직한 Z-축을 따르는 적층 구조에서 이격된 관계로 배치된 두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시각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거나 또는 휴지 상태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게다가, 디스플레이 모듈이 뷰잉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활성화될때, 뷰잉된 이미지는 휴지 상태로 비활성화되는 이전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뷰잉될 수 있다.

Description

Z-축 리던던트 디스플레이 및 다층 디스플레이{Z-AXIS REDUNDANT DISPLAY/MULTILAYER DISPLA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 분야, 특히 잠재적인 장치 결함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 성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리던던시가 요구되는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다른 분류 레벨들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직접 이용하는 다중-레벨 보안 응용들(다른 보안 레벨들의 하드웨어 분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입체 기술들 및 "현실 오버레이" 능력에 의존하지 않고 오버레이 복제를 통해 명백한 Z-축 정보가 뷰잉되는 3차원(3D) 이미징 응용들에 적용한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최소 결함 허용오차 레벨을 나타내야 하는 다양한 중요한 응용들(임무결정, 비행결정, 공간 결정)에서,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들 및 CRT-기반 대응물들은 인접 직렬 이중 설치에 의하여 리던던시를 달성한다. 디스플레이를 장착하는 콘솔의 표면상의 부가 영역은 백업 디스플레이들 및 계측장치들을 설치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할당된다. 많은 응용들(예컨대, 항공전자공학, 군용차량 전개들 등)에서, "실제 주택단지"는 프리미엄이 붙으며 이에 따라 이전 콘솔 표면영역을 소비하는 1차 및 2차 디스플레이를 가진 복잡한 콘솔이 발생한다.
리던던시는 콘솔의 X-Y 표면상에 부가 영역을 할당함으로서 통상적으로 달성되었다. X-T 방향에서의 확장은 이러한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공통으로 가지는 하나의 인자로 인하여 지시되며,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불투명 구조들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본래 불투명 구조들이기 때문에, 리던던트 디스플레이 솔루션들을 개발할때 Z-축들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X-Y 콘솔 표면상의 더 넓은 영역을 소비하는 대신에 Z-축을 이용하여 다수의 장점들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요망된다.
Z-축이 이용되는 본 발명의 제 1장점은 Z-축을 이용함으로서 달성된 리던던시가 디스플레이 콘솔상의 표면영역을 직접 자유롭게 한다는 점이다. 제 2 장점은 판독이 용이한 대규모 디스플레이들로 공간 절약들이 용이하게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제 3장점은 시스템 배선 경로들이 짧아서 신뢰성이 개선된다는 점이다. 제 4 장점은 특히 항공 전자공학에 효과적이라는 점이다. 백업 디스플레이가 콘솔에서 정확하게 동일한 위치를 점유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중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콘솔상의 다른 위치로 그의 응시를 전환하지 않아도 된다. 모든 정보는 모든 조건들하에서 동일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만일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가 투명하면, 쌍들 또는 3개의 세트 등에서 Z-축에 적층된 바에 원리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는 4가지 특성을 나타내야 하며, 즉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들은 본래 투명해야 하며, 부적절한 오버레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프 모드"가 되지 않아야 하며 Z-축을 따라 비교적 얇아야 하며, 리던던트 구현을 요구하는 특정 환경에 대한 생존성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예컨대, 리던던시를 요구하는 환경은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아서 시초에 액정 디스플레이 전개에 대하여 작용한다). 일부 엄격한 전개들은 전자기 펄스를 생존시킬 것을 요구할 수 있다.
현지의 디스플레이 기술들중에서, 사실상 어느 기술도 요구된 투명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리던던트 디스플레이 소자들의 Z-축 배치를 사용하여 리던던시를 달성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급할지라도, 상기 문제는 비해결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Z-축 리던던트 디스플레이/다중층 디스플레이라 불리하는 본 발명은 상기 4가지 기준을 만족하는 디스플레이들에 대한 목표를 달성한다. 사실상 이들 기준들을 만족하는 디스플레이 기술들중에서, Z-축 리던던트 디스플레이/다중층 디스플레이의 구현에 적용한 디스플레이는 여기에 참조문헌으로서 통합되는 미국특허 제5,319,491호에 개시된 디스플레이이다.
미국특허 제5,319,491호의 디스플레이(이후 "TMOS 디스플레이"라 칭함)는 Z-축 리던던트 디스플레이로 시스템을 구성한 공지된 적절한 후보이다. 이 디스플레이는 필요한 투명성을 가지며, 전력없이 오프-모드가 되지 않으며 장치 리던던시를 통해 결함 허용오차를 요구하는 응용들과 연관된 성능/환경/생존성 기준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은 대규모 구조적 구성에서 모듈 엘리먼트로서 TMOS 디스플레이를 처리한다. 이러한 구성은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관계로 두개 이상의 TMOS 디스플레이들을 배치하며, 이격된 관계는 모든 구성요소 TMOS 디스플레이들의 평면들을 평행하게 유지한다. TMOS 디스플레이들이 복제된(추천된) 목표 모듈로서 사용될때, 이들간의 간극 공간은 순간 결합에 의하여 발생되는 디스플레이들간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TMOS 디스플레이 도파관에서 이동하는 저주파수 광의 파장보다 명목으로 길다. 간극 갭은 TMOS 디스플레이들이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실폐된 전체 내부 반사의 원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높은 굴절율을 가지는 재료로 충진될 수 없다. 갭은 공기, 또는 공기(1.00-1.06)에 의하여 제공되는 굴절율을 가진 재료로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언급된 기준을 만족하는 TMOS 디스플레이들과 다른 디스플레이들을 통합할 수 있으며, 이들 대안 후보들에 고유한 제한사항들은 구성의 기하학적 형태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시점으로부터, 용어 "모듈"은 TMOS 디스플레이, 또는 여기에서 표로 작성된 주요 생존능력 기준을 만족하는 대안적인 등가 후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용어 "구성"은 이러한 구성물에 따른 장점들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격 관계로 두개 이상의 모듈들의 시스템 구성을 언급할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1차 디스플레이는 최상위/최전방 모듈일 수 있으며, 백업 디스플레이(들)는 그 아래/후방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모듈들이다. 일 실시예에서, 단지 1차 디스플레이만이 동작하는 반면에 백업 디스플레이(들)는 휴지 상태를 유지한다. 1차 디스플레이를 실폐하는 경우에, 적절한 회로가 이러한 사실을 검출하거나 또는 오퍼레이터 동작에 의하여 통지되며, 1차 디스플레이에 전력을 분로시키며, 다음 백업 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키며 백업 디스플레이에 비디오 신호들을 재라우팅한다. 만일 약간 복잡한 리던던시가 획득되면, 2차 디스플레이의 실폐는 3차 디스플레이의 활성화를 트리거링하며, 이에 따라 필요한 추가 리던던시가 보장된다.
본 발명은 구성에서 정확한 이격된 관계로 모듈들을 유지하기 위한 임의의 특정 장착 기술과 무관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기술된 현저한 특징들이 현저한 디스플레이 리던던시의 모든 구현들을 커버한다. 구성내에서 모듈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 기술들에는 복잡한 레벨들이 존재할 수 있다. 실폐된 1차 디스플레이로부터 백업 디스플레이로(한 모듈에서 다른 모듈로) 정보를 재라우팅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재 및 미래의 복잡화가 목적 및 유용성을 유도하는 아치형 구조를 기술한다.
다른 보안/분류 레벨들을 가진 데이터간에 소위 "하드웨어 분리"를 달성하기 위하여 동일한 병렬 모듈 배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드라이버 회로는 모듈 "스택"내의 특정 모듈상에서 특정 보안 클리어런스 레벨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유지하는 것보다 오히려 리던던시에 연동되지 않는다. 적절한 보안 클리어런스들이 부족한 시스템들의 사용자들은 모듈이 비활성화되거나 또는 휴지상태로 되기 때문에 대응 모듈에 제한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것이다. 사용자가 클리어런스를 가지는 스택의 모듈들만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활성화 및 허용될 것이다.
충분한 수의 모듈들이 스택을 포함할때, 대상물들의 2차원 투영 단면을 모듈들에 의하여 표현되는 각각의 평면들로 인코딩함으로서 명백한 3차원 대상물들을 모방하기가 쉽다. 이러한 모방하에서 Z-축 입도의 레벨은 스택을 포함하는 모듈들의 수에 비례하고 모듈간 공간에 반비례할 것이다.
"현실 오버레이" 응용들(예컨대, 헬멧 장착 시스루(see-through) 디스플레이들)에 리던던시의 적용은 계획하에서 기술된 구성의 원리들을 장치에 적용함으로서 용이하게 달성된다. 양 모듈들이 투명하기 때문에, 현실 오버레이 기준(관찰자의 눈 근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세계를 보는 능력)은 1차 디스플레이를 가진 표준 동작 모드하에서 또는 뷰잉가능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를 구성내에서 1차 디스플레이를 가진 긴급 백업 모드에서 유지된다.
현실 오버레이 디스플레이 응용의 경우에, 층이 시스템의 중심에서 "시 스루" 기준과 일치하지 않는한 구성의 최종 부분을 포함하는 불투명 층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불투명(블랙) 층은 이미지들이 생성되는 기준 블랙 배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성내에서 불투명 배경을 구현하기 위한 두가지 방법이 존재하며, (1) 불투명 배경이 탄소 나노폼의 연장된 평면 시트인 경우와 같이 만일 불투명 배경이 정적이면(즉, 고정되어 블랙을 유지하면) 층은 모든 다른 모듈들 후방에 배치되어야 하며, (2) 만일 불투명 배경이 동적이면(투명 및 불투명 모드들사이에 교환될 수 있음), 이러한 층은 앞의 (1)에서와 같이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구성의 각 층이 그 자신의 블랙 배경을 가지도록 각각의 모듈 후방에 복제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이하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특징 및 기술적 장점들을 넓게 요약하였다. 본 발명의 청구항들의 요지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이 이후에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할때 더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모듈 구성을 사용하는 리던던시의 단일 레벨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모듈 구성을 사용하는 리던던시의 2중 레벨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모듈 구성을 사용하는 리던던시의 임의의 레벨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듈 스택의 말단 단부에서 단일 정적 불투명층을 가진 듀얼-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택내의 각각의 개별 모듈 후방에 배치된 동적 불투명층을 가진 듀얼-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적 불투명 엘리먼트를 가진 스택에서 두개의 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에 대한 리던던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모듈 후방에 배치된 동적 불투명 엘리먼트들을 가진 스택에서 두개의 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에 대한 리던던던시를 달성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분리된" 다중-레벨 보안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임의의 입도를 가진 명백한 Z-축 의사-3차원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들과 일치하게 리던던시를 나타내는 "현실 오버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대표 구성에 기초하여 다른 보안 분류들로 데이터의 하드웨어 분리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구성에 기초하여 의사-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을 기술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의 사시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활성화된 상태의 화소에 대한 측면도.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성화된 상태의 화소에 대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러 방법들로 다른 정보 클래스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흐름도.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하여 다수의 특정 실시예들이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러한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는 공지된 회로들 및 알고리즘들이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불명료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대부분, 타이밍 고려사항들 등을 포함하는 세부사항들은 이러한 세부사항이 본 발명을 완전하게 이해하는데 불필요하지 않고 당업자에게 명백한 한 생략된다.
배경기술에서 언급된 바와같이, Z-축을 따라 "이격된 관계"로 배치된 투명 디스플레이들의 보완은 개선된 인간 인자들 엔지니어링(임의의 주어진 수단에 대한 1차 및 백업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과 관련하여 가치있는 시스템 리던던시 특징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TMOS 디스플레이에 기초하던지 또는 필수적인 속성값들을 가진 대안적인 등가 기술에 기초하던지 간에 투명 디스플레이는 모듈이라 칭하는 반면에, 시스템으로의 모듈들의 조립은 구성이라 칭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는 도 1에 기술된다. 구성은 1차 모듈(100) 및 2차 백업 모듈(101)로 구성될 수 있으며, 1차 모듈(100)의 1차 평면들은 임의적으로 선택된 장착 메커니즘(도시안됨)에 의하여 거의 평행하게 이격된 간계(102)로 유지된다(본 발명이 이러한 평행 구성들에 제한되지 않고 서로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로 배치된 모듈들에 응용가능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유용한 디스플레이 리던던시를 달성하여 정확한 기하학적 관계들로 디스플레이들을 장착하는 수단을 일반화한다. 이러한 장착 메커니즘은 충격 및 진동 흡수 메커니즘들, 신호 상호접속 등을 통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듈들을 장착할때 복잡해질 수 있으며, 사실상 이는 장착 메커니즘들이 본 발명의 주어진 구현을 위하여 궁극적으로 선택되도록 한다. 거리(102)는 보통 디스플레이 및 백업 디스플레이 동작 모드들(즉, 1차 모듈(100)이 적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때, 그리고 1차 모 듈(100)이 실폐하거나 또는 디스에이블되고 2차 백업 모듈(101)이 휴지상태 모듈(100)을 통해 보여질 수 있는 적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때)에서 구성의 적정 뷰 능력(viewability)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거리(102)는 0 또는 0보다 클 수 있다.
각각의 모듈(100, 101)은 도 13에 기술된 바와같이 화소들로 보통 언급되는 광학 셔터들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화소들(1302)의 평판 패널 매트릭스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광 안내 기판(1301)으로 구성된 모듈(100, 101)을 기술한다. 광 안내 기판(1310) 후방에서 기판(1301)과 병렬 관계로 투명(예컨대, 유리, 플라스틱 등) 기판(1303)이 존재할 수 있다. 모듈(100, 101)은 여기에 참조문헌으로서 통합되는 미국특허 제5,319,491호에 개시된 바와같이 기술된 것과 다른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게다가, 여기에서 언급된 각각의 모듈이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구성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14A 및 도 14B에 기술된 각각의 화소(1302)는 유리 기판(1303), 광 안내 기판(1401), 투명 도전 접지 평면(1402), 변경가능 탄성체층(1403) 및 투명 전극(1404)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1302)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디스크(1405)(그러나 디스크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음)로서 도시되고 전극(1404)의 상부면상에 배치되며 높은 굴절율 재료, 바람직하게 광 안내 기판(1401)을 포함하는 것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투명 엘리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광 안내 기판(1401) 및 디스크(1405)간의 거리가 매우 정확하게 제어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휴지상태에서, 안내 기판(1401) 및 디스크(1405)간의 거리는 안내된 광의 파장의 대략 1.5배 이어야 하나 임의의 경우에 이 거리는 1파장보다 크게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접지 평면(1402), 변형가능 탄성체층(1403) 및 전극(1404)의 상대 두께가 조절된다. 활성상태에서, 디스크(1405)는 광 안내 기판(1401)의 상부면으로부터 1파장 이하의 거리로 이하에 기술된 바와같이 용량성 동작에 의하여 당겨져야 한다.
동작시, 화소(1302)는 소멸 결합 현상을 이용하며, 이에 따라 TIR(전체 내부 반사)는 용량성 인력 현상하에서 함몰부분(1406)이 발생시키는 변형가능 탄성체층(1403)의 기하학적 형태(도 14B에 도시될 수 있음)를 수정함으로서 화소(1302)에서 위반된다. 이러한 결과적인 함몰부분(1406)은 광 안내 기판의 소멸 필드의 제한범위(일반적으로 광 안내 기판(1401)으로부터 한 파장 거리까지 외부로 연장됨)내로 디스크(1045)를 가져온다. 광의 전자기파 성질은 광으로 하여금 삽입 낮은 굴절율 클래딩, 즉 변형가능 탄성체층(1403)을 정전기 작동 동적 함몰부분(1406)에 부착된 결합 디스크(1405)로 점프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안내 조건 및 TIR이 무효로 된다. 광선(1407)(도 14A에 도시됨)은 휴지 광안내 상태를 지시한다. 광선(208)(도 14B에 도시됨)은 활성상태를 지시하며, 여기서 광은 강 안내 기판(1401) 외부에 결합된다.
전극(1404) 및 접지 평면(1402)간의 거리는 매우 작으며, 예컨대 1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며, 실온 유황처리 실리콘의 박막 증착층과 같은 변경가능 층(1403)에 의하여 점유될 수 있다. 전압이 작은 동안, 커패시터의 병렬 판들(전극(1404) 및 접지 평면(1402)은 병렬 판 커패시터를 형성함)간의 전기장은 도 14B에 기술된 바와같이 탄성체층(1403)이 변형되도록 변형력을 부가하기에 충분히 높다. 안내 기판(1401)내에서 안내되는 광은 현재의 굴절율들에 대한 임계각보다 큰 입사각에서 변형부에 충돌하고 전극(1404) 및 디스크(1405)를 통해 기판(1401) 외부에 광을 결합할 것이다.
커패시터의 병렬 판들간의 전기장은 전극(1404) 및 접지 평면(1402)사이에 효과적으로 인력을 야기하는 커패시터의 충전 및 방전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커패시터를 충전시킴으로서, 판들간의 정전기력의 세기는 증가하며 이에 따라 도 14B에 기술된 바와같이 전극(1404) 및 디스크(1405)를 통해 기판(1401)의 외부에 광을 결합하기 위하여 탄성체층(1403)을 변형할 수 있다. 커패시터를 방전시킴으로서, 탄성체층(1403)은 원래의 기하학적 형상으로 리턴되며, 이에 따라 도 14A에 기술된 바와같이 광 안내 기판(1401) 외부에 광을 결합할 수 있다. 화소들(1302)에 관한 추가 세부사항들은 여기에 참조문헌으로서 통합되는 미국특허 제5,319,491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를 다시 참조하면, 도 1은 단순한 리던던시(단일 백업 모듈)를 나타내는 구성을 도시하는 반면에 도 2는 이중 리던던시(1차 모듈을 백업하는 2차 및 3차 모듈을 사용함)을 가진 구성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1차 모듈(200)은 1차 백업 모듈(201)에 대하여 병렬로 이격된 관계에 있으며, 1차 백업 모듈(201)은 2차 백업 모듈(202)에 대하여 병렬로 이격된 관계를 가진다. 1차 및 2차 모듈들(203)간의 거리 및 2차 및 2차 모듈들(204)간의 거리는 도 1과 관련하여 이전에 기술된 기준을 만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리던던시 및 결함 허용오차의 임의 레벨로 본 발명을 일반화하고 있다. 1차 디스플레이(300)는 스택(301)의 마지막 모듈에 의하여 표현되는 리던던시의 최종 레벨을 통해 연결된 스택 시퀀스에서 그것에 이격된 관계(302)로 부가 디스플레이들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의 각 엘리먼트간의 공간(301)은 도 1에서 간극 공간에 대하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한다. 스택에서 임의의 모듈은 1차 디스플레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하나 이상의 모듈은 동일한 시간에 활성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적 불투명(블랙) 평면 배경을 추가한 도 1의 구성을 도시한다. 모듈(400)은 백업 모듈(401)에 대하여 병렬로 이격된 관계(403)를 가지는 반면에, 정적 불투명 평면 배경(402)은 백업 모듈(402)에 대하여 이격된 관계(404)를 가진다. 평면 배경(402)은 영구적으로 불투명한 것으로 고려되기 때문에 정적으로 불리며 불투명 및 투명 상태들사이에서 동적으로 시프트할 수 없다. 이는 동작중일때 도면부호 400에 대하여 그리고 활성화될때 도면부호 401에 대하여 구성에 대한 배경을 전체적으로 대비하여 구성에 공급된 비디오 신호로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동적 불투명(블랙) 평면 배경을 추가한 도 1의 구성을 도시한다. 1차 모듈(500)은 배경 모듈(502)에 대하여 병렬 이격된 관계를 가지는 반면에, 도면부호 500 및 502는 그들에 대하여 병렬 이격된 관계에 있는 연관된 불투명 평면 배경들(501, 503)을 가지며, 이에 따라 도면 부호 501는 도면부호 500 및 502사이에 배치되는 반면에 도면부호 503는 도면부호 501로부터 도면부호 502의 표면층상에 배치된다. 불투명 평면 배경(501)은 불투명 모드로부터 투명 모드로 동적으로 시프트할 수 있어야 하는 반면에, 도면부호 502는 정적 또는 동적 불투명 평면 배경일 수 있다. 도면부호 500이 동작중일때, 도면부호 501은 불투명(블랙) 모드일 수 있다. 도면부호 500이 실폐하거나 또는 비활성화되면, 엘리먼트(501)는 백업 모듈(502)이 도면부호들 500 및 501를 통해 보여지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하게 된다.
도 6은 도 1에서와 같이 단순한 리던던시 구성의 알고리즘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한다. 알고리즘은 도 4에서와 같이 정적 평면 배경이 통합되는 경우들에 적용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순한 리던던시 구성의 알고리즘(600)은 1차 디스플레이 실폐가 단계(601)에서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실폐가 검출되지 않으면, 오퍼레이터가 백업 디스플레이로의 복귀를 초기화하였는지에 관한 결정이 단계(602)에서 이루어진다. 만일 오퍼레이터가 백업 디스플레이로의 복귀를 초기화하지 않았으면, 단계(603)에서 시스템 클록은 오퍼레이터 명령들 및 1차 디스플레이 실폐 검출의 주기적 폴링을 초기화한다. 시스템 클록이 오퍼레이터 명령들 및 1차 디스플레이 결함 검출의 주기적 폴링을 초기화한 다음에, 1차 디스플레이 결함이 검출되었는지에 관한 결정이 단계(601)에서 이루어진다.
만일 1차 디스플레이 실폐가 검출되었다면, 1차 디스플레이는 휴지 및 투명 상태로 1차 디스플레이를 전환시키기 위하여 비활성화된다. 단계(603)를 참조하면, 만일 오퍼레이터가 백업 디스플레이로의 복귀를 초기화하면, 단계(604)는 휴지 및 투명 상태로 1차 디스플레이를 전환시키기 위하여 비활성화된다.
단계(605)에서, 2차 디스플레이는 활성화되고 비디오 신호들은 1차 디스플레이 대신에 2차 디스플레이로 라우팅된다.
동적 평면 배경들이 구현될때, 도 7의 수정된 알고리즘이 제공된다. 양 알고리즘들(도 6 및 도 7)이 용이하게 확장가능하며 이에 따라 도 2 및 도 3에 기술된 것과 같이 더 정교한 구성들을 위한 고수준의 시스템 리던던시를 조절하기 위하여 당업자에 의하여 수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동적 평면 배경이 구현되는 알고리즘(700)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한다. 단계(701)에서, 1차 디스플레이 실폐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실폐가 검출되지 않았다면, 오퍼레이터가 백업 디스플레이로의 복귀를 초기화하였는지의 여부가 단계(702)에서 결정된다. 만일 오퍼레이터가 백업 디스플레이로의 복귀를 초기화하지 않았다면, 시스템 클록은 오퍼레이터 명령들 및 1차 디스플레이 실폐 검출의 주기적 폴링을 초기화한다. 시스템 클록이 오퍼레이터 명령들 및 1차 디스플레이 실폐 검출의 주기적 폴링을 초기화한 다음에, 1차 디스플레이 실폐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1차 디스플레이 실폐가 검출되면, 단계(704)에서 1차 디스플레이 휴지 및 완전 투명 상태로 1차 디스플레이를 전환하기 위하여 비활성화된다. 단계(703)를 참조하면, 만일 오퍼레이터가 백업 디스플레이로의 복귀를 초기화한 경우에, 1차 디스플레이는 휴지 및 완전 투명 상태로 1차 디스플레이를 전환시키기 위하여 비활성화된다.
단계(705)에서, 1차 디스플레이의 동적 불투명 후방 층은 1차 디스플레이의 동적 불투명 후방 층이 투명하도록 비활성화된다. 게다가, 단계(705)에서, 2차 디스플레이의 동적 후방 층은 2차 디스플레이의 동적 후방층이 불투명하도록 비활성화된다.
단계(706)에서, 2차 디스플레이는 활성화되며 비디오 신호들은 1차 디스플레이 대신에 2차 디스플레이에 라우팅된다.
도 8은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하드웨어 분리가 다중-레벨 보안을 달성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상황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한다. 설명 목적으로, 모듈(800)이 "비분류"된 것으로 간주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배선에 의하여 연결되는 반면에, 모듈(801)은 "기밀"로 간주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배선에 의하여 연결되며, 모듈(802)은 "비밀"인 것으로 간주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배선에 의하여 연결된다. 삼중식 구성이 부분인 정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들이 활성화되고 활성화되지 않는 사용자 패드워드 분석에 의하여 결정하며, 이에 따라 센시티브 정보의 디스플레이에 가치있는 보안 레벨들의 하드웨어 분리를 제공한다. 병렬 이격된 관계들(803, 804)은 초기에 기술된 간극 거리들에 대한 기준을 따른다. 다른 모듈들에 대한 다른 클래스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이 이하에 기술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른 방법들로 정보의 다른 클래스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1500)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기술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계(1501)에서, 제 1모듈, 예컨대 모듈(800)(도 8)은 분 류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배선에 의하여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모듈은 사용자가 비분류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지정된 패스워드를 사용자가 입력하는 경우에만 비분류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배선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단계(1502)에서, 제 2모듈, 예컨대 모듈(810)(도 8)은 분류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배선에 의하여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모듈은 사용자가 분류된 정보를 검색하도록 지정된 패스워드를 사용자가 입력하는 경우에만 분류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배선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분류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패스워드는 사용자가 비분류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패스워드와 다를 수 있다.
단계(1503)에서, 제 3 모듈, 예컨대 모듈(802)(도 8)은 비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배선에 의하여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모듈은 사용자가 비밀 정보를 검색하도록 지정된 패스워드를 사용자가 입력하는 경우에만 비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배선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패스워드는 사용자가 비분류 및 분류된 정보를 검색하도록 하는 패스워드와 다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많은 모듈들(도면부호 900, 901 및 점선 형식으로 표시된 모듈들간의 모든 모듈들)로 구성된 임의의 복잡한 구성을 사용하는 가능성을 기술한다. 모듈들의 각각은 스택의 인접 대응물들과 함께 병렬 이격된 관계(902)를 가진다. 생성된 3차원 이미지들의 품질은 모듈들의 수에 비례하며 구성의 Z-축 입도를 한정하는 거리(902)에 반비례한다. 적절하게 인코딩된 정보를 사용하면, 이러한 구성을 사용하여 의사-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에 의하여 제안된 예는 구성을 포함하는 모듈(900 내지 901)의 평면 표면들에 수직한 중심축을 가진 고체 실린더이다. 구성을 포함하는 스택의 각각의 모듈은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대상물 및 모듈의 평면간의 교점의 라인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도면부호 900 및 901간의 모듈들은 실린더의 외부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광학 출력전력의 과도한 방향성은 구성의 제한치들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고체 대상물들의 적정 효과를 위반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순한(단일 레벨) 리던던시를 통합한 "현실 오버레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기술한다. 정상동작동안, 관찰자는 양 모듈들(1000, 1001)을 통해 세상을 본다. 모듈(1000)은 모듈을 통해 보는 실세상 이미지상에 중첩될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1차 디스플레이이다. 도면부호 1000상에서 나타나는 이와같이 디스플레이된 정보는 자문일 수 있거나 또는 타겟팅 레티클들, 디지털적으로 강화된 이미지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1000)이 실폐하거나 또는 관찰자에 의하여 해방되면, 모듈(1000)에 대하여 병렬 이격된 관계(1002)를 가지는 모듈(1001)은 활성화될 것이며, 관찰자는 도면부호 1000 및 1001를 통해 실세상을 다시 볼 것이나, 중첩된 정보는 도면부호 1000보다 오히려 1001의 표면으로부터 방사될 것이다. 규정에 의하여, 현실 오버레이 디스플레이 응용들은 여기에 기술된 다른 디스플레이 응용들에서 발견될 수 있는 바와같이 임의의 불투명 컴포넌트들을 통합하지 않는다.
도 11은 도 8를 참조로하여 설명된 바와같이 하드웨어 분리를 사용하여 다중-레벨 보안을 구현하는 방법(1100)의 흐름도와 관련된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다양한 용어들(로그인, 폴링 등)은 제한된 의미로 구성되지 않으나 시스템 보안과 관련한 당업자에게 넓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1101)에서, 로그인 플래그가 제 1보안 레벨에 대하여 세팅되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로그인 플래그가 제 1 보안 레벨에 대하여 세팅되지 않으면, 단계(1102)에서는 로그인 플래그가 제 1 보안 레벨에 대하여 세팅되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로그인 플래그가 제 1 보안 레벨에 대하여 세팅되면, 단계(1103)에서는 로그인 플래그가 제 3 보안 레벨에 대하여 세팅되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로그인 플래그가 제 3 보안 레벨에 대하여 세팅되지 않으면, 단계(1104)에서는 모든 보안 디스플레이들이 비활성화되며 로그인 모드로 복귀된다. 단계(1105)에서는 디스플레이들이 활성화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보안 플래그들을 세팅하도록 사용자가 시스템을 로그인한다. 디스플레이들이 활성화되는지를 결정하는 보안 플래그들을 세팅할때, 로그인 플래그가 단계(1101)에서 제 1 보안 레벨에 대하여 세팅되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로그인 플래그가 제 1 보안 레벨에 대하여 세팅되면, 단계(1106)에서는 보안 클리어런스의 제 1 레벨과 연관된 디스플레이(800)(도 8)가 활성화된다. 단계(1109)에서, 사용자는 시스템을 로그아웃하거나 또는 다른 세마포어가 비활성화를 위하여 플래그들을 활성화한다. 시스템을 로그아웃하거나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플래그를 활성화할때, 모든 보안 디스플레이들은 단계(1104)에서 비활성화되고 로그인 모드로 복귀된다.
만일 로그인 플래그가 제 2 보안 레벨에 대하여 세팅되면, 단계(1107)에서 보안 클리어런스의 제 2레벨과 연관된 디스플레이(801)(도 8)는 활성화된다. 단계(1109)에서, 사용자는 시스템을 로그아웃하거나 또는 다른 세미포아가 비활성화를 위하여 플래그들을 활성화한다. 시스템을 로그아웃하거나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플래그를 활성화할때, 모든 보안 디스플레이들은 단계(1104)에서 비활성화되고 로그인 모드로 복귀된다.
만일 로그인 플래그가 제 3 보안 레벨에 대하여 세팅되면, 단계(110)에서 보안 클리어런스의 제 2레벨과 연관된 디스플레이(1108)(도 8)는 활성화된다. 단계(1109)에서, 사용자는 시스템을 로그아웃하거나 또는 다른 세미포아가 비활성화를 위하여 플래그들을 활성화한다. 시스템을 로그아웃하거나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플래그를 활성화할때, 모든 보안 디스플레이들은 단계(1104)에서 비활성화되고 로그인 모드로 복귀된다.
도 12는 도 9에서 제안된 중첩된 디스플레이들의 다중도를 사용하여 의사-3차원 이미징을 구현하는 방법(1200)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이러한 시스템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대상물들의 표면 윤곽들에 비례하는 투사된 에너지들을 유지하기 위하여, 단지 대상물의 표면만이 생성된다. 디스플레이(900, 901)사이의 각각의 엘리먼트들에 의하여 형성된 가상 평면을 가진 표면의 교점은 도 9에 기술된 구성을 가진 각각의 엘리먼트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코딩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1201)에서, 디스플레이의 가상 평면을 가진 3-D 대상물의 표면의 교점은 도면부호 900(도 9) 및 도면부호 910(도 9)사이에 다중 배치된 각각의 디스플레이와 관련하여 결정된다. 단계(1202)에서는 계산된 교점이 존재하여 인코딩될 수 있는지가 결정된다.
만일 계산된 교점이 존재하여 인코딩될 수 있으면, 단계(1203)에서, 선택된 디스플레이의 가상평면 및 3-D 고체 대상물간의 교점 라인은 인코딩되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상에서 발생된다. 단계(1204)에서는 도면부호 900 및 901사이의 모든 디스플레이들이 폴링되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그러나, 만일 계산된 교점이 존재하지 않고 및/또는 인코딩될 수 없으면, 단계(1204)에서는 도면부호 900 및 도면부호 901간의 모든 디스플레이가 폴링되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도면부호 900 및 도면부호 901사이의 모든 디스플레이들이 폴링되지 않았다면, 단계(1201)에서, 디스플레이의 가상 평면을 가진 3-D 대상물의 표면의 교점은 도면부호 900 및 도면부호 901사이에 다중 배치된 각각의 디스플레이와 관련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만일 도면부호 900 및 901사이의 모든 디스플레이들이 폴링되었다면, 단계(1205)에서, 3-D 대상물들을 기술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프레임이 허용된다. 이미지 데이터의 프레임을 허용할때, 디스플레이의 가상 평면을 가진 3-D 대상물의 표면의 교점은 단계(1201)에서 도면부호 900 및 도면부호 901사이에 대중 배치된 각각의 디스플레이와 관련하여 결정된다.
비록 시스템 및 방법이 여러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될지라도, 본 발명은 여기에 기술된 특정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나 대안들, 수정들 및 균등물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Claims (35)

  1. 제 1시각적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면에 수직한 Z-축을 따라 적층된 구조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이격된 관계로 배치된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시각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거나 또는 휴지 상태로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이 뷰잉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활성화될때 상기 뷰잉된 이미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뷰잉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Z-축을 따라 적층된 구조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이격된 관계로 배치된 제 3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뷰잉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활성 상태에 있을때,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휴지 상태에서 시각적으로 투명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디스플레이 모듈은 임의의 시점에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임의의 시점에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Z-축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 말단 후방에 배치된 정적 불투명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Z-축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 말단 후방에 배치된 동적 불투명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적 불투명층은 불투명 시각적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투명 시각 상태로 비활성화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Z-축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 말단 후방에 배치된 불투명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사이에 배치된 동적 불투명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적 불투명층은 시각적 불투명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투명 시각 상태로 비활성화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그들의 X축 및 Y축을 따라 서로 거의 평행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들의 X축 및 Y축을 따라 서로 평행하지 않으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뷰잉된 이미지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뷰잉될 수 있도록 정렬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고 휴지 상태로 비활성화될 수 있는 제 1시각적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면에 수직한 Z-축을 따라 적층된 구조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이격된 관계로 배치되고,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고 휴지 상태로 비활성화될 수 있는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 및
    시각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이 뷰잉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활성화될때 상기 뷰잉된 이미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뷰잉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동작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Z-축을 따라 적층된 구조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이격된 관계로 배치된 제 3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모듈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고 휴지 상태로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뷰잉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활성화될때 상기 뷰잉된 이미지는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뷰잉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동작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임의의 시점에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단일 디스플레이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가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활성화될 때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휴지 상태에서 시각적으로 투명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동작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동작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Z-축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 말단 후방에 배치된 정적 불투명층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은 시각적으로 투명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동작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Z-축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 말단 후방에 배치된 동적 불투명층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적 불투명층은 불투명 시각적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투명 시각 상태로 비활성화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동작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불투명층을 불투명 시각상태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동작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불투명층을 투명 시각 상태로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동작 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Z-축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 말단 후방에 배치된 불투명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사이에 배치된 동적 불투명층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적 불투명층은 시각적 불투명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시각적 투명 상태로 비활성화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동작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동적 불투명층을 불투명 시각상태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동작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동적 불투명층을 시각적 투명상태로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동작 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휴지 상태에서 시각적으로 투명하며, 상기 동적 불투명층은 상기 비활성화된 시각적 투명 상태에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동작 방법.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 후방에 배치된 상기 불투명층은 동적 불투명층이며, 상기 동적 불투명층은 시각적 불투명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시각적 투명 상태로 비활성화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동작 방법.
  2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Z-축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모듈 말단 후방에 배치된 동적 불투명층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적 불투명층은 불투명 시각적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투명 시각 상태로 비활성화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동작 방법.
  2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Z-축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모듈 말단 후방에 배치된 불투명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사이에 배치된 동적 불투명층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적 불투명층은 시각적 불투명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시각적 투명 상태로 비활성화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동작 방법.
  26. 디스플레이 면을 가진 제 1시각적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면을 가진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면에 수직한 Z-축을 따라 적층된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면들은 X-Y 평면에서 동일하게 배열되지 않으며;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시각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거나 또는 휴지 상태로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이 뷰잉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활성화될때 상기 뷰잉된 이미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뷰잉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7. 제 26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면을 가진 제 3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Z-축을 따라 적층된 구조로 상기 제 2 디스 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이격된 관계로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면들은 동일한 X-Y 평면에서 정렬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면들은 X축 및 Y축을 따라 서로 거의 평행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면들은 X축 및 Y축을 따라 서로 평행하지 않으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뷰잉된 이미지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뷰잉될 수 있도록 정렬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30.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Z-축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 말단 후방에 배치된 동적 불투명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적 불투명층은 불투명 시각적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투명 시각 상태로 비활성화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31.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Z-축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 말단 후방에 배치된 불투명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사이에 배치된 동적 불투명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적 불투명층은 시각적 불투명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시각적 투명 상태로 비활성화될 수 있는, 디스플 레이 시스템.
  32.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Z-축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모듈 말단 후방에 배치된 동적 불투명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적 불투명층은 불투명 시각적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투명 시각 상태로 비활성화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33.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Z-축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모듈 말단 후방에 배치된 불투명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사이에 배치된 동적 불투명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적 불투명층은 시각적 불투명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시각적 투명 상태로 비활성화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34. Z-축을 따라 적층된 구조로 배치된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 ―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각각은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관계로 배치됨 ―; 및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각각은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평면간의 교점 라인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35. 제 1타입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이격된 관계로 배치된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 2 타입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타입의 정보는 제 1 패스워드의 수신시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제 2 타입의 정보는 제 2 패스워드의 수신시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067008065A 2003-10-03 2004-10-04 Z-축 리던던트 디스플레이 및 다층 디스플레이 KR200601102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78,789 US20050073471A1 (en) 2003-10-03 2003-10-03 Z-axis redundant display/multilayer display
US10/678,789 2003-10-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279A true KR20060110279A (ko) 2006-10-24

Family

ID=3439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065A KR20060110279A (ko) 2003-10-03 2004-10-04 Z-축 리던던트 디스플레이 및 다층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20050073471A1 (ko)
EP (1) EP1678579A4 (ko)
JP (2) JP2007507757A (ko)
KR (1) KR20060110279A (ko)
CN (1) CN1938750A (ko)
CA (1) CA2541157A1 (ko)
MX (1) MXPA06003697A (ko)
WO (1) WO200503634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0349A1 (ko) * 2012-05-29 2013-12-05 (주)코텍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5058B2 (en) * 2002-08-06 2014-05-06 Igt Reel and video combination machine
US7417782B2 (en) 2005-02-23 2008-08-26 Pixtronix,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patial light modulation
US20050073471A1 (en) * 2003-10-03 2005-04-07 Uni-Pixel Displays, Inc. Z-axis redundant display/multilayer display
US7511682B2 (en) 2004-05-03 2009-03-31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aware auxiliary display platform and applications
US7577771B2 (en) 2004-05-03 2009-08-18 Microsoft Corporation Caching data for offline display and navigation of auxiliary information
US7660914B2 (en) * 2004-05-03 2010-02-09 Microsoft Corporation Auxiliary display system architecture
US8310442B2 (en) 2005-02-23 2012-11-13 Pixtronix, Inc. Circuits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7999994B2 (en) 2005-02-23 2011-08-16 Pixtronix, In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thereof
US9261694B2 (en) 2005-02-23 2016-02-16 Pixtronix, In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thereof
US9229222B2 (en) 2005-02-23 2016-01-05 Pixtronix, Inc. Alignment methods in fluid-filled MEMS displays
US20070205969A1 (en) 2005-02-23 2007-09-06 Pixtronix, Incorporated Direct-view MEMS display devices and methods for generating images thereon
US8519945B2 (en) 2006-01-06 2013-08-27 Pixtronix, Inc. Circuits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8482496B2 (en) 2006-01-06 2013-07-09 Pixtronix, Inc. Circuits for controlling MEMS display apparatus on a transparent substrate
US9082353B2 (en) * 2010-01-05 2015-07-14 Pixtronix, Inc. Circuits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8159428B2 (en) 2005-02-23 2012-04-17 Pixtronix, Inc. Display methods and apparatus
US7755582B2 (en) 2005-02-23 2010-07-13 Pixtronix, Incorporated Display methods and apparatus
US7746529B2 (en) 2005-02-23 2010-06-29 Pixtronix, Inc. MEMS display apparatus
US9158106B2 (en) 2005-02-23 2015-10-13 Pixtronix, Inc. Display methods and apparatus
US8526096B2 (en) 2006-02-23 2013-09-03 Pixtronix, Inc. Mechanical light modulators with stressed beams
US20100090928A1 (en) * 2006-04-28 2010-04-15 Yasutoshi Maeda Liquid Craystal Display Device, its Driv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7876489B2 (en) 2006-06-05 2011-01-25 Pixtronix, Inc. Display apparatus with optical cavities
WO2008051362A1 (en) 2006-10-20 2008-05-02 Pixtronix, Inc. Light guides and backlight systems incorporating light redirectors at varying densities
US8210922B2 (en) 2006-11-13 2012-07-03 Igt Separable game graphics on a gaming machine
US8360847B2 (en) * 2006-11-13 2013-01-29 Igt Multimedia emulation of physical reel hardware in processor-based gaming machines
US8192281B2 (en) 2006-11-13 2012-06-05 Igt Simulated reel imperfections
US8357033B2 (en) 2006-11-13 2013-01-22 Igt Realistic video reels
CA2668936C (en) * 2006-11-13 2016-06-14 Igt Single plane spanning mode across independently driven displays
US7852546B2 (en) 2007-10-19 2010-12-14 Pixtronix, Inc. Spacers for maintaining display apparatus alignment
WO2008088892A2 (en) * 2007-01-19 2008-07-24 Pixtronix, Inc. Sensor-based feedback for display apparatus
US9176318B2 (en) 2007-05-18 2015-11-03 Pixtronix, Inc. Methods for manufacturing fluid-filled MEMS displays
US8506085B2 (en) 2007-08-28 2013-08-13 Dell Products, L.P. Methods and systems for projecting images
US8115698B2 (en) * 2007-08-28 2012-02-14 Dell Products, L.P.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 processing and display
US8115700B2 (en) * 2007-09-20 2012-02-14 Igt Auto-blanking screen for devices having multi-layer displays
US8248560B2 (en) 2008-04-18 2012-08-21 Pixtronix, Inc. Light guides and backlight systems incorporating prismatic structures and light redirectors
CA2763528C (en) * 2008-05-26 2015-10-27 Colin Gavrilenco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cross-sectional representations of an object
US20090313151A1 (en) * 2008-06-17 2009-12-17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Methods associated with projection system billing
US8602564B2 (en) * 2008-06-17 2013-12-10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ojecting in response to position
US20100066983A1 (en) * 2008-06-17 2010-03-18 Jun Edward K Y Methods and systems related to a projection surface
US8820939B2 (en) 2008-06-17 2014-09-02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Projection associated methods and systems
US20090310040A1 (en) * 2008-06-17 2009-12-17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Methods and systems for receiving instructions associated with user parameter responsive projection
US20090313153A1 (en) * 2008-06-17 2009-12-17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Systems associated with projection system billing
US20090309826A1 (en) * 2008-06-17 2009-12-17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Systems and devices
US20090313152A1 (en) * 2008-06-17 2009-12-17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Systems associated with projection billing
US20090310098A1 (en) * 2008-06-17 2009-12-17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Methods and systems for projecting in response to conformation
US8944608B2 (en) 2008-06-17 2015-02-03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ystem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projecting in response to conformation
US8936367B2 (en) * 2008-06-17 2015-01-20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ystem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projecting in response to conformation
US9480919B2 (en) * 2008-10-24 2016-11-01 Excalibur Ip, Llc Reconfiguring reality using a reality overlay device
US8169679B2 (en) 2008-10-27 2012-05-01 Pixtronix, Inc. MEMS anchors
US8890771B2 (en) 2010-01-06 2014-11-18 Apple Inc.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
CN102834763B (zh) 2010-02-02 2015-07-22 皮克斯特罗尼克斯公司 用于制造填充冷密封流体的显示装置的方法
EP2531997A1 (en) 2010-02-02 2012-12-12 Pixtronix Inc. Circuits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BR112012022900A2 (pt) 2010-03-11 2018-06-05 Pixtronix Inc modos de operação transflexivos e refletivos para um dispositivo de exibição
US8425316B2 (en) 2010-08-03 2013-04-23 Igt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play of a bonus game on a gaming machine and improving security within a gaming establishment
US8665176B2 (en) 2010-10-01 2014-03-04 Sony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US8953120B2 (en) 2011-01-07 2015-02-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US8749538B2 (en) 2011-10-21 2014-06-10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brightness of a display based on ambient lighting conditions
KR20130090616A (ko) * 2012-02-06 2013-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3578387A (zh) * 2012-08-09 2014-02-12 林锦墩 多层次影像显示器
GB2504936B (en) * 2012-08-13 2014-09-10 Electronic Temperature Instr Ltd A display assembly
US8952831B2 (en) 2012-12-07 2015-02-10 Sikorsky Aircraft Corporation Enhancement of cockpit external visibility
US9183812B2 (en) 2013-01-29 2015-11-10 Pixtronix, Inc. Ambient light aware display apparatus
KR102031349B1 (ko) 2013-02-21 2019-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양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공기전지, 및 양극의 제조방법
US9134552B2 (en) 2013-03-13 2015-09-15 Pixtronix, Inc. Display apparatus with narrow gap electrostatic actuators
US9135893B2 (en) * 2013-05-28 2015-09-15 Infineon Technologies Ag Display device
CN107315249B (zh) * 2013-11-27 2021-08-17 奇跃公司 虚拟和增强现实系统与方法
WO2015108313A1 (ko) * 2014-01-16 2015-07-23 박경제 2d-3d 병립 방식 표시장치
US10453371B2 (en) 2014-02-07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display with color and contrast enhancement
US10375365B2 (en) 2014-02-07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jection system with enhanced color and contrast
US10554962B2 (en) 2014-02-07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high transparency display for light field generation
US10565925B2 (en) 2014-02-07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ll color display with intrinsic transparency
WO2015135181A1 (zh) * 2014-03-13 2015-09-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虚拟机及虚拟机系统
US10042597B2 (en) * 2015-05-29 2018-08-07 Rockwell Collins, Inc. Redundant display system using emissive display
GB2550570B (en) 2016-05-20 2019-04-17 Ge Aviat Systems Ltd Vehicle display system with an overlaying display device
JP6679807B1 (ja) * 2016-12-23 2020-04-15 ニュートノイド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Newtonoid Technologies, Llc 多層インテリジェントガラス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システム
KR101919889B1 (ko) * 2017-05-31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CN110622056B (zh) * 2017-03-09 2022-04-29 安波福技术有限公司 多层显示系统中的内容重定向
JP2018185396A (ja) * 2017-04-25 2018-11-22 株式会社K工房 Ledディスプレイ
US10455225B2 (en) * 2017-05-12 2019-10-22 Pure Depth Limited Multi-layered display with interstitial layer air filter
FR3069343B1 (fr) * 2017-07-20 2019-08-02 Arcys Dispositif d'affichage securitaire
JP2019050298A (ja) * 2017-09-11 2019-03-28 東芝ホクト電子株式会社 発光パネル
TWI660202B (zh) * 2018-01-24 2019-05-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裸眼式立體顯示器以及立體影像的顯示方法
GB2573509B (en) * 2018-04-26 2020-09-02 Caterpillar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play redundancy on a machine
JP7067529B2 (ja) * 2019-05-16 2022-05-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594A (en) * 1976-07-05 1978-01-19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Electro-optical display unit
JPS5364559A (en) * 1976-11-22 1978-06-09 Seiko Epson Corp Multilayer display body for watches
US4231640A (en) * 1977-07-07 1980-11-04 Sharp Kabushiki Kaisha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4562433A (en) * 1980-09-02 1985-12-31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Fail transparent LCD display
US4485376A (en) * 1980-10-17 1984-11-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tacked liquid crystal display
JPS60186889A (ja) * 1984-03-07 1985-09-2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多層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FR2572812B1 (fr) * 1984-11-06 1987-03-06 Sintra Alcatel Sa Systeme de visualisation comprenant un ecran emissif transparent
JPS63254420A (ja) * 1987-04-13 1988-10-21 Hitachi Ltd 液晶表示素子
GB2211010B (en) * 1987-10-09 1991-07-17 Gp Electronics Ltd An improved liquid crystal display
JPH01149397A (ja) * 1987-12-07 1989-06-12 Ricoh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910017908A (ko) * 1990-03-14 1991-11-05 이헌조 El표시소자
US5319491A (en) * 1990-08-10 1994-06-07 Continental Typographics, Inc. Optical display
DE4407855B4 (de) * 1994-01-29 2006-03-16 Siemens Ag Anzeigeeinheit
US5745197A (en) * 1995-10-20 1998-04-28 The Aerospace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real-image volumetric display system and method
US5999307A (en) * 1997-09-04 1999-12-07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able frustration of total internal reflection
JP4187809B2 (ja) * 1997-09-08 2008-11-26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小型電子機器
JP2000172201A (ja) * 1998-12-04 2000-06-23 Aroaro Internatl:Kk 三次元表示装置
CN1156730C (zh) 1998-12-15 2004-07-07 西铁城钟表株式会社 电子设备
JP3478192B2 (ja) * 1999-08-20 2003-12-15 日本電気株式会社 画面重畳表示型情報入出力装置
JP2001134221A (ja) * 1999-09-13 2001-05-18 Asulab Sa 2つの重なり合った表示装置を含む表示アセンブリ
US6307663B1 (en) * 2000-01-26 2001-10-23 Eastman Kodak Company Spatial light modulator with conformal grating device
JP2004029750A (ja) * 2002-05-09 2004-01-29 Pioneer Electronic Corp 立体表示装置及び方法
US20050073471A1 (en) * 2003-10-03 2005-04-07 Uni-Pixel Displays, Inc. Z-axis redundant display/multilayer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0349A1 (ko) * 2012-05-29 2013-12-05 (주)코텍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78579A4 (en) 2008-10-22
WO2005036343A3 (en) 2006-09-21
US20050073471A1 (en) 2005-04-07
CA2541157A1 (en) 2005-04-21
JP2007507757A (ja) 2007-03-29
MXPA06003697A (es) 2006-06-20
US20070091011A1 (en) 2007-04-26
US7999759B2 (en) 2011-08-16
CN1938750A (zh) 2007-03-28
EP1678579A2 (en) 2006-07-12
JP2011085941A (ja) 2011-04-28
US20120007795A1 (en) 2012-01-12
WO2005036343A2 (en)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0279A (ko) Z-축 리던던트 디스플레이 및 다층 디스플레이
KR101263697B1 (ko) 렌티큘러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US4994794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EP1003145A2 (en) Virtual display system for producing a continuous virtual image
JP2013182121A (ja) 表示装置
US20180259782A1 (en) Content Redirection in a Multi-Layered Display System
US20070141538A1 (en) Simulator utilizing a high resolution visual display
JP2008015359A (ja) 再帰性反射材、投影装置、航空機、および航空機用シミュレータ
KR2014014672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패널
JP2019133028A (ja) 表示装置
US7871270B2 (en) Deployable training device visual system
Bohdal Devices for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KR20150048528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액정 렌즈 패널
Karar et al. Attention tunneling: effects of limiting field of view due to beam combiner frame of head-up display
CN112946910A (zh) 一种具有裸眼3d显示效果的仪表
EP4361716A2 (en) Spatially addressable adjustable optical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Nishimura et al. Proposal of moire-free aerial display based on the LED panel and apertured retro-reflector
GB2306835A (en) Display device with three dimensional effect
CN110858464A (zh) 多视角显示装置与操控模拟机
JP5045917B2 (ja) 立体ディスプレイ
WO2003077010A1 (en) Display system for producing a virtual image
CN210837087U (zh) 成像装置和成像系统
KR102642697B1 (ko) 뷰-말단 표시자를 갖는 멀티뷰 디스플레이 시스템, 멀티뷰 디스플레이 및 방법
JP2023118000A (ja) 表示装置
Yano et al. AiRound: a touchable mid-air image viewable from 360 degre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