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065A - 핑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로밍 방법 - Google Patents

핑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로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065A
KR20060110065A KR1020050032230A KR20050032230A KR20060110065A KR 20060110065 A KR20060110065 A KR 20060110065A KR 1020050032230 A KR1020050032230 A KR 1020050032230A KR 20050032230 A KR20050032230 A KR 20050032230A KR 20060110065 A KR20060110065 A KR 20060110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wcdma
cdm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1075B1 (ko
Inventor
노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2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075B1/ko
Priority to CN200610076756XA priority patent/CN1856171B/zh
Priority to US11/406,606 priority patent/US7486964B2/en
Publication of KR20060110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065A/ko
Priority to HK07104493.7A priority patent/HK1097389A1/xx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5Contro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location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들 사이의 약전계에서 발생하는 핑퐁(Ping-Po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해당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모뎀 간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를 구현하여 로밍하고자 하는 대상 모뎀을 통해 측정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가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한해 대상 모드로 로밍을 수행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해서 현재의 모드를 유지한다.
핑퐁, WCDMA, CDMA, 약전계

Description

핑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로밍 방법{METHOD ROAMING OF DUAL MODE TERMINAL PREVENTABLE PING PONG SITUATION}
도 1은 일반적인 CDMA 망과 WCDMA 망 시스템들이 설치된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의 내부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약전계 상태를 고려한 로밍 수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WCDMA 모뎀과 CDMA 모뎀 간에 송수신되는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로밍 시 서로 다른 두 모뎀 간에 메시지 송수신 흐름도.
본 발명은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로밍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들 사이의 약전계에서 발생하는 핑퐁(Ping-Po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로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 시스템은 이미 서비스 지역이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기반 시설이 완비되어 있다. 그러나, CDMA 시스템과 같은 2세대망에서 지원할 수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 시스템과 같은 3세대망이 차츰 도입되고 있으며, 과도기적으로 이러한 2세대망의 기반 시설을 이용하면서 3세대망이 설치된 영역에서는 3세대망의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듀얼모드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양쪽 기술(WCDMA 및 CDMA) 모두에서 동작될 수 있는 이동단말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야할 필요성에 의해 WCDMA 및 CDMA를 동시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기(dual mode user equipment or dual mode mobile terminal)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두 가지 모드를 구비한 하나의 듀얼모드 단말기는 상기 두 가지 모드에 대하여 최적으로 호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술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 중 단말기 내부에서 WCDMA 모드와 CDMA 모드 사이를 전환할 때 요구되는 로밍에 관한 기술이 있다.
일반적으로 로밍(Roaming) 기능은 듀얼모드 단말기가 WCDMA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에서 WCDMA 모드로 동작하다가 이 지역을 벗어나게 되면 CDMA 모드로 전환하는 등의 CDMA와 WCDMA 두 모드간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그러면 일반적인 CDMA 망과 WCDMA 망 시스템들이 설치된 영역에서의 로밍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CDMA 망과 WCDMA 망 시스템들이 설치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CDMA 망과 WCDMA 망 시스템들이 설치된 지역은 크게 CDMA 서비스만 가능한 CDMA 단독 지역과 CDMA 서비스 뿐만 아니라 WCDMA 서비스도 동시에 지원가능한 중첩 지역으로 나뉜다.
듀얼모드 단말기(10)는 WCDMA 망 즉, 중첩지역(30)에서 WCDMA 모드로 동작하다가 CDMA 단독 지역(40)에 진입하면 WCDMA 기지국이 발견되지 않으므로 CDMA 기지국을 탐색한 후, CDMA 기지국이 발견되면 CDMA 모드로 전환하여 로밍을 완료한다. 이와 반대로 중첩지역(30)로 진입하게 되면 CDMA 모드로 동작중인 듀얼모드 단말기(10)는 소정 조건에 따라 다시 WCDMA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로밍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WCDMA 모드로 동작하는 듀얼모드 단말기(10)는 그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면 CDMA 모드로 로밍한다. 이와 같이 WCDMA 서비스가 가능한 중첩지역인지 CDMA 서비스만 가능한 지역인지의 판단은 CDMA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파라미터를 통해 알 수 있으며, 이러한 판단은 듀얼모드 단말기(10)가 CDMA 모드 상태일 경우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CDMA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시스템 파라미터를 통해 WCDMA 중첩지역(30)임이 확인되면, CDMA 모드로 동작중이던 듀얼모드 단말기(10)는 일정 시간마다 WCDAM로 로밍을 시도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는 듀얼모드 단말기(10)가 WCDMA 영역 중에서 CDMA 망과 근접한 경계 셀(20)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듀얼모드 단말기(10)는 중첩지역(30)과 CDMA 단독지역(40)과의 경계에서 WCDMA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파라미터를 수신하면, CDMA 망(4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즉, CDMA 망과의 통신을 수행하 게 된다. 하지만, 도면부호 50에 의해 지시되는 빗금친 영역에서 CDMA 망의 신호 세기가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약전계로 판단되는 경우 듀얼모드 단말기(10)는 다시 WCDMA 망(3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하지만, WCDMA 망(3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도 설정된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는 CDMA 망(40)으로 다시 로밍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따라서, CDMA 망의 수신 세기가 약한 일부 영역 즉, 음영지역(50)을 통과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WCDMA 망(30)에서 CDMA 망(40)으로 로밍을 수행하여 핸드오버 절차를 반복하는 핑퐁(Ping-pong)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반대로 WCDMA 약전계 지역에서는 CDMA 모드로 동작중이던 듀얼모드 단말기(10)가 일정 시간마다 WCDMA 망으로 로밍을 시도하여 그 WCDMA 망으로 핸드오버하지 못하게 되면, 다시 CDMA 망으로 되돌아오는 핑퐁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약전계 지역에서 듀얼모드 단말기가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로밍을 시도했을 때, 로밍하고자 하는 망으로 모드를 전환하지 못하면 다시 상기 어느 하나의 모드로 되돌아오는 핑퐁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망 간에 반복적인 로밍을 수행하는 경우 듀얼모드 단말기의 오동작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WCDMA 방식에서는 셀을 검색하는 방법에 따라 풀 서칭(Full-searching)에 들어갈 경우 약 20초에서 최대 2분 정도까지 듀얼모드 단말기가 시스템 전환 상태에 머무르게 된다. 이에 따라 그 동안 서비스를 사용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 금 통신 서비스에 따른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들 사이의 약전계에서 발생하는 핑퐁(Ping-Po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로밍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들 간 로밍 시 핑퐁현상을 방지하여 시스템 전환상태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로밍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동 통신 방식으로 서비스가 가능한 제 1 모뎀과 제 2 모뎀을 구비하며, 핑퐁(Ping-Po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로밍 방법에 있어서, 제 1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통해 현 위치가 서비스 중첩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중첩 지역인 경우 상기 모뎀 간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를 통해 소정 시간 후 상기 제 2모뎀의 전원을 온 시키는 과정과,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제 2모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제 2통신망 음영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 결과 제 2통신망 음영 지역인 경우 현재 모드를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들 사이의 약전계에서 발생하는 핑퐁(Ping-Po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해당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모뎀 간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를 구현하여 로밍하고자 하는 대상 모뎀을 통해 측정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가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한해 대상 모드로 로밍을 수행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해서 현재의 모드를 유지한다.
이하, 이러한 기능이 구현된 듀얼모드 단말기의 구성 요소 및 그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의 내부블록 구성도이다.
먼저, CDMA 모드 및 WCDMA 모드를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기(200)는 크게 해당 모드에 따른 동작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CDMA 모뎀(210)과 WCDMA 모뎀(22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로 구성된다. 이러한 각각의 모뎀(210, 220)은 제어부(240)와 하드웨어 통신 경로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제어부(240)의 통신 포트는 스위치(230)를 사용하여 CDMA 모뎀(210) 또는 WCDMA(22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제어부(240)와 각 모뎀(210, 220)은 이 스위치(230)을 통해 1:1로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듀얼모드 단말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데, 단말기(200)는 CDMA 신호 및 WCDMA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290), 이 안테나 단을 통해 송수신되는 CDMA 신호 및 WCDMA 신호를 분리하는 듀플렉서(Diplexer)(280), CDMA 신호 및 WCDMA 신호를 각각 처리하기 위한 각각의 RF부(260, 270), 이 각각의 RF부(260, 270)로 송수신되는 신호들을 해당 처리 모듈을 통해 프로세싱하는 각각의 모뎀(210, 220)과, 제어부(240)와 각 모뎀(210, 220) 사이에 통신을 위한 스위치(230)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써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칩인 제어부(240)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200) 내부에는 CDMA 모뎀(210)과 WCDMA 모뎀(220)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통신 경로(250)가 구현된다. 이 때, CDMA 모뎀(210) 및 WCDMA 모뎀(220)은 단일 칩으로 구성된 모뎀 칩이거나 칩 내의 DSP일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에서의 듀얼모드 단말기(200) 구조는 단일 안테나일 경우에 필요한 각 구성부들을 구현한 예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단말기(200)가 WCDMA 망에 위치할 경우에는 CDMA RF(260) 및 CDMA 모뎀(210)은 일시적으로 전원 오프된 상태가 되며, 이와 반대로 안테나(290), 듀플렉서(280), WCDMA RF(270) 및 WCDMA 모뎀(220)은 전원 온 상태가 되고, 그 WCDMA 모뎀(220)은 제어부(240)와 스위치(230)를 통해 연결되므로 단말기(200)는 WCDMA 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단말기(200)가 CDMA 망에 위치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반대로 전원 상태가 바뀌게 되어 CDMA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모뎀들(240, 250)은 부팅된 후에 현재 접속 중인 셀 의 신호 품질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 신호 품질은 CDMA일 경우에는 파일럿의 세기인 Ec/Io 와 수신 신호 세기(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반면에 WCDMA일 경우에는 파일럿의 세기인 Ec/Io 와 수신 신호 세기 뿐만 아니라 파일럿 세기와 수신 신호 세기의 보정값인 RSCP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스위치(330)를 통해 하나의 모뎀에만 1:1로 연결되기 때문에, 연결되지 않은 모뎀이 전원이 켜질더라고 그 동작 상태를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제어부(240)와 연결되지 않은 모뎀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240)와 각 모뎀(210, 220) 사이의 스위치(230)를 이용한 통신 경로 이외에 CDMA 모뎀(210)과 WCDMA 모뎀(220) 간을 직접 연결하는 새로운 통신 경로(250)을 구현한다. 이러한 통신 경로(250)는 하드웨어적으로 예컨대, 시리얼 포트 형식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이 통신 경로(250)를 이용한다면 듀얼모드 단말기(200)가 CDMA 모드로 동작하더라도 WCDMA 중첩지역에서 WCDMA 모뎀(220)을 전원 온 시켜 WCDMA 모뎀(220)으로부터 직접 현재의 WCDMA 시스템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또한 WCDMA 수신 신호 세기의 보정값인 전계 강도(RSCP)도 얻을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약전계 상태를 고려한 로밍 수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초기에 듀얼모드 단말기가 CDMA 모드로 동작중이면, CDMA 망을 탐색하 면서 탐색 신호의 전계 강도(RSCP)를 측정하여 CDMA 망에 접속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CDMA 신호를 탐색한다. 하지만, CDMA 접속 상태에서 CDMA 신호가 탐색되지 않는 경우 타이머를 구동하면서 소정 시간 내에 CDMA 신호가 발견되는지 확인한다. 이에 따라 소정 시간 내에 CDMA 신호가 발견되면 CDMA 망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CDMA 망 접속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듀얼모드 단말기는 300단계에서와 같이 CDMA 대기 모드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듀얼모드 단말기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CDMA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파라미터를 통해 현 위치를 판단하고, 320단계에서 현 위치가 WCDMA 중첩 지역인지를 판단한다. 판 단 결과 WCDMA 중첩 지역으로 확인된 경우 듀얼모드 단말기는 330단계로 진행하여 시스템에서 정해진 소정 시간 예컨대, T초 후 WCDMA 모뎀의 전원을 온 시킨다. 그리고나서 듀얼모드 단말기는 340단계로 진행하여 WCDMA 모뎀을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그 신호의 보정값인 전계 강도(RSCP)를 모뎀 간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CDMA 모뎀 또는 제어부로 전달한다.
그러면 듀얼모드 단말기의 CDMA 모뎀은 350단계에서 소정 시간동안 예컨대, N초동안 WCDMA 모뎀으로부터 측정된 값을 읽어와서 측정된 신호 세기가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측정된 신호 세기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듀얼모드 단말기는 36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의 CDMA 모드를 WCDMA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반대로 측정된 신호 세기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듀얼모드 단말기는 370단계로 진행하여 전원 온 시켰던 WCDMA 모뎀의 구동을 중지하고 즉, 전원 오프시킨 후 38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의 CDMA 대기 모드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CDMA 모드로 동작하던 듀얼모드 단말기가 WCDMA 중첩 지역에 진입하여 WCDMA로 로밍을 시도할 때 WCDMA 망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 시스템 전환상태를 바로 수행하지 않는다. 대신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는 소정 시간 동안 측정되는 WCDMA 망의 탐색 신호의 세기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 한해 안정적으로 로밍을 수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WCDMA와 CDMA간의 로밍 혼잡 지역에서 특정의 한 시스템 접속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로밍 핑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의 모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다가 로밍이 완료된 이후에 다른 모드로 바로 전환함으로써, 소정 시간동안 모드 전환 중이라는 화면만을 계속적으로 출력하는 등의 로밍 실패에 따른 서비스 중단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실제적으로 두 모뎀 간에 통신 경로를 통해 핑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로밍이 이루어지는 동작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두 모뎀 사이의 통신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이 예로써, 두 모뎀은 서로 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패킷을 통해 명령을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WCDMA 모뎀과 CDMA 모뎀 간에 송수신되는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4a를 참조하면, 헤더(header)(S400)는 송수신되는 패킷의 종류를 나타내며 그 크기는 1바이트로서 최대 255가지 종류의 메시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길이(Length)(S410)는 최대 2바이트의 값을 가지며 실제적인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어, 데이터(data)(S420)는 패킷에 따른 데이터를 나타내며 그 크기는 가변적이며 최대 65535바이트로 제한된다. 여기서, 도 4a는 WCDMA 모뎀과 CDMA 모뎀 간에 일반적으로 송수신되는 패킷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로밍하고자 하는 대상 모뎀으로부터 현재의 모뎀으로 전달되는 수신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패킷 구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CDMA 모뎀이 WCDMA 모뎀으로 도 4a의 패킷 구조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 세기 측정 요청을 전달하면, 이에 대응하여 WCDMA 모뎀에서는 도 4b의 패킷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헤더와 수신 신호 세기로 이루어지는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한편, WCDMA 모뎀의 수신 신호 세기 측정값을 가져오기 위해 WCDMA 모뎀과 CDMA 모뎀에서 서로 주고받는 메시지의 헤더를 표현하면 표 1 및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5020211117-PAT00001
Figure 112005020211117-PAT00002
상기 표 1은 WCDMA 모뎀에서 CDMA 모뎀으로 정보를 주기위한 패킷 헤더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표 2는 CDMA 모뎀에서 WCDMA 모뎀으로 정보를 주기 위한 패킷 헤더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러한 패킷을 사용해서 서로 다른 모뎀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크게 4가지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INF 메시지는 Inform의 약자로서 자신의 모뎀 칩 상태를 다른 모뎀으로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를 뜻하며, ACK 메시지는 Acknowledge의 약자로서 상기 INF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이며, CMD 메시지는 Command의 약자로서 하나의 모뎀 칩에서 다른 모뎀 칩으로 전달되는 명령 메시지이며, RSP는 Response의 약자로 상기 명령 메시지에 대한 결과를 전송하는 메시지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정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경로를 통해 WCDMA 약전계에서 핑퐁 현상으로 서비스 중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상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로밍 시 서로 다른 두 모뎀 간에 메시지 송수신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밍 과정은 로밍이 요구되는 시점에 상호 모뎀 칩 간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를 통해 로밍하려는 대상 모뎀의 전원을 온 시킨 후, 그 대상 모뎀을 통해 측정되는 수신 신호 세기를 통해 로밍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파악하여 안정적인 로밍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에 한해 로밍을 수행한다. 이 때, 로밍 조건은 그 대상 모뎀에서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이를 이용한 탐색 신호의 전계 강도가 임계값 이상이어야 하며, 이러한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가지는 전계 강도가 소정 시간동안 측정되어야 함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WCDMA와 CDMA 간에 로밍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CDMA 대기 모드로 동작중이던 듀얼모드 단말기는 소정 조건에 따라 WCDMA 중첩 지역이라고 판단되면 400단계에서 로밍을 시작하기 위한 로밍 초기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CDMA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파라미터를 통해 현 위치가 WCDMA 중첩 지역임을 판단한다.
이와 같이 로밍을 시작하게 되면 CDMA 모뎀(220)은 405단계에서 소정 시간 예컨대, T초 후 WCDMA 모뎀(210)을 전원 온 하라는 요청을 제어부(240)에 전달한다. 이 요청에 대응하여 제어부(240)는 410단계에서 WCDMA 모뎀(220)으로 WCDMA 모듈을 전원 온 하라는 명령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WCDMA 모뎀(220)의 전원이 켜지게 되고 로밍 준비를 완료하기 전에 시스템에 등록한 후 대기 상태로 진입함으로써 로밍할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WCDMA 모뎀(220) 내부에서 415단계에서와 같이 전원이 켜진 후 대기 상태로 전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대기 상태로 전환되면, WCDMA 모뎀(220)은 420단계에서 통신 경로를 통해 CDMA 모뎀으로 자신의 상태를 알리는 패킷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알림 메시지는 INF 메시지인 HM_SIO_INTERCHIP_FROM_W_TO_1X_INF_CHIP_ON가 전달되는 것으로 로밍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것이다. 그러면 CDMA 모뎀(210)은 425단계에서 이를 확인했다는 HM_SIO_INTERCHIP_FROM_1X_TO_W_ACK_CHIP_ON라는 ACK 메시지를 WCDMA 모뎀(220)에 전달한다. 이와 동시에 CDMA 모뎀(210)은 WCDMA 모뎀(220)이 로밍할 준비가 완료된 상태임을 제어부(240)로도 알릴 수 있다.
그리고나서 CDMA 모듈(210)은 430단계에서 수신 신호 세기의 측정을 요구하는 패킷 메시지를 통신 경로를 통해 직접 WCDMA 모뎀(220)으로 전달한다. 이에 대응하여 WCDMA 모뎀(220)은 435단계에서 WCDMA 망을 탐색하여 탐색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440단계에서 그 측정된 결과값을 나타내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킷을 통신 경로를 통해 측정을 요청한 CDMA 모뎀(21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그 측정된 결과값이 포함된 패킷은 수신 신호 세기의 보정값인 탐색 신호의 전계강도(RSCP)를 나타낸다. 그러면 CDMA 모뎀(210)은 445단계에서 측정 결과값이 소정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이 때, CDMA 모뎀(210)은 WCDMA 모뎀(220)으로부터 측정 결과값을 소정 시간 예컨대, N초 동안 반복적으로 읽어온다. 이러한 측정 결과값과 임계값의 비교 과정을 반복적으로 소정 시간 동안 수행하여 듀얼모드 단말기가 현재 망과의 접속을 유지할 것인지 다른 망과의 접속을 설정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N초 동안 WCDMA 모뎀(220)으로부터 전달된 측정 결과값이 계속해서 임계값 이상인 경우 CDMA 모뎀(210)은 WCDMA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CDMA 모뎀의 전원 오프 요청 메시지를 제어부(24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240)는 455단계에서 CDMA 모뎀(210)과의 스위치 연결을 해제하고, 460단계에서 WCDMA 모뎀(220)과의 스위치 연결을 설정한다. 그리고나서 제어부(240)는 465단계에서 CDMA 모뎀(210)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모드 단말기가 로밍 핑퐁이 발생하는 지역에 위치할지라도 소정 시간동안 로밍 대상 모뎀으로부터 측정되는 탐색 신호의 세기를 통해 WCDMA 신호가 약한 약전계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WCDMA 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반대로 WCDMA 약전계라고 판단되면, 듀얼모드 단말기는 그대로 현재의 CDMA 모드를 유지하다가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WCDMA로 로밍을 재시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WCDMA와 CDMA간의 로밍 혼잡 지역에서 특정의 한 시스템 접속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로밍 핑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WCDMA 약전계 지역에서 CDMA에서 WCDMA로 로밍을 시도하여 실패한 경우 서비스가 약 1 ~ 2분 동안 끊기는 핑퐁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밍에 따라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는 상태였다가 실패하게 되면 원래 모드로 되돌아오는 것이 아니라 로밍하고자 하는 곳에서의 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현재의 모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거나 바로 다른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서로 다른 이동 통신 방식으로 서비스가 가능한 제 1 모뎀과 제 2 모뎀을 구비하며, 핑퐁(Ping-Po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로밍 방법에 있어서,
    제 1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통해 현 위치가 서비스 중첩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중첩 지역인 경우 상기 모뎀 간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를 통해 소정 시간 후 상기 제 2모뎀의 전원을 온 시키는 과정과,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제 2모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제 2통신망 음영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 결과 제 2통신망 음영 지역인 경우 현재 모드를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판단 결과 제 2통신망 음영 지역이 아닌 경우 상기 제 2통신망으로의 모드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은 CDMA 망 및 WCDMA 망에 각각 대응하는 망이며, 상기 제 1모뎀 및 제 2모뎀은 상기 CDMA 망 및 WCDMA 망을 통해 각각 송수신되는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하는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모뎀의 전원을 온 시키는 과정은
    상기 제 1모뎀에서 상기 제 2모뎀으로 전원 온 요청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온 요청 패킷은
    송수신되는 패킷의 종류를 나타내는 헤더, 실제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길이, 패킷에 따른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패킷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통신망 음영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제 2모뎀이 상기 제 2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 1모뎀이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2모뎀으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의 보정값(RSCP)을 읽어들이는 과정과,
    상기 읽어들인 측정 결과값이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 결과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통신망 음영 지역으로 판단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판단 결과 제 2통신망 음영 지역인 경우 상기 제 2모뎀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시스템 파라미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32230A 2005-04-19 2005-04-19 핑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 KR101151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230A KR101151075B1 (ko) 2005-04-19 2005-04-19 핑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
CN200610076756XA CN1856171B (zh) 2005-04-19 2006-04-18 在能防止乒乓现象的双模移动终端中执行漫游的方法
US11/406,606 US7486964B2 (en) 2005-04-19 2006-04-19 Method for performing roaming in dual mode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eventing ping-pong phenomenon
HK07104493.7A HK1097389A1 (en) 2005-04-19 2007-04-27 Method for performing roaming in dual mode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eventing ping-pong phenomen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230A KR101151075B1 (ko) 2005-04-19 2005-04-19 핑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065A true KR20060110065A (ko) 2006-10-24
KR101151075B1 KR101151075B1 (ko) 2012-06-01

Family

ID=3710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230A KR101151075B1 (ko) 2005-04-19 2005-04-19 핑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86964B2 (ko)
KR (1) KR101151075B1 (ko)
CN (1) CN1856171B (ko)
HK (1) HK10973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088B1 (ko) * 2005-11-23 2007-09-1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멀티밴드-멀티모드(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멀티밴드-멀티모드(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7432A (ja) * 2005-04-19 2008-09-11 エスケーテレコム株式会社 デュアルバンド/デュアルモードを支援する移動通信端末のハンドオーバ方法
US9125107B1 (en) * 2008-06-20 2015-09-01 Sprint Spectrum L.P. Use of ping-pong border location as approximated mobile station location
KR20100103979A (ko) * 2009-03-16 201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전원 공급에 따른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장치
US8280408B2 (en) * 2009-07-17 2012-10-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tailoring advertisements to a user based on actions taken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3090069A (ja) * 2011-10-14 2013-05-13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td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端末装置制御方法
US20130326131A1 (en) * 2012-05-29 2013-12-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Security Context Switching and Management in a High Performance Security Accelerator System
CN103327555A (zh) * 2013-06-05 2013-09-25 天翼电信终端有限公司 双模终端设备网络模式切换方法及双模终端设备
CN103298075B (zh) * 2013-06-05 2015-12-02 天翼电信终端有限公司 双模终端快速选网的方法
CN105594296B (zh) * 2013-12-30 2018-11-27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天线切换方法
KR102207866B1 (ko) * 2014-04-01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119916B2 (en) 2018-08-13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ystem for adaptively adjusting allocation of memory area and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8117B1 (en) * 2000-01-07 2002-08-20 Qualcomm Incorporated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for handover in a hybrid GSM/CDMA network
GB2396080B (en) * 2002-11-26 2006-03-01 Nec Technologies Improvements in standby time for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100810332B1 (ko) * 2002-12-05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이동통신시스템들 사이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100548323B1 (ko) * 2003-02-11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 대역 이중 모드 단말기의 음영지역 처리 방법
JP4250991B2 (ja) * 2003-03-27 2009-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20050070272A1 (en) * 2003-09-26 2005-03-31 Vassos Marangos Dual-radio cellular telephone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560845B1 (ko) 2003-10-09 2006-03-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m-mb 단말기의 모뎀 간 절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088B1 (ko) * 2005-11-23 2007-09-1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멀티밴드-멀티모드(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멀티밴드-멀티모드(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56171A (zh) 2006-11-01
CN1856171B (zh) 2011-04-06
US7486964B2 (en) 2009-02-03
HK1097389A1 (en) 2007-06-22
KR101151075B1 (ko) 2012-06-01
US20060234710A1 (en)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075B1 (ko) 핑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
KR101110486B1 (ko) 멀티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트래픽 핸드오버 제어 장치 및방법
US8345626B2 (en) Handover method for minimizing packet call reconnection delay time between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schemes and multi-mode terminal for the same
US8068446B2 (en) Method of efficiently processing dormant state in packet service and multi-mode terminal for the same
KR100606103B1 (ko) 서로 다른 통신망 간의 ps호의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
CN101056440B (zh) 用于确定分组服务的重连时间点的方法和设备
EP1453343B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handover
US8848652B2 (en) Method and multimode terminal for minimizing mute interval
EP1643789A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CN110267315B (zh) 网络连接控制方法、系统、智能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030031150A1 (en) Dual network modem
KR1010855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 오프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개선된 sim 카드 액세스 장치 및 방법
JP2006512870A (ja) 1xEV−DOシステムから1Xシステムへの転換を1xEV−DOシステムに通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072940B2 (en) Controlling method and data call handover method for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75699B1 (ko)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배터리 상태를 고려한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기
KR20060110066A (ko) 서로 다른 이동 통신 방식 간에 효율적인 로밍 방법 및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
KR1007843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 전류 절약 장치 및 방법
US20060083203A1 (en) Method of successively providing packet data service in a dual-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264993B2 (en) Method for minimizing current consumption at handover in multimode terminal and terminal for use in the same
KR20030065232A (ko)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망과 무선 랜망간 끊김없는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복합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037079B1 (ko)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아이들 핸드오버 방법
KR100724976B1 (ko) 서로 다른 이동 통신 방식 간에 효율적인 핸드오버 방법 및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