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973A - 행잉 장치 - Google Patents

행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973A
KR20060109973A KR1020067013051A KR20067013051A KR20060109973A KR 20060109973 A KR20060109973 A KR 20060109973A KR 1020067013051 A KR1020067013051 A KR 1020067013051A KR 20067013051 A KR20067013051 A KR 20067013051A KR 20060109973 A KR20060109973 A KR 20060109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member
hanging device
retaining
base
front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웬즐러 미첼
Original Assignee
제임스 웬즐러 미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758,556 external-priority patent/US6964342B2/en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 웬즐러 미첼 filed Critical 제임스 웬즐러 미첼
Publication of KR2006010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47G25/50Hooks on hangers for supporting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57Wall-mounted trouse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47F5/0884Show stands with clips or slits to attach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9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행잉 장치는 벽에 연결될 수 있는 베이스를 갖는다. 복수의 수평으로 배치된 리테이너가 베이스의 전방면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각각의 리테이너는 서로를 향해 편향된 한 쌍의 리테이너 부재를 포함한다. 부재들은 그들 사이에 의복과 같은 걸리게 될 물품의 삽입을 즉시 허용하도록 서로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변위되도록 구성된다.
후방면, 전방면, 베이스, 제1 및 제2 보유 부재, 편향 수단

Description

행잉 장치{HANGING DEVICE}
본 출원은 2004년 1월 15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758,556호 및 2004년 5월 25일 출원된 제10/ , 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오거나이져(organizer) 및 홀더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바지 등을 한정된 공간에 걸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바지, 스커트 등용 행어는 일반적으로 수평 바아 및 옷장 봉 상부에 걸기 위한 상부 후크로 단일 의복을 유지한다. 다수의 경우에, 보관되어야 할 의복의 수는 이용 가능한 공간 또는 행어를 초과한다. 이는 의복 보관을 최대화하는 해결책을 제공하도록 시도하는 다수의 종래의 장치의 개발을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오거나이저는 옷장 벽 또는 현존하는 옷장 수평 봉에 장착하는 신축식 지지체 또는 래크 또는 피벗 래크를 포함한다. 다른 종래의 래크 및 그에 속하는 행잉 장치는, 복수의 수직으로 이격된 수평 지지 아암이 그로부터 피벗식으로 연결되어 바지, 스커트 및 다른 종류의 의류가 그로부터 현수될 수 있게 하는 수직 연장 기둥을 포함한다. 의류가 이들 아암 상에 걸릴 때, 이들은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나선형 패턴을 취한다. 이들 중 몇몇은 오거나이저를 옷장의 벽에 고정하기 위한 신축식 브래킷을 포함한다.
옷장 보관을 최대화하는데 있어 몇몇 진보가 존재하지만, 더 많은 옷장 공간을 보존하고, 사용이 간단하며 주름 방지(non-wrinkling) 방식으로 의복을 신뢰적으로 보유하는 개량된 의복 행잉 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남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복을 걸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옷장 공간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지 등이 주름지지 않고 한정된 공간에 복수의 의복(바지 등)을 거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것들 중 나머지를 위해 행어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선택된 의복 중 임의의 하나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베이스의 기다란 축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수직 지지체 또는 벽에 연결될 수 있는 세장형 베이스를 포함한다. 복수의 수평으로 배치된 리테이너가 베이스의 전방면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각각의 리테이너는 서로를 향해 편향된 한 쌍의 리테이너 부재를 포함한다. 부재들은 그들 사이에 의복과 같은 걸리게 될 물품의 삽입을 즉시 허용하도록 서로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변위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가 벽에 연결될 때, 전방면은 베이스의 상부 부분이 베이스의 하부 부분보다 벽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는 각도로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지 바닥이 리테이너로부터 걸릴 때, 최상부에 걸린 바지는 최고 높이로 걸리고 벽으로부터 가장 변위된다. 리테이너는 예를 들면 평면에서 한 쌍의 바지를 수용하도록 충분한 공간이 존재하도록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적층 배열된다. 본원에 설명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의복을 적재함으로써, 사용자는 바지를 간단히 하향으로 견인하여 임의의 선택된 쌍의 보유 부재 사이의 편향의 인장력을 해제함으로써 임의의 단일 품목에 접근할 수 있다. 다음, 의복은 다른 것들을 방해하지 않고 제거될 수 있다. 다양한 수단이 옷장 내의 지지체에 베이스를 고정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장점 및 특징은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한 설명을 연구할 때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1b는 사용 상태에서 도시된 도 1a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1c는 도 1a의 실시예의 상면도.
도 1d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리테이너의 교차형 버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2a는 도 1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2b는 사용 상태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2c는 도 1e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도 4에 도시된 리테이너의 상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테이너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리테이너의 측면도.
도 6은 개방 사용중 모드에서의 도 5의 리테이너의 측면도.
도 7은 폐쇄 사용중 모드에서의 도 5의 리테이너의 측면도.
도 8은 도 4의 리테이너의 부분의 부분도.
도 9는 편향 부재가 부분 삽입된 상태의 도 8의 라인 9-9를 통한 단면도.
도 10은 편향 부재가 삽입된 상태의 도 9의 다른 단면도.
도 11a는 리테이너의 다른 부분의 단면도.
도 12a는 편향 부재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의 베이스의 전방면의 부분 정면도.
도 12b는 편향 부재가 없는 도 12a의 라인 12-12를 통한 단면도.
도 12c는 편향 부재가 삽입된 상태의 도 12a의 라인 12-12를 통한 단면도.
도 13a는 본 발명의 리테이너의 실시예의 부분을 통한 단면도.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라인 13B-13B를 통해 취한 본 발명의 부분 상면도.
도 14a는 본 발명의 리테이너의 실시예의 부분을 통한 단면도.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라인 14B-14B를 통해 취한 본 발명의 부분 상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을 예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을 예시하는 정면 사시도.
도 17은 도 1e의 실시예의 부분의 측면도.
도 18은 도 1e의 실시예의 부분의 정면도.
도 19는 도 1e의 실시예의 부분의 정면도.
도 20은 도 19의 라인 20-20을 통한 단면도.
도 21은 도 18의 후방도.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의 측면도.
도 23은 도 22의 부분의 후방도.
도 24는 도 22의 부분의 단면도.
도 25는 옷장 내의 도 1e의 실시예의 일 설치 모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26은 옷장 내의 도 1e의 실시예의 다른 설치 모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27은 도어 상의 도 1e의 실시예의 일 설치 모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28은 도어 상의 도 1e의 실시예의 다른 설치 모드를 예시하는 측면도.
이제, 본 발명을 참조하면, 의류 행잉 장치가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0, 100, 200, 300 및 400으로 나타나 있다. 유사한 도면 부호는 유사한 부분을 지시하고 이에 따라 식별한다. 의류 행잉 장치(10)는 구멍(16)을 갖고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는 후방면(14)을 갖는 세장형의 베이스(12)를 포함한다. 나사와 같은 체결구(18)가 후방면(14)이 벽(W)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일 평면이 되도록 벽(W)에 베이스(12)를 연결하기 위해 구멍(16)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12)의 전방면(20)은 벽(W)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방면(20)의 상단부(22)는 하단부(24)보다 벽(W)으로부터 더 외향으로 배치된다.
전방면(20)은 베이스(12)의 종축(30)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된 복 수의 리테이너(26)를 포함한다. 리테이너(26)는 예를 들면 바지(P)를 해제 가능하게 보유한다. 리테이너(26)는 다른 종류의 의복을 보유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P)는 인접하여 걸린 바지(P)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그의 삽입 및 제거를 위한 용이한 접근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보유점에 근접하여, 각각의 쌍은 일반적으로 평면에 위치된다.
리테이너(26) 및 그의 부품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다. 리테이너(26)는 횡단부(36)에 연결되고 이어서 측면(38)에 연결되는 외향 전개 측면(34)을 갖는 보유 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38)은 예를 들면 체결구 또는 다른 연결 수단에 의해 전방면(20)에 장착된다. 각진 스프링 금속과 같은 편향 요소(40)가 측면을 향해 편향하는 방식으로 측면(34)에 인접하여 작동식으로 배치된다.
보유 플레이트(42)는 횡단 중심부(44) 및 측면부(46)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보유 플레이트(42)가 그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도 4에 두 개의 측방향 이격된 보유 부재(32)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42)로부터 연장하는 리지면(48)이 제공되고, 이 리지면은 보유 부재(32)의 측면(34)과 일반적으로 정렬되어 그를 향해 연장되도록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플레이트(42)는 플레이트(42)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부재(32)의 측면(34)과 접촉하여 일반적으로 편향되도록 편향 부재(40)에 연결된다.
바지(P)와 같은 의복을 삽입하기 위해, 바지(P)의 삽입을 허용하고 간단히 바지(P)를 견인 하강함으로써 제거를 허용하도록 사람의 손가락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2)를 누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단 삽입되면, 편향 요소(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P)에 대해 및 측면(34) 내로 리지면(48)으로 플레이트(42)를 편향시킨다. 바지(P)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요소(40)의 스프링력을 통해 보유된다. 리지면(48)은 의복의 보유를 보조하면서 여전히 충분한 견인력이 그에 인가될 때 의복의 해제를 허용하도록 평활할 수 있다. 측면부(46)는 그에 힘이 인가될 때 사람의 손의 일부로 편향 요소(40)가 편향되게 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손으로 보유 플레이트(42)와 보유 부재(32) 사이에 걸리게 될 의복의 삽입을 허용하여 그 후에 의복이 인가된 힘의 제거시에 그 사이에 지지식으로 보유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도 2b는 베이스(12')를 갖는 행잉 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베이스(12')는 각각의 상단부(21', 22')를 연결하는 힌지(27')로 각각의 하단부(24', 25')에서 전방면(20')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후방면(14')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방면(20')은 보유된 의복으로의 용이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벽(W)으로부터 연장되거나 또는 측면(14')에 대해 붕괴되고 래치 기구(29')에 의해 보유되어 옷장 내에 부가의 공간을 보존할 수 있다.
도 1e, 도 2c, 도 16 내지 도 21 및 도 26 내지 도 28은 행잉 장치(200)를 도시한다. 여기서, 리테이너(226)는 횡단부(236)에 연결되고 이어서 베이스(220)의 리세스 형성면(237)의 부분에 연결되는 외향 전개면(234)을 갖는 보유 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20)는, 그를 통해 나사(240)가 삽입되어 보유 부재(232)의 나사산 형성 개구(242)에 연결되는 나사 구멍(238)을 포함한다.
각진 스프링 금속과 같은 편향 요소(244)가 보유 부재(232)를 향해 보유 플레이트(252)를 편향하는 방식으로 리세스 형성면(237)에 인접하여 작동식으로 배치된다. 편향 요소(244)는 그를 통해 나사(240)를 수용하고 보유 부재(232)와 베이스(220) 사이에 편향 요소(244)를 체결하기 위해 나사 구멍(238)과 나사산 개구(242)와 공동 정렬될 수 있는 구멍(246)을 갖는 단부(247)를 포함한다. 편향 요소(244)의 단부(248)는 보유 플레이트(252) 내의 편향 요소의 보유를 보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개구(250)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보유 플레이트(252)는, 단부(248)가 배치되어 예를 들면 접착 프로세스에 의해 보유되거나, 또는 단부(248)가 보유 플레이트(252)의 형성시에 성형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삽입될 수 있는 슬롯(254)을 포함한다. 개구(250)는 성형 재료의 부분을 수용하거나 또는 편향 요소(244)를 보유 플레이트(252)에 체결하도록 접착하는 기능을 한다. 보유 플레이트(252)는 그에 힘이 인가될 때 사람의 손의 일부로 편향 요소(244)가 편향되게 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손으로 보유 플레이트(252)와 보유 부재(232) 사이에 걸리게 될 의복의 삽입을 허용하여 그 후에 의복이 인가된 힘의 제거시에 그 사이에 지지식으로 보유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단부(253)를 포함한다. 보유 플레이트(252)는 또한 걸릴 때에 의복을 지지하는 것을 더 보조하는 탭(255)을 포함할 수 있다. 보유 플레이트(252)는 다르게는 보유 플레이트(40)에 대해 상술한 바와 기능적으로 유사하고 보유 부재(232)와 편향 요소(244)에 대해 유사하게 작동한다.
도 2c는 벽(W)에 직접 장착된 베이스(220)를 도시한다. 이는 베이스 장착 구멍(256)(도 18 및 도 21에 도시됨)을 통해 삽입하는 나사 또는 벽판 커넥터(도시 생략)와 같은 커넥터의 사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5는 선반(S)과 벽(W)을 갖는 옷장(C)에서의 도 1e의 실시예의 일 설치 모드를 도시한다. 다수의 구멍(256)이 후크(260)(도 17 참조), 나사 및 체결 와셔 너트(262)의 구멍(263)을 거쳐 후크(260)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후크(260)는 봉(R) 상에 걸릴 수 있고, 브레이스(270)가 벽(W)에 베이스(220)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브레이스(270)는 두 개의 부재(272, 274)를 포함할 수 있고, 부재(272)는 구멍(256)을 통해 나사(276)를 통해 베이스(220)에 고정되고 부재(274)는 그를 통해 적합한 벽 커넥터(281)가 벽(W)에 부재(274)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구멍(280)을 갖는 플레이트(278)를 포함한다. 부재(272, 274)는 그를 통해 나사(286)를 수용하기 위한 협동 구멍(282) 및 슬롯(284)을 포함할 수 있고, 너트(288)는 부재(272, 274)를 적소에 체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슬롯(284)은 브레이스(270)가 설치될 수 있는 깊이의 범위를 가능하게 하도록 세장형이고 길다. 도 26은 베이스(220)가 구멍(256)을 통해 나사(290)를 거쳐 선반(S)에 직접 장착된 옷장(C)에서의 다른 설치 모드를 도시한다.
도 27은 후크(260)의 상부 부분에 연결되고 후크(260)를 사용하는 도어(D) 상의 장치(200)의 설치를 도시한다. 도 28은 베이스(220)가 후크(260)의 하부 부분에 연결된 도어(D) 상의 다른 설치 모드를 도시한다.
도 22 내지 도 24는 장치(200)의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300)를 도시한다. 슬롯(302)은 베이스(320)에 형성된다. 보유 부재(332) 및 보유 플레이 트(352)는 보유 부재(232)와 보유 플레이트(252)와 유사하다. 여기서, 편향 요소(344)는 길고 슬롯(302)을 통해 기능적으로 수용되는 각진 섹션(347)을 포함한다. 요소(344)는 개구(346)를 통해 나사(362)를 거쳐 베이스(320)의 후방면(314)에 부착된다.
도 1d는 교차 관계의 리테이너(26)를 갖는 행잉 장치(400)를 도시한다. 이 방식으로, 바지(P)와 같은 물품의 적어도 측면부가 다른 걸려진 물품을 이동시킬 필요 없이 이들의 선택을 보조하기 위해 보여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부재(260)는 아치형 중앙부(44)를 갖는다. 이 디자인은 더 두꺼운 재료 및 이음매 영역을 갖는 의복이 중앙부(44)에 인접하여 더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3a에서, 보유 부재(32')는 보유 부재(32')를 적소에 스냅 고정하여 체결하도록 전방면(20') 내의 홈(31')을 통해 전방면(20') 내로 절결된 종방향 채널(23') 내에 삽입된 짧은 측면(38')을 포함한다. 다른 홈(33')이 홈(23')의 하부에서 그로부터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8 및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0')은 채널(23') 내에 배치된 일 측면(41')과 홈(47')을 통해 플레이트(42')의 슬롯(45')에 배치된 다른 측면(43')을 갖고 채용된다. 스프링(40, 4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의도된 사용이 성취되는 한 변경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전방면(20")의 보어(31") 내에 가압 끼워맞춰질 수 있는 기둥(38")을 포함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기둥(3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요소들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사람의 손가락과 같은 사람의 손의 일부로 편향 수단이 압축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사람의 손가락으로 동일한 손으로 보유 부재 사이의 의복의 삽입을 허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삽입 후에, 의복은 그 사이에 보유 부재에 의해 지지식으로 보유될 수 있다. 의복의 제거를 위해, 단지 원하는 의복을 파지하고 편향 요소(40)의 스프링력 상수를 극복하도록 하향 견인하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은 의복의 걸림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건축 계획안 등과 같은 다른 물품에 유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예시를 위해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실시예에 명백한 수정,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즉시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임의의 이러한 수정,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는 이들의 전체 범주에서 숙독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후방면 및 전방면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전방면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제1 보유 부재와,
    상기 제1 보유 부재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보유 부재와,
    상기 제1 보유 부재를 향해 상기 제1 보유 부재를 편향시키기 위한 제1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단은, 상기 보유 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해 그에 인가된 힘의 작용에 의해 상기 편향 수단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그에 대한 개별 접근을 허용하고, 허용 수단에 대해 힘이 인가될 때 사람의 손의 일부로 상기 편향 수단이 편향되게 하여 상기 제1 보유 부재로부터의 상기 제2 보유 부재의 변위를 유도하고 동일한 손으로 상기 보유 부재들 사이에 걸리게 될 물품의 삽입을 허용하여 그 후에 물품의 적어도 일부가 제1 허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힘의 제거시에 상기 보유 부재에 의해 이들 사이에 지지식으로 보유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보유 부재 및 상기 제2 보유 부재 중 하나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행잉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세장형이고 수평 바닥 지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행잉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유 부재는 상기 전방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 하는 전개 단부를 포함하는 행잉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유 부재는 강성인 행잉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유 부재는 강성인 행잉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보유 부재들 사이의 접촉점에 인접하여 리지 형성된 표면을 포함하는 행잉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은, 상기 베이스가 그에 장착될 때 상기 전방면의 상단부가 상기 전방면의 하단부보다 수직 지지체로부터 더 외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지지체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배치되는 행잉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은 상기 후방면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행잉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면에 상기 전방면을 래치 연결하기 위한 래치를 포함하는 행잉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향 수단은 각진 스프링 금속을 포함하는 행잉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편향 수단의 스프링력 상수를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의복의 자유 단부를 견인함으로써 보유된 의복의 제거를 허용하는 행잉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들 중 하나는 상기 제1 허용 수단을 포함하는 행잉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보유 부재로부터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그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3 보유 부재, 상기 제3 보유 부재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4 보유 부재, 상기 제3 보유 부재를 향해 상기 제4 보유 부재를 편향시키기 위한 제2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단은 상기 보유 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해 그에 인가된 힘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2 편향 수단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그에 대한 개별 접근을 허용하고, 제2 허용 수단에 대해 힘이 인가될 때 사람의 손의 일부로 상기 제2 편향 수단이 편향되게 하여 상기 제3 보유 부재로부터의 상기 제4 보유 부재의 변위를 유도하고 동일한 손으로 상기 제3 및 제4 보유 부재 사이에 걸리게 될 물품의 삽입을 허용하여 그 후에 물품이 상기 제2 허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힘의 제거시에 상기 보유 부재에 의해 이들 사이에 지지식으로 보유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3 보유 부재 및 상기 제4 보유 부재 중 하나로부 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행잉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세장형이고 수평 바닥 지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행잉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허용 수단은 하나의 상기 제3 및 제4 보유 부재의 부분인 행잉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유 부재는 상기 제3 및 제4 보유 부재에 대해 교차되는 행잉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면은 수직 지지체에 장착을 위해 구성되는 행잉 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를 벽에 고정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행잉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도어에 지지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행잉 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바닥 지지면 상부에 배치된 수평 지지체에 상기 베이스를 지지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행잉 장치.
KR1020067013051A 2004-01-15 2004-05-25 행잉 장치 KR200601099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58,556 US6964342B2 (en) 2004-01-15 2004-01-15 Hanging device
US10/758,556 2004-01-15
US10/853,515 US7100774B2 (en) 2004-01-15 2004-05-25 Hanging device
US10/853,515 2004-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973A true KR20060109973A (ko) 2006-10-23

Family

ID=3484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051A KR20060109973A (ko) 2004-01-15 2004-05-25 행잉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13375B2 (ko)
EP (1) EP1708596A4 (ko)
JP (1) JP2007534366A (ko)
KR (1) KR20060109973A (ko)
AU (1) AU2004315450A1 (ko)
CA (1) CA2550332A1 (ko)
WO (1) WO20050747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0173B2 (en) * 2003-08-01 2011-11-15 Dexcom, Inc. System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alyte sensor data
US20070205168A1 (en) * 2006-03-06 2007-09-06 Helvey Donald J Pantry snack rack and a bag clip therefor
US7861901B2 (en) * 2009-01-21 2011-01-04 Phillip Kirschbaum Pants hanger system
NL1038757C2 (nl) * 2011-04-15 2012-10-16 Hendrik Koppejan Snelsluiting voor het vastklemmen van geweven stoffen.
US9885444B1 (en) 2012-03-12 2018-02-06 James Bongiorno Slacks valet mechanism for a lavatory
US10874269B2 (en) 2012-03-12 2020-12-29 James Bongiorno Lavatory enclosure-to-toilet device with replaceable cartridge for hygienic support of lowered slacks
CN103690202B (zh) * 2013-12-30 2016-04-20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植入体的输送装置与植入医疗器械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3331A (en) 1964-03-03 Merchandise display hook
US639875A (en) 1899-09-18 1899-12-26 John G Wagner Garment-supporter.
US1081848A (en) 1913-01-08 1913-12-16 James Macdonald Holder.
US1634532A (en) 1923-08-06 1927-07-05 Denis E Bowe Clamp
DE620600C (de) * 1933-12-17 1935-10-24 Fritz Wienand Aufhaengevorrichtung fuer Krawatten
US2261005A (en) 1940-01-24 1941-10-28 Bergen Plastics Inc Snap-on clothespin
US2485455A (en) * 1944-12-26 1949-10-18 William A Odencrantz Tie rack
US2400058A (en) * 1945-06-01 1946-05-07 Harry E Concannon Skirt hanger
US2496531A (en) 1945-12-03 1950-02-07 Thomas E Gray Garment hanger
US2527484A (en) 1946-06-14 1950-10-24 William M Lester Clasp
US2524537A (en) * 1947-02-19 1950-10-03 Harold M Osmonson Clamp device for garment hangers
US2779114A (en) 1953-12-22 1957-01-29 Orthwine Rudolf Price card holder
US2987193A (en) 1959-12-24 1961-06-06 Joseph P Pajor Skirt rack
US3214810A (en) 1963-05-23 1965-11-02 Robert V Mathison Fastener devices
US3235928A (en) 1964-04-29 1966-02-22 Louis J Clark Clothes pin
US3698607A (en) 1970-03-10 1972-10-17 Batts John T Inc Garment clamping hanger
US3624873A (en) 1970-03-27 1971-12-07 Gerald J Frey Slide-holding clip
US3767092A (en) 1972-01-31 1973-10-23 Thomas Batts Inc J Garment clamping hanger with slidable locking clip
US4010517A (en) 1974-09-12 1977-03-08 Kapstad Odd B Sheet support apparatus
US3953065A (en) * 1974-09-25 1976-04-27 Shannon Jr Edward J Offset plate rack and holders
US3946915A (en) 1974-12-05 1976-03-30 A & E Plastik Pak Co., Inc. Garment hanger with clamp guard
US4023721A (en) 1975-09-25 1977-05-17 Marc Erthein Garment clamping hanger with spring-biased clamping members
US3982307A (en) 1976-02-04 1976-09-28 Med-Pro, Ltd. Fabric clamp
US4194635A (en) 1977-11-21 1980-03-25 Agfa-Gevaert X-ray film grip
US4723665A (en) 1987-01-12 1988-02-09 Benedict Engineering Company, Inc. Telescoping closet garment organizer
US4763390A (en) 1987-05-11 1988-08-16 Rooz William B One piece plastic garment clamp having live hinge toggle joint
US4830322A (en) 1988-01-04 1989-05-16 Gary Esther W Chalkboard chart holder
US4899974A (en) 1989-05-18 1990-02-13 Popco Inc. Display clip structure
WO1992009217A1 (en) * 1990-11-28 1992-06-11 Clipps, Inc. Garment hanger clip
US5115921A (en) * 1990-12-28 1992-05-26 Lavelle Wayne C Small package display apparatus
US5267678A (en) * 1992-06-04 1993-12-07 Different Dimensions Inc. Hanger with U-shaped clamps having apertures
US5318174A (en) 1992-11-10 1994-06-07 Aboolhassan Zoroufy Textile hanger
US5535896A (en) 1995-06-23 1996-07-16 Morgan, Sr.; Donald E. Hanging apparatus for multiple trousers
US6021933A (en) 1998-02-13 2000-02-08 Carlisle Plastics Inc. Secure pinch-grip hanger
US6021907A (en) * 1998-07-20 2000-02-08 O'brien; Brian Boru Clothing storage rack system
GB2354940A (en) 1999-10-06 2001-04-11 Peter Cloughton Device for use in fitting a duvet cover
US6257422B1 (en) 1999-11-29 2001-07-10 Jaime Rios Article holder
US6547200B2 (en) 2000-10-05 2003-04-15 Roby J. Dilworth Textile hanging system
US6964342B2 (en) * 2004-01-15 2005-11-15 Michael James Wenzler Hang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74760A1 (en) 2005-08-18
US7513375B2 (en) 2009-04-07
CA2550332A1 (en) 2005-08-18
US20060011671A1 (en) 2006-01-19
EP1708596A4 (en) 2007-03-07
JP2007534366A (ja) 2007-11-29
AU2004315450A1 (en) 2005-08-18
EP1708596A1 (en)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2370B2 (en) Hanger holder accessory and system
US4846430A (en) Door back hanging organizer device
US5107996A (en) Apparatus for the suspension storage of article of clothing
US4869379A (en) Storage device
US3620376A (en) Garment hanger bar
US7513375B2 (en) Hanging device
US4632285A (en) Convertible necktie and belt hanger apparatus
US7100774B2 (en) Hanging device
US5294007A (en) Boot hanger systems
US6021907A (en) Clothing storage rack system
US6109457A (en) Clothes hanger storage device
US6193084B1 (en) Door hinge hanger
US5022722A (en) Portable closet
JPH01160504A (ja) 衣服用ハンガー
KR20170100949A (ko) 가구용 걸이대
GB2457330A (en) Elongate coat hanger support with perpendicular hooks
AU2009301639B2 (en) Hanger storage device
KR20200000492U (ko) 도어용 옷걸이
JP2000245610A (ja) スライド式ハンガーホルダ装置
KR200406550Y1 (ko) 인출식 넥타이 걸이장치
US20050035074A1 (en) Wall mountable display racks, hangers, and associated display methods
JP3022883U (ja) 整理具の掛止装置
JP3057018U (ja) 衣類用ハンガー掛け
KR0134898Y1 (ko) 가구용 다목적 걸이대
JP3040685U (ja) ハン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