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833A -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833A
KR20060108833A KR1020050031010A KR20050031010A KR20060108833A KR 20060108833 A KR20060108833 A KR 20060108833A KR 1020050031010 A KR1020050031010 A KR 1020050031010A KR 20050031010 A KR20050031010 A KR 20050031010A KR 20060108833 A KR20060108833 A KR 20060108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refrigerator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972B1 (ko
Inventor
이명렬
서창호
김성재
한동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1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972B1/ko
Publication of KR20060108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온수공급 시스템은 냉장고의 외부로 물을 취출하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소정의 제어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가열부가 동작하여 물을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및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물이 상기 디스펜서로 선택적으로 유동되게 하는 밸브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대기시간을 가지면서 온수를 공급받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 가열부, 밸브부, 디스펜서

Description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 및 방법{Hot-water feed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의 냉장고 정면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냉장고의 정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부의 상세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온수공급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온수공급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가열부 5 : 온도센서 6 : 제어부
7 : 밸브부 9 : 디스펜서 10 : 온수버튼
11 : 디스플레이 21 : 히터 22 : 물관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디스펜서를 통해 온수를 공급하는데 있어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막고,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이 냉장고내로 투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고온의 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사항을 제거하는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냉각실 및 기계실이 형성된 본체와, 냉각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을 통해 응축시키는 콘덴서와, 냉각실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콘덴서에 의해 응축되고 팽창장치를 거친 냉매가 냉각실의 내부의 공기로부터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며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냉장고의 물공급구조인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10200호의 발명을 참조하면, 종래의 냉장고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서 정수된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 그리고 상기 필터에서 정수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상기 필터에서 정수된 물은 파이프를 통하여 제빙기 및 디스펜서로 공급된다. 상기 디스펜서로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의 단부에는 히터어셈블리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히터어셈블리는,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로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온수공급장치는 냉장고에서 고온의 물을 얻을때 빠른시 간에 고온의 물을 얻기 위해서는 전력낭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량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펜서의 내부에 특정 구조의 히터를 장착한 기술이 여러가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정 구조의 히터를 이용하여 물을 순간적으로 원하는 온도만큼 고온화시키는 것은 그리 용이하지 않고 온수가 취출되기 전에 미리 일정온도로 물을 가열하는 것은 냉장고 내부의 저온화상태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냉장고의 냉각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빠른시간내에 사용자에게 고온의 물의 공급은 화상을 입는다든지의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온수를 만들기 위한 물의 가열이 사용자가 대기시간을 가지면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냉장고의 전력낭비를 최소화하는 냉장고의 온수공급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대기시간을 가지는 동안에 물이 가열됨으로써 냉장고내의 저온화상태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을 최소화하는 냉장고의 온수공급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물이 가열되는 동안 대기시간을 갖도록 하여 컵등의 용이가 불완전하게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화상등의 위험요소를 최소화하는 냉장고의 온수공급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온수공급 시스템은 냉장고의 외부로 물을 취출하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소정의 제어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가열부가 동작하여 물을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물이 상기 디스펜서로 선택적으로 유동되게 하는 밸브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냉장고의 온수공급 방법은 제어부가 사용자의 지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가열부를 제어하여 물이 가열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밸브부를 통해 가열된 물이 배출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냉장고의 온수공급 구조에 의해서 냉장고의 전력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장고내의 저온화상태에 미칠 수 있는 나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의 냉장고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은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급수관(1)을 통하여 냉장고의 외부로 공급하는 디스펜서(9)와, 상기 디스펜서(9)에 물을 공급하는 온수관(3)과, 상기 온수관(3)의 일측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4)와, 소정의 제어신호 내지 사용자의 지시에 해당하는 온수버튼(10)와, 상기 온수버튼(10)가 작동하면 상기 가열부(4)에서 물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와, 상기 제어부(6)와 연결되어 상기 온수관(3)의 단부를 개폐하여 상기 디스펜서(9)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밸브부(7)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제어부(6)는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콤으로 구성되어, 상기 온수버튼(10) 및 가열부(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수버튼(10)의 작동여부를 읽어들이고, 소정의 메모리에 기저장된 물의 가열 조건에 맞게 상기 가열부(4)에서 물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는 사용자가 온수를 공급받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동안 물의 가열상황이 표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가열부(4)는 상기 온수관(3)의 일측에 설치되고, 물을 가열함으로써 발생되는 열이 냉장고 내로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냉장고 내와 적당한 거리를 두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부(4)의 일측에 가열되는 물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도센서(5)가 상기 제어부(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수버튼(10)은 냉장고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온수취득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지시수단으로서, 상기 제어부(6)가 이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온수버튼(10)은 사용자가 직접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스위치의 형태로 구성되거나, 적외선 센서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냉장고로부터 일정거리내에 위치하게 되 면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밸브부(7)는 상기 제어부(6)가 가열부(4)에서의 물의 가열이 설정된 조건에 만족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6)의 제어를 받아 개구된다.
상기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해 온수버튼(10)이 작동되면, 상기 온수버튼(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진 제어부(9)가 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의 제어를 받아 가열부(4)에서 물의 가열이 이루어진다. 설정된 조건에 이르도록 물이 가열되면, 상기 제어부(6)가 밸브부(7)를 개구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펜서(9)를 통해 온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냉장고 도어 외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1)를 통해 상기 제어부(6)의 제어를 받아 가열되는 물의 온도나 남은 가열시간등 가열상황을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를 통해 가열되는 물의 온도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열부(4)의 일부분에 온도센서(5)를 설치하여 가열되는 물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온수버튼(10)의 동작을 중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6)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가열부(4)에서 물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반면에, 첫번째 사용자가 온수를 공급받고, 상기 온수버튼(10)의 작동을 중단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의 사용자는 소정의 대기시간을 가지지 않고 신속히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온수버튼(10)의 작동에 의한 사용자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의 지시를 감지한 제어부(6)가 가열부(4)에서 물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 여 물이 가열되는 시간동안 사용자가 대기시간을 갖게 되는 것이다.
제2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은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급수관(1)을 통하여 냉장고의 외부로 공급하는 디스펜서(9)와, 상기 디스펜서(9)에 물을 공급하는 온수관(3)과, 상기 온수관(3)의 일측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4)와,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온수버튼(10)과, 상기 디스펜서(9)에 설치된 푸시버튼(12)과, 상기 온수버튼(10)과 푸시버튼(12) 모두 작동하면 상기 가열부(4)에서 물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와, 상기 제어부(6)와 연결되어 상기 온수관(3)의 단부를 개폐하여 상기 디스펜서(9)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밸브부(7)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제어부(6)는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콤으로 구성되어, 상기 온수버튼(10), 푸시버튼(12) 및 가열부(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수버튼(10)과 푸시버튼(12)의 작동여부를 읽어들이고, 소정의 메모리에 기저장된 물의 가열 조건에 맞게 상기 가열부(4)에서 물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는 사용자가 온수를 공급받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동안 물의 가열상황이 표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가열부(4)는 상기 온수관(3)의 일측에 설치되고, 물을 가열함으로써 발생되는 열이 냉장고 내로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냉장고 내와 적당한 거리 를 두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부(4)의 일측에 가열되는 물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도센서(5)가 상기 제어부(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수버튼(10)은 냉장고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온수취득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제1지시수단으로서, 상기 제어부(6)가 이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온수버튼(10)은 사용자가 직접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스위치의 형태로 구성되거나, 적외선 센서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냉장고로부터 일정거리내에 위치하게 되면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푸시버튼(12)은 디스펜서(9) 일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온수취득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제2지시수단으로서, 상기 제어부(6)가 이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12)은 사용자가 컵등의 용기를 푸시(PUSH)내지 밀착하는 경우에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부(7)는 상기 제어부(6)가 가열부(4)에서의 물의 가열이 설정된 조건에 만족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6)의 제어를 받아 개구된다.
상기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해 온수버튼(10)과 푸시버튼(12) 작동되면, 상기 온수버튼(10) 및 푸시버튼(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진 제어부(9)가 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의 제어를 받아 가열부(4)에서 물의 가열이 이루어진다. 설정된 조건에 이르도록 물이 가열되면, 상기 제어부(6)가 밸브부(7)를 개구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펜서(9)를 통해 온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냉장고 도어 외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1)를 통해 상기 제어부(6)의 제어를 받아 가열되는 물의 온도나 남은 가열시간등 가열상황을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를 통해 가열되는 물의 온도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열부(4)의 일부분에 온도센서(5)를 설치하여 가열되는 물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온수버튼(10) 또는 푸시버튼(12)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중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6)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가열부(4)에서 물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즉, 첫번째 사용자가 상기 온수버튼(10)의 동작을 중단시키지 않은 경우에도 컵등의 용기를 이용해 푸시버튼(12)의 푸시(PUSH)내지 밀착이 중단되면, 상기 제어부(6)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가열부(4)에서 물의 가열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와 같은 온수버튼(10)과 푸시버튼(12)에 의한 사용자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의 지시를 감지한 제어부(6)가 가열부(4)에서 물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물이 가열되는 시간동안 사용자가 대기시간을 갖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시가 되는 온수버튼(10) 및 푸시버튼(12)과, 상기 온수버튼(10)과 푸시버튼(12)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제어부(6)와, 상기 제어부(6)의 제어를 받아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4)와, 상기 제어부(6)의 제어를 받아 가열된 물이 취출되도록 개폐되는 밸브부(7)와, 상기 제어부(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열되는 물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도센서(5)와, 상기 제어부(6)에 의해 물의 가열상황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1)가 포함된다.
상기되는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에 의해서 사용자가 지시가 있는 경우에 이를 감지한 제어부(6)에 의해서 상기 가열부(4)에서 물의 가열이 이루어지고, 상기의 물이 가열되는 시간동안 사용자가 대기시간을 가지게 됨으로써 냉장고의 전력낭비를 최소화하고, 냉장고내로의 열의 침투를 최소화하여 냉각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부의 상세도로서, 도2 및 도3에 도시된 가열부(4)의 I-I'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열부(4)의 내부는 일체형으로 압출된 일체형가열관으로 구성하여 일측 구멍에는 히터(21)가 삽입되어 긴밀하게 접촉되게 하고, 다른 일측 구멍에는 온수공급용 물관(22)이 삽입된다. 그리고, 전도체(23)는 상기 히터(21)에서 발생한 열을 물관(22)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일체형 가열관의 가열성능은 그 단면구조가 열전달 측면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설계되느냐에 달려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온수공급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가 사용자의 지시에 해당하는 온수버튼의 작동여부를 판단한다(S100).
상기 온수버튼의 작동이 있는 경우에 가열부에서 물의 가열이 이루어지고, 이 시간동안 사용자는 대기시간을 갖는다(S110).
상기 가열부에서 물의 가열이 설정된 가열조건에 따라 이루어졌는지를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고(S120), 설정된 가열조건에 따라 물의 가열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밸브부를 개구하여 물이 배출되고(S130) 사용자는 소정의 대기시간을 가지면서 온수를 공급받게 되어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막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온수공급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가 사용자의 지시에 해당하는 온수버튼의 작동여부(S100)와 사용자에 의해 푸시버튼이 푸시되거나 밀착되는등의 푸시버튼의 작동여부(S140)를 판단한다.
상기 온수버튼과 푸시버튼 모두의 작동이 있는 경우에 가열부에서 물의 가열이 이루어지고, 이 시간동안 사용자는 대기시간을 갖는다(S110).
상기 가열부에서 물의 가열이 설정된 가열조건에 따라 이루어졌는지를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고(S120), 설정된 가열조건에 따라 물의 가열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밸브부를 개구하여 물이 배출되고(S130) 사용자는 소정의 대기시간을 가지면서 온수를 공급받게 되어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막을 수 있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냉장고의 온수공급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해서,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물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물이 가열되는 동안 대기시간을 갖도록 하여 냉장고의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온수가 취출되기 전에 항상 고온의 물을 대기하고 있지 않아 냉장고내 의 저온화 상태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고온의 물을 얻기 위해서는 소정의 대기시간을 가지게 되어 갑작스런 고온의 물로 인해 화상을 입는다든지의 위험요소를 최소화한다.

Claims (6)

  1. 냉장고의 외부로 물을 취출하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소정의 제어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가열부가 동작하여 물을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물이 상기 디스펜서로 선택적으로 유동되게 하는 밸브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온수버튼의 작동을 상기 소정의 제어신호로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온수버튼과 푸시버튼 모두의 작동을 상기 소정의 제어신호로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
  4. 제어부가 소정의 제어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가열부를 제어하여 물이 가열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밸브부를 통해 가열된 물이 배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온수공급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온수버튼의 작동을 상기 소정의 제어신호로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 온수공급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온수버튼과 푸시버튼 모두의 작동을 상기 소정의 제어신호로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 온수공급 방법.
KR1020050031010A 2005-04-14 2005-04-14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0676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010A KR100676972B1 (ko) 2005-04-14 2005-04-14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010A KR100676972B1 (ko) 2005-04-14 2005-04-14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833A true KR20060108833A (ko) 2006-10-18
KR100676972B1 KR100676972B1 (ko) 2007-02-01

Family

ID=3762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010A KR100676972B1 (ko) 2005-04-14 2005-04-14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9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642B1 (ko) * 2013-08-07 2020-11-04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972B1 (ko) 200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4736B1 (en)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KR101595360B1 (ko) 온수 취출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US9772138B2 (en) Cooling box
JPH10281603A (ja) 製氷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1336867A (ja) キムチ冷蔵庫及びその制御方法
EP2578970B1 (en) Refrigerator
JP4246585B2 (ja) ショーケース
US20100200621A1 (en) Ice dispenser
KR100676972B1 (ko)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4817A (ko) 냉장고 및 상기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KR20060107663A (ko) 냉장고의 순간온수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56989B1 (ko) 제빙기
JP2005282902A (ja) 空気調和機の満水制御装置
KR20070105650A (ko) 냉장고
JP6678237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およびエアー抜き弁
KR100286033B1 (ko) 냉장고 및 그 습도제어방법
KR100377771B1 (ko) 냉장고 자동제빙기의 급수관히터 작동구조
KR100299240B1 (ko) 냉장고의제상장치및제상방법
JP2010112675A (ja) 冷蔵庫
KR101659010B1 (ko) 급수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급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254410B1 (ko) 냉장고의 제상방법 및 제상장치
JP3506123B2 (ja) 電気貯湯容器
JP2007040666A (ja) 冷蔵庫の制御装置
KR200250555Y1 (ko) 냉장고
KR200353763Y1 (ko) 오픈 쇼 케이스용 제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