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641A -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641A
KR20060107641A KR1020050029856A KR20050029856A KR20060107641A KR 20060107641 A KR20060107641 A KR 20060107641A KR 1020050029856 A KR1020050029856 A KR 1020050029856A KR 20050029856 A KR20050029856 A KR 20050029856A KR 20060107641 A KR20060107641 A KR 20060107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video conference
mobile terminal
call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086B1 (ko
Inventor
이현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9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086B1/ko
Publication of KR20060107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04N7/155Conference systems involving storage of or access to video conference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04N7/152Multipoint control un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하며 무선으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킷(Circuit) 방식의 비동기망에는 화상 전화용 콜 믹서(Call Mixer)를 설치하고, 동기망에는 데이터 믹서(Data Mixer)를 설치하여, 하나의 가입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다수의 다른 가입자 단말기들을 호출하여 다자간에 화상 전화 통화를 하며 무선 회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않고 다수의 상대방과 화상 전화 통화로 원격 회의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화상 전화, 화상 회의, 동기, 비동기, 콜믹서, 데이터믹서, PDSN

Description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및 방법{Video Conferencing System and Method Using by Video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킷 방식의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콜믹서(170) 또는 데이터 믹서(28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다자간 화상 회의에 접속된 단말기의 사용자 모습을 이동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비동기식 화상회의 시스템 110 : 이동 단말기
120 : 무선 기지국 130 : 이동 교환국
132 : 홈 위치 등록기 134 : 방문자 위치 등록기
140 : SGSN 150 : GGSN
160 : 패킷 데이터망 170 : 화상 전화용 콜믹서
200 : 동기식 화상회의 시스템 210 : 이동 단말기
220 : 기지국 230 : 이동 교환국
240 : PSTN 250 : PDSN
252 : 홈 에이전트 260 : 게이트키퍼
270 : IP 망 280 : 데이터 믹서
310 : 화상회의 프로그램부 320 : 통신 접속부
330 : 멀티플렉서 340 : 제어부
350 : 회의그룹 설정부 360 : 통화자 영상 저장부
370 : 설정그룹 임시저장부 380 : 화상통화 기록부
본 발명은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하며 무선으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킷(Circuit) 방식의 비동기망에는 화상 전화용 콜 믹서(Call Mixer)를 설치하고, 동기망에는 데이터 믹서(Data Mixer)를 설치하여, 하나의 가입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다수의 다른 가입자 단말기들을 호출하여 다자간에 화상 전화로 통화를 하며 무선 회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가 대중화되어 가면서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진 상대방과 얼굴을 마주하며 대화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화상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화상 회의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 화상 회의 시스템은 여러 사람이 함께 참여하므로, 여러 지역을 함께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방과 연결하여 음성, 영상 등의 회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한다.
또한, 회의 정보를 하나의 디지털 회선을 사용하여 대량으로, 동시에 고속으로 전송하는 종합 서비스 디지털 통신망(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ISDN)이 개시되고 있다. ISDN에 있어서의 화상 전화, 화상 회의를 실현하기 위하여 영상, 음성, 기타 데이터 등을 다중화하기 위한 방식으로 H.221이 권고되었다.
ISDN용 화상 전화와 화상회의 장치는 권고의 명칭에 따라 H.320 단말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화상 단말들이 여러곳에 산재하여 있어 화상 회의를 개최하려면 화상회의 제어 장치(MCU; Multipoint Control Unit)에서 각 단말로 전화를 거는 방식과, 단말에서 화상회의 제어 장치(MCU)로 전화를 거는 방식 중에 하나를 선택해서 회의를 시작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이용하는 화상 회의 시스템의 경우, 단말에서 전화를 거는 방식은 각 단말을 제어하는 화상회의 제어 장치(MCU)에 화상회의 시간을 미리 예약하고, 그 예약 시간에 각 단말들이 화상회의 제어 장치에 전화를 걸어야만 화상 회의에 참석할 수 있다.
또한, 각 가입자들은 화상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화상 회의용 장비가 구축되어 있는 시설이나 장소에 위치하여야 화상 회의 시스템을 이용할 수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바쁜 일정으로 공간적 이동이 많은 가입자가 화상 회의에 참석하려면 공간적 제약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하며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 회의를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하며 무선으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킷 방식의 비동기망에는 화상 전화용 콜 믹서를 설치하고, 동기망에는 데이터 믹서를 설치하여, 하나의 가입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하 여 다수의 다른 가입자 단말기들을 호출하여 다자간에 화상 전화로 통화를 하며 무선 회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은, 회선망과 패킷망을 포함하는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다자간 화상 회의에 접속하고, 상기 다자간 화상 회의에 접속된 단말기의 사용자 모습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ATM 기반의 스위치 및 라우팅 접속을 제공하는 에스지에스엔; IP 기반 패킷망의 서빙 노드로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이동성 제공 및 각종 데이터 관련 프로토콜 처리 기능을 수행하며, 패킷 데이터망에 연결되는 지지에스엔;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상 회의 요청에 따라 화상 회의방을 개설하고, 화상 회의 대상자를 호출하여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케 하며,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된 단말기의 사용자 영상을 각각의 참석 단말기들에게 전송해 주며, 화상 회의 통화에 대한 음성 신호를 상기 회선망(CSN)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상기 패킷망(PSN)을 통해 참석 단말기들에게 송수신하여 화상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콜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은, 영상 및 음성 신호를 프레임으로 부호화/복호화하여 아이피(IP) 패킷으로 만들 어 다른 H.323 엔티티로 보내기 위하여 음성/영상 부호화기를 이용하고, 다자간 화상 회의에 접속하기 위해 H,323 프로토콜 스택(H.225, H.245)을 가지며, 상기 다자간 화상 회의에 접속된 사용자의 모습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무선 전화 통화를 위한 통신 접속 경로 또는 무선 인터넷 접속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음성 신호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해 주는 동기식 이동 통신망;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의 영상 데이터를 패킷 형태로 전송해 주는 패킷 데이터망; 상기 이동 단말기의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IP) 등록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부여하는 홈 에이전트;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화 호를 위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가입자의 정보 및 상태를 관리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할당받은 상기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수신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및 등록을 수행하는 게이트키퍼;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상 회의 요청에 따라 화상 회의방을 개설하고, 화상 회의 대상자를 호출하여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케 하며,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된 단말기의 사용자 영상을 각각의 참석 단말기들에게 전송해 주며, 화상 회의 통화에 대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참석 단말기들에게 송수신하여 화상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따른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방법은,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다자간 화상 회의에 대한 음성 신호 및 영상 데이터를 제어 처리하는 콜 믹서 또는 데이터 믹서에게 화상 회의를 요청하는 제 1 단계; 상기 다자간 화상 회의를 위한 화상 회의방을 개설하고 화상 회의 대상자를 설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화상 회의 대상자에게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화상 회의 대상자가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하는 제3 단계;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된 모든 참석자의 영상을 각각의 상기 화상 회의 대상자에게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다자간 화상 회의에 접속된 단말기 간에 화상 통화에 대한 음성 신호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킷 방식의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은 GPS가 요구되지 않고 실내의 소형 셀 등 다양한 형태의 기지국을 설치할 수 있으며, 실외의 매크로 셀(Macro Cell)로부터 실내의 피코셀(Pico Cell)로 이동할 경우에도 시스템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이에 반하여 동기식 시스템에서는 셀 간의 코드를 PN 코드의 오프셋으로 구별하여 짧은 시간 내에 셀을 탐색할 수 있지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라는 외부의 타이밍 소스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화상회의 시스템(100)은 이동 단말기(110), 무선 기지국(UTRAN :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120), 이동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130),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32),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134),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140), GGSN(Gateway GPRS Support Register)(150), 패킷 데이터망(PDN : Packet Data Network)(160), 화상 전화용 콜믹서(170) 등을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10)는 회선망(CSN : Circuit Switched Network)과 패킷망(PSN : Packet Switched Network)을 통해 전화 통화 또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로서, 비동기식 WCDMA망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및 음성 통신을 수행한다. 물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10)는 WCDMA 접속 단말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10)는 화상 통화를 위해 대화자의 모습을 촬영하기 위한 소형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이동 단말기와 전화 통화를 비롯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전화 통화시 소형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대화자의 영상을 무선으로 송출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10)가 다자 간 화상 회의에 접속할 경우, 현재 다자간 화상 회의에 접속된 단말기의 사용자 모습을 콜 믹서(170)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자간 화상 회의에 참석한 상대방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기지국(120)은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122)와 무선 제어국(RNC : Radio Network Controller)(124)을 포함한다. RTS(122)는 3GPP 무선 접속 규격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110)와의 무선 접속 종단 기능을 수행하고, 음성, 영상 및 데이터 트래픽(Traffic)을 WCDMA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기능과 송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10)와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일반적으로 RTS(122)의 내부 서브시스템은 기지국 정합 서브시스템(BIS : Basestation Interconnection Subsystem), 기저 대역 서브시스템(BBS : Base Band Subsystem) 및 RF 서브시스템(Radio Frequency Subsystem)으로 구성된다.
무선 제어국(124)은 유무선 채널 관리, 이동 단말기(110) 프로토콜 정합, 기지국 프로토콜 정합,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처리, 핵심망 프로토콜 처리,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접속, 장애 관리, 시스템 로딩(Loading) 등과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GPRS는 115 K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고, 멀티미디어 메일을 제공하고, 패킷 단위의 데이터 전송으로 전송 회선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비동기 방식의 통신 서비스이다.
요소 관리국(EMS: Element Management System)(126)은 운용자가 이동 통신을 위한 각종 파라미터를 장치에 직접 설정하거나 각종 파라미터를 관리하며, 본 발명에서는 운용자가 서비스 품질 등급에 따라 하드 핸드오버 또는 소프트 핸드오버를 설정해 두게 된다.
이동 교환국(130)은 음성 통화를 위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호 처리를 고속으로 하기 위한 소프트 스위칭(Soft Switching)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소프트 스위칭은 종래 교환기의 회선(Circuit) 스위치를 소프트웨어 스위치로 업그레이드(Upgrade)하여 음성, 데이터 및 영상 신호를 고속의 패킷 스위치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다.
홈 위치 등록기(132)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134)로부터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132)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134)로부터 전달받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10)가 최초 가입된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이동 단말기(110)의 프로파일 정보를 가져온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132)는 자신에게 위치 등록이 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110)의 접속 상태를 체크하여 이동 단말기(110)가 대기(Idle) 모드인지, 활성(Active) 모드인지를 체크하고, 활성 모드라면 회선망에 접속되어 있는지, 패킷망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134)는 이동 교환국(130)의 관할 영역으로 들어오는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며, 새로 획득한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이동 단말기(110)의 홈 위치 등록기(132)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132)로부터 수신한 이동 단말기(110)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의 복사본을 넘겨받아 관리하면서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제어, 호 처리, 외부 동작 처리 등에 활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 란 해당 이동 단말기(110)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ical Serial Number), 등록된 서비스 정보 등을 말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문자 위치 등록기(134)가 이동 교환국(130)의 외부에 따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방문자 위치 등록기(134)는 이동 교환국(13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SGSN(140)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기반의 스위치 및 라우팅 접속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구조를 갖추고, 각종 데이터 서비스 처리에 따른 운영 체제(OS : Operating System)를 지원한다. 운영 체제의 기능은 GPRS 이동성 관리, GPRS 세션(Session) 관리, GPRS 인증 및 과금 기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GGSN(150)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망의 서빙 노드(Serving Node)로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이동성 제공 및 각종 데이터 관련 프로토콜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패킷 데이터망(PDN: Packet Data Network)(160)과 연결된다. 또한, GGSN(150)는 주소 할당, 도메인(Domain) 주소 변경, 과금 정보 및 유지 보수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도 1에 있어서, 부호 분할을 수행하는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구분을 위해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한다. 유럽 방식인 W-CDMA의 UMTS 표준안에서는 스크램블링 코드를 일정 길이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다중 스크램블링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UM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스크램블링 코드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스크램블링 코드의 목적인 기지국 구분 이외에도 용량 증대를 위한 방법의 하나로써, 여러 개의 스크램블링 코드(Scrambling Code) 그룹 각각에 대한 직교 부호(Orthogonal Code)를 사용하여 채널 구분(Channel Separation)을 통한 사용자들을 구분하도록 하고 있다.
즉,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비트마다 단일 스크램블링 코드(Scrambling Code)를 곱하여 기지국 또는 셀(Cell)을 구분하고, 또한 채널화 코드(Channelization Code)를 곱하여 각 사용자들을 구분한다. 따라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기지국 간의 구분을 위해 특정 기지국의 스크램블링 코드는 인접 기지국에서 사용 중인 스크램블링 코드와 서로 다른 코드를 부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부족하게 되는 채널화 코드를 대체하기 위해서 다중 스크램블링 코드(Multi Scrambling Code)를 추가로 구성하며, 그에 따라 하나의 기지국에서는 여러 개의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여 사용자 신호를 변조한 후 전송한다.
위의 다중 스크램블링 코드에서 기지국의 공통 파일롯 채널(Common Pilot Channel), 공통 제어 채널(Common Control Channel)과 같이 기지국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에 사용되는 코드를 1차적 스크램블링 코드(Primary Scrambling Code)라 하고, 상기 1 차적 스크램블링 코드와 다른 코드들을 2 차적 스크램블링 코드(Secondary Scrambling Code)라고 정의한다. 이때, 각 기지국마다 M 개의 보조 스크램블링 코드를 이용한다면 총 N *(M+1)개의 스크램블링 코드가 요구된다.
화상 전화용 콜 믹서(170)는 이동 단말기(210)의 화상 회의 요청에 따라 화 상 회의방을 개설하고, 이동 단말기(210)에서 요청한 화상 회의 대상자를 호출하여 화상 회의방에 접속케 하며, 화상 회의방에 접속된 단말기의 사용자 영상을 각각의 참석 단말기들에게 전송해 주며, 또한 회선망(CSN)을 통한 음성 신호와 패킷망(PSN)을 통한 영상 데이터를 참석 단말기들에게 송수신하여 화상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기식 화상회의 시스템(200)은, 이동 단말기(210), 기지국(220), 이동 교환국(230), PSTN(240), PDSN(250), 홈 에이전트(Home Agent)(252), 게이트키퍼(Gatekeeper)(260), IP망(270), 데이터 믹서(280)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위의 구성에서, 이동 단말기(210)는 단말기 상호 간의 오디오 및 비디오 코덱이 동일해야 불필요한 코덱 변환이 필요없게 되므로 동일한 코덱(Codec)을 사용하는 화상전화 단말기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210)는 QCIF(176×144) 이상을 지원하고 최소 초당 10프레임 이상을 처리하며 256컬러 이상을 지원하고 동영상은 리얼 컬러(color depth=16비트 이상)를 지원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도시 생략) 및 최소 10만 화소 이상을 지원하는 카메라(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210)는 모바일 IP 입출력 장치로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프레임으로 부호화/복호화하여 IP 패킷으로 만들어 다른 H.323 엔티티(Entity)로 보내기 위하여 음성/영상 부호화기를 이용하고, 통화를 연결하고 관리하기 위해 H,323 프로토콜 스택(H.225, H.245)을 갖는다. 그에 따라, 이동 단말기(210)는 모바일 IP를 지원하고, 해당 단말기의 파워 온(Power On)시에 모바일 IP 등록 및 화상전화 서비스 등록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210)는 버전 3의 H.323을 지원하고, 순(Forward)방향과 역(Reverse)방향에 대한 동일한 전송속도를 사용한다. 이동 단말기(210)는 멀티포인트 컨퍼런싱(Multipoint Conferencing)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비디오 채널을 수신하는데, 이 경우 비디오 신호를 사용자에게 보여 주기 위해 비디오 믹싱(Video Mixing) 또는 스위칭(Switching)을 수행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210)는 얼마나 많은 동시간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디코딩할 수 있는 지를 표시하기 위해 H.245 동시 능력(Simultaneous Capabilities)을 사용하고, 해당 단말기의 등록/해제 및 재등록과 관련한 타이머 관리는 모바일 IP 규격과 동일하게 적용하며, 기존의 서킷호(음성 호) 및 VOD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지원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210)는 음성 호 착/발신 모드와 화상 호 착/발신 모드에 대한 설정 기능을 갖고, 착/발신시 화상전화 호/일반 음성 호 연결에 대한 선택 기능을 갖는다.
무선 기지국(220)은 이동 단말기(21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는 지상의 인프라로서, 이동 단말기(210)의 무선 전화 통화를 위한 통신 접속 경로 또는 무선 인터넷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220)은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지원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하고, 기지국 전송기(222) 및 기지국 제어기(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지국 전송기(222)는 신호 채널 중 트래픽(Traffic) 채널을 통해 이동 단말기(210)로부터 접속 요구 신호 또는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된 접속 요구 신호 또는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224)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222)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기(2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224)는 기지국 전송기(222)를 제어하며, 이동 단말기(21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 단말기(210) 및 기지국 전송기(222)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224)는 기지국 전송기(222)를 통하여 수신된 접속 요구 신호 또는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 교환국(230)으로 전달한다.
이동 교환국(230)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IS-95 A/B/C 시스템의 이동 교환국(230)은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PSTN(240)은 일반 전화 교환망을 의미하고, PDSN(250)은 패킷 데이터 교환망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통상적이므로 생략한다.
홈 에이전트(252)는 이동 단말기(210)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PDSN(250)과 연동하여 이동 단말기(210)의 발신 또는 착신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게이트키퍼(260)는 버전 3의 H.323을 지원하고, 가입된 모바일 IP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고객정보 관리 시스템(CIMS)을 통하여 받은 후 별도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며, 가입자의 부가서비스 관련 정보도 관리한다. 또한, 게이트키퍼(260)는 이동 단말기(210)가 모바일 IP 등록후에 부여받은 IP 어드레스 및 MSID(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국가간 로밍을 위한 전화번호)/IRM/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가지고 등록을 요구할 때 그 IP 어드레스 및 MSID를 매핑한 바인딩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게이트키퍼(260)는 이동 단말기(210)가 최초로 등록한 이후에는 모바일 IP 등록 및 해제에 따른 이동 단말기(210)의 상태 관리를 한다. 이동 단말기(210)의 비정상적인 상태로 인하여 모바일 IP 등록은 해제되었는데, 게이트키퍼(260)에게로 등록해제 요청이 전달되지 못한 경우, 해당 이동 단말기가 새로운 모바일 IP 주소를 가지고 등록 요청을 하면 게이트키퍼(260)는 MIN, IP 어드레스 매핑 테이블에서 IP 어드레스 필드를 갱신하여 RCF(Registration Conform) 메시지로 응답한다.
그리고, 게이트키퍼(260)는 이동 단말기(210)에 대한 IP 기반 부가서비스 지원을 위하여 다른 응용 서버들과 연동 가능하고, 부가서비스 관련 파라메터 관리를 한다. 즉, 게이트키퍼(260)는 주소 변환(Address Translation) 기능, 수락 제어(Admission Control) 기능, 대역폭 제어(Bandwidth Control) 기능, 지역 관리(Zone Management) 기능, 호 제어 시그널링(Call Control Signaling) 기능, 호 인증(Call Authorization) 기능, 호 과금(Call Accounting) 기능, 호 관리(Call Management) 기능, 부가 서비스(Supplementary Services) 기능, 디렉토리 서비스(Directory Services) 기능 등을 갖는다.
위에서, 주소 변환 기능은 앨리어스(Alias)주소(예컨대, MIN, e-mail 주소 등)와 전송 주소(Transport Address)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변환 작업은 등록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갱신되는 변환 표에 따라 수행된다.
수락 제어 기능은 H.225.0 ARQ/ACF/ARJ 메시지들을 이용해서 네트워크 접근에 대한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게이트키퍼(260)는 대역폭 제어 기능을 위해 H.225.0 ARQ/ACF/ARJ 메시지들을 지원한다. 그 대역폭 제어 기능이 널(null)이면 대역폭 수정을 요구하는 모든 요청들을 수락한다. 또한 동시에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H.323 터미널의 수를 제어한다. H.225.0 시그널링을 통해서 게이트키퍼(260)는 대역폭 한계를 이유로 호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이 대역폭 제어 기능이 널(null)일 경우 모든 터미널들의 접근이 허용되고, 이 대역폭 제어 기능은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특정 서비스를 위해서 활용될 수 있다.
게이트키퍼(260)는 전술한 기능(주소 변환 기능, 수락 제어 기능, 대역폭 제어 기능)을 자신에게 등록한 터미널들, MCU, 게이트웨이에 대해서만 제공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지역 관리 기능이라 한다. 호 제어 시그널링 기능과 관련하여, 게이트키퍼(260)는 이동 단말기(210)와 더불어 호 시그널링을 완료할 수 있고 자신이 단독으로 호 시그널링을 처리할 수도 있으며 혹은 이동 단말기(210)가 직접 호 시그널링 채널을 연결할 수 있도록 주선할 수도 있다.
호 인증 기능과 관련하여, 게이트키퍼(260)는 H.225.0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특정 이동 단말기(210)로부터의 호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그 거절의 이유는 특정 터미널 또는 게이트웨이에 대한 접근 제한, 특정 기간 동안의 접근 제한 등을 포함한다. 호 과금 기능과 관련하여, 게이트키퍼(260)는 호가 종료되면 과금에 필요한 정보를 과금정보 관리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호 관리 기능과 관련하여, 게이트키퍼(260)는 진행중인 H.323호의 리스트를 관리한다. 다중점 회의를 지원하기 위해서 게이트키퍼(260)는 점대점(point-to-point) 회의에 참석한 두 터미널로부터 H.245 제어채널을 수신한다.
부가 서비스 기능과 관련하여, 게이트키퍼(260)는 H.450에 의한 부가 서비스(Call forward, Transfer 등)를 지원한다. 디렉토리 서비스 기능에 관련하여, 게이트키퍼(260)는 데이터베이스를 내장하고, 그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들이 서로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디렉토리 서비스를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하여 저장한다.
IP망(270)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통신망이며, 이에 대한 설명도 통상적인 기술에 해당하므로 생략한다.
데이터 믹서(280)는 이동 단말기(210)의 화상 회의 요청에 따라 화상 회의방을 개설하고, 이동 단말기(210)가 요청한 화상 회의 대상자를 호출하여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케 하며, 화상 회의방에 접속된 단말기의 사용자 영상을 각각의 참석 단말기들에게 전송해 주며, 화상 통화에 대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참석 단말기들에게 송수신하여 화상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와이브로(Wibro:Wireless Broadband)에도 적용 가능하며, 와이브로는 2.3 ㎓ 주파수를 사용하는 초고속 휴대용 인터넷 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정지하거나 이동 중에 언제, 어디서나, 고속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해준다. 기존의 무선랜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유선 인터넷의 공간적 제약과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의 낮은 전송속도, 높은 이용요금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유무선 통합형 서비스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와이브로에 적용될 경우에 무선망을 통한 데이터 제공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 믹서(280)를 통해 화상 전화 회의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콜믹서(170) 또는 데이터 믹서(28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믹서(170) 또는 데이터 믹서(280)는 화상회의 프로그램부(310), 통신 접속부(320), 멀티플렉서(330), 제어부(340), 회의그룹 설 정부(350), 통화자 영상 저장부(360), 설정그룹 임시저장부(370), 화상통화 기록부(380)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화상회의 프로그램부(310)는 이동 단말기(210)가 화상 회의방을 개설하고 화상 회의에 참석케 하고자 하는 단말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호출하도록 하고, 호출에 응답하여 화상 회의에 접속한 단말기의 사용자 영상을 이동 단말기(210)를 비롯한 다른 화상 회의 참석 단말기에게 전송해 주며, 화상 회의에 대한 음성 및 영상 데이터가 참석 단말기들 간에 송수신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통신 접속부(320)는 비동기식의 경우 화상 회의에 참석한 단말기 간에 음성 및 화상이 송수신되도록 이동 교환국(130)과 SGSN(140)에 연결되고, 동기식의 경우 이동 교환국(230) 및 PDSN(250)에 연결되어, 화상 회의에 참석한 단말기들 간에 음성 및 화상이 송수신되도록 하는 통신 기능을 담당한다.
멀티플렉서(330)는 화상 회의에 참석한 단말기 중에 현재 통화를 진행하는 두 단말기를 스위칭 연결하는 것으로, 두 단말기 간에 음성 및 영상이 전송되도록 전송 경로를 스위칭하게 된다.
제어부(340)는 이동 단말기(210)의 화상 회의 요청에 따라 화상 회의방을 개설하고, 이동 단말기(210) 및 화상 회의 요청에 응답한 단말기들을 화상 회의방에 접속시키며, 화상 회의방에 접속된 단말기들의 사용자 영상을 각각의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말기로 전송해 주며, 회상 회의방에 참석한 단말기들 간에 음성 및 화상으로 무선 통화가 진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회의그룹 설정부(350)는 화상 회의를 요청한 이동 단말기(210)가 화상 회의방을 개설하도록 다수의 목록을 제공하고 그 중에서 선택하여 설정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10)를 통해 임의로 화상 회의방의 명칭을 입력하여 개설하도록 함으로써 회의 그룹을 설정하도록 한다.
통화자 영상 저장부(360)는 화상 회의방에 접속한 단말기들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임시로 저장하면서 화상 회의방에 접속된 각각의 단말기에게로 전송하여 주며, 화상 회의방에서 이탈한 단말기의 사용자 영상을 삭제하여 화상 회의방의 실시간 회의 상황을 관리하도록 한다.
설정그룹 임시저장부(370)는 회의그룹 설정부(350)에 의해 설정된 설정된 회의 그룹명이나 화상 회의방에 대한 정보를 임시로 저장한다.
화상통화 기록부(380)는 개설된 화상 회의방을 통해 화상 통화가 이루어질 때 이동 단말기(210) 또는 다른 회의 참석자의 요청에 의해 화상 통화 내용의 기록을 요청받을 경우, 개설된 화상 회의방을 통해 통화하는 음성 및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 저장하게 된다. 이때, 회상 회의방의 명칭과 더불어, 통화 시간, 화상 회의 참석 단말기, 참석자 영상도 함께 저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회의 방법에서는 동기식 이동 통신망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210)의 파워가 온 되면, 이동 단말기(210)는 이동 통신망의 홈 에이전트(252)로 모바일 IP 등록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홈 에이전트(252)는 이동 단말기(210)에게 모바일 IP 주소를 부여하고, 현재 그 이동 단말기(210)가 위치하는 패킷 영역의 PDSN(250)의 정보도 같이 관리한다. 그에 따라, 모바일 IP 주소를 할당받은 이동 단말기(210)의 위치가 계속 추적된다.
이후의 설명부터는 이동 단말기(210)를 발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라고 가정하고, 상대방 이동 단말기를 착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라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 모바일 IP 주소를 할당받은 이동 단말기(210)는 자체 내에 구비된 "화상 회의" 메뉴를 실행하여 콜믹서(170) 또는 데이터 믹서(280)로 무선 접속을 수행함으로써 다자간 화상 회의 통화를 요청한다(S402). 이동 단말기(210)는 라스(RAS; Registration, Authentication and Status) 채널을 통하여 게이트키퍼(260)를 경유해 데이터 믹서(280)에게 화상 전화 등록을 요청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210)는 등록요청 메시지(RRQ; Registration Request)를 게이트키퍼(260)에게 보내는데, 자신의 단말기의 전화번호(MIN)(또는 ID 등)와 함께 할당받은 모바일 IP 주소 정보를 보내게 된다.
게이트키퍼(260)를 경유해 등록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데이터 믹서(280)는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를 기반으로 인증을 수행한 후에 등록확인 메시지(RCF; Registration Confirm)를 발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210)에게 전송하여 등록을 허용한다(S404).
이어, 콜 믹서(170) 또는 데이터 믹서(280)는 개설할 화상 회의방의 이름을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화면 또는 몇가지의 샘플 중에서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화면을 이동 단말기(210)로 제공하고, 이에 대해 이동 단말기(210)는 개설할 화상 회의방의 이름을 입력하거나 선택하여 화상 회의방을 개설하게 된다. 또한, 콜 믹서(170) 또는 데이터 믹서(280)는 화상 회의방에 초대할 상대방의 단말기 번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이동 단말기(210)는 화상 회의방에 초대할 단말기의 번호를 다수로 입력하여 화상 회의방에 참석할 대상자를 설정하게 된다(S406).
콜 믹서(170) 또는 데이터 믹서(280)는 화상 회의방의 개설자 이동 단말기(210)에서 설정한 대상자 데이터를 근거로 착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함으로써, 게이트키퍼 경로 호 시그널링(Gatekeeper-Routed Call Signaling)이 포함된 화상회의 초대 메시지(ARQ; Admission Request)를 게이트키퍼(260)를 경유해 착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에게 전송한다(S408).
착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에서는 착신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착신자가 전화를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착신 화상 이동 단말기에서 수락확인 메시지 (ACF; Admission Confirm)가 게이트키퍼(260)를 경유해 콜 믹서(170) 또는 데이터 믹서(280)로 전달된다(S410). 이때, 게이트키퍼(260)는 수락확인 메시지를 통하여 H.225 메시지를 처리함과 더불어 현재 관리하고 있는 E.164(MIN)-IP 주소 매핑 테이블에서 착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의 모바일 IP 주소를 찾아서 발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다수의 착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가 화상 회의 초대에 응답하여, 이동 단말기(210)가 개설한 화상 회의방에 무선으로 접속하게 된다.
따라서, 발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210)는 게이트키퍼(260)를 경유하여 착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에게로 H.225 호 시그널링 셋업 메시지를 전송하고, 착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는 게이트키퍼(260)를 경유하여 발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210)에게로 H.225 호 진행(Call Proceeding) 메시지를 보내어 응답한다. 그에 따라, 착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는 발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210)에게로 H.225 대기(Alerting) 메시지를 보내고, 이어서 착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는 발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210)에게로 H.225 접속(Connect) 메시지를 보내어 호가 설정되었음을 알린다(S412).
한편, 발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210) 뿐만 아니라 화상 회의방에 접속한 다수의 착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는 내부에 구비된 화상 카메라를 통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콜 믹서(170) 또는 데이터 믹서(280)로 전송한다(S414).
이어, 콜 믹서(170) 또는 데이터 믹서(280)는 각각의 화상 회의 참석 단말기들이 화상 회의 참석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현재 화상 회의방에 접속한 사용자의 화상 데이터를 각각의 화상 이동 단말기에게로 전송해 준다(S416).
따라서, 다자간 화상 회의에 접속된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는 현재 다자간 화상 회의에 참석한 모든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모습을 또는 이동 전화 번호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다자간 화상 회의에 접속된 단말기 중에 하나의 단말기가 접속을 끊으면, 콜 믹서(170) 또는 데이터 믹서(280)는 화상 회의에 참석한 다수의 사용자 영상에서 화상 회의로부터 이탈한 단말기 사용자의 영상을 삭제하여, 다자간 화상 회의에 참석한 각각의 단말기마다 해당 단말기 사용자의 모습이나 해당 번호가 사라지도록 하게 된다.
이후, 발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210)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는 게이트키퍼(260)에서 제공되는 H.245 제어 채널 시그널링 메시지를 통해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실시간 전송 제어 프로토콜(RTCP; 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주소에 대해서 설정한 후 그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을 통해 화상전화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S418).
이때, 사용자 트래픽은 발신측 또는 착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가 속한 홈 에이전트와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를 경유하면서 통화가 이루어진다. 즉, 발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210)의 음성 및 영상 데이터는 발신측 PDSN(250)와 착신측 홈 에이전트 및 착신측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를 경유하여 착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에게로 전송되고, 착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의 음성 및 영상 데이터는 착신측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와 발신측 홈 에이전트(252) 및 발신측 PDSN(250) 경유하여 발신측 화상 이동 단말기(210)에게로 전송된다.
한편, 발신측과 착신측 이동 단말기간의 화상전화 통화가 종료되면 게이트키퍼(260)는 통화시간 정보가 포함된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TCP/IP를 통하여 과금정보 관리 시스템에게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하며 무선으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킷 방식의 비동기망에는 화상 전화용 콜 믹서를 설치하고, 동기망에는 데이터 믹서를 설치하여, 하나의 가입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다수의 다른 가입자 단말기들을 호출하여 다자간에 화상 전화로 통화를 하며 무선 회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및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않고 다수의 상대방과 화상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회선망(CSN : Circuit Switched Network)과 패킷망(PSN : Packet Switched Network)을 포함하는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WCDMA)을 통하여 다자간 화상 회의에 접속하고, 상기 다자간 화상 회의에 접속된 단말기의 사용자 모습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기반의 스위치 및 라우팅 접속을 제공하는 에스지에스엔(SGSN);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이동성 제공 및 각종 데이터 관련 프로토콜 처리 기능을 수행하며, 패킷 데이터망(PDN: Packet Data Network)에 연결되는 지지에스엔(GGSN);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상 회의 요청에 따라 화상 회의방을 개설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요청한 화상 회의 대상자를 호출하여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케 하며,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된 단말기의 사용자 영상을 각각의 참석 단말기들에게 전송해 주며, 화상 회의 통화에 대한 음성 신호를 상기 회선망(CSN)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상기 패킷망(PSN)을 통해 참석 단말기들에게 송수신하여 화상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콜믹서(Call Mix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2. 영상 및 음성 신호를 프레임으로 부호화/복호화하여 IP 패킷으로 만들어 다 른 H.323 엔티티(Entity)로 보내기 위하여 음성/영상 부호화기를 이용하고, 다자간 화상 회의에 접속하기 위해 H,323 프로토콜 스택(H.225, H.245)을 가지며, 상기 다자간 화상 회의에 접속된 사용자의 모습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무선 전화 통화를 위한 통신 접속 경로 또는 무선 인터넷 접속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음성 신호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해 주는 동기식 이동 통신망;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의 영상 데이터를 패킷 형태로 전송해 주는 패킷 데이터망(PDN);
    상기 이동 단말기의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IP) 등록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부여하는 홈 에이전트;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상 전화 호를 위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가입자의 정보 및 상태를 관리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할당받은 상기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수신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및 등록을 수행하는 게이트키퍼;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상 회의 요청에 따라 화상 회의방을 개설하고, 화상 회의 대상자를 호출하여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케 하며,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된 단말기의 사용자 영상을 각각의 참석 단말기들에게 전송해 주며, 화상 회의 통화에 대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참석 단말기들에게 송수신하여 화상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믹서(Data Mix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화상 카메라가 부착되고, 파워 온(Power On)시에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IP) 등록 및 화상전화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며, 모바일 IP 등록에 의해 패킷 데이터 및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비디오 스트림들을 디코딩할 수 있는 지를 표시하기 위해 H.245 동시 능력(Simultaneous Capabilities)을 사용하고, 등록과 해제 및 재등록과 관련한 타이머 관리를 모바일 IP 규격과 동일하게 적용하며, 상기 음성 신호 및 비디오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지원하며, 현재 다자간 화상 회의에 참석하는 모든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를 상기 콜 믹서 또는 상기 데이터 믹서로부터 수신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콜 믹서 또는 상기 데이터 믹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화상 회의방을 개설하고 상기 화상 회의에 참석케 하고자 하는 단말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호출하도록 하고, 호출에 응답하 여 상기 화상 회의에 접속된 단말기 사용자의 모습을 상기 이동 단말기를 비롯한 다른 화상 회의 참석 단말기에도 표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화상회의 프로그램부;
    상기 화상 회의에 참석한 단말기 간에 음성 및 화상이 송수신되도록 통신망에 연결되는 통신 접속부;
    상기 화상 회의에 참석한 단말기 중에 현재 통화를 진행하는 두 단말기를 스위칭 연결하여, 두 단말기 간에 음성 및 영상이 전송되도록 전송 경로를 스위칭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상 회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화상 회의방을 개설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 및 화상 회의 요청에 응답한 단말기들을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시키며,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된 단말기들을 각각의 단말기에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회상 회의방에 참석한 단말기들 간에 음성 및 화상으로 무선 통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화상 회의를 요청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화상 회의방을 개설하도록 다수의 목록을 제공하여 그 중에서 선택하여 설정하도록 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임의로 상기 화상 회의방의 명칭을 입력하여 개설하여 회의 그룹을 설정하도록 하는 회의그룹 설정부;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한 단말기들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임시로 저장하면서,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된 각각의 단말기에게로 전송하여 주며, 상기 화상 회의방에서 빠져 나간 단말기의 사용자 영상을 삭 제하여 상기 화상 회의방의 실시간 상황을 관리 저장하는 통화자 영상 저장부;
    상기 회의그룹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회의 그룹명이나 화상 회의방에 대한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설정그룹 임시저장부;
    개설된 상기 화상 회의방을 통해 화상 통화가 이루어질 때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다른 회의 참석자의 요청에 의해 화상 통화 내용의 기록을 요청받을 경우, 개설된 상기 화상 회의방을 통해 통화하는 음성 및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 저장하는 화상통화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6.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다자간 화상 회의에 대한 음성 신호 및 영상 데이터를 제어 처리하는 콜 믹서 또는 데이터 믹서에게 화상 회의를 요청하는 제 1 단계;
    상기 다자간 화상 회의를 위한 화상 회의방을 개설하고 화상 회의 대상자를 설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화상 회의 대상자에게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화상 회의 대상자가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하는 제3 단계;
    상기 화상 회의방에 접속된 모든 참석자의 영상을 각각의 상기 화상 회의 대상자에게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다자간 화상 회의에 접속된 단말기 간에 화상 통화에 대한 음성 신호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다자간 화상 회의에 접속된 상기 모든 참석자의 영상을 수신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이 와이브로(Wibro) 통신인 경우에도 데이터 믹서를 통해 화상 통화에 대한 음성 신호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다자간 화상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방법.
KR1020050029856A 2005-04-11 2005-04-11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및 방법 KR100706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856A KR100706086B1 (ko) 2005-04-11 2005-04-11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856A KR100706086B1 (ko) 2005-04-11 2005-04-11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641A true KR20060107641A (ko) 2006-10-16
KR100706086B1 KR100706086B1 (ko) 2007-04-11

Family

ID=3762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856A KR100706086B1 (ko) 2005-04-11 2005-04-11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0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027B1 (ko) * 2007-12-28 2010-03-11 한국과학기술원 가상음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340504B1 (ko) * 2007-07-27 2013-12-11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용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방법 및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405949B1 (ko) * 2007-10-24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40097432A (ko) * 2011-11-27 2014-08-06 가부시키가이샤 시너지드라이브 보이스 링크 시스템
KR20150134637A (ko) * 2014-05-22 2015-12-0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분산 환경에서의 다자간 회의 구성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785B1 (ko) 2007-08-16 2014-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영상 통화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138A (ko) * 2000-09-08 2002-03-14 정규석 이동 단말을 이용한 다자간 영상회의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04B1 (ko) * 2007-07-27 2013-12-11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용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방법 및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405949B1 (ko) * 2007-10-24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0947027B1 (ko) * 2007-12-28 2010-03-11 한국과학기술원 가상음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40097432A (ko) * 2011-11-27 2014-08-06 가부시키가이샤 시너지드라이브 보이스 링크 시스템
KR20150134637A (ko) * 2014-05-22 2015-12-0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분산 환경에서의 다자간 회의 구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086B1 (ko)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00256B (zh) 通信装置以及在通信装置中处理会议通信服务的方法
US7283489B2 (en) Multimedia half-duplex sessions with individual floor controls
US20070093238A1 (en) System for video conference, proxy server and method thereof
US20050259803A1 (en) Managing a conference session
EP2448364B1 (en) Method for realizing radio videoconference, system and terminal thereof
KR100706086B1 (ko)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화상 회의 시스템 및 방법
CN101346964A (zh) 用于与通信网络的远程用户建立多媒体会话的方法
KR20100017764A (ko) 사용자 개시 핸드오프에 기초한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CN102387267A (zh) 融合呼叫方法及系统
EP1718077A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teleconferencing via a video bridge
US9013537B2 (en) Method, device, and network systems for controlling multiple auxiliary streams
CN100574232C (zh) 一种多媒体呼叫的并行呼叫功能的实现方法
KR101772093B1 (ko) 지능망 콜센터의 영상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401262B1 (ko) 이동전화망에서의 화상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048548B1 (ko) 그룹 영상통화의 안내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398658B1 (ko) 이동전화망에서의 개인 컴퓨터와 이동전화 단말기간의화상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723673B1 (ko) Ptt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발언자 표시 방법및 시스템
KR101104704B1 (ko) Ptt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발언자 표시 방법
KR100367484B1 (ko) 이동통신망과 패킷 데이터망간의 호 설정 방법
KR100590488B1 (ko)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trs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34581B1 (ko) Cctv 영상 공유 및 다자간 음성 컨퍼런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874019B1 (ko) Ims 망을 이용하여 반이중 통화, 전이중 통화, 컨퍼런스 및 문자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ptt 시스템
KR20090000771A (ko) 실시간으로 다자간 대화방의 시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시스템 및 방법
KR100527200B1 (ko) 교환 시스템의 다자간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20150026017A (ko) 그룹 영상통화의 과금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