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339A - 휴대 단말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339A
KR20060107339A KR1020060030939A KR20060030939A KR20060107339A KR 20060107339 A KR20060107339 A KR 20060107339A KR 1020060030939 A KR1020060030939 A KR 1020060030939A KR 20060030939 A KR20060030939 A KR 20060030939A KR 20060107339 A KR20060107339 A KR 20060107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roadcast
communication
supplied
receiv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유끼 가사시마
도루 스다
히또시 마스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7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9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by improving strong signal performance of the receiver when strong unwanted signals are present at the receiver in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시에서의 무선 통신에 의한 방해를 경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선 통신의 통신 동작 상태를 판별하여 신호 경로 선택 신호 CG를 생성한다. 무선 신호의 송신을 행하고 있을 때, 혹은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신호 레벨이 미리 설정한 레벨보다도 클 때,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에 무선 신호의 신호 성분이 더해짐으로써 증폭 시에 왜곡을 발생하게 되는 일이 없도록, 신호 CG에 의해서 트랜지스터(224)를 오프 상태로 하고,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를, 증폭을 행하지 않은 신호 경로인 저항기(232)와 캐패시터(234)를 통하여 메인 앰프(223)에 공급한다. 증폭 시에 왜곡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 없을 때는, 트랜지스터(224)를 온 상태로 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를 트랜지스터(231)로 증폭하여 앰프(223)에 공급한다.
통신 안테나, 방송 수신 안테나, A/V 디코더, 표시 소자, ROM, RAM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MOBILE TERMINAL APPRATUS AND BROADCAST RECEIV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튜너부의 입력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신호 경로 선택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 단말 장치
11 : 통신 안테나
12 : 안테나 절환부
13 : 통신부
14 : 코덱부
21 : 방송 수신 안테나
22 : 튜너부
24 : 복조부
25 : 다중 분리부
26 : A/V 디코더
31 : 마이크 신호 처리부
32 : 마이크로폰
33 : 음성 신호 출력부
34 : 스피커
35 : 표시 구동부
36 : 표시 소자
40 : 제어부
41 : ROM
42 : RAM
43 : 인터페이스
44 : 조작부
131 : 수신 신호 처리부
132 : 송신 신호 생성부
133 : 베이스 밴드 처리부
221 : 필터
222 : 프리 앰프
223 : 메인 앰프
224 : 스위칭 트랜지스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3-309774호 공보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세히는, 무선 통신의 통신 동작 상태에 따라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의 증폭을 행하는 신호 경로와 증폭을 행하지 않은 신호 경로와의 선택을 행하고, 선택된 신호 경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수신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주파수 변환을 행하는 것이다.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기능 향상에 수반하여, 특허 문헌 1의 발명과 같이, 휴대 전화의 기능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방송의 시청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90㎒∼770㎒의 주파수 범위를 이용하여 방송 신호의 송신이 행해지고 있으며, 휴대 전화에서는, 예를 들면 800㎒대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지상 아날로그 방송의 종료에 수반하여, 텔레비전 방송용 주파수대를 통신용 주파수대로서 할당하는 것도 계획되고 있다. 따라서,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휴대 전화의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 주파수가 근접한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게 되는 상황이 생긴다.
그런데, 무선 통신에서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신호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수신하는 방송 신호보다도 신호 레벨이 크다. 이 때문에, 주파수가 근접한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휴대 전화 의 기능을 이용하면, 송신 신호가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화상에 방해를 주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무선 통신에서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신호 레벨이 큰 경우에도,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화상에 방해를 주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방송 수신 시에서의 무선 통신에 의한 방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주파수 변환을 행하는 튜너부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튜너부와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튜너부의 입력단에,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후단에 공급하는 신호 경로와 증폭하지 않고 후단에 공급하는 신호 경로를 설치하고, 제어부는 통신부의 통신 동작 상태에 따라서 입력단의 신호 경로의 선택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방법은, 무선 통신의 통신 동작 상태를 판별하는 수순과, 판별된 통신 동작 상태에 따라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의 증폭을 행하는 신호 경로와 증폭을 행하지 않은 신호 경로와의 선택을 행하는 수순과, 선택된 신호 경로를 통하여 공급된 수신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주파수 변환을 행하는 수순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의 통신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신호 경로의 선택이 행해져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에 무선 신호의 신호 성분이 더해짐으로써 증폭 시에 왜곡을 발생하게 되는 것과 같을 때, 예를 들면 무선 신호의 송신을 행하고 있을 때, 혹은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신호 레벨이 미리 설정한 레벨보다도 클 때,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의 증폭을 행하지 않은 신호 경로가 선택되고, 이 선택된 신호 경로를 통하여 공급된 수신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주파수 변환이 행해진다. 또한, 증폭 시에 왜곡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 없을 때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의 증폭을 행하는 신호 경로가 선택되고, 이 선택된 신호 경로를 통하여 공급된 수신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주파수 변환이 행해진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통신 안테나(11)는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안테나로, 안테나 절환부(12)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안테나(21)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로, 튜너부(22)와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 절환부(12)는, 듀플렉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신 안테나(11)에 의해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 SRFr을 통신부(13)의 수신 신호 처리부(131)에 공급한다. 또한, 통신부(13)의 송신 신호 생성부(132)로부터 공급된 송신 신호 SRFt를 통신 안테나(11)에 공급한다.
수신 신호 처리부(131)는, 수신 신호 SRFr의 주파수 변환이나 복조 처리를 행하여, 베이스 밴드 수신 신호 SBr을 생성하여 베이스 밴드 처리부(133)에 공급한다. 송신 신호 생성부(132)는, 베이스 밴드 처리부(133)로부터 공급된 베이스 밴 드 송신 신호 SBt의 변조 처리 및 주파수 변환 처리를 행하여, 송신 신호 SRFt를 생성하여 안테나 절환부(12)에 공급한다.
베이스 밴드 처리부(133)는, 베이스 밴드 수신 신호 SBr을 디지털의 베이스 밴드 수신 데이터로 변환한 후, 디인터리브 처리나 디코드 처리 및 오류 정정 처리 등을 행하여, 얻어진 수신 음성 데이터 DAr을 코덱부(14), 얻어진 수신 정보 데이터 DSr을 제어부(40)에 각각 공급한다. 또한, 베이스 밴드 처리부(133)는, 코덱부(14)로부터 공급된 송신 음성 데이터 DAt나 제어부(40)로부터 공급된 송신 정보 데이터 DSt에 오류 검출용 부호를 부가한 후 인코드 처리나 인터리브 처리를 행하여, 베이스 밴드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베이스 밴드 처리부(133)는, 생성한 베이스 밴드 송신 데이터를 아날로그의 베이스 밴드 송신 신호 SBt로 변환하여 송신 신호 생성부(132)에 공급한다.
코덱부(14)는, 수신 음성 데이터 DAr을 신장하여 음성 데이터 DAtel로서 음성 신호 출력부(33)에 공급한다. 또한, 후술하는 마이크 신호 처리부(31)로부터 디지털의 음성 데이터 DAm이 공급되었을 때, 이 음성 데이터 DAm을 압축하여 송신 음성 데이터 DAt로서 베이스 밴드 처리부(133)에 공급한다.
방송 수신 안테나(21)에 접속된 튜너부(22)는, 방송 수신 안테나(21)에 의해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 Stv를 증폭한 후 주파수 변환이나 선국을 행하여, 원하는 채널의 수신 신호를 복조부(24)에 공급한다. 복조부(24)는, 튜너부(22)로부터 공급된 수신 신호의 복조 처리를 행하여, 복조 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트랜스포트 스트림 TS를 다중 분리부(25)에 공급한다. 또한, 복조 부(24)에서는 복조 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신호의 오류 정정 처리도 행한다.
다중 분리부(25)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TS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영상·음성 패킷 Pav를 선택하여 A/V 디코더(26)에 공급한다. A/V 디코더(26)는, 영상·음성 패킷 Pav의 복호화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영상 데이터 DVtv를 표시 구동부(35)에 공급한다. 또한, 복호화 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음성 데이터 DAtv를 음성 신호 출력부(33)에 공급한다.
마이크 신호 처리부(31)는, 접속되어 있는 마이크로폰(32)으로부터 공급된 마이크 음성 SAmic를 증폭한 후 디지털의 음성 데이터 DAm으로 변환하여, 코덱부(14)에 공급한다.
음성 신호 출력부(33)는, 코덱부(14)로부터 공급된 음성 데이터 DAtel 혹은 A/V 디코더(26)로부터 공급된 음성 데이터 DAtv를 선택하여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변환 후의 음성 신호의 신호 레벨 등을 조정하여 음성 출력 신호 SAout으로서 스피커(34)에 공급한다.
표시 구동부(35)는, A/V 디코더(26)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 DVtv, 혹은 제어부(40)로부터 공급된 표시 데이터 DVdt에 기초하여 표시 구동 신호 DR을 생성하여 표시 소자(36)에 공급한다. 표시 소자(36)는, LCD(액정 표시 소자)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표시 구동부(35)로부터 공급된 표시 구동 신호 DR에 기초하여 구동되어,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이나 통신에 의해서 얻어진 정보, 혹은 휴대 단말 장치의 동작 상태 등에 관한 표시를 행한다.
제어부(40)에는, ROM(Read Only Memory)(41)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42), 인터페이스(43), 키 패드 등으로 구성된 조작부(44)가 접속되어 있다. ROM(41)에는, 휴대 단말 장치(10)에서 원하는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제어부(40)가 소프트웨어로써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RAM(42)에는, 송신하는 정보나 수신한 정보 및 통신 상대에 관한 정보 등이 저장된다. 인터페이스(43)는, 휴대 단말 장치(10)에 컴퓨터 장치나 주변 장치 등을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조작부(44)는, 숫자 키나 알파벳 키 등을 갖는 키 패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키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 PS를 제어부(40)에 공급한다.
제어부(40)는, ROM(41)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조작부(44)로부터의 조작 신호 PS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 CT를 생성하고, 이 제어 신호 CT를 통신부(13)나 튜너부(22) 등에 공급함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10)의 동작이 원하는 동작으로 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 신호 CT를 튜너부(22)에 공급하여, 원하는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선국하여, 프로그램의 영상을 표시 소자(36)에서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 신호 CT를 통신부(13)에 공급하여, 원하는 상대편과의 통화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어 신호 CT에 의해서, 음성 신호 출력부(3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출력 신호 SAout의 신호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스피커(34)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음량 조정 등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는, 방송 신호의 수신 중에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에 대한 악영향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무선 통신 동작 상태에 따른 신호 경로 선택 신호 CG를 생성하여 튜너부(22)에 공급한다. 튜너부(22)의 입력단에는, 수신 신호 Stv를 증폭하여 후단에 공급하는 신호 경로와 증폭하지 않고 후단에 공급하는 신호 경 로를 설치하여, 신호 경로 선택 신호 CG에 기초하여 신호 경로의 선택을 행한다.
도 2는 튜너부(22)의 입력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방송 수신 안테나(21)는, 튜너부(22)의 필터(221)와 접속된다. 필터(221)는, 수신 신호 Stv에 대하여 텔레비전 방송 신호로 이용하는 주파수대의 신호를 통과시키도록 필터 처리를 행한다.
필터(221)로부터 출력된 필터 처리 후의 신호는, 프리 앰프(222)를 구성하는 NPN형 트랜지스터(231)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또한, 도 2에서는, 프리 앰프(222)의 일 실시예로서 트랜지스터(231)를 이용한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프리 앰프(222)는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트랜지스터(231)의 베이스와 콜렉터 사이에는, 증폭기의 귀환 회로로 되는 저항기(232)가 접속되어 있고, 트랜지스터(231)의 에미터는, 저항기(233)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231)의 콜렉터는, 결합 컨덴서(234)를 통하여 후단의 메인 앰프(223)와 접속된다. 또한, 콜렉터에는, 저항기(235)를 통하여, P 채널 MOS형 스위칭 트랜지스터(224)의 드레인이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224)의 소스에는 전원 전압 V가 공급되어 있으며, 게이트에는 신호 경로 선택 신호 CG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신호 경로 선택 신호 CG에 의해서 스위칭 트랜지스터(224)가 구동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224)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프리 앰프(222)에 대하여 전원 전압 V가 공급된다. 이 때문에, 필터 처리 후의 신호는, 프리 앰프(222)에 의해 증폭된 후, 후단의 메인 앰프(223)에 공급된다. 또한, 스위칭 트랜 지스터(224)가 오프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프리 앰프(222)에 대하여 전원 전압 V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 때문에, 필터 처리 후의 신호는, 프리 앰프(222)에 의해 증폭되지 않고 귀환 저항인 저항기(232)를 통하여, 후단의 메인 앰프(223)에 공급된다.
여기서, 무선 통신으로 이용하는 주파수대와 텔레비전 방송으로 이용하는 주파수가 근접하고 있어, 무선 통신으로 이용되고 있는 신호 성분을 필터(221)에 의해서 충분히 작은 레벨로 감쇠시킬 수 없는 경우, 수신 신호 Stv에 무선 통신의 신호 성분이 더해져 신호 레벨이 커진다. 이 신호 레벨이 큰 것으로 된 수신 신호 Stv를 프리 앰프(223)로 증폭하면, 트랜지스터의 비선형 특성에 의해, 메인 앰프(223)에 공급되는 신호는, 왜곡을 발생한 신호로 되게 되어, 예를 들면 시청 중의 방송 프로그램의 화면 상에 방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어부(40)는, 수신 신호 Stv에 무선 통신으로 이용된 신호 성분이 더해져 증폭 시에 왜곡을 발생하게 되는 것 같을 때, 수신 신호 Stv를 증폭하지 않고 메인 앰프(223)에 공급하는 신호 경로를 선택하여, 증폭 시에 왜곡을 발생하게 되는 일이 없을 때, 수신 신호 Stv를 증폭하여 메인 앰프(223)에 공급하는 신호 경로를 선택하도록, 신호 경로 선택 신호 CG에 의해서 신호 경로의 선택을 행한다.
예를 들면, 방송 신호의 수신 중에 통신 안테나(11)로부터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송신 신호의 신호 레벨은 크기 때문에, 이 신호 성분이 수신 신호 Stv에 더해지기 쉽다. 이 때문에, 제어부(40)는, 신호 경로 선택 신호 CG의 논리 레벨을 로우 레벨 「L」로부터 하이 레벨 「H」로 절환하여, 송신의 종료 시에 논리 레벨을 하이 레벨 「H」로부터 로우 레벨 「L」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신호 경로 선택 신호 CG를 생성하면, 무선 신호의 송신중은, 수신 신호 Stv가 귀환 저항인 저항기(232)를 통하여 메인 앰프(223)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왜곡을 발생한 수신 신호가 메인 앰프(223)에 공급되지 않아, 무선 통신에 의한 방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신호의 송신이 종료했을 때는, 프리 앰프(222)에 대하여 전원 전압 V가 공급되므로, 수신 신호 Stv가 증폭되어 메인 앰프(223)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수신 신호 Stv의 신호 레벨이 작을 때에도 방송 프로그램의 제시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안테나(11)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지는 수신 신호 SRFr의 신호 레벨이 큰 경우에도, 무선 신호의 신호 성분이 수신 신호 Stv에 더해지기 쉽다. 이 때문에, 수신 신호 처리부(131)는, 수신 신호 SRFr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수신 신호 레벨(도시 생략)을 제어부(40)에 통지한다. 제어부(40)는, 수신 신호 SRFr의 신호 레벨이 미리 설정한 신호 레벨보다도 클 때, 신호 경로 선택 신호 CG의 논리 레벨을 로우 레벨 「L」로부터 하이 레벨 「H」로 절환하여, 수신 신호 Stv를 증폭하지 않고 메인 앰프(223)에 공급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휴대 단말 장치(10)가 기지국의 가까운데서 이용됨으로써,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의 신호 성분에 의해서 수신 신호 Stv의 신호 레벨이 커지더라도, 왜곡을 발생한 수신 신호가 메인 앰프(223)에 공급되지 않아, 무선 통신에 의한 방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3은 제어부(40)에서의 신호 경로 선택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방송 신호의 수신 개시 조작이 행해지면, 스텝 ST1에서 제어부(40)는, 튜너부(22)를 제어하여 선국 처리를 행한다. 즉, 수신 조작으로 지정된 채널 혹은 전회의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에 의해 마지막으로 선국되어 있는 채널(라스트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주파수 변환하는 처리를 행하여, 스텝 ST2로 진행한다.
스텝 ST2에서 제어부(40)는, 수신 신호 Stv의 증폭 시에 왜곡을 발생시키게 될 우려가 있는 통신 동작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서, 수신 신호 Stv의 증폭 시에 왜곡을 발생시키게 될 우려가 있는 통신 동작 상태가 아닐 때에는 스텝 ST3으로 진행한다. 또한, 수신 신호 Stv의 증폭 시에 왜곡을 발생시키게 될 우려가 있는 통신 동작 상태일 때에는 스텝 ST4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 장치(10)로 무선 신호의 송신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나, 통신 안테나(11)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 SRFr의 신호 레벨이 미리 설정한 신호 레벨보다도 클 때는, 수신 신호 Stv의 증폭 시에 왜곡을 발생시키는 우려가 없기 때문에 스텝 ST3으로 진행한다. 또한, 무선 신호의 송신을 행하고 있을 때나, 수신 신호 SRFr의 신호 레벨이 미리 설정한 신호 레벨보다도 클 때는, 수신 신호 Stv의 증폭 시에 왜곡을 발생시키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스텝 ST4로 진행한다.
스텝 ST3에서 제어부(40)는, 증폭을 행하는 신호 경로를 선택하여 스텝 ST5로 진행한다. 즉, 튜너부의 입력단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신호 경로 선택 신호 CG의 논리 레벨을 로우 레벨 「L」로 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224)를 온 상태로 하여 프리 앰프(222)에 전원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방송 수신 안테나(21)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 Stv를 프리 앰프(222)로 증폭하여, 결합 컨덴서(234)를 통하여 메인 앰프(223)에 공급시킨다.
스텝 ST4에서 제어부(40)는, 증폭을 행하지 않은 신호 경로를 선택하여 스텝 ST5로 진행한다. 즉, 튜너부의 입력단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신호 경로 선택 신호 CG의 논리 레벨을 하이 레벨 「H」로 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224)를 오프 상태로 함으로써 프리 앰프(222)에 대한 전원 전압의 공급을 정지하고, 방송 수신 안테나(21)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 Stv를, 저항기(232) 및 결합 컨덴서(234)를 통하여 메인 앰프(223)에 공급시킨다.
스텝 ST5에서 제어부(40)는, 수신 종료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서, 수신 종료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신호 PS가 조작부(44)로부터 공급되어 있지 않을 때는 스텝 ST1로 되돌아가, 선택된 신호 경로를 통하여 공급된 수신 신호 Stv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주파수 변환을 행한다. 또한, 수신 종료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신호 PS가 조작부(44)로부터 공급되었을 때는, 방송 신호의 수신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튜너부에서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에 방해를 주는 통신 동작이 행해지지 않을 때,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처리 회로에 공급하는 신호 경로가 선택된다. 또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에 방해를 주는 통신 동작이 행해지고 있을 때, 수신 신호를 증폭하지 않고 처리 회로에 공급하는 신호 경로가 선택된다.
이 때문에, 무선 통신의 신호 성분에 의해서 수신 신호 Stv의 신호 레벨이 커지더라도, 왜곡을 발생한 신호가 처리 회로에 공급되지 않아,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시에 무선 통신에 의한 방해의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수신 신호 Stv를 증폭하지 않고 후단에 공급하는 신호 경로로서, 프리 앰프(222)의 귀환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프리 앰프(222)와는 별개로 새롭게 신호 경로를 설치하거나, 신호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경로 절환 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면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유용하며, 텔레비전 방송의 시청이 가능한 휴대 전화 장치 등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의 통신 동작 상태에 따라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의 증폭을 행하는 신호 경로와 증폭을 행하지 않은 신호 경로와의 선택이 행해져서, 선택된 신호 경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수신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주파수 변환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에, 무선 통신으로 이용된 신호 성분이 더해져 증폭 시에 왜곡을 발생하게 되는 것 같은 경우, 수신 신호의 증폭을 행하지 않은 신호 경로가 선택되어, 수신 신호의 왜곡이 방지되므로, 방송 수신 시에 무선 통신에 의한 방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주파수 변환을 행하는 튜너부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튜너부와 상기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튜너부의 입력단에, 상기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후단에 공급하는 신호 경로와 증폭하지 않고 후단에 공급하는 신호 경로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의 통신 동작 상태에 따라서 상기 입력단의 신호 경로의 선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를 증폭하지 않고 후단에 공급하는 신호 경로로서, 상기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후단에 공급하는 신호 경로에 설치된 증폭기의 귀환 회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서 무선 신호의 송신을 행하고 있을 때, 혹은 상기 통신부에서 무선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신호 레벨이 미리 설정한 레벨보다도 클 때, 상기 입력단의 신호 경로로서 수신 신호를 증폭하지 않고 후단에 공급하는 신호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4. 무선 통신의 통신 동작 상태를 판별하는 수순과,
    상기 판별된 통신 동작 상태에 따라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얻어진 수신 신호의 증폭을 행하는 신호 경로와 증폭을 행하지 않은 신호 경로와의 선택을 행하는 수순과,
    상기 선택된 신호 경로를 통하여 공급된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주파수 변환을 행하는 수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방법.
KR1020060030939A 2005-04-06 2006-04-05 휴대 단말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 KR200601073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10186A JP2006295335A (ja) 2005-04-06 2005-04-06 携帯端末装置および放送受信方法
JPJP-P-2005-00110186 2005-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339A true KR20060107339A (ko) 2006-10-13

Family

ID=36702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939A KR20060107339A (ko) 2005-04-06 2006-04-05 휴대 단말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042723A1 (ko)
EP (1) EP1710921B1 (ko)
JP (1) JP2006295335A (ko)
KR (1) KR20060107339A (ko)
CN (1) CN100448275C (ko)
DE (1) DE602006007900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253B1 (ko) * 2008-09-30 2010-04-02 삼성전기주식회사 Agc 회로 및 이를 이용한 tv폰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8544A1 (en) * 2007-06-20 2008-12-25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Frequency mixer
KR20090033658A (ko) * 2007-10-01 2009-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397035B1 (ko) * 2007-11-30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기술 지원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3175A (en) * 1976-08-05 1977-12-13 Friedman Eliot I Amplifier for receive mode operation
JPH1131986A (ja) * 1997-07-08 1999-02-02 Oki Electric Ind Co Ltd 受信信号のレベル制御方法
US6253070B1 (en) * 1998-07-22 2001-06-26 Denso Corporation Diode amplifier bypass circuit
US6144254A (en) * 1999-06-04 2000-11-07 Infineon Technologies Corporation Low-noise amplifier with switched gain and method
KR100374570B1 (ko) * 1999-11-22 200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의 통화 신호 및 텔레비전 방송 신호 안테나공용 장치
US6396347B1 (en) * 2001-05-03 2002-05-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w-power, low-noise dual gain amplifier topology and method
US20020055371A1 (en) * 2000-11-09 2002-05-09 Shlomi Arnon Cellular base station with remote antenna
JP3979485B2 (ja) * 2001-01-12 2007-09-19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信号処理用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030078052A1 (en) * 2001-05-23 2003-04-24 Cel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infrastructure between wireless network operators
US6621339B2 (en) * 2001-11-30 2003-09-16 Tripath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negative feedback, providing loop stability, and improving amplifier efficiency
FI115808B (fi) * 2002-07-12 2005-07-15 Filtronic Comtek Oy Pienikohinaisen vahvistimen ohitusjärjestely
CN100559722C (zh) * 2003-06-10 2009-11-11 诺基亚公司 在包括发射机的设备中进行信号接收的方法和设备
JP2005117282A (ja) * 2003-10-06 2005-04-28 Toyota Industries Corp 利得制御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253B1 (ko) * 2008-09-30 2010-04-02 삼성전기주식회사 Agc 회로 및 이를 이용한 tv폰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42723A1 (en) 2007-02-22
CN1856044A (zh) 2006-11-01
EP1710921B1 (en) 2009-07-22
DE602006007900D1 (de) 2009-09-03
CN100448275C (zh) 2008-12-31
JP2006295335A (ja) 2006-10-26
EP1710921A1 (en)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396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reducing interfering phase-noise in the mobile terminal
US794110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moving interference noise in personal communication terminal
KR100263896B1 (ko) 디지털/아날로그 방송 신호 처리장치
EP159651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s in a wireless terminal
WO2003063437A1 (fr) Appareil de reception de signal haute frequenc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lui-ci
WO2007125775A1 (ja) 受信装置、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及び受信方法
JP4561154B2 (ja) 高周波装置
US20080152051A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20060107339A (ko) 휴대 단말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
KR100644042B1 (ko) 액세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 처리방법과 그 시스템
KR19990042203A (ko) 티브이의 방송 수신장치 및 방법
KR100986689B1 (ko) 휴대용 디지털방송 수신카드 및 그 수신카드가 장착된디지털방송수신기기
KR100330851B1 (ko) 티브이시청중에 통화하는 티브이폰 및 그 방법
JP2010193369A (ja) 受信システムおよび受信方法
KR20060131295A (ko) 모바일 복합 디지탈 tv 수신 모듈
JP3891183B2 (ja) 携帯型高周波受信装置とこれに用いる集積回路
KR20050000087A (ko) 자동이득제어에 의한 볼륨 균일화장치
JP200502691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746432B1 (ko) Dmb 수신 성능을 개선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50047610A (ko)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제어 방법
KR20070087307A (ko) 디엠비 수신모듈
KR20010048818A (ko) 티브이폰의 모드 전환방법
KR20080026715A (ko) 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저잡음증폭기모듈
KR20100044979A (ko) 디지털 고화질 방송 수신 시스템
KR20090115358A (ko)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