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234A -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234A
KR20060107234A KR1020050029348A KR20050029348A KR20060107234A KR 20060107234 A KR20060107234 A KR 20060107234A KR 1020050029348 A KR1020050029348 A KR 1020050029348A KR 20050029348 A KR20050029348 A KR 20050029348A KR 20060107234 A KR20060107234 A KR 20060107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washing water
ultrasonic cleaning
clea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정현
박철수
장홍민
이성훈
송병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050029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7234A/ko
Publication of KR20060107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7Sonic or ultrasonic wave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척 방법은, 피세척물이 수용된 세척실에 세척수를 급수하되, 피세척물의 하부만 침수되도록 저수위를 유지하는 1차 급수 단계와; 세척수를 상부로 펌핑하여 피세척물을 샤워시키는 단계와; 세척수에 초음파를 가하여 피세척물을 1차로 초음파 세척하는 단계와; 세척실에 세척수를 급수하되, 피세척물이 세척수에 완전히 침수되도록 고수위를 유지하는 2차 급수 단계와; 세척수에 초음파를 가하여 피세척물을 2차로 초음파 세척하는 단계와; 세척실로부터 세척수를 배수시키되, 펌핑가능할 정도의 저수위를 유지시키는 단계와; 세척실에 남겨진 세척수를 상부로 펌핑하고, 펌핑된 세척수로 피세척물을 샤워시켜 1차로 헹굼하는 단계와; 세척실에 남아 있는 세척수를 모두 배수시키는 단계와; 세척실에 세척수를 급수하되, 펌핑가능할 정도의 저수위를 유지시키는 3차 급수 단계와; 세척실에 급수된 세척수를 상부로 펌핑하고, 펌핑된 세척수로 피세척물을 샤워시켜 2차로 헹굼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METHOD FOR CLEANING TABLEWARE USING ULTRASONIC CLEA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세척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초음파 세척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세척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세척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세척조 12:세척실
20: 도입관 22: 도입밸브
30: 하부수위감지센서 32: 콘트롤러
34: 상부수위감지센서 40: 펌프
42: 관로 44: 분사노즐
50: 히터 52: 온도감지센서
54: 초음파 발생수단 62: 초음파 진동자
70: 배수관 72: 드레인밸브
본 발명은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식기, 채소, 과일 등과 같은 피세척물을 깨끗하게 세척하는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식기나 과일, 채소류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씽크대에 형성된 세척조에 세척수를 일정량 채운 다음, 세제로 식기, 과일, 채소류 등을 씻어서 세척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다량의 세제를 사용하므로 하수를 오염시킬 염려가 있다. 또한 식기, 과일, 채소에 세제가 잔류할 가능성도 있으며, 과일, 채소의 표면에 존재하는 농약 등이 완전히 세척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초음파를 사용하여 식기, 과일, 채소류를 세척할 수 있는 초음파 세척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초음파 세척장치는 세척수와 식기, 과일, 채소류를 수용시킬 수 있는 세척용기와, 세척용기에 수용된 식기, 과일, 채소류(이하, "피세척물"이라 통칭함)에 초음파를 가하는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다.
그런데, 이러한 초음파 세척장치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피세척물을 세척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피세척물에 남아 있는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식기 세척의 경우, 식기에 붙어있는 밥알, 김칫국물 등은 깨끗이 세척할 수 있으나, 마아가린 등과 같은 식물성 지방을 포함하고 있는 음 식물 찌꺼기는 깨끗하게 세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초음파 세척장치는 피세척물을 세척수에 한꺼번에 몽땅 침지시켜서 세척하고, 세척수에 한꺼번에 몽땅 침지시켜서 헹굼하므로, 많은 량의 세척수가 필요하다는 단점도 지적되고 있다. 이같은 단점은 많은 량의 세척수에 초음파를 조사해야 하고, 많은 량의 세척수를 가열해야 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많다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식물성 지방을 포함하고 있는 음식물 찌꺼기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은 량의 세척수로도 피세척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피세척물이 수용된 세척실에 세척수를 급수하되, 상기 피세척물의 하부만 침수되도록 저수위를 유지하는 1차 급수 단계와; 상기 세척수를 상부로 펌핑하여 상기 피세척물을 샤워시키는 단계와; 상기 세척수에 초음파를 가하여 상기 피세척물을 1차로 초음파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실에 세척수를 급수하되, 상기 피세척물이 상기 세척수에 완전히 침수되도록 고수위를 유지하는 2차 급수 단계와; 상기 세척수에 초음파를 가하여 상기 피세척물을 2차로 초음파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실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배수시 키되, 펌핑가능할 정도의 저수위를 유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세척실에 남겨진 상기 세척수를 상부로 펌핑하고, 펌핑된 세척수로 상기 피세척물을 샤워시켜 1차로 헹굼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실에 남아 있는 상기 세척수를 모두 배수시키는 단계와; 상기 세척실에 세척수를 급수하되, 펌핑가능할 정도의 저수위를 유지시키는 3차 급수 단계와; 상기 세척실에 급수된 세척수를 상부로 펌핑하고, 펌핑된 세척수로 상기 피세척물을 샤워시켜 2차로 헹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피세척물이 수용된 세척실에 세척수를 급수하되, 상기 피세척물의 하부만 침수되도록 저수위를 유지하는 1차 급수 단계와; 급수된 상기 세척수를 상부로 펌핑하여 상기 피세척물을 1차로 샤워시키는 단계와; 상기 세척실에 세척수를 급수하되, 상기 피세척물이 상기 세척수에 완전히 침수되게 고수위를 유지하는 2차 급수 단계와; 상기 세척수에 초음파를 가하여 상기 피세척물을 초음파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실의 세척수를 모두 배수시키는 단계와; 상기 세척실에 세척수를 급수하되, 펌핑가능할 정도의 저수위를 유지시키는 3차 급수 단계와; 상기 세척실에 급수된 세척수를 상부로 펌핑하고, 펌핑된 세척수로 상기 피세척물을 2차로 샤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세척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을 참고로하 여 본 발명의 세척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초음파 세척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음파 세척장치는 세척조(10)를 구비한다. 세척조(10)는 세척실(1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세척실(12)에는 세척수와 피세척물(D), 예를 들면 식기, 과일, 채소류 등이 수용된다.
그리고 초음파 세척장치는 세척실(12)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수단을 구비한다. 세척수 공급수단은 세척수를 도입하는 도입관(20)과, 도입관(20)을 개폐하는 도입밸브(22)로 구성된다. 특히, 도입관(20)은 수도관과 연결되어 세척수를 도입한다.
한편, 세척수 공급수단은 세척실(12)로 세척수를 공급하되, 여러 차례에 걸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1차 공급시에는, 소량의 세척수를 세척실(12)에 공급하여 저수위를 유지케 하고, 2차 공급시에는 대량의 세척수를 세척실(12)에 공급하여 고수위를 유지케 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1차 공급시에는, 저수위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피세척물(D)의 상부가 수면위로 노출되게 하고, 2차 공급시에는, 고수위를 유지함으로써 피세척물(D)이 세척수에 완전히 침수되게 한다.
이렇게, 1차 공급시 또는 2차 공급시 서로 다른 량의 세척수의 공급하기 위해, 상기 초음파 세척장치는 세척수의 1차 공급을 제어하는 제 1제어수단과, 세척수의 2차 공급을 제어하는 제 2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제 1제어수단은 세척실(12)의 내벽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수위감지센서(30)와, 하부수위감지센서(30)의 신호에 따라 소량의 세척수가 공급되었음을 판단하는 콘트롤러(32)와, 콘트롤러(32)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입관(20)을 차단하는 상기 도입밸브(22)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수위감지센서(30)는 피세척물(D)의 크기에 따라 상,하 조절가능하다.
제 2제어수단은 세척실(12)의 내벽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수위감지센서(34)와, 상부수위감지센서(34)의 신호에 따라 대량의 세척수가 공급되었음을 판단하는 콘트롤러(32)와, 콘트롤러(32)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입관(20)을 차단하는 상기 도입밸브(22)로 구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초음파 세척장치는, 1차로 공급된 세척수를 세척실(12)의 상부로 상승시킨 후, 이를 피세척물(D)에 분사하여 샤워시키는 샤워수단을 구비한다.
샤워수단은 세척실(12)의 하측에 저수된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40)와, 펌핑된 세척수를 세척실(12)의 상측으로 이송하는 관로(42)와, 상측으로 이송된 세척수를 피세척물(D)에 분사하여 샤워시키는 분사노즐(44)로 구성된다.
그리고 초음파 세척장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가열하는 히터(50)를 구비한다. 히터(50)는 가열코일로서, 세척실(12)의 밑면(12a)에 설치되며, 세척실(12)에 저수된 세척수를 가열한다.
한편, 히터(50)는 세척수의 가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초음파 세척장치는 히터(50)를 제어하는 히터제어수단을 갖는다. 히터제어수단은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52)와, 온도감지센서(52)의 신호에 따라 히터(5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32)로 구성된다.
그리고 초음파 세척장치는 초음파 발생수단(60)을 구비한다. 초음파 발생수단(60)은 초음파 진동자(62)를 갖는 것으로, 세척실(12)에 수용된 피세척물(D)에 초음파를 가한다. 여기서, 초음파 진동자(62)는 세척실(12)의 밑면(12a)과 측벽(12b)에 각각 두 개 설치되는데, 이때, 세척실(12)의 밑면(12a)에 설치되는 초음파 진동자(62)는, 세척수가 1차 공급되거나 또는 2차 공급되거나 관계없이 피세척물(D)에 초음파를 가한다. 반면에, 세척실(12)의 측벽(12b)에 설치되는 초음파 진동자(62)는, 세척수가 2차로 공급되어 고수위가 유지될 경우에만 피세척물(D)에 초음파를 가한다. 한편, 이러한 초음파 발생수단(60)은 히터(50)와 동시에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초음파 세척장치는 세척실(12)에 저수된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세척수 배수수단을 구비한다. 세척수 배수수단은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관(70)과, 배수관(70)을 개폐하는 드레인밸브(72)로 구성된다.
그리고 초음파 세척장치는 콘트롤러(32)를 구비한다. 콘트롤러(32)는 마이콤과 타이머를 갖춘 것으로, 세척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도입밸브(22)를 제어함으로써 1차 또는 2차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위를 각각 조절하고, 펌프(40)를 제어함으로써 샤워수단을 온/오프시키며, 히터(50)를 제어함으로써 세척수의 온도를 제어한다. 또한, 초음파 발생수단(60)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드레인밸브(72)를 제어하여 세척수를 배수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장치들을 순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일련의 세척동작들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피세척물의 세 척 방법을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로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척조(10)의 세척실(12)에 피세척물(D)을 수용시킨 다음, 작동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눌러서 장치를 온(ON)시킨다. 그러면, 도입밸브(22)가 개방되면서 세척수를 1차로 급수하기 시작한다(S101).
한편, 세척수가 급수되면, 상기 콘트롤러(32)는 상기 세척수가 피세척물(D)의 하부만 침수시킬 정도로 저수위인가를 판단한다(S103). 이때, 하부수위감지센서(30)가 급수된 세척수를 감지하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콘트롤러(32)는 도입밸브(22)를 제어하여 세척수의 급수를 중단한다(S105).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피세척물(D)은 그 하부만 침수되고 그 상부는 수면위로 노출된다. 여기서, 세척수는 피세척물(D)의 전체 높이에 대해 1/3 정도만 급수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척수 급수가 완료되면, 히터(50)가 작동되면서 세척수를 가열하기 시작한다(S107). 이때, 콘트롤러(32)는 세척수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데(S109), 세척수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여 온도감지센서(52)가 이를 감지하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콘트롤러(32)는 히터(50)를 제어하여 세척수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킨다(S111). 여기서, 세척수의 온도는 45°정도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마아가린 등의 식물성 지방이 45°정도의 온도에서 용이하게 세척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척수의 가열이 완료되면, 샤워수단의 펌프(40)가 작동되는데, 이때, 펌프(40)가 작동됨에 따라 세척실(12)의 세척수는 관로(42)를 따라 상부로 펌핑되면서 분사노즐(44)로 이송되며, 이송된 세척수는 분사노즐(44)을 통해 하부로 분사되면서 피세척물(D)을 샤워시킨다(S113). 한편, 피세척물(D)을 샤워시키는 과정에서, 초음파 발생수단(60)도 작동되면서 피세척물(D)의 1차로 초음파 세척한다(S115).
여기서, 세척수가 적절한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초음파 세척과 샤워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피세척물(D)에 붙어 있던 이물질, 예를 들면 음식물 찌꺼기 등은 깨끗하게 청소된다. 특히, 마아가린 등의 식물성 지방도 45°온도의 세척수에 의해 깨끗하게 청소된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히터(50)와 초음파 발생수단(60)이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세척수의 가열과 초음파 발생이 시간차를 두고 시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히터(50)와 초음파 발생수단(60)이 동시에 작동되어 세척수의 가열과 초음파 발생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초음파 발생수단(60)과 샤워수단의 펌프(40)가 작동되면, 이후 상기 콘트롤러(32)는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7). 그리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초음파 발생수단(60)과 샤워수단의 작동을 중단시킨다(S119).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대략 10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초음파 발생수단(60)과 샤워수단의 작동이 중단되면, 연이어서 세척수가 2차로 급수된다(S121). 물론, 콘트롤러(32)가 도입밸브(22)를 제어함에 따라 외부의 세척수가 공급된다.
한편, 세척수가 급수되기 시작하면, 상기 콘트롤러(32)는 세척수가 피세척물(D)을 완전히 침수시킬 정도로 고수위인가를 판단한다(S123). 이때, 세척수가 설정 된 수위에 도달하여 상부수위감지센서(34)가 이를 감지하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콘트롤러(32)는 도입밸브(22)를 제어하여 세척수의 급수를 중단한다(S125).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세척수는 피세척물(D)을 완전히 침수시킬 정도로 고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세척수 급수가 완료되면, 초음파 발생수단(60)이 다시 작동되면서 피세척물(D)을 2차로 초음파 세척한다(S127). 여기서, 초음파 발생수단(60)은 세척수에 완전히 침수된 피세척물(D)에 초음파를 가하므로, 피세척물(D)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세척하게 된다.
한편, 초음파 발생수단(60)이 작동됨과 동시에 샤워수단의 펌프(40)도 작동되는데, 이에 따라 세척실(12)의 세척수는 관로(42)를 따라 상부로 펌핑되면서 분사노즐(44)로 이송되며, 이송된 세척수는 분사노즐(44)을 통해 하부로 분사되면서 피세척물(D)을 샤워시킨다(S128).
여기서, 샤워 동작은 펌프(40)의 펌핑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세척실(12)에는 소정의 수류가 형성된다. 즉, 펌프(40)가 세척실(12)의 세척수를 펌핑하면, 세척실(12)의 세척수는 관로(42)를 따라 상부로 이송되고, 이송된 세척수는 다시 하부로 낙하하는 바, 소정의 수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같은 수류는 피세척물(D)에 붙어 있던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떼어내는 역할을 한다.
한편, 초음파 발생수단(60)이 작동되면, 이후 상기 콘트롤러(32)는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9). 그리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초음파 발생수단(60)과 샤워수단의 작동을 중단시킨다(S131).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대 략 10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초음파 발생수단(60)의 작동이 중단되면, 연이어서 세척실(12)에 저수된 세척수를 배수시킨다(S133). 물론, 세척수의 배수는 드레인밸브(72)가 작동됨에 따라 시행된다.
한편, 세척수의 배수가 시작되면, 상기 콘트롤러(32)는 상기 세척수가 샤워수단의 펌프(40)에 의해 펌핑될 수 있을 정도로 저수위인가를 판단한다(S135). 이때, 세척수가 배수되어 하부수위감지센서(30)가 이를 감지하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콘트롤러(32)는 드레인밸브(72)를 제어하여 세척수의 배수를 중단한다(S137).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세척수는 펌프(40)에 의해 펌핑될 수 있는 정도의 저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세척수는 피세척물(D)의 전체 높이에 대해 1/3 정도의 수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세척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샤워수단의 펌프(40)가 다시 작동되면서 피세척물(D)을 샤워시킨다. 이때, 세척수에 의해 샤워되는 피세척물(D)은 1차로 헹굼(S139)되며, 이같은 헹굼 동작은 대략 5분간 실시된다.
그리고 샤워를 통한 1차 헹굼이 완료되면, 세척실(12)에 저수된 세척수를 완전히 배수시킨다(S141). 그리고 세척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곧이어서 세척수가 3차로 급수된다(S143). 물론, 콘트롤러(32)가 도입밸브(22)를 제어함에 따라 외부의 세척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세척수가 3차로 급수되기 시작하면, 상기 콘트롤러(32)는 상기 세척수가 샤워수단의 펌프(40)에 의해 펌핑될 수 있을 정도로 저수위인가를 판단한다 (S145). 이때, 세척수가 급수되어 하부수위감지센서(30)가 이를 감지하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콘트롤러(32)는 도입밸브(22)를 제어하여 세척수의 급수를 중단한다(S147).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세척수는 펌프(40)에 의해 펌핑될 수 있는 정도의 수위만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세척수는 피세척물(D)의 전체 높이에 대해 1/3 정도의 수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세척수의 급수가 완료되면, 콘트롤러(32)는 샤워수단의 펌프(40)를 작동시켜 피세척물(D)을 샤워시킨다. 이때, 세척수에 의해 샤워되는 피세척물(D)은 2차로 헹굼(S149)되며, 이같은 헹굼 동작은 대략 10분간 실시된다.
그리고 2차 헹굼이 완료되면, 드레인밸브(72)가 작동되면서 세척실(12)에 저수된 세척수를 완전히 배수시킨다(S151). 그리고 세척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피세척물(D)의 세척은 완료된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작업동작을 통해서, 상기 피세척물은 깨끗하게 세척된다. 특히, 적절한 온도로 가열된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므로, 마아가린 등의 식물성 지방이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도 깨끗하게 청소된다. 또한 세척수의 샤워를 통해 피세척물을 세척하므로, 가능한 적은 세척수를 사용하며, 따라서 세척수의 소모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 내지 도 3c에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세척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세척 방법은 과일, 채소류를 세척할 경우에 사용되는 세척 방법으로서, 세척수를 1차로 급수하기 시작한다(S201). 이때, 세척수가 피세척물(D) 의 하부만 침수시킬 정도로 저수위인가를 판단한다(S203). 판단결과, 피세척물(D)의 하부만 침수될 정도로 저수위를 유지하면, 세척수의 급수를 중단한다(S205).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피세척물(D)은 그 하부만 침수되고 그 상부는 수면위로 노출된다. 여기서, 세척수는 피세척물(D)의 전체 높이에 대해 1/3 정도만 급수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척수 급수가 완료되면, 피세척물(D)을 1차로 샤워시킨다(S207). 한편, 샤워가 시작되면,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9). 그리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샤워를 중단시킨다(S211).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대략 5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샤워가 중단되면, 연이어서 세척수가 2차로 급수된다(S213). 이때 세척수가 피세척물(D)을 완전히 침수시킬 정도로 고수위인가를 판단한다(S215). 판단결과, 피세척물(D)이 완전히 침수시킬 정도로 고수위이면 세척수의 급수를 중단한다(S217).
그리고 세척수 급수가 완료되면, 피세척물(D)을 초음파 세척한다(S219). 한편, 초음파 세척이 시작되면,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21). 그리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초음파 세척을 중단시킨다(S223).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대략 10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초음파 세척이 중단되면, 연이어서 세척실(12)에 저수된 세척수를 모두 배수시킨다(S225). 그리고 세척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곧이어서 세척수가 3차로 급수된다(S227). 이때 세척수가 펌핑될 수 있을 정도로 저수위인가를 판단한다 (S229). 판단결과, 펌핑가능할 정도로 저수위를 유지하면 세척수의 급수를 중단한다(S231).
그리고 세척수의 급수가 완료되면, 피세척물(D)을 2차로 샤워시킨다(S233). 한편, 샤워가 시작되면,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35). 그리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샤워를 중단시킨다(S237).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대략 5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2차 샤워가 완료되면, 세척실(12)에 저수된 세척수를 완전히 배수시킨다(S239). 그리고 세척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피세척물(D)의 세척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작업동작을 통해서, 상기 피세척물(D)은 깨끗하게 세척된다. 특히, 세척수의 샤워를 통해 피세척물(D)을 세척하므로, 가능한 적은 세척수를 사용하며, 따라서 세척수의 소모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식기, 과일, 채소류 등을 세척하는 것을 일례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산업용, 즉 액정디스플레이(LCD) 패널 또는 반도체 소자 등과 같은 것을 세척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은, 최적의 세척온도로 가열된 세척수로 세척하므로 마아가린 등과 같 은 식물성 지방이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피세척물을 세척수로 샤워시키면서 세척하므로 가능한 적은 세척수를 사용하며, 따라서 세척수의 소모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Claims (8)

  1. 피세척물이 수용된 세척실에 세척수를 급수하되, 상기 피세척물의 하부만 침수되도록 저수위를 유지하는 1차 급수 단계와;
    상기 세척수를 상부로 펌핑하여 상기 피세척물을 샤워시키는 단계와;
    상기 세척수에 초음파를 가하여 상기 피세척물을 1차로 초음파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실에 세척수를 급수하되, 상기 피세척물이 상기 세척수에 완전히 침수되도록 고수위를 유지하는 2차 급수 단계와;
    상기 세척수에 초음파를 가하여 상기 피세척물을 2차로 초음파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실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배수시키되, 펌핑가능할 정도의 저수위를 유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세척실에 남겨진 상기 세척수를 상부로 펌핑하고, 펌핑된 세척수로 상기 피세척물을 샤워시켜 1차로 헹굼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실에 남아 있는 상기 세척수를 모두 배수시키는 단계와;
    상기 세척실에 세척수를 급수하되, 펌핑가능할 정도의 저수위를 유지시키는 3차 급수 단계와;
    상기 세척실에 급수된 세척수를 상부로 펌핑하고, 펌핑된 세척수로 상기 피세척물을 샤워시켜 2차로 헹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 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로 급수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피세척물을 1차로 초음파 세척하는 단계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는 단계에서, 상기 세척수는 45°정도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를 1차로 급수하는 단계에서, 상기 세척수는 상기 피세척물의 전체 높이에 대해 1/3 정도만 급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급수 단계 후에, 상기 세척수를 상부로 펌핑하여 상기 피세척물을 샤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 단계는 2차로 초음파 세척하는 단계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
  6. 피세척물이 수용된 세척실에 세척수를 급수하되, 상기 피세척물의 하부만 침수되도록 저수위를 유지하는 1차 급수 단계와;
    급수된 상기 세척수를 상부로 펌핑하여 상기 피세척물을 1차로 샤워시키는 단계와;
    상기 세척실에 세척수를 급수하되, 상기 피세척물이 상기 세척수에 완전히 침수되게 고수위를 유지하는 2차 급수 단계와;
    상기 세척수에 초음파를 가하여 상기 피세척물을 초음파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실의 세척수를 모두 배수시키는 단계와;
    상기 세척실에 세척수를 급수하되, 펌핑가능할 정도의 저수위를 유지시키는 3차 급수 단계와;
    상기 세척실에 급수된 세척수를 상부로 펌핑하고, 펌핑된 세척수로 상기 피세척물을 2차로 샤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피세척물을 1차로 샤워시키는 단계 및 2차로 샤워시키는 단계는, 각각 5분간 시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피세척물을 초음파 세척하는 단계는, 10분간 시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
KR1020050029348A 2005-04-08 2005-04-08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 KR20060107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348A KR20060107234A (ko) 2005-04-08 2005-04-08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348A KR20060107234A (ko) 2005-04-08 2005-04-08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234A true KR20060107234A (ko) 2006-10-13

Family

ID=3762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348A KR20060107234A (ko) 2005-04-08 2005-04-08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72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1529A (zh) * 2018-03-20 2018-08-07 南京伯朗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带超声波发生器的洗碗槽
KR101974532B1 (ko) * 2018-09-28 2019-05-02 (주)다온시스템 자동 수위 제어 초음파 세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1529A (zh) * 2018-03-20 2018-08-07 南京伯朗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带超声波发生器的洗碗槽
KR101974532B1 (ko) * 2018-09-28 2019-05-02 (주)다온시스템 자동 수위 제어 초음파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8980A (en) Ultrasonic dishwasher system
JP3736587B2 (ja) 洗浄殺菌ユニット
CA2379731A1 (en) Washing and sterilizing line and uses thereof
KR20190026538A (ko) 초음파 세정기
KR20060107234A (ko)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방법
KR100339371B1 (ko) 초음파 세척겸용 식기세척기
KR101306732B1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0196125B1 (ko) 의료기구의 청정방법 및 그 청정장치
JP2008259576A (ja) 食器洗浄用シンク及び食器洗浄方法
JP4116842B2 (ja) 食器洗い乾燥機
KR20090003839A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060124260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0753389B1 (ko)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 시스템 및 방법
KR100548818B1 (ko) 세척기의 운전 제어방법
KR100604381B1 (ko) 음식물 세척기
KR100649454B1 (ko) 초음파 세척장치
KR200379422Y1 (ko) 초음파 세척기
JPH11127831A (ja) 洗浄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50048250A (ko) 과일/야채 전용 세척기 및 그 운전 제어방법
KR20060124284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CN111227740A (zh) 一种清洗机及其控制方法
JP3162923B2 (ja) 食器洗浄機における洗剤供給装置
KR200293645Y1 (ko) 초음파 세척기가 부착된 싱크대
KR102163188B1 (ko) 애벌세척 기능을 갖는 식기 세척기
KR102369233B1 (ko) 개수대용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