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6569A -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핸드 기구 - Google Patents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핸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6569A
KR20060106569A KR1020050067790A KR20050067790A KR20060106569A KR 20060106569 A KR20060106569 A KR 20060106569A KR 1020050067790 A KR1020050067790 A KR 1020050067790A KR 20050067790 A KR20050067790 A KR 20050067790A KR 20060106569 A KR20060106569 A KR 20060106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crank
crank arm
finger
libra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2939B1 (ko
Inventor
가즈노리 이시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6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5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disks are transferred from a fixed magazine to a fixed playing unit using a moving carria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11B15/682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with fixed magazines having fixed cassette storage cells, e.g. in racks
    • G11B15/6835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with fixed magazines having fixed cassette storage cells, e.g. in racks the cassettes being transferred to a fixed recorder or player using a moving carriage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브러리 장치의 핸드 기구가 카트리지 수납 선반에 지나치게 근접한 경우라도 재시도하지 않고서 카트리지에 액세스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록 매체를 내장하는 카트리지와, 복수 개의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수납 선반과, 카트리지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적어도 1대의 드라이브 및 카트리지를 파지하여 수납 선반과 드라이브 사이에서 반송하는 액세서를 구비한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액세서에 설치된 핸드 기구에 그 전진 동작이 정상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소정 범위 내에서 카트리지에 접촉하여 정지한 경우라도 카트리지의 파지 동작을 행하게 하는 버퍼 기구(40)를 설치하여 라이브러리 장치를 구성한다. 버퍼 기구(40)는 크랭크 기구(20)의 회전 베이스(23)에 내장하고, 크랭크 아암(21)에 외력(P)이 인가되었을 때에 크랭크 아암(21)의 회전축을 어긋나게 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핸드 기구{LIBRARY APPARATUS AND HAND MECHANISM FOR LIBRARY APPARATUS}
도 1a는 본 발명의 라이브러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라이브러리 장치의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a는 라이브러리 장치에 내장되는 핸드 기구의 일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핸드 기구의 크랭크 기구와 링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a∼도 3d는 도 2b에 도시한 크랭크 기구의 회전에 의한 링크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라이브러리 장치에 내장되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일례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로부터 자기 테이프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측면에 첨부되는 바코드가 기재된 바코드 라벨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라이브러리 장치의 핸드 기구에 내장되는 버퍼 기구의 일실시예의 조립 사시도.
도 6a는 도 5에 도시한 버퍼 기구의 통상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버퍼 기구를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6c는 도 6a에 도시한 버퍼 기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d는 도 6b에 도시한 버퍼 기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a는 액세서에 의해서 핸드 기구가 이제부터 파지하고자 하는 카트리지에 대하여 정상 위치에 이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액세서에 의해서 핸드 기구가 이제부터 파지하고자 하는 카트리지에 대하여 지나치게 근접한 위치에 이른 이상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c는 도 7b의 위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핸드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핸드 기구에 의해 카트리지를 끌어넣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9a는 본 발명의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의 핸드 기구의 크랭크 기구에 설치된 버퍼 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조립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의 핸드 기구의 링크 기구에 설치된 버퍼 기구의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조립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라이브러리 장치 3 : 핑거
6 : 핸드 기구 9 : 카트리지 수납 선반
10 : 카트리지 20 : 크랭크 기구
21 : 크랭크 아암 23 : 회전 베이스
24 : 크랭크 핀 25 : 롤러
30 : 링크 기구 33 : 받침판
34 : 링크 로드 34C : 캠부
36 : 가이드 홈 40 : 버퍼 기구
41 : 버퍼 블록 42 : 슬라이드 샤프트
47 : 브래킷 50 : 버퍼 기구
51 : 슬라이드 블록 55 : 슬라이드 베이스
60 : 케이스 62 : 슬라이드 레일
본 발명은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핸드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트리지형의 기록 매체가 장치 내의 선반에 다수 수납되어 있어, 선택한 원하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기록 재생을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에 사용되는 액세서의 핸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정보량의 증대에 따라, 대용량의 정보를 보관하기 위한 정보 기억 장치로서, 자기 테이프를 내장하는 카트리지식 기억 매체(이후 단순히 카트리지라고 함)를 이용한 라이브러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 장치는 그 내부에 다수의 카트리지를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선반, 카트리지를 투입 및 배출하기 위한 액세스 유닛, 카트리지 내의 기억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드라이브 유닛, 카트리지를 수납한 카트리지 수납 선반과 드라이브 유닛 사이에서 카트리지를 이송하는 액세서 로봇(이하, 단순히 액세서라고 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최근, 컴퓨터 시스템의 발달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 기기 장치의 신뢰성 향상과 함께,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러한 라이브러리 장치의 비용 절감이나 소형화, 대용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보다 저가격의 소형이며 대용량인 신뢰성이 높은 라이브러리 장치, 예컨대 카트리지의 수납수가 수백개이고, 드라이브 유닛의 수도 20대 정도인 대용량의 라이브러리 장치를 실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대용량의 라이브러리 장치에서는, 카트리지 수납 선반에 대하여 카트리지를 출납하는 핸드 기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래의 핸드 기구는 카트리지를 파지하는 핑거의 전후 동작(카트리지의 출납 방향의 동작)과 핑거의 카트리지의 파지 동작에서 별개의 복수의 모터를 사용하여, 각각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핸드 기구에서는 복수의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라이브러리 장치의 대형화, 모터수의 증가에 의한 비용 상승이나 탑재 카트리지의 수량을 늘리는 것이 곤란한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그래서, 핸드 기구에 카트리지를 파지하는 핑거와, 이 핑거의 파지 동작을 행하는 링크 기구와, 핑거 및 링크 기구의 왕복 동작과 링크 기구의 구동을 행하는 크랭크 기구를 설치하여, 크랭크 기구를 하나의 모터로 구동함으로써, 핸드 기구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비용을 낮춘 라이브러리 장치가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3-59143(도 7과 그 설명 부분)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한 핸드 기구는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나 모터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반면, 대형의 자기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에 채용하기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점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라이브러리 장치는 소형이기 때문에, 액세서에 정확한 위치 부여 정밀도가 없더라도, 즉 다소의 조립 오차가 있더라도 장치측에서 흡수할 수 있지만, 장치가 대형화되면 액세서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장치의 조립 정밀도, 부품 정밀도가 좋지 않으면, 액세스하고자 하는 카트리지를 수납한 선반으로의 위치 부여가 틀어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겨 버리는 것이다.
그리고, 예컨대 액세서가 카트리지 수납 선반에 지나치게 접근하면, 핸드 기구의 핑거가 도중에 전진할 수 없게 되어, 정상 위치에 도달할 수 없게 된다. 그러면, 크랭크 기구의 크랭크 아암이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링크 기구를 구동할 수 없게 되어, 링크 기구에 부착되어 있는 핑거가 카트리지를 파지할 수 없게 되고, 최악의 경우는 핸드 기구가 고장나거나 카트리지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크랭크 기구와 링크 기구에 의해 핑거를 동작시키는 핸드 기구에 있어서, 액세서의 이동후에 핸드 기구가 카트리지에 액세스할 때의 위치 부 여가 정상 위치보다 가깝게 되어 버린 경우라도, 크랭크 기구의 크랭크 아암의 회전을 계속시킬 수 있어, 리트라이를 하지 않고서 카트리지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라이브러리 장치 및 이 라이브러리 장치에 사용하는 핸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라이브러리 장치는 기록 매체를 내장하는 카트리지와, 복수 개의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수납 선반과, 카트리지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적어도 1대의 드라이브 및 카트리지를 파지하여 수납 선반과 드라이브 사이에서 반송하는 액세서를 구비한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액세서에 전진 동작, 카트리지의 파지/개방 동작, 후퇴 동작을 행하는 핸드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핸드 기구에는 그 전진 동작이 정상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접촉하여 정지한 경우라도 파지 동작을 행하게 하는 버퍼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이다.
라이브러리 장치의 핸드 기구가 카트리지를 파지하는 핑거와, 이 핑거의 파지 동작을 행하는 링크 기구와, 핑거 및 링크 기구의 왕복 동작과 핑거의 구동을 행하는 크랭크 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버퍼 기구는 크랭크 기구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핸드 기구의 크랭크 기구를 구성하는 크랭크 아암의 회전축이 이 회전축을 수용하는 회전 베이스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는, 버퍼 기구는 회전축과 회전 베이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퍼 기구는 회전축에 결합하는 버퍼 블록과, 이 버퍼 블록을 회전 베이스 내에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샤프트와, 슬라이드 샤프트의 주위에 권취된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회전축은 압축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통상 상태에 있어서 회전 베이스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 핸드 기구의 전진 동작이 정상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접촉하여 정지한 경우에는, 압축 스프링의 수축에 의해서 회전축이 크랭크 아암과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크랭크 아암이 회전을 계속하여 링크 기구가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라이브러리 장치에 사용되는 핸드 기구는 기록 매체를 내장하는 카트리지와, 복수 개의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수납 선반과, 카트리지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적어도 1대의 드라이브 및 카트리지를 파지하여 수납 선반과 드라이브 사이에서 반송하는 액세서를 구비한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액세서에 구비된 핸드 기구로서, 카트리지를 파지하는 핑거와, 이 핑거의 파지 동작을 하는 링크 기구와, 회전 동작에 의해서 핑거 및 링크 기구의 왕복 동작과 링크 기구의 구동을 행하는 크랭크 기구로 구성되고, 크랭크 기구에 그 회전 동작이 도중에 정지된 경우라도, 회전 동작을 계속시키는 버퍼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기구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라이브러리 장치(1)를 정면측에서 본 것으 로, 도 1b는 라이브러리 장치의 커버(1A)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라이브러리 장치(1)의 정면 패널에는 자기 테이프가 내장된 카트리지를 이 라이브러리 장치(1)에서 출납하기 위한 매체 액세스 포트(2)가 있다. 이 실시예의 라이브러리 장치(1)에는 매체 액세스 포트(2)는 2곳 있으며, 각각의 매체 액세스 포트(2)로부터 카트리지를 라이브러리 장치(1)에서 출납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브러리 장치(1)의 내부에는 카트리지(10)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기록 재생 장치인 드라이브(8)와, 다수 개의 카트리지(10)를 수납하는 카트리지 수납 선반(9)이 있다. 이 도면에는 카트리지 수납 선반(9)은 하나밖에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도 1a에 도시한 우측의 매체 액세스 포트(2)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카트리지 수납 선반(9)을 설치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 장치(1)의 내부에는 또한 드라이브(8)와 카트리지 수납 선반(9) 사이에서 카트리지(10)를 반송하기 위한 로봇인 액세서(7)가 설치되어 있다. 액세서(7)에는 카트리지 수납 선반(9)에 대하여 카트리지(10)를 빼고 꽂을 수 있는 핸드 기구(6)가 설치되어 있고, 핸드 기구(6)는 라이브러리 장치(1)의 내부를 전후좌우 및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 장치(1)는 컴퓨터, 서버, 퍼스널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각 장치로부터의 액세스에 따라서, 카트리지(10)에 정보를 기록하고, 또한 카트리지(10)로부터의 재생을 행한다. 그 때문에, 다수의 카트리지(10)가 라이브러리 장치(1) 내의 카트리지 수납 선반(9)에 수납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라이브러리 장치(1)는 드라이브(8)를 최대 20기, 카트리지 수납 선반(9)의 선반수를 최대 700개 정도 설치할 수 있는 대형 장치이다. 더욱이, 카트리지(10)의 추가나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매체 액세스 포트(2)를 통하여 이것을 행할 수 있다.
도 2a는 라이브러리 장치(1)에 내장되는 핸드 기구(6)의 일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하는 것이다. 핸드 기구(6)는 도 1b에 도시한 액세서(7)에 의해서 카트리지 수납 선반(9) 앞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되면, 그 위치에서 케이스(60)로부터 핑거(3)를 돌출시켜 카트리지(10)를 파지하고, 파지한 카트리지(10)를 케이스(60)의 내부로 인입한다. 케이스(60)에 대한 핑거의 출납과, 핑거(3)에 의한 카트리지(10)의 파지 동작은 케이스(60)의 후방부에 부착된 모터(4)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60)의 상부에 부착된 바코드 리더(5)에 의해, 후술하는 카트리지(10)에 첨부되어 있는 바코드가 판독되게 되어 있다. 카트리지(10)가 받아들여진 핸드 기구(6)는 액세서에 의해서 다른 장소로 이동된다.
도 2b는 도 2a의 핸드 기구(6)의 커버(61)를 벗겨 핸드 기구(6)의 내부의 크랭크 기구(20)와 링크 기구(30)만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크랭크 기구(20)와 링크 기구(30)가 도 2b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그 밖의 구성 부재를 아울러 도시한 도면이 도 3c이다. 핸드 기구(6)의 내부에는 전술한 핑거(3)를 핸드 기구(6)의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크랭크 기구(20)와, 크랭크 기구(20)에 의해서 핸드 기구(6)의 케이스(60)의 내부를 이동하여, 핑거(3)에 의한 카트리지의 파지 동작을 행하게 하는 링크 기구(30)가 있다.
크랭크 기구(20)는 크랭크 아암(21), 회전 베이스(23), 크랭크 핀(24) 및 롤러(25)를 갖추고 있다. 크랭크 아암(21)은 둘레에 기어가 형성된 회전 베이스(23) 에 부착되어 있다. 회전 베이스(23)는 모터(4)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며, 회전 베이스(23)의 회전에 의해 크랭크 아암(21)은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크랭크 아암(21)의 선단부에 부착된 크랭크 핀(24)에는 롤러(25)가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크랭크 핀(24)과 롤러(25)가 링크 기구(30)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핸드 기구(6)의 케이스(60)의 바닥면(63)에는 그 양 사이드의 근방에 2 라인의 슬라이드 레일(62)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링크 기구(30)는 이 슬라이드 레일(62)에서 안내되어 케이스(60) 안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링크 기구(30)는 베이스(31), 관통 구멍(32), 받침판(33), 2개의 링크 로드(34), 핀(35), 안내 홈(36) 및 인장 스프링(37)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31)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 구멍(32)에 도 3c에 도시한 슬라이드 레일(62)이 삽입 관통된다. 받침판(33)은 링크 기구(3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링크 로드(34)는 그 일단이 핀(35)에 의해 베이스(31)에 피봇 지지되고, 타단이 핀(35)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핀(35)에 의해 결합된 2개의 링크 로드(34)와 베이스(31) 사이의 공간이 안내 홈(36)으로 되어 있고, 이 안내 홈(36)에 크랭크 기구(20)의 크랭크 핀(24)에 헐겁게 끼워진 롤러(25)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핀(35)에 의해서 연결된 링크 로드(34)의 양단부에 핑거(3)가 부착되어 있다. 링크 로드(34)와 베이스(31)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3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인장 스프링(37)에 의해 링크 로드(34)는 베이스(31)측으로 당겨지고 있고, 이 결과 핑거(3)는 닫히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링크 로드(34)의 한 쪽은 안내 홈(36) 내에 산(山) 형상으로 만곡하여 돌출되고 있으며, 이 돌출 부분이 캠부(34C)로 되고 있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하는 크랭크 기구(20)와 링크 기구(30)는 크랭크 아암(21)의 선단부에 부착된 크랭크 핀(24)과 롤러(25)가 링크 기구(30)의 안내 홈(36)에 삽입되고 있기 때문에, 회전 베이스(23)의 회전에 의해 링크 기구(30)가 화살표 F 방향 혹은 화살표 R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는, 크랭크 아암(21)의 회전 중심은 회전 베이스(23)의 하부에 있지만, 크랭크 아암(21)에 가상 회전축(22K)이 있는 것으로 한다.
크랭크 아암(21)은 그 크랭크 핀(24)과 롤러(25)가 핸드 기구(6)의 가장 안쪽에 있는 상태에서, 회전 베이스(23)가 화살표 F1 방향으로 회전하는 때가, 이제부터 카트리지를 파지하러 가는 상태이다. 이 때는, 링크 기구(30)가 카트리지에 근접했을 때에 롤러(25)가 링크 로드(34)의 캠부(34C)를 타고 올라가기 때문에, 이 때에 링크 기구(30)가 롤러(25)에 의해 눌려져 캠부(34C)의 돌출 부분의 거리만큼 필요 이상으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이 필요 이상의 이동에 의해서 링크 기구(30)에 부착된 핑거(3)가 열린다. 그리고, 롤러(25)가 링크 로드(34)의 캠부(34C)를 타고 넘으면, 링크 기구(30)가 인장 스프링(37)에 의해 당겨져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링크 기구(30)에 부착된 핑거(3)가 닫힌다. 이 핑거(3)의 개폐 동작에 의해서, 카트리지가 핑거(3)에 의해 파지된다.
카트리지를 파지한 크랭크 아암(21)은 회전 베이스(23)가 그대로 화살표 R1 방향으로 계속 돌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파지한 링크 기구(30)는 화살표 R 방향으 로 이동하여, 카트리지를 핸드 기구의 안쪽까지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카트리지가 핸드 기구에 수납되면, 핸드 기구는 액세서에 의해서 카트리지를 보내는 별도의 장소, 예컨대 드라이브의 앞이나,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별도의 카트리지 수납 선반의 앞으로 이동된다.
핸드 기구가 카트리지를 보내는 장소에 위치되면, 이번에는 회전 베이스(23)가 화살표 F2 방향으로 회전하여, 카트리지를 파지한 채로 링크 기구(30)가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한다. 롤러(25)가 핸드 기구(6)의 안쪽에서 가장 먼 위치까지 이동한 후, 회전 베이스(23)는 화살표 R2 방향으로 회전을 더 계속한다. 그렇게 하면, 롤러(25)가 링크 로드(34)의 캠부(34C)를 타고 올라가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 기구(30)에 부착된 핑거(3)가 열린다. 이 후, 회전 베이스(23)의 화살표 R2의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 링크 기구(30)가 핸드 기구(6)의 안쪽으로 이동하는데, 핑거(3)가 열린 상태이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뒤에 남겨두고 이동한다. 그리고, 롤러(25)가 링크 로드(34)의 캠부(34C)를 타고 넘어 핑거(3)가 닫힐 때에는 핑거(3)는 이미 카트리지의 파지 위치에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이 핑거(3)의 개폐 동작에 의해서, 카트리지가 남겨진 채로 링크 기구(30)가 핸드 기구(6)의 안쪽까지 되돌아간다.
도 3a는 도 2b에 도시한 크랭크 기구(20)의 크랭크 아암(21)이 화살표 R1 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즉, 카트리지는 도시하지 않지만, 카트리지를 파지하여 핸드 기구의 가장 안쪽까지 끌어 넣은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3a에 도시하는 위치에서부터 크랭크 아암(21)이 화살표 F2 방향으로 회전 하면, 도 3b에 도시하는 상태를 지나서 도 3c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도 3c의 상태에서 크랭크 아암(21)이 더욱 회전하면, 도 3d의 상태를 지나서 도 3a에 파선으로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즉, 이 실시예의 크랭크 아암(21)은 약 360° 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라이브러리 장치(1)에 내장되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0)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카트리지(10)의 측면에는 식별 라벨 첨부 영역(11)과, 내장된 릴에 휘감겨진 자기 테이프의 인출구(12)가 있다. 이 카트리지(10)는 도 1b에 도시한 드라이브(8)에 삽입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인출구(12)로부터 자기 테이프(13)가 리더 핀(14)으로 유도되어 끌어 내어진다. 또한, 카트리지(10)의 식별 라벨 첨부 영역(11)에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식별자로서 바코드가 인쇄된 바코드 라벨(15)이 첨부된다. 각 카트리지(10)는 이 바코드 라벨(15)에 인쇄된 바코드가, 도 2에 도시한 바코드 리더(5)에 의해서 판독됨으로써, 각 카트리지에 포함된 릴의 번호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더욱이, 카트리지(10)에는 그 정면측에 매체 식별용의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있고, 배면측의 양 측면에는 핸드 기구의 핑거에 의해서 파지되는 오목부(16)가 마련되어 있다.
식별 라벨 첨부 영역(11)에 첨부되는 라벨로서는, 바코드가 인쇄된 바코드 라벨(15) 이외에도, 이차원 바코드가 인쇄된 라벨이나, 마크나 기호가 인쇄된 라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카트리지(10)는 라이브러리 장치(1)에서 사용되는 카트리지의 한 종류인 LTO 매체라고 불리는 것으로, 이 카트리지(10)의 외부 치수는 폭이 105.4 mm, 안까지의 길이가 102 mm, 높이가 21.5 mm이다. 카트리지(10)로서는 이 LTO 매체 외에도 DLT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라이브러리 장치(1)의 핸드 기구(6)에 내장되는 버퍼 기구(40)의 일실시예의 조립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의 버퍼 기구(40)는 크랭크 기구(20)의 회전 베이스(23)에 내장되고 있다. 회전 베이스(23)는 소정의 두께를 갖춘 원판형의 것으로, 그 둘레에는 도 2b에 도시한 모터(4)에 의해서 구동되는 기어(28)가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회전 베이스(23)는 중실형이며, 회전 베이스(23)의 상면에 직접 크랭크 아암(21)이 부착되어 있었다. 한편, 이 실시예의 회전 베이스(23)는 기어(28)의 이(齒) 끝을 연결하는 원과 동심원형의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26) 내에 버퍼 기구(40)가 설치되어 있다.
버퍼 기구(40)는 버퍼 블록(41), 슬라이드 샤프트(42) 및 압축 스프링(4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전 베이스(23)에는 오목부(26)와 외부로 연통하는 관통 구멍(27)이 슬라이드 샤프트(42)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회전 베이스(23)의 오목부(26)의 내주면으로 개구되는 관통 구멍(27)에 대하여 오목부(26)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반대측의 내주면에는, 슬라이드 샤프트(42)의 단부를 유지하는 유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버퍼 블록(41)은 회전 베이스(23)에 형성된 오목부(26)의 깊이에 상당하는 두께를 갖춘 반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현에 대응하는 부분과 호에 대응하는 부분 사이에는, 슬라이드 샤프트(42)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44)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버퍼 블록(41)의 상면에는 크랭크 아암(21)을 부착하기 위한 나사 구멍(46)이 3개 형성되어 있다.
버퍼 기구(40)를 조립할 때는, 버퍼 블록(41)의 호 형상 부분을, 회전 베이 스(23)의 오목부(26)의 내주면을 따르게 하여 오목부(26) 내에 삽입한다. 이 때, 버퍼 블록(41)에 형성된 관통 구멍(44)이 회전 베이스(23)에 형성된 관통 구멍(27)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게 되도록, 오목부(26) 내에서의 버퍼 블록(41)의 위치를 조정한다. 그리고, 압축 스프링(43)의 양단부가 2개의 관통 구멍(27, 44)에 위치되도록 압축 스프링(43)을 오목부(26) 내에 삽입하여,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샤프트(42)를 관통 구멍(27), 압축 스프링(43), 관통 구멍(44) 및 유지 구멍(도시되지 않음)의 순으로 삽입 관통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버퍼 블록(41)이 오목부(26) 내에 부착된 상태가 도 6a에 도시하는 상태이며, 도 6b는 도 6a의 상태를 반대측에서 본 것이다.
도 5로 다시 돌아가서, 이와 같이 하여 버퍼 기구(40)가 조립된 후, 나사(45)로 크랭크 아암(21)을 버퍼 블록(41)에 부착한다. 크랭크 아암(21)의 선단부에는 단차부(21C)가 있고, 이 단차부(21C)의 끝에 크랭크 핀(24)이 고착되어 있다. 이 크랭크 핀(24)에 롤러(25)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크랭크 아암(21)의 기부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구멍의 중심이 크랭크 아암(21)의 가상 회전축(22K)으로 된다. 한편, 스페이서(19)는 버퍼 블록(41)과 오목부(26) 사이에 조립되어, 도시한 나사(45)와는 별도의 나사로 케이스(60)에 오목부(26)의 고정용으로서 조립되는 것이다(도 6d 참조).
이상과 같이 구성된 버퍼 기구(40)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크랭크 아암(21)에 화살표 P로 나타내는 외력이 인가되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아암(21)에 접속하는 버퍼 블록(41)은 압축 스프링(43)을 수축시키면서 슬라이드 샤프 트(42)를 따라서 이동한다. 도 6d는 도 6c의 상태를 반대측에서 본 것이다. 이 결과, 버퍼 블록(41)에 부착된 크랭크 아암(21)의 회전축[가상 회전축(22K)]이 버퍼 블록(41)의 이동에 따라 변위된다.
도 7a는 도 1b에 도시한 액세서(7)에 의해서 핸드 기구(6)가 파지하고 있는 카트리지(10)를 카트리지 수납 선반(9)으로 되돌리는 경우에, 카트리지 수납 선반(9)에 대하여 정상 위치에 이르는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 베이스(23)의 회전에 의해서 크랭크 아암(21)이 정상적으로 회전하여, 크랭크 아암(21)은 최대 회전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 후, 크랭크 기구(20)의 크랭크 아암(21)은 화살표 R2 방향으로 더 회전함으로써, 링크 로드(34)의 캠부(34C)를 통과하기 때문에, 링크 기구(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핑거(3)가 열려 카트리지(10)를 남겨둔 채로 링크 기구(30)가 핸드 기구(6) 내로 되돌아갈 수 있다.
도 7b는 도 1b에 도시한 액세서(7)에 의해서 핸드 기구(6)가, 이제부터 복귀하고자 하는 카트리지(10)를 수납하는 카트리지 수납 선반(9)에 대하여 지나치게 근접한 위치에 이르는 이상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 베이스(23)의 회전에 의해서 크랭크 아암(21)이 회전했을 때, 핸드 기구(6)가 카트리지 수납 선반(9)에 대하여 지나치게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크랭크 아암(21)의 회전이 최대 회전 위치까지 도달하기 전에 멈춰 버린다.
종래의 핸드 기구(6)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크랭크 아암(21)이 회전 베이스(23)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크랭크 아암(21)이 이 이상 회전할 수 없었다. 따라서, 핸드 기구(6)가 카트리지 수납 선반(9)에 대하여 지나치게 근 접한 경우에는, 크랭크 아암(21)을 역전시켜 링크 기구(30)를 카트리지(10)로부터 떼어내고, 그 후에 액세서에 의해서 핸드 기구(6)를 일단 카트리지 수납 선반(9)으로부터 떼어내어, 리트라이(재시행)에 의해서 핸드 기구(6)가 카트리지 수납 선반(9)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될 때까지, 접근 동작을 반복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크랭크 아암(21)이 회전 베이스(23)에 버퍼 기구(40)를 통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도 7b에 도시한 상태로 되어, 크랭크 아암(21)의 회전이 멈추면,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크랭크 아암(21)에 화살표 P 방향으로부터 외력이 인가된 상태와 동일한 상태가 되어, 도 6c,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퍼 블록(41)이 이동하고, 크랭크 아암(21)의 회전축이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7c에 화살표 Q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결과, 크랭크 아암(21)의 가상 회전축(22K)이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크랭크 아암(21)이 회전을 계속할 수 있어, 크랭크 아암(21)은 최대 회전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크랭크 기구(20)의 크랭크 아암(21)에 의해서 링크 기구(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핑거(3)에 의해서 카트리지(10)를 정확하게 카트리지 수납 선반(9)으로 되돌릴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리트라이(재시행)는 불필요하다.
즉,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 기구(6)가 카트리지(10)를 카트리지 수납 선반(9)으로 되돌린 후, 회전 베이스(23)가 화살표 R2 방향으로 회전하면, 크랭크 아암(21)도 화살표 R2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버퍼 기구(40)가 정상 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크랭크 아암(21)의 화살표 R2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롤러 (25)가 링크 로드(34)의 캠부(34C)를 타고 넘기 때문에, 핑거(3)가 열려 카트리지(10)를 카트리지 수납 선반(9)에 남겨두고 이동되고, 링크 기구(30)가 핸드 기구(6)의 내부로 끌려 들어간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핸드 기구(6)가 카트리지 수납 선반(9)에 지나치게 근접한 경우라도, 핸드 기구(6)가 파지하고 있는 카트리지(10)를 정상적으로 카트리지 수납 선반(9)으로 되돌릴 수 있다. 핸드 기구(6)가 카트리지 수납 선반(9)으로부터 카트리지(10)를 빼내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버퍼 기구(40)가 동작하는 것은 물론이다.
도 8은 핑거(3)로 파지한 카트리지(10)를 카트리지 수납 선반(9)으로 되돌리는 동작에 있어서의 도 7a에 도달하기 전의 상태[이 때는 회전 베이스(23)는 화살표 F2 방향으로 회전] 혹은 핑거(3)에 파지된 카트리지(10)가 핸드 기구(6)에 의해서 끌려 들어가는 도중의 상태[이 때는 회전 베이스(23)는 화살표 R1 방향으로 회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라이브러리 장치(1)에 있어서의 핸드 기구(6)의 크랭크 기구(20)에 설치되는 버퍼 기구(40)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의 버퍼 기구(40)는 크랭크 아암(21)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있다. 크랭크 아암(21)은 도 5에 도시한 단차부(21C)의 근처에서 선단부(21A)와 기부(21B)로 분할되어 있다. 회전 베이스(23)는 중실형으로, 외주부에 기어(28)가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 아암의 기부(21B)는 나사(45)에 의해서 이 회전 베이스(23)에 고정되어 있다. 크랭크 아암의 선단부(21A)에는 그 선단부측에 크랭크 핀(24)과 롤러(25)가 있고, 기부측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춘 슬라이더(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 더(49)에는 크랭크 아암(21)의 축선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긴 구멍 형상의 슬라이드 구멍(49A)이 있다.
크랭크 아암의 기부(21B)의 자유단측에는 나사 구멍(29A)과 나사 구멍(29B)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29A)에는 크랭크 아암의 선단부(21A)에 형성된 슬라이드 구멍(49A)을 삽입 관통한 핀(48)이 부착된다. 이 핀(48)과 슬라이드 구멍(49A)에 의해, 크랭크 아암의 선단부(21A)는 크랭크 아암의 기부(21B)의 선단측에서, 크랭크 아암(21)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브래킷(47)은 슬라이더(49)와의 사이에 압축 스프링(43)을 두고, 나사(45)에 의해 스프링 구멍(29B)에는 부착되며, 크랭크 아암의 기부(21B) 위에 고정된다.
도 9b는 도 9a의 조립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크랭크 아암의 선단부(21A)는 압축 스프링(43)에 의해서 브래킷(47)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다. 따라서, 크랭크 아암의 선단부(21A)가 화살표 P 방향의 외력을 받으면, 슬라이더(49)가 화살표 Q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버퍼 기구(40)는 도 7b에 도시한 상태가 되어, 크랭크 아암(21)의 회전이 멈추면, 슬라이더(49)가 도 9b에 화살표 Q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결과, 크랭크 아암(21)이 회전을 계속할 수 있어, 크랭크 아암(21)은 최대 회전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크랭크 기구(20)의 크랭크 아암(21)에 의해서 링크 기구(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핑거(3)에 의해서 카트리지(10)를 정확하게 파지, 혹은 정확하게 개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실시예에서도 리트라이(재시행)는 불필요하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라이브러리 장치(1)에 있어서의 핸드 기구(6)의 링크 기구(30)에 설치된 버퍼 기구(50)의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의 버퍼 기구(50)는 도 3에서 설명한 링크 기구(30)의 받침판(33)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받침판(33)의 위치에는 슬라이드 베이스(55)가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베이스(55)는 소정의 길이를 지닌 바닥면(55F)을 갖추고 있고, 바닥면(55F)에는 2개의 나사 구멍(5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55F) 위를 슬라이드할 수 있는 슬라이드 블록(51)이 있고, 이 슬라이드 블록(51)의 저면에는 긴 구멍 형상의 슬라이드 구멍(52) 2개가 나사 구멍(5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블록(51)을 슬라이드 베이스(55)에 탑재할 때는, 압축 스프링(53)을 사이에 두고 슬라이드 블록(51)을 슬라이드 베이스(55) 위에 배치하고, 핀(54)을 슬라이드 블록(51)의 슬라이드 구멍(52)에 삽입 관통시킨 후에 나사 구멍(56)에 부착한다. 이 상태를 도 10b에 도시한다. 핑거(3)는 받침판(33)이 슬라이드 베이스(55)와 슬라이드 블록(51)에 의해서 연장된 만큼 길게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버퍼 기구(50)는 도 7b에 도시한 상태가 되어, 크랭크 아암(21)의 회전이 멈추면, 슬라이드 베이스(55)가 압축 스프링(53)을 압축하여 슬라이드 블록(51)측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크랭크 아암(21)이 회전을 계속할 수 있어, 크랭크 아암(21)은 최대 회전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크랭크 기구(20)의 크랭크 아암(21)에 의해서 링크 기구(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핑거(3)에 의해서 카트리지(10)를 정확하게 파지, 혹은 정확하게 개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실시예에서도 리트라이(재시행)는 불필요하다.
이상, 본 발명을 특히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했다.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형태를 이하에 부기한다.
(부기 1) 기록 매체를 내장하는 카트리지와, 복수 개의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수납 선반과, 상기 카트리지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적어도 1대의 드라이브 및 상기 카트리지를 파지하여 상기 수납 선반과 상기 드라이브 사이에서 반송하는 액세서를 구비한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에 전진 동작, 상기 카트리지의 파지/개방 동작, 후퇴 동작을 행하는 핸드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핸드 기구에는, 그 전진 동작이 정상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접촉하여 정지한 경우라도 상기 파지 동작을 행하게 하는 버퍼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1)
(부기 2) 부기 1에 기재한 라이브러리 장치로서, 상기 핸드 기구는 상기 카트리지를 파지하는 핑거와, 이 핑거의 파지 동작을 행하는 링크 기구와, 상기 핑거 및 상기 링크 기구의 왕복 동작과 상기 링크 기구의 구동을 행하는 크랭크 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버퍼 기구는 상기 크랭크 기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2)
(부기 3) 부기 2에 기재한 라이브러리 장치로서, 상기 크랭크 기구를 구성하는 크랭크 아암의 회전축은 이 회전축을 수용하는 회전 베이스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버퍼 기구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3)
(부기 4) 부기 3에 기재한 라이브러리 장치로서, 상기 버퍼 기구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는 버퍼 블록과, 이 버퍼 블록을 상기 회전 베이스 내에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샤프트와, 상기 슬라이드 샤프트의 주위에 권취된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압축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통상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베이스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핸드 기구의 전진 동작이 정상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접촉하여 정지한 경우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수축에 의해서 상기 회전축이 상기 크랭크 아암과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크랭크 아암이 회전을 계속하여 상기 링크 기구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4)
(부기 5) 부기 2에 기재한 라이브러리 장치로서, 상기 크랭크 기구에 크랭크 아암과 크랭크 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버퍼 기구는 상기 크랭크 아암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핀을 상기 크랭크 아암의 회전축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부기 6) 부기 5에 기재한 라이브러리 장치로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크랭크 아암 상에 설치된 고정 브래킷과, 슬라이드 핀을 구비하여 상기 크랭크 아암 위를 상기 크랭크 아암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고정 브래킷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크랭크 아암의 선단측으로 압박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핸드 기구의 전진 동작이 정상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접촉하여 정지한 경우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수축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고정 브래킷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크랭크 아암이 회전을 계속하여 상기 핸드 기구가 정상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부기 7) 부기 1에 기재한 라이브러리 장치로서, 상기 핸드 기구는 상기 카트리지를 양측에서 파지하는 2개의 핑거와, 이 핑거의 파지 동작을 행하는 링크 기구와, 상기 핑거 및 상기 링크 기구의 왕복 동작을 행하는 크랭크 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버퍼 기구는 상기 핑거 사이의 상기 카트리지 받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부기 8) 부기 7에 기재한 라이브러리 장치로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링크 기구측에 위치하는 고정판과, 이 고정판에 압축 스프링을 통해 상기 고정판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받침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핸드 기구의 전진 동작이 정상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접촉하여 정지한 경우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수축에 의해서 상기 받침판이 상기 고정판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크랭크 아암이 회전을 계속하여 상기 핸드 기구가 정상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부기 9) 부기 4, 6 및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라이브러리 장치로서,
상기 링크 기구가 2개의 링크 로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링크 로드 각각은 일단부가 상기 핸드 기구의 케이스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서로 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링크 로드의 상기 피봇 지지부의 외측에 상기 핑거가 각각 부착되어 있고,
상기 링크 로드는 인장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핑거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고,
상기 크랭크 아암이 회전하여 상기 핸드 기구가 정상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링크 기구의 2개의 링크 로드가 상기 크랭크 아암의 크랭크 핀에 눌림으로써, 상기 핑거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부기 10) 기록 매체를 내장하는 카트리지와, 복수 개의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수납 선반과, 상기 카트리지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적어도 1대의 드라이브 및 상기 카트리지를 파지하여 상기 수납 선반과 상기 드라이브 사이에서 반송하는 액세서를 구비한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에 구비된 핸드 기구로서,
상기 카트리지를 파지하는 핑거와,
이 핑거의 파지 동작을 행하는 링크 기구와,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핑거 및 상기 링크 기구의 왕복 동작과 상기 링크 기구의 구동을 행하는 크랭크 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크랭크 기구에, 그 회전 동작이 도중에 상기 카트리지에 접촉하여 정지된 경우라도, 상기 회전 동작을 계속시키는 버퍼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핸드 기구. (5)
(부기 11) 부기 10에 기재한 핸드 기구로서, 상기 크랭크 기구를 구성하는 크랭크 아암의 회전축은 이 회전축을 수용하는 회전 베이스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버퍼 기구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기구.
(부기 12) 부기 11에 기재한 라이브러리 장치로서, 상기 버퍼 기구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는 버퍼 블록과, 이 버퍼 블록을 상기 회전 베이스 내에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샤프트와, 상기 슬라이드 샤프트의 주위에 권취된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압축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통상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베이스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핸드 기구의 전진 동작이 정상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접촉하여 정지한 경우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수축에 의해서 상기 회전축이 상기 크랭크 아암과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크랭크 아암이 회전을 계속하여 상기 링크 기구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기구.
(부기 13) 부기 10에 기재한 라이브러리 장치로서, 상기 크랭크 기구에 크랭크 아암과 크랭크 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버퍼 기구는 상기 크랭크 아암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핀을 상기 크랭크 아암의 회전축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기구.
(부기 14) 부기 13에 기재한 라이브러리 장치로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크랭크 아암 상에 설치된 고정 브래킷과, 슬라이드 핀을 구비하여 상기 크랭크 아암 위를 상기 크랭크 아암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고정 브래킷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크랭크 아암의 선단측으로 압박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핸드 기구의 전진 동작이 정상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접촉하여 정지한 경우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수축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고정 브래킷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크랭크 아암이 회전을 계속하여 상기 핸드 기구가 정상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기구.
(부기 15) 부기 10에 기재한 핸드 기구로서, 상기 카트리지를 양측에서 파지하는 2개의 핑거와, 이 핑거의 파지 동작을 행하는 링크 기구와, 상기 핑거 및 상기 링크 기구의 왕복 동작을 행하는 크랭크 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버퍼 기구는 상기 핑거 사이의 상기 카트리지 받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기구.
(부기 16) 부기 15에 기재한 핸드 기구로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링크 기구측에 위치하는 고정판과, 이 고정판에 압축 스프링을 통해 상기 고정판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받침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핸드 기구의 전진 동작이 정상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접촉하여 정지한 경우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수축에 의해서 상기 받침판이 상기 고정판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크랭크 아암이 회전을 계속하여 상기 핸드 기구가 정상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기구.
(부기 17) 부기 10, 12 및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핸드 기구로서,
상기 링크 기구는 2개의 링크 로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링크 로드 각각은 일단부가 상기 핸드 기구의 케이스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서로 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링크 로드의 상기 피봇 지지부의 외측에 상기 핑거가 각각 부착되어 있고,
상기 링크 로드는 인장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핑거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 아암이 회전하여 상기 핸드 기구가 정상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링크 기구의 2개의 링크 로드가 상기 크랭크 아암의 크랭크 핀에 눌림으로써, 상기 핑거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기구.
본 발명의 라이브러리 장치에 따르면, 액세서에 설치된 핸드 기구가 액세서의 이동후에 핸드 기구가 카트리지에 액세스할 때의 위치 부여가, 정상 위치보다 가깝게 되어 버린 경우라도, 크랭크 기구의 크랭크 아암의 회전이 계속 가능하므로, 리트라이를 하는 일없이 카트리지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라이브러리 장치의 신뢰성이 높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핸드 기구에 따르면, 크랭크 기구와 링크 기구에 의해 핑거를 동작시켜 카트리지를 파지하는 경우에, 핸드 기구가 정상 위치에서 카트리지로 근접한 경우라도, 소정 범위 내라면 카트리지의 파지 동작을 할 수 있다.

Claims (5)

  1. 기록 매체를 내장하는 카트리지와, 복수 개의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수납 선반과, 상기 카트리지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적어도 1대의 드라이브 및 상기 카트리지를 파지하여 상기 수납 선반과 상기 드라이브 사이에서 반송하는 액세서를 구비한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에 전진 동작, 상기 카트리지의 파지/개방 동작, 후퇴 동작을 행하는 핸드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핸드 기구에는 그 전진 동작이 정상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접촉하여 정지한 경우라도 상기 파지 동작을 행하게 하는 버퍼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기구는 상기 카트리지를 파지하는 핑거와, 이 핑거의 파지 동작을 행하는 링크 기구와, 상기 핑거 및 상기 링크 기구의 왕복 동작과 상기 링크 기구의 구동을 행하는 크랭크 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버퍼 기구는 상기 크랭크 기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기구를 구성하는 크랭크 아암의 회전축은 이 회전축을 수용하는 회전 베이스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버퍼 기구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기구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는 버퍼 블록과, 이 버퍼 블록을 상기 회전 베이스 내에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샤프트와, 상기 슬라이드 샤프트의 주위에 권취된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압축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통상 상태에 상기 회전 베이스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핸드 기구의 전진 동작이 정상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접촉하여 정지한 경우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수축에 의해서 상기 회전축이 상기 크랭크 아암과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크랭크 아암이 회전을 계속하여 상기 링크 기구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5. 기록 매체를 내장하는 카트리지와, 복수 개의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수납 선반과, 상기 카트리지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적어도 1대의 드라이브 및 상기 카트리지를 파지하여 상기 수납 선반과 상기 드라이브 사이에서 반송하는 액세서를 구비한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에 구비된 핸드 기구로서,
    상기 카트리지를 파지하는 핑거와,
    이 핑거의 파지 동작을 행하는 링크 기구와,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핑거 및 상기 링크 기구의 왕복 동작과 상기 링크 기구의 구동을 행하는 크랭크 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크랭크 기구에, 그 회전 동작이 도중에 정지된 경우라도, 상기 회전 동작을 계속시키는 버퍼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기구.
KR1020050067790A 2005-03-30 2005-07-26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핸드 기구 KR100712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98563A JP4162669B2 (ja) 2005-03-30 2005-03-30 ライブラリ装置及びライブラリ装置のハンド機構
JPJP-P-2005-00098563 2005-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569A true KR20060106569A (ko) 2006-10-12
KR100712939B1 KR100712939B1 (ko) 2007-05-02

Family

ID=3703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790A KR100712939B1 (ko) 2005-03-30 2005-07-26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핸드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66511B2 (ko)
JP (1) JP4162669B2 (ko)
KR (1) KR100712939B1 (ko)
CN (1) CN18415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8082A1 (ja) * 2007-12-14 2009-06-25 Fujitsu Limited 階層記憶システム、ライブラリ装置及びマガジン、並びに、階層記憶システムの制御方法
EP2433283A4 (en) * 2009-05-19 2013-04-10 Venture Corp Ltd DEVICE FOR TREATMENT WITH BAND CASSETTES
US8665554B2 (en) * 2012-01-11 2014-03-04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Ratcheting gripper for a storage library
USD742864S1 (en) * 2013-05-20 2015-11-10 Fujitsu Limited Base station
US11442653B2 (en) 2018-12-18 2022-09-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ee-based provisioning of supplemental drives in automated data storage librari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2545B2 (ja) * 1994-01-27 2005-09-07 ソニー株式会社 移動操作装置
EP0834382A3 (en) * 1994-10-31 1998-11-25 Fujitsu Limited Library device for recording medium cartridges
JPH09167407A (ja) 1995-12-19 1997-06-24 Sony Corp オートチェンジャのカセット搬送体
US6454509B1 (en) * 2000-04-06 2002-09-24 Plasmon Ide, Inc. Mechanically actuated picker for data storage library
JP4229604B2 (ja) * 2001-08-13 2009-02-25 富士通株式会社 オートチェンジャ
JP3571022B2 (ja) * 2001-11-19 2004-09-29 Necパーソナ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磁気テープライブラリ装置のピッカ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1540B (zh) 2011-04-13
US20060221485A1 (en) 2006-10-05
KR100712939B1 (ko) 2007-05-02
JP4162669B2 (ja) 2008-10-08
US7466511B2 (en) 2008-12-16
JP2006277882A (ja) 2006-10-12
CN1841540A (zh)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5826B2 (ja) マガジン
KR100712939B1 (ko)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핸드 기구
CA2053264A1 (en) Magnetic disk drive apparatus and method
JP2004178791A (ja)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記憶システム
US4519055A (en) Optical disc transport system
AU652406B2 (en) Cartridge tape system for helical scan transports
JP3761499B2 (ja) カートリッジ自動装填装置におけるロボットハンド
JPH07130061A (ja) データキャリヤローダのデータキャリヤロード及び交換ベルトシステム
JP2002530791A (ja) 記憶装置及び記憶容器を含む記憶システム並びに該記憶容器を該記憶装置内に位置決めする位置決め手段
EP1453046B1 (en) System for extracting magnetic recording tape from a tape cartridge for engagement with a take-up reel
CA2102909A1 (en) Magnetic tape cartridge for helical scan transports
JP4229604B2 (ja) オートチェンジャ
JP2008505428A (ja) 処理機構および関連するカートリッジ装置を備えた非テープデータ記憶カートリッジ
JP4157648B2 (ja) 連動されるシャッタを有する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駆動するディスク駆動装置
US6574063B1 (en) Cassette changer
US6445532B1 (en) Import/export element with lead screw and ramp for rotation
JP4521379B2 (ja) 記録メディア収容体及び記録メディアカートリッジ
JP2751890B2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1266443A (ja) 記録媒体駆動装置
JP2000100028A (ja) 記録媒体のアクセス装置
JPH1049840A (ja) カートリッジオートチェンジャー
JP2001266444A (ja) 記録媒体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