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933A - 영상처리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933A
KR20060104933A KR20060027941A KR20060027941A KR20060104933A KR 20060104933 A KR20060104933 A KR 20060104933A KR 20060027941 A KR20060027941 A KR 20060027941A KR 20060027941 A KR20060027941 A KR 20060027941A KR 20060104933 A KR20060104933 A KR 20060104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rate
parameter
predetermined
unit
encod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27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0458B1 (ko
Inventor
슈이치 이자와
Original Assignee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04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onitoring actual compressed data size at the memory before deciding storage at the transmission buf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제공되는 것은 최적 비트 레이트로 조정할 수 있는 영상 처리장치와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이다. 평균 비트 레이트가 목표 비트 레이트 보다 작은 경우 이동통신단말(1)은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에서 고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를 비트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설정한다. 평균 비트 레이트가 목표 비트 레이트 보다 큰 경우, 이동통신단말(1)은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에서 저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를 비트 레이트가 감소하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1)은 최적의 비트 레이트에서 YUV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비트 레이트, 이동통신단말, 동영상, 캡쳐, 인코딩, 파라미터, 최적, YUV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목적들 및 장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인코딩 파라미터 설정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인코딩 파라미터 설정과정의 내용을 특별히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에 의한 인코딩 파라미터 설정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에 의한 인코딩 파라미터 설정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비트 레이트로 조정하기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은 전화기로써의 전화기능, 및 이메일 송수신 기능이 있다. 또한, 대중화된 최근의 이동통신단말은 스틸영상과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기능도 있다. 카메라 기능에 의해 캡쳐된 동영상의 영상 데이터는, 예를들면 미심사청구된 일본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03-32629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고정된 비트 레이트로 인코딩되고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된다.
그러므로, 피사체의 이동량이 크면, 필요한 개수보다 적은 비트의 개수 때문에 만족할 만한 품질의 동영상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만약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트 레이트를 너무 높게 설정한다면, 반대로 CPU(중앙처리장치)의 처리부하 증가로 인하여 프레임 저하 문제가 야기된다. 또한, 만약 비트 레이트가 너무 높게 설정된다면, 저장매체가 적은 양의 데이터만을 저장하는 문제도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의 비트 레이트로 조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와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소정의 파라미터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함으로써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코딩된 데이터 생성유닛; 및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 생성유닛에 의해 생성된 인코딩된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조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 조정유닛은,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 생성유닛에 의해 생성된 인코딩된 데이터의 양으로부터 상기 소정 기간 동안 평균 비트 레이트를 연산하는 비트 레이트 연산유닛;
상기 비트 레이트 연산유닛에 의해 연산된 평균 비트 레이트가 소정의 임계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
상기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에 가까워지도록 하는 비트 레이트 변경유닛;을 포함한다.
상술한 영상처리장치에서, 상기 비트 레이트 변경유닛은,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다고 상기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이 판단한 경우,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현재의 파라미터에 의해 달성되는 것 보다 더 낮은 비트 레이트로 달성될 파라미터로 재설정함으로써 상기 비트 레이트를 감소시키고, 그리고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현재의 파라미터에 의해 달성되는 것 보다 더 높은 비트 레이트로 달성될 파라미터로 재설정함으로써 상기 비트 레이트를 증가시킨다.
상술한 영상처리장치에서, 상기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은,
상기 비트 레이트 연산유닛에 의해 연산된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소정의 제 1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 및
상기 비트 레이트 연산유닛에 의해 연산된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상기 소정의 제 1 임계값보다 작은 소정의 제 2 임계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 레이트 변경유닛은,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상기 소정의 제 1 임계값보다 크다고 상기 제 1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이 판단한 경우,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현재의 파라미터에 의해 달성되는 것보다 더 낮은 비트 레이트로 달성될 파라미터로 재설정함으로써 상기 비트 레이트를 감소시키고, 그리고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상기 소정의 제 2 임계값보다 작다고 상기 제 2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20)이 판단한 경우,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현재의 파라미터에 의해 달성되는 것보다 더 높은 비트 레이트로 달성될 파라미터로 재설정함으로써 상기 비트 레이트를 증가시킨다.
상술한 영상처리장치에서,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 생성유닛은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조정되어질 소정의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조정된 파라미터 저 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 조정유닛은 영상 데이터가 인코딩될 때 상호 다른 비트 레이트를 달성할 소정의 복수 파라미터들을 저장하는 스텝 파라미터 저장유닛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비트 레이트 변경유닛은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소정의 제 1 임계값 보다 크다고 상기 제 1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이 판단하는 경우, 조정된 파라미터 저장유닛에서 설정된 소정의 파라미터에 의해 달성되는 것보다 한 스텝 낮은 비트 레이트를 이루는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상기 스텝 파라미터 저장유닛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조정된 파라미터 저장유닛을 상기 판독된 파라미터로 재설정하며, 그리고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소정의 제 2 임계값보다 작다고 상기 제 2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이 판단하는 경우, 조정된 파라미터 저장유닛에서 설정된 소정의 파라미터에 의해 달성되는 것보다 한 스텝 높은 비트 레이트를 이루는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상기 스텝 파라미터 저장유닛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조정된 파라미터 저장유닛을 상기 판독된 파라미터로 재설정한다.
상술한 영상처리장치에서, 상기 파라미터 조정유닛은 동영상의 캡쳐가 지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 파라미터의 조정을 개시하고, 그리고 동영상의 캡쳐가 개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 파라미터의 조정을 종료한다.
상술한 영상처리장치에서, 동영상의 캡쳐가 개시된 이후,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 생성유닛은 상기 캡쳐가 개시되는 타이밍일 때의 상기 소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동영상의 캡쳐에 의해 얻어진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소정의 파라미터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함으로써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코딩된 데이터 생성과정;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 생성과정에 의해 생성된 인코딩된 데이터의 양으로부터 상기 소정 기간 동안 평균 비트 레이트를 연산하는 비트 레이트 연산과정;
상기 비트 레이트 연산과정에 의해 연산된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트 레이트 판단과정; 및
상기 비트 레이트 판단과정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비트 레이트 조정과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적의 비트 레이트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최상의 모드를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첫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특이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은 휴대폰, PHS(퍼스널 핸드폰 시스템) 등과 같은 이동통신용 단말장치(전화기 세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은 무선전화통신을 실현시키고 기지국(미도시)을 통한 이메일의 송수신 기능, CCD(전하결합소자) 등과 같은 영상 부재의 사용으로 스틸영상과 동영상을 캡쳐하는 카메라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은 캡쳐된 스틸영상과 동영상을 부착하여 이메일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1)은 렌즈 광학 시스템(2), 영상 부재(3), A/D(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4), 영상신호 처리기(5), 표시부(6), 영상버퍼(7), 코덱 처리기(8), 메모리 카드 커넥터(9),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 안테나(11), 무선부(12), 수신유닛(13), 송신유닛(14), 동작유닛(15), 스피커(16L, 16R), 오디오 처리기(17), 마이크로폰(18), 오디오 인코딩 처리기(19), 중앙제어기(20), 파라미터 저장부(101), 및 인코딩 크기 카운터(102)을 포함한다.
렌즈 광학 시스템(2)은 영상렌즈, 촛점조정용 초점렌즈, 영상 부재(3)등에 도달하는 광-피사체로부터 광량을 조정하기 위한 격막을 포함한다. 렌즈 광학 시스템(2)을 통과해 수렴하는 피사체의 광학영상(피사체 영상)은 영상 부재(3)에 포커스된다.
예를들면, 영상 부재(3)는 CCD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다. 영상 부재(3)는 렌즈 광학 시스템(2)을 통해 포커스된 광-피사체 영상을 영상의 밝기에 대응하는 레벨을 갖는 전하로 (광전자적으로) 변경하여 저장한다. 영상 부재(3)는 시간발생기(미도시)와 V(수직) 드라이버(미도시)에 의해 스캔된 것처럼, 저장된 전하를 영상신호로 출력한다.
영상 부재(3)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는 CDS(상관 중복 샘플링) 회로(미도시) 에 의해 제거된 노이즈를 가지며, 그런 다음에 AGC(자동 이득 제어)에 의해 증폭되고 A/D 컨버터(4)에 의해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된다.
영상신호 처리기(5)는 컬러 처리회로, DMA(직접 메모리 접속) 제어기 등을 포함한다. 영상신호 처리기(5)는 YUV 데이터를 발생시키도록 컬러 처리회로에 A/D 컨버터(4)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영상신호에 컬러처리를 적용한다. 영상신호 처리기(5)는 컬러 처리회로에서 발생된 YUV 데이터를 DMA 제어기를 사용하여 DMA에 의해 영상버퍼(7)내의 DRAM으로 이송한다.
표시부(6)는 예를들면 LCD(액정표시부)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부(6)는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쓰루 영상, 재생영상 등을 표시한다.
영상 버퍼(7)는 예를들면, DRAM(다이나믹 난수 접속 메모리) 및 VRAM(비디오 난수 접속 메모리)을 포함한다. DRAM은 영상신호 처리기(5)로부터 DMA에 의해 이송된 YUV 데이터를 유지시키거나, 또는 코덱 처리기(8)에서 YUV 데이터의 인코딩/디코딩 처리를 위한 작업메모리로서 사용된다.
VRAM은 영상이 표시부(6)에 표시될 때 작업메모리로써 사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DMA에 의해 영상신호 처리기(5)로부터 DRAM으로 이송된 YUV 데이터, 또는 코덱 처리기(8)에 의해 디코딩된 YUV 데이터는 VRAM내에 작성된다. VRAM내에 작성된 YUV 데이터는 정기적 간격으로 중앙제어기(20)에 의해 판독되며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비디오 신호가 표시부(6)에 공급됨에 따라, 쓰루 영상, 재생영상 등이 표시부(6)에 표시된다.
코덱 처리기(8)는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에 설정된 인코딩 파라미터에 따라, 예를 들면 MPEG(동 화상 전문가 그룹)(4) 기준의 인코딩 처리를 영상버퍼(7)내의 DRAM으로 DMA에 의해 이송된 YUV 데이터에 적용한다. 그럼으로써, 코덱 처리기(8)는 스틸영상 또는 동영상의 인코딩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들면, 메모리 카드 MC는 SD(보안 디지털) 메모리 카드 등이다. 다수개의 접촉패드는 메모리 카드 MC의 전면 또는 배면에 형성된다. 메모리 카드 MC는 코덱 처리기(8)에 의해 생성된 스틸영상 또는 동영상의 인코딩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 카드 커넥터(9)는 커넥터 하우징내에 다수개의 접촉 단말을 가진다. 이동통신단말(1)과 메모리 카드 MC 사이의 전기접속은 이들 접촉단말과 메모리 카드 MC의 전면 또는 배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접촉패드 사이의 접촉을 통해 유용하다.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는 이동통신단말(1)에 의해 동영상을 캡쳐하기 위하여 장려된 최적 비트 레이트를 지시하는 목표 비트 레이트를 설정하기 위한 내부 레지스터(미도시), 또는 코덱 처리기(8)에서 인코딩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인코딩 파라미터를 가진다.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는 파라미터 저장부(101) 및 인코딩 크기 카운터(102)에 접속된다.
파라미터 저장부(101)는 동영상을 캡쳐할 때에 인코딩 파라미터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을 저장한다.
도 2는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크기, 목표 비트 레이트, 및 인코딩 파라미터는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에 관련되어 등록된다.
예를 들면, 비트 레이트 384 kbps는 QVGA(1/4 비디오 그래픽 어레이) 크기(320×240 픽셀)에 대응하는 목표 비트 레이트로써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내에 등록되며, 비트 레이트 64 kbps는 QCIF(1/4 공동 중간포맷) 크기(176×144 픽셀) 및 서브-QCIF 크기(128×96 픽셀)에 대응하는 목표 비트 레이트로써 등록된다.
더욱이, 3가지 타입의 인코딩 파라미터는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내에 각 영상크기에 대해, 즉, 기본 인코딩 파라미터, 고 비트 레이트 다시 말하면, 고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 및 저비트 레이트 다시 말하면 저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로 등록된다.
인코딩 파라미터는 양자화 스케일 파라미터, 공간필터 파라미터 등과 같은 다수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양자화 스케일 파라미터는 양자화를 위한 스텝크기를 지시하며, 공간필터 파라미터는 공간 평활도를 지시한다. 각각의 화질에 대한 인코딩 파라미터는 다수개의 파라미터의 조합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각각의 화질에 대한 인코딩 파라미터는 다수개의 파라미터 중 하나의 파라미터가 될 수 있다. 각각의 화질에 대한 인코딩 파라미터는 이동통신단말(1)의 영상 캡쳐링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며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에 등록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화 이메일에 의해 송부되거나 수신되는 동영상은 데이터량을 압축할 수 있도록 픽셀수가 낮은 QCIF 크기 또는 서브-QCIF 크기로 캡쳐된다. 영화 이메일에 의해 송부되거나 수신되지 않는 비디오용 동영상은 해상도를 높일 수 있도록 픽셀수가 높은 QVGA 크기로 캡쳐된다.
인코딩 크기 카운터(102)는 코덱 처리기(8)에서 소정주기(예를 들면, 1초) 동안 획득된 인코딩 데이터의 양(비트 수)을 카운트한다. 예를 들면, 인코딩 크기 카운터(102)에 의해 카운트된 값은 비트 레이트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안테나(11)는 이동통신단말(1)에 외부에서 입력된 무선파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안테나(11)는 전송신호를 무선파로 변환하여 공중으로 발산한다.
무선부(12)는 안테나(11)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를 다운 컨버트하고, 칩 레이트에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도록 직각 복조처리 및 A/D(아날로그-디지털) 변환처리를 다운 컨버트된 아날로그 신호에 적용하며, 생성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유닛(13)에 공급한다. 또한, 무선부(12)는 D/A(디지털-아날로그) 변환처리 및 변조처리를 송신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전송신호에 적용하고, 이 처리과정의 결과인 전송신호를 업 컨버트하며, 신호를 안테나(11)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한다.
수신유닛(13)은 심볼 레이트에서 오디오 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역 분산처리 및 위상 보정처리를 무선부(12)로부터 공급된 칩 레이트에서 디지털 신호에 적용하며, 획득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처리기(17)에 공급한다.
송신유닛(14)은 물리적 채널에 에러 보정 인코딩 처리, 맵핑용 처리를 적용하며, 그리고 오디오 인코딩 처리기(19)로부터 공급된 전송신호에 분산처리를 적용하고, 이 처리과정의 결과인 전송신호를 무선부(12)에 공급한다.
동작유닛(15)은 예를 들면, 크로스헤어 커서키이, 숫자와 캐릭터를 타이핑하기 위한 영숫자 캐릭터 키이, 기능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 등을 포함한다.
스피커(16L, 16R)는 음성통신으로 들어온 음성이나 전화 톤을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기(17)는 수신유닛(13)으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신호에 디코딩 처 리를 적용하고,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6L, 16R)에 공급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통신 파트너의 음성은 스피커(16R)로부터 출력되고 전화 톤은 스피커(16L)로부터 출력된다.
마이크로폰(18)은 음성통신으로 사용자에 의해 발음된 음성을 캐취한다.
오디오 인코딩 처리기(19)는 심볼 레이트에서 전송신호를 생성하도록 마이크로폰(18)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에 A/D 변환처리 및 인코딩 처리를 적용하고, 생성된 전송신호를 송신유닛(14)에 공급한다.
중앙제어기(20)는 예를 들어, CPU(중앙 처리장치), ROM(읽기 전용 메모리), RAM(난수 접속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CPU가 ROM 등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적절히 실행함으로써, 중앙제어기(20)는 이동통신단말(1)의 각 부품의 동작을 제어한다. RAM은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작업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그 다음, 앞서 설명한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단말(1)의 특정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1)에 의해 인코딩 파라미터 설정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인코딩 파라미터 설정과정의 내용을 특별히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챠트이다.
첫번째로, 중앙제어기(20)는 동작 유닛(15)으로부터의 검출 신호 입력 레벨 또는 실행되는 기능에 따라 설정 또는 소거되는 기능 모드 플래그를 참조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기능모드가 카메라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1단계). 기능모드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카메라 모드로 설정된 경우(S101 단계;예), 중앙제어기(20)는 사용자가 "스틸 카메라 캡쳐" 또는 "동영상 캡쳐"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표시부(6)상에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중앙제어기(20)는 선택화면의 표시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영상 캡쳐"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단계). 만약 사용자가 동작 유닛(15)를 조작하여 선택화면상에서 "동영상 캡쳐"를 선택하고, "go" 키이를 눌렀고, 이로 인해 "동영상 캡쳐"가 선택되었다면("동영상 캡쳐"가 지시됨)(S102단계; 예), 중앙제어기(20)는 기록될 영상의 형태에 따라 설정되거나 소거되는 기록모드 플래그를 참조함으로써, 기록모드가 비디오 모드인지 또는 영화 이메일 모드인지를 특정한다. 그 다음, 중앙제어기(20)는 파라미터 저장부(101)내에 저장된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로부터, 특정된 기록모드의 영상 크기에 대응하는 인코딩 파라미터와 목표 비트 레이트의 기본값을 얻는다.
그 다음, 중앙제어기(20)는 얻어진 인코딩 파라미터의 기본값을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미도시)에 설정한다(S103단계).
보다 특정하기 위하여, 기록모드가 비디오 모드일 때, QVGA의 크기에 대응되는 인코딩 파라미터의 기본값이 설정된다. 기록모드가 영화 이메일 모드일 때, QCIF 크기 또는 서브-QCIF 크기에 대응하는 인코딩 파라미터이 설정된다.
더욱이, 이 때, 얻어진 목표 비트 레이트도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에서 목표 비트 레이트(T)로서 설정된다.
그 다음, 중앙제어기(20)는 동작 유닛(15)으로부터의 검출신호의 입력레벨을 참조함으로써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록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한 "동영상 캡쳐"의 개시가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단계). 사용자가 아직 "동영상 캡쳐"의 개시를 지시하지 않은 경우(S104단계; 아니오, 도 4의 M0), 중앙제어기(20)는 감시기간이라고 판단하고, RAM 등에 제공된 타이머의 카운트값(A)과 인코딩 크기 카운터(102)의 인코딩 크기(S)를 초기값("0")으로 설정한다(도 3의 S105단계). 그 다음, 중앙제어기(20)는 카운터값(A)을 증가시키기 위해 타이머를 개시한다(S106단계).
그 다음, 중앙제어기(20)는 영상을 촬영한다(S107). 특히, 중앙제어기(20)는 1 프레임마다 YUV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처리기(5)내의 컬러 처리 회로를 갖기 위하여 영상 부재(3)로부터 1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를 얻는다. 이러한 YUV 데이터는 영상 신호 처리기(5)의 DMA 제어기에 의한 영상 버퍼(7)의 DRAM까지 MDA에 의해 전송된다. 이러한 처리과정은 프레임마다 반복된다.
더욱이, 중앙제어기(20)는 DMA에 의해 VRAM내의 DRAM으로 전송된 YUV 데이터를 기록한다. 중앙제어기(20)는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각 정기적 간격마다 VRAM으로부터 YUV 데이터를 판독하고, 생성된 비디오 신호를 표시부(6)에 인가한다. 그 결과 얻어진 영상은 쓰루 영상으로서 표시부(6)상에 표시된다(S108단계).
더욱이, 중앙제어기(20)는 영상버퍼(7)로부터 YUV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리고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S103단계에서 설정된 기본 인코딩 파라미터에 따라 코덱 처리기(8)에서 YUV 데이터를 영상 인코딩 처리과정에 적용한다(S109단계). 그 다음, 인코딩 크기(S)를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중앙제어기(20)는 생성된 인코딩 데이터의 비트수(인코딩 크기)를 인코딩 크기 카운터(102)의 저장된 값에 가산한다(S110단계).
그 다음, 중앙제어기(20)는 타이머의 카운터값(A)을 참조하여 카운터값(A)이 소정의 값과 같거나 더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단계). 특히, 1초가 되도록 가정된 소정의 값을 갖고, 중앙제어기(20)는 S106단계에서 타이머가 개시된 후 1초가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카운터값(A)이 소정값 보다 더 작은 경우, 예를 들어 개시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1초에 다다르지 않는 경우(S111단계; 아니오), 흐름은 S106단계로 귀환한다.
그 후, 카운터값(A)이 소정값과 같거나 더 커지는 경우, 예를 들어, 개시후 1초가 경과된 경우(S111; 예), 중앙제어기(20)는 인코딩 크기 카운터(102)에 저장된 총비트수(인코딩 크기(S))를 카운터값(A)에 의해 나타나는 경과된 시간으로 나누고, 나눔의 결과를 평균 비트 레이트(B)로 얻는다(S112 단계).
중앙제어기(20)는 얻어진 평균 비트 레이트(B)를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에 설정된 목표 비트 레이트(T)와 비교하여, 평균 비트 레이트(B)가 목표 비트 레이트(T) 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113단계).
S113 단계에서, 평균 비트 레이트(B)가 목표 비트 레이트(T) 보다 크지 않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S113단계;아니오, 도 4에서 M1), 중앙제어기(20)는 단위 시간당 인코딩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아직 더 커질 여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이로써 화질을 개선하기 위해 비트 레이트를 높인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중앙제어기(20)는 파라미터 저장부(101)에 저장된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로부터 고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그리고 판독된 인코딩 파라미터를 인코딩 파라미터 관 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에 설정한다(도 3의 S114단계). 그 결과, 인코딩 파라미터는 기록된 영상이 더욱 고화질인 영상을 갖도록 조정된다.
예를 들어, 피사체의 움직임이 적고, 이로 인해 목표 비트 레이트(T)가 384 kbps인 동안 200 kbps의 평균 비트 레이트(B)가 유발되는 경우, 인코딩 파라미터는 비트 레이트가 증가되도록 조정된다. 따라서, 저장될 영상은 더욱 고화질의 영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S113단계에서, 평균 비트 레이트(B)가 목표 비트 레이트(T) 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S113단계; 예, 도 4의 M2), 화질을 낮추기 위하여 중앙제어기(20)는 비트 레이트를 줄인다. 따라서, 중앙제어기(20)는 파라미터 저장부(101)내에 저장된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로부터 저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그리고 판독된 인코딩 파라미터를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에 설정한다(도 3의 S115단계). 그 결과, 중앙제어기(20)의 처리 부하의 증가로 유발되는 프레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S114단계 또는 S115단계에서의 과정이 완료된 후, 흐름은 S104단계로 귀환한다. S105단계 내지 S115단계에서의 과정은 "동영상 캡쳐"의 개시가 지시되었다고 S104단계에서 판단될 때까지 계속된다.
"동영상 캡쳐"의 개시가 지시되었다고 S104단계에서 판단된 경우("동영상 캡쳐"가 개시)(S104단계;예. 도 4의 M3), 중앙제어기(20)는 기록 기간이라고 판단하고, 그리고 앞서 설명한 S107단계에서와 같은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영상내에서 얻는다(도 3의 S116단계). 이후, 중앙제어기(20)는 앞서 설명한 S108단계에서와 같은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영상을 표시부(6)상에 쓰루 영상으로 표시한다(S117단계).
그후, 중앙제어기(20)는 S105단계 내지 S115단계를 통해 조정된 인코딩 파라미터에 따라 앞서 설명한 S109단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영상 인코딩 과정을 YUV 데이터에 적용한다(S118단계).
그후, 중앙제어기(20)는 생성된 인코딩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MC)내에 저장한다(S119단계). 이후, 중앙제어기(20)는 사용자가 "동영상 캡쳐"(기록끝)의 끝을 지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동작 유닛(15)으로부터의 검출신호 입력 레벨을 참조한다(S120단계). 사용자가 "동영상 캡쳐"의 끝을 지시하지 않는 경우(S120단계; 아니오), 중앙제어기(20)는 기록이 아직 계속중이라고 판단하여 S116단계로 귀환한다.
S120단계에서 "동영상 캡쳐"의 끝이 지시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S120단계;예), 중앙제어기(20)는 인코딩 파라미터 설정과정을 종료하기 위하여 동영상 캡쳐 동작을 종료한다.
앞서 설명한 처리과정이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단말(1)에 의해 수행되는 인코딩 파라미터 설정과정의 내용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 캡쳐의 기록을 시작하기 전의 평균 비트 레이트가 목표 비트 레이트 보다 작은 경우,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단말(1)은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를 고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로 재설정한다. 한편, 영상 캡쳐의 기록을 시작하기 전의 평균 비트 레이트가 목표 비트 레이트 보다 큰 경우,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단말(1)은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를 저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로 재설정한다.
평균 비트 레이트가 목표 비트 레이트 보다 작은 경우, 인코딩 파라미터는 기록의 개시전에 비트 레이트를 증가하도록 조정되기 때문에, 기록될 영상에 더욱 고화질을 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평균 비트 레이트가 목표 비트 레이트 보다 큰 경우, 인코딩 파라미터는 기록의 개시전에 비트 레이트를 줄이도록 조정된다. 따라서, 중앙제어기(20) 등의 처리 부하 증가로 인한 프레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동통신단말(1)은 최적의 비트 레이트에서 YUV 데이터의 인코딩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코딩 파라미터 조정은 사용자가 "동영상 캡쳐"를 선택한 때부터 사용자가 "동영상 캡쳐"의 개시를 지시한 때까지의 기간동안 이루어진다. 그러면, 동영상 캡쳐가 개시된 후, 인코딩 처리과정은 개시할 때의 인코딩 파라미터에 따라 동영상 이미지의 YUV 데이터에 대해 수행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1)은 동영상 캡쳐 동안 인코딩 파라미터를 조정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중앙제어기(20)의 처리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1)은 인코딩 파라미터가 너무 많이 조정될 경우 유발될 수 있는 영상 흐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설명된다.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고화질용 또는 저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는 S113단계에서 평균 비트 레이트와 목표 비트 레이트 사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설정된다. 이것을 비교함으로써, 3개 또는 그 이상의 화질을 위한 인코딩 파라미터들이 준비될 수 있고, 이로써 최적의 영상 캡쳐를 위한 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가 이들 파라미터들로부터 설정될 수 있다.
지금부터, 제 2 실시예에서, 고화질 및 저화질에 덧붙여 중급화질용 파라미터가 준비된 경우가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파라미터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파라미터는 중급화질용 값, 고화질용 값 및 저화질용 값을 인코딩 파라미터로서 등록한다. 중급화질용 값도 기본값으로 사용된다.
더욱이,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은 각 영상 크기를 겨냥한 비트 레이트의 범위를 나타내는 2개의 목표 비트 레이트를 등록한다. 특히,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은 목표 비트 레이트 범위의 상한으로서 상한 비트 레이트 및 범위의 하한으로서 하한 비트 레이트를 등록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1)에 의한 동영상 캡쳐용으로 권장되는 최적의 비트 레이트가 목표 비트 레이트의 범위로서 등록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1)에 의해 수행되는 인코딩 파라미터 설정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흐름도에서,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의 것과 같은 처리과정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첫번째로, 중앙제어기(20)는 카메라 모드에서 "동영상 캡쳐"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도 3의 S101단계 및 S102단계에서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도 6의 S201단계 및 S202단계). "동영상 캡쳐"가 선택된 경우(S202단계;예), 중앙제어기(20)는 기록모드가 비디오 모드 또는 영화 이메일 모드인지를 특정한다. 이하의 과정에서, 여기서 특정된 기록모드용 영상 크기에 따라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내에 등록된 정보가 사용될 것이다. 그 후, 중앙제어기(20)는 파라미터 저장부(101)에 저장된, 도 5에 도시된 중급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 상한 비트 레이트 및 하한 비트 레이트의 값을 얻는다.
그 후, 중앙제어기(20)는 중급화질용으로 얻어진 인코딩 파라미터 값들을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에 기본값으로서 설정한다(S203단계).
이 때, 얻어진 상한 비트 레이트와 하한 비트 레이트도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에 상한 비트 레이트(T1) 및 하한 비트 레이트(T2)로서 설정된다.
그 후, 중앙제어기(20)는 "동영상 캡쳐"의 개시가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4단계). "동영상 캡쳐"의 개시가 지시되지 않은 경우(S204단계;아니오), 중앙제어기(20)는 감시 기간이고 판단하고,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에 설정된 인코딩 파라미터에 따라 도 3의 S105단계 내지 S112단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평균 비트 레이트(B)를 얻는다(도 7의 S205단계 내지 S212단계).
평균 비트 레이트(B)가 상한 비트 레이트(T1)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중앙제어기(20)는 얻어진 평균 비트 레이트(B)를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 의 내부 레지스터에 설정된 상한 비트 레이트(T1)와 비교한다(S213단계).
S213단계에서, 평균 비트 레이트(B)가 상한 비트 레이트(T1) 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S213단계;예), 중앙제어기(20)는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에 설정된 인코딩 파라미터가 고화질용 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4단계). 인코딩 파라미터가 고화질용 값인 경우(S214단계;예), 중앙제어기(20)는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내에 중급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를 설정한다(S215단계). 반대로, 인코딩 파라미터가 고화질용 값이 아닌 경우(S214단계;아니오), 중앙제어기(20)는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내에 저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를 설정한다(S216단계).
S214단계 및 S216단계의 과정에 의하여, 평균 비트 레이트가 목표 비트 레이트의 범위 보다 큰 경우, 인코딩 파라미터는 한 레벨 아래의 화질값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비트 레이트가 낮아지고, 평균 비트 레이트는 목표 비트 레이트에 가까워질 수 있다. 가장 작은 비트 레이트를 요구하는 저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설정은 유지될 것이다.
S213단계에서, 평균 비트 레이트(B)가 상한 비트 레이트(T1)와 같거나 더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S213단계;아니오), 평균 비트 레이트(B)가 하한 비트 레이트(T2)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중앙제어기(20)는 평균 비트 레이트(B)를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내에 설정된 하한 비트 레이트(T2)와 비교한다(S217단계).
평균 비트 레이트(B)가 하한 비트 레이트(T2) 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S217단계;예), 중앙제어기(20)는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내에 설정된 인코딩 파라미터가 저화질용 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8단계). 인코딩 파라미터가 저화질용 값인 경우(S218단계, 예), 중앙제어기(20)는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에 중급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를 설정한다(S215단계). 반대로, 인코딩 파라미터가 저화질용 값이 아닌 경우, 즉, 중급화질용 값 또는 고화질용 값인 경우(S218단계; 아니오), 중앙제어기(20)는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에 고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를 설정한다(S219단계).
S218단계, S215단계, S219단계에서의 과정에 의해, 만약 평균 비트 레이트가 목표 비트 레이트의 범위보다 더 작은 경우, 인코딩 파라미터의 설정은 한 레벨 위의 화질용 값으로 변경된다. 결과적으로, 비트 레이트가 증가하고, 평균 비트 레이트는 목표 비트 레이트의 범위에 가까워질 수 있다. 만약, 최고의 비트 레이트를 가진 고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설정은 유지될 것이다.
평균 비트 레이트(B)가 하한 비트 레이트(T2)와 같거나 더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S217단계; 아니오),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내의 인코딩 파라미터의 값은 변경되지 않고, 흐름은 도 6의 S204단계로 귀환한다. 따라서, 평균 비트 레이트가 목표 비트 레이트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 인코딩 파라미터의 설정은 유지되고, 권장되는 최적 비트 레이트가 유지될 것이다.
인코딩 파라미터가 도 7의 S213단계 내지 S219단계에서의 과정을 통해 설정되는 경우, 흐름은 도 6의 S204단계로 귀환한다. 도 7의 S205단계 내지 S219단계에 서의 과정은 도 6의 S204단계에서 "동영상 캡쳐"의 개시 지시가 있다고 판단될 때까지 반복될 것이다.
S204단계에서, "동영상 캡쳐"의 개시가 지시되었을 때(S204단계;예), 중앙제어기(20)는 기록기간인지를 판단하고, 도 7의 S213단계 내지 S219단계에서의 과정에 의해 설정된 인코딩 파라미터에 따라 도 3의 S116단계 내지 S120단계에서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동영상 캡쳐 동작을 수행하고(도 6의 S220단계 내지 S224단계), 인코딩 파라미터 설정과정을 종료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캡쳐를 위한 인코딩 파라미터의 값은 동영상 캡쳐 전(녹화) 영상의 평균 비트 레이트에 기초하여 조정됨으로써 평균 비트 레이트는 목표 비트 레이트에 가까워진다. 특히, 평균 비트 레이트가 소정의 범위 보다 큰 경우, 현재 설정된 것보다 더 낮은 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는 비트 레이트를 낮추기 위해 설정된다. 평균 비트 레이트가 소정의 범위 보다 작은 경우, 현재 설정된 것보다 더 높은 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는 비트 레이트를 높이기 위해 설정된다. 더욱이, 평균 비트 레이트가 소정 범위내에 있는 경우, 인코딩 파라미터의 설정은 변경되지 않고, 이로서 비트 레이트는 유지될 것이다.
따라서, 예를들어, 캡쳐할 광-피사체의 동작량이 크고 이로서 평균 비트 레이트가 소정 범위 보다 큰 경우, 캡쳐는 비트 레이트를 줄이는 화질에서 수행될 것이고, 동영상 캡쳐동안 프레임 저하와 시간 위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평균 비트 레이트가 소정 범위보다 작은 경우, 영상 캡쳐는 비트 레이트를 높이는 화질에서 수행될 것이고, 비트 레이트의 여력을 활용함으로써 더 고화질의 동영상을 사 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평균 비트 레이트가 소정 범위내에 있는 경우, 영상 캡쳐는 이동통신단말(1)에 의한 동영상 캡쳐용으로 권장되는 최적의 비트 레이트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최적 비트 레이트를 구현하는 화질은 영상 캡쳐전 광-피사체의 동작량 등에 따라 중급화질, 고화질 및 저화질로부터 선택되고, 이로서 동영상 캡쳐용 비트 레이트가 최적의 비트 레이트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N개(N은 임의의 자연수) 종류의 화질을 위한 인코딩 파라미터가 준비되는 경우가 설명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의 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를 등록한다. 1 부터 N까지의 식별번호는 가장 낮은 저화질용 파라미터로부터 높은 순서로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내에서 인코딩 파라미터에 대해 미리 주어진다. 더욱이,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은 각 영상 크기에 대해 목표 비트 레이트 범위의 상한을 비트 레이트의 상한으로 등록하고, 하한 비트 레이트를 범위의 하한으로 등록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1)에 의해 수행되는 인코딩 파라미터 설정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흐름도에서,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와 동일한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 략될 것이다.
첫번째로, 중앙제어기(20)는 도 3의 S101단계 내지 S102단계에서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카메라모드에서 "동영상 캡쳐"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도 9의 S301단계 및 S302단계). "동영상 캡쳐"가 선택되었을 때(S302단계;예), 중앙제어기(20)는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내에 저장된 변수(P)에 대해 "1"을 기본값으로서 설정한다(S303단계). 여기서 설정된 변수(P)의 값은 1과 N 사이의 다른 값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중앙제어기(20)는 기록모드가 비디오 모드 또는 영화 이메일 모드인지를 특정한다. 이하의 과정에서, 여기서 특정된 기록모드를 위한 영상 크기에 따라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내에 등록된 정보가 사용될 것이다. 이후, 중앙제어기(20)는 파라미터 저장부(101)에 저장된, 도 8에 도시된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로부터 변수(P)의 값과 같은 식별번호(P)를 갖는 인코딩 파라미터, 상한 비트 레이트 및 하한 비트 레이트를 얻는다.
그 다음, 중앙제어기(20)는 식별번호(P)를 갖는 얻어진 인코딩 파라미터를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내에 설정한다(S304단계).
이 때, 얻어진 상한 비트 레이트와 하한 비트 레이트도 상한 비트 레이트(T1)와 하한 비트 레이트(T2)로서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에 설정된다.
그 다음, 중앙제어기(20)는 "동영상 캡쳐"의 개시가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5단계). "동영상 캡쳐"의 개시가 지시되지 않은 경우(S305단계; 아니오), 중앙제어기(20)는 감시기간이라고 판단하고,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 부 레지스터에 설정된 인코딩 파라미터에 따라 도 3의 S105단계 내지 S112단계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평균 비트 레이트(B)를 얻는다(도 10의 S306단계 내지 S313단계).
그 다음, 중앙제어기(20)는 평균 비트 레이트(B)가 상한 비트 레이트(T1)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얻어진 평균 비트 레이트(B)를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에 설정된 상한 비트 레이트(T1)와 비교한다(S314단계).
S314단계에서, 평균 비트 레이트(B)가 상한 비트 레이트(T1) 보다 크다고판단된 경우(S314단계;예), 중앙제어기(20)는 P=1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15단계). P=1 이 아닌 경우(S315단계; 아니오), 중앙제어기(20)는 P의 값을 1씩 줄인다(S316단계). 반대로 P=1 인 경우(S315단계;예), 중앙제어기(20)는 P의 값을 더이상 줄이지 않기 위하여 S316단계를 건너뛴다.
S314단계에서 평균 비트 레이트(B)가 상한 비트 레이트(T1)와 같거나 더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S314단계; 아니오), 중앙제어기(20)는 평균 비트 레이트(B)가 하한 비트 레이트(T2) 보다 더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평균 비트 레이트(B)를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에 설정된 하한 비트 레이트(T2)와 비교한다(S317단계).
S317단계에서, 평균 비트 레이트(B)가 하한 비트 레이트(T2) 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S317단계; 예), 중앙제어기(20)는 P=N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18단계). P=N 이 아닌 경우(S318단계; 아니오), 중앙제어기(20)는 P의 값을 1씩 증가시 킨다(S319단계). 반대로 P=N 인 경우(S318단계;예), 중앙제어기(20)는 P의 값을 더이상 증가시키지 않기 위하여 S319단계를 건너뛴다.
S317단계에서 평균 비트 레이트(B)가 하한 비트 레이트(T2)와 같거나 더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S317단계; 아니오), P의 값은 변경되지 않고, 흐름은 도 9의 S304단계로 귀환한다.
P의 값이 도 10의 S314단계 내지 S319단계에서의 과정을 통해 설정될 때, 흐름은 도 9의 S304단계로 귀환한다. 그 다음, 중앙제어기(20)는 도 8에 도시된 인코딩 파라미터 테이블로부터 도 10의 S314단계 내지 S319단계의 과정에 의해 설정된 변수(P)의 값과 같은 식별번호(P)를 갖는 인코딩 파라미터를 얻고, 그리고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내부 레지스터를 얻어진 인코딩 파라미터로 재설정한다(도 9의 S304단계).
그 다음, 중앙제어기(20)는 "동영상 캡쳐"의 개시가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5단계). 도 10의 S314단계 내지 S319단계의 과정 및 도 9의 S304단계의 과정은 "동영상 캡쳐"의 개시가 지시될 때까지 반복될 것이다.
이러한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평균 비트 레이트가 목표 비트 레이트의 범위보다 큰 경우, P의 값은 1 씩 감소함으로써 인코딩 파라미터는 한 레벨 낮은 화질용 값으로 변경된다. 결과적으로, 비트 레이트는 줄어들고, 평균 비트 레이트는 목표 비트 레이트의 범위에 근접될 수 있다. 평균 비트 레이트가 목표 비트 레이트의 범위 보다 작은 경우, P의 값은 1 씩 증가하여 인코딩 파라미터는 한 레벨 높은 화질용 값으로 변경된다. 결과적으로 비트 레이트는 증가하고, 평균 비트 레이트는 목표 비트 레이트의 범위에 근접될 수 있다. 더욱이, 평균 비트 레이트가 목표 비트 레이트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P의 값은 변경되지 않고, 그리고 인코딩 파라미터의 설정은 유지된다. 따라서 권장되는 최적의 비트 레이트가 유지될 수 있다.
S305단계에서 "동영상 캡쳐"의 개시가 지시되었을 때(S305단계; 예), 중앙제어기(20)는 기록기간이라고 판단하고, 도 9의 S304단계에서의 과정에 의해 설정된 인코딩 파라미터에 따라 도 3의 S116단계 내지 S120단계에서와 같은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동영상 캡쳐 동작을 수행하고(S320단계 내지 S324단계), 그리고 이와 같은 인코딩 파라미터 설정과정을 종료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 갯수의 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가 저장된다. 동영상 캡쳐(기록)전 영상의 평균 비트 레이트가 최적 비트 레이트를 나타내는 목표 비트 레이트의 범위와 다를 경우, 평균 비트 레이트가 목표 비트 레이트에 접근함으로써 화질이 순차적으로 변경되고, 그리고 변경된 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는 기록용 인코딩 파라미터로서 설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캡쳐에 대해 최적 비트 레이트를 달성하는 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는 임의 갯수의 화질용 인코딩 파라미터들중에서 설정된다. 따라서, 동영상 캡쳐를 위한 비트 레이트는 최적 비트 레이트로 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제어기(20)는 변수(P)의 값을 1씩 증가 또는 감소시키지 않으나, 평균 비트 레이트와 목표 비트 레이트의 차이에 대응하는 값만큼씩 변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평균 비트 레이트는 짧은 시간내에 목표 비트 레이트에 근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첫번째 내지 세번째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되거나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수정들이 설명될 것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영상처리장치를 이동통신단말에 응용하는 설명이 주어졌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영상처리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의 구조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중앙제어기(20)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처리과정을 실현하기 위해 인코딩 파라미터 관리기(10)로서 기능하는 중앙제어기(20)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이동통신단말(1)내에 저장되고(예를 들어, ROM내), 이로써 중앙제어기(20)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제어기(20)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ROM등에 미리 저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라 현재의 이동통신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임의이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은 인터넷과 같은 통신매체를 통해 제공될 수 있고, 혹은 CD-ROM,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저장매체로 저장되어 배포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과 변형이 발명의 범위와 요지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이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보여진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그 균등범위내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소정의 파라미터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함으로써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코딩된 데이터 생성유닛(8); 및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 생성유닛(8)에 의해 생성된 인코딩된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조정유닛(20);를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 조정유닛(20)은,
    소정의 기간동안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 생성유닛(8)에 의해 생성된 인코딩된 데이터의 양으로부터 상기 소정 기간동안 평균 비트 레이트를 연산하는 비트 레이트 연산유닛(20);
    상기 비트 레이트 연산유닛(20)에 의해 연산된 평균 비트 레이트가 소정의 임계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20);
    상기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20)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에 가까워지도록 하는 비트 레이트 변경유닛(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레이트 변경유닛(20)은,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 보다 크다고 상기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20)이 판단한 경우,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현재의 파라미터에 의해 달 성되는 것 보다 더 낮은 비트 레이트로 달성될 파라미터로 재설정함으로써 상기 비트 레이트를 감소시키고, 그리고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현재의 파라미터에 의해 달성되는 것 보다 더 높은 비트 레이트로 달성될 파라미터로 재설정함으로써 상기 비트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20)은,
    상기 비트 레이트 연산유닛(20)에 의해 연산된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소정의 제 1 임계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20); 및
    상기 비트 레이트 연산유닛(20)에 의해 연산된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상기 소정의 제 1 임계값 보다 작은 소정의 제 2 임계값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20);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 레이트 변경유닛(20)은,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상기 소정의 제 1 임계값 보다 크다고 상기 제 1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20)이 판단한 경우,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현재의 파라미터에 의해 달성되는 것 보다 더 낮은 비트 레이트로 달성될 파라미터로 재설정함으로써 상기 비트 레이트를 감소시키고, 그리고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상기 소정의 제 2 임계값 보다 작다고 상기 제 2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20)이 판단한 경우,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현재의 파라미터에 의해 달성되는 것 보다 더 높은 비트 레이트로 달성될 파라미터로 재설정함으로써 상기 비트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 생성유닛(8)은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조정되어질 소정의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조정된 파라미터 저장유닛(10)을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 조정유닛(20)은 영상 데이터가 인코딩될 때 상호 다른 비트 레이트를 달성할 소정의 복수 파라미터들을 저장하는 스텝 파라미터 저장유닛(101)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비트 레이트 변경유닛(20)은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소정의 제 1 임계값 보다 크다고 상기 제 1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20)이 판단하는 경우, 조정된 파라미터 저장유닛(10)에서 설정된 소정의 파라미터에 의해 달성되는 것 보다 한 스텝 낮은 비트 레이트를 이루는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상기 스텝 파라미터 저장유닛(101)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조정된 파라미터 저장유닛(10)을 상기 판독된 파라미터로 재설정하며, 그리고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소정의 제 2 임계값 보다 작다고 상기 제 2 비트 레이트 판단유닛(20)이 판단하는 경우, 조정된 파라미터 저장유닛(10)에서 설정된 소정의 파라미터에 의해 달성되는 것 보다 한 스텝 높은 비트 레이트를 이루는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상기 스텝 파라미터 저장유닛(101)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조정된 파라미터 저장유닛(10)을 상기 판독된 파라미터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조정유닛(20)은 동영상의 캡쳐가 지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 파라미터의 조정을 개시하고, 그리고 동영상의 캡쳐가 개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 파라미터의 조정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동영상의 캡쳐가 개시된 이후,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 생성유닛(8)은 상기 캡쳐가 개시되는 타이밍일 때의 상기 소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동영상의 캡쳐에 의해 얻어진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7. 소정의 파라미터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함으로써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코딩된 데이터 생성과정(S109);
    소정의 기간동안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 생성과정(S109)에 의해 생성된 인코딩된 데이터의 양으로부터 상기 소정 기간동안 평균 비트 레이트를 연산하는 비트 레이트 연산과정(S112);
    상기 비트 레이트 연산과정(S112)에 의해 연산된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소정의 임계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트 레이트 판단과정(S113); 및
    상기 비트 레이트 판단과정(S113)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소정의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비트 레이트 조정과정(S114, S115);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060027941A 2005-03-28 2006-03-28 영상처리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0760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92490 2005-03-28
JP2005092490 2005-03-28
JPJP-P-2006-00060157 2006-03-06
JP2006060157A JP4251650B2 (ja) 2005-03-28 2006-03-06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933A true KR20060104933A (ko) 2006-10-09
KR100760458B1 KR100760458B1 (ko) 2007-09-20

Family

ID=3703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27941A KR100760458B1 (ko) 2005-03-28 2006-03-28 영상처리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56349B2 (ko)
JP (1) JP4251650B2 (ko)
KR (1) KR1007604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863B1 (ko) * 2014-03-13 2015-07-15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에너지, 데이터량 및 데이터 왜곡률을 동적으로 관리하는 비디오 인코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US9479770B2 (en) 2013-03-22 2016-10-25 Center For Integrated Smart Sensors Foundation Video encoding system for dynamically managing energy, rate and distortion and surveillance system using the same
CN107659819A (zh) * 2017-10-30 2018-02-02 网宿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转码的方法和装置
US9981387B2 (en) 2014-07-09 2018-05-29 Hanwha Techwin Co., Ltd. Robot contro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13998C (en) * 2005-06-08 2016-01-05 Thomson Licen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lternate image/video insertion
US7969475B2 (en) * 2007-07-17 2011-06-28 Seiko Epson Corporation Low memory auto-focus and exposure system for large multi-frame image acquisition
US7783107B2 (en) * 2007-09-06 2010-08-24 Seiko Epson Corporation Characterization of a printed droplet
US8925027B2 (en) * 2011-01-20 2014-12-30 Vidyo, Inc. Participant aware configuration for video encoder
JP5899897B2 (ja) * 2011-12-20 2016-04-0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823524B (zh) * 2012-10-05 2017-11-28 飞利浦灯具控股公司 用于自校准照明设备的方法和执行该方法的照明设备
JP6604750B2 (ja) * 2015-06-12 2019-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29876B2 (ja) 2018-09-07 2023-08-21 イリディ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ポリマーに記憶されたデータの書込みおよび読出しのための改善された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837302B1 (en) 2020-08-07 2023-12-05 Iridi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riting and reading data stored in a polymer using nano-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233B2 (ja) * 1990-03-16 2000-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JP3431331B2 (ja) * 1995-03-01 2003-07-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動画像伝送装置並びにテレビ会議装置
KR100258590B1 (ko) * 1997-12-30 2000-06-15 윤종용 광디스크 재생기기의 비트 레이트 정보를 이용한 화질개선장치
JP3907875B2 (ja) * 1998-10-23 2007-04-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符号化レート制御装置及び情報符号化装置
US20020051491A1 (en) * 1998-11-20 2002-05-02 Kiran Challapali Extraction of foreground information for video conference
JP3945059B2 (ja) * 1998-12-24 2007-07-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動画像記録装置、及び、動画像記録方法
JP2000333169A (ja) * 1999-05-24 2000-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動画像符号化装置
JP2001069463A (ja) * 1999-08-25 2001-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記録装置、映像記録方法および映像記録媒体
JP4281173B2 (ja) * 1999-09-22 2009-06-17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スチルカメラ
US6944226B1 (en) * 2000-10-03 2005-09-13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for transcod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coded signals
JP2003023637A (ja) 2001-07-06 2003-01-24 Sony Corp 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符号化装置
JP4387072B2 (ja) * 2001-07-12 2009-12-16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型映像記録装置
JP4421793B2 (ja) * 2001-07-13 2010-02-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
US6895054B2 (en) * 2001-09-28 2005-05-17 Divxnetworks, Inc. Dynamic bit rate control process
JP2004241906A (ja) * 2003-02-04 2004-08-26 Canon Inc カムコーダ
JP2005070077A (ja) * 2003-08-21 2005-03-17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9770B2 (en) 2013-03-22 2016-10-25 Center For Integrated Smart Sensors Foundation Video encoding system for dynamically managing energy, rate and distortion and surveillance system using the same
KR101536863B1 (ko) * 2014-03-13 2015-07-15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에너지, 데이터량 및 데이터 왜곡률을 동적으로 관리하는 비디오 인코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US9981387B2 (en) 2014-07-09 2018-05-29 Hanwha Techwin Co., Ltd. Robot control system
CN107659819A (zh) * 2017-10-30 2018-02-02 网宿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转码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15750A1 (en) 2006-09-28
JP2006311510A (ja) 2006-11-09
US7756349B2 (en) 2010-07-13
JP4251650B2 (ja) 2009-04-08
KR100760458B1 (ko)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458B1 (ko) 영상처리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110026591A1 (en) System and method of compressing video content
US200502646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captured images in a mobile terminal with a camera
CN1454024A (zh) 在配备照相机的移动通信终端中显示略图的装置和方法
US7969467B2 (en) Printing system, printing device, imaging device, printing method and image-transmitting method
US76526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 moving picture
US20120162462A1 (en) Camera device, mobile terminal and frame rate controlling method
CN113099233A (zh) 视频编码方法、装置、视频编码设备及存储介质
JP4778343B2 (ja) 動画撮像機能を有する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US76064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humbnail image data on a mobile terminal
JP3768182B2 (ja) 電子カメラ
CN100591113C (zh) 图像处理装置
US8417281B2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KR1008151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화면을 분할하여 선택영역을확대하기 위한 방법
KR101232537B1 (ko) 화상통신 단말기 및 화상통신 단말기에서 화상통신 방법
US201102432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KR100611481B1 (ko) 디지털 줌 가능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456972B1 (ko) 카메라 내장형 이동 단말기의 비디오 인코딩 방법
KR10052062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선명한 영상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KR101015753B1 (ko) 문서 이미지 전송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과 이를 위한문서 이미지 변환 방법
KR20050041589A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
KR100557094B1 (ko) 영상표시장치의 역상조정 방법
KR20050013767A (ko)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의 밝기 조절 방법
WO2004010703A1 (ja) 移動端末
KR100620689B1 (ko) 고속으로 연속 촬영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