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363A -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 - Google Patents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363A
KR20060104363A KR1020050026477A KR20050026477A KR20060104363A KR 20060104363 A KR20060104363 A KR 20060104363A KR 1020050026477 A KR1020050026477 A KR 1020050026477A KR 20050026477 A KR20050026477 A KR 20050026477A KR 20060104363 A KR20060104363 A KR 20060104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torage
stored
rfid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6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4363A/ko
Publication of KR20060104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고내에 보관될 수 있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 일측에 장착되어 소정의 보관기간정보를 포함하는 RFID 소자와, 상기 저장용기에 수납된 식품을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용기 측 RFID 소자로부터 상기 보관기간정보를 판독하여 그에 따른 식품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보관기간정보 및 그에 따른 식품관리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강관리 내장고, 도어, RFID, 마이콤, 저장용기

Description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FOOD MANAGING REFRIGERATOR USING RFI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의 구성도,
도 4는 RFID 태그의 분해사시도,
도 5는 RFID 태그와 저장용기의 결합사시도,
도 6은 식품관리정보의 일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 RFID 판독수단 22: 입력수단
23: 일시계수수단 24: 저장수단
25: 표시수단 30: 마이콤
40 : RFID태그 50 : 저장용기
52 : 고정부 54 : 연결부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크기의 식품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용기에 RFID 소자가 장착되어 RFID를 이용하여 획득된 보관기간정보를 보관식품의 식품관리정보로 사용하여 고내에 보관되는 식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RFID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제품에 따라 보관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 별도의 신선도 유지실을 마련하여 사용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에는 다양한 종류의 식품들이 저장되는데, 사용자가 고내에 보관된 식품을 일일이 기억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매번 냉장고 문을 열고 닫는 수고를 거쳐야만 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냉장고 내의 보관된 식품의 확인은, 냉장고 문을 열고 닫음에 따른 전기에너지의 소비를 유발하고, 또한 보존기간이 초과되어 식품이 부패되므로 인하여, 식품의 낭비를 발생시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377741호(발명의 명칭: 냉장고의 보관식품 표시제어장치)에 외부에서 내부의 보관식품을 확인할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하고 있다. 이를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장고는 일정주파수를 발진하는 발진회로(10)와, 발진회로(10)를 통해 출력된 발진주파수를 특정주파수 신호로 분주시켜 시간을 생성하는 분주회로(11)와, 분주회로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시간을 카운트하 는 시각계수수단(12)과, 시각계수수단(12)에서 계수된 시각을 기초하여 일정시간이 되었을 때 일자를 변경하는 일자계수수단(13)과, 고내 보관식품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14)과, 사용자에 의해 보관식품의 종류, 수량, 보존기간 등, 보관식품에 대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 선택키부(15)와, 중앙처리장치(19)에 의해서 시각 및 일자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갱신 표시하는 보관식품 일자/시각 표시부(16)와, 기한이 경과된 식품을 표시시키는 기한경과식품 표시부(17)와, 저장수단(14)에 저장된 보관식품의 정보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갱신 표시하는 보관식품순차표시부(18)와, 저장수단(14)에 저장된 보관식품의 정보를 기초해서, 보관식품 시각/일자와, 기한경과된 식품정보 및 현재 보관식품을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중앙처리장치(19)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종래의 냉장고는 사용자가 선택키부(15)를 통하여 직접 입력한 보관식품의 정보를 저장수단(14)에 저장한 이후에, 보관식품 시각/일자와, 기한경과된 식품정보 및 현재 보관식품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된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서 보관식품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복수의 식품의 명칭을 수동으로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입력을 위해서는 선택키부(15)가 키보드 자판과 유사한 입력 능력을 보유해야 하므로, 이 선택키부(15)의 구성이 복잡하고, 냉장고의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을 수행하는 시간이 이러한 키보드식 입력에서는 상당히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품을 소정의 저장용기에 수납하는 동시에 자동적으로 보관기간정보가 저장함으로써 보관 식품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RFID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식품이 수납될 수 있도록 크기가 가변되는 저장용기를 포함하여 식품의 크기에 상관없이 식품을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RFID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는 식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고내에 보관될 수 있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 일측에 장착되어 소정의 보관기간정보를 포함하는 RFID 소자와, 상기 저장용기에 수납된 식품을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용기 측 RFID 소자로부터 상기 보관기간정보를 판독하여 그에 따른 식품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보관기간정보 및 그에 따른 식품관리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관리 냉장고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보관기간정보를 가지고 있는 RFID 태그(40)가 부착되어 냉장고에 보관될 보관식품이 수납되는 보관용기(50)와, 상기 RFID 태크(40)로부터 적어도 보관기간정보를 획득하는 RFID 판독수단(21)과,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수단(22)과, 연월일 및/또는 시각을 산정하는 일시계수수단(23)과, 식품관리 서비스를 위해 표시될 프레임들(사용자 인터페이스 등)과 식품관리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수단(24)과, 식품관리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수단(25)과,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고내에 보관될 식품에 부착된 또는 부착될 RFID 태그(40)로부터 보관기간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하는 마이콤(30)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식품관리 냉장고는 냉동 냉장 제어 동작 등을 수행하는 메인 마이콤(미도시)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메인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30) 간에는 통신선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또는, 상기 식품관리 냉장고는 상기 마이콤(30)을 통하여 냉동 냉장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관리 냉장고는 전원공급수단(미도시)을 포함하여, 각 구성요소에 요구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자세하게는, RFID 판독수단(21)은 냉장고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고내에 보관될 식품 또는 보관용기(50)에 부착된 RFID 태그(40)에 저장된 보관기간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소정의 주파수 생성 수단, 송신 수단 및 수신 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RFID 판독수단(21)은 보관기간정보와 함께 RFID 태그(40)의 식별정보도 함께 획득한다. RFID 판독수단(21)은 사용자가 소정의 거리 이내에서 RFID 태그를 접근시킬 때, 이를 판독할 수 있을 정도의 성능을 지닌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판독수단(21)은 사용자가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해 냉장고 도어(D)에서 편하게 들수 있는 높이(예를 들면, 사람의 가슴 높이 정도)에 장착되도록 한다. 이 RFID 태그(40)는 용기 내에 RFID 집적소자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 RFID 집적소자는 보관기간정보(예를 들면, 4일, 6일, 8일 등)와, 식별정보(다른 RFID 태그와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식별정보는 예를 들면 일련의 숫자들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판독하기 용이하게 예를 들면, '1', '2' 등의 숫자로 이루어진다. 하기에서 도 4와 함께 RFID 태그(40)에 대한 설명이 개시된다. 여기서, 보관기간은 보관식품이 고내에서 보관되어져야 하는 유효기간으로 실제 보관식품에 기재된 유효기간에 대응하는 기간이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기간에 대응하는 기간이다.
다음으로, 입력수단(22)은 사용자로부터 명령(예를 들면, RFID 태그의 판독, 식품관리정보의 추가 및 삭제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 표시수단(25)을 통하여 표시되는 프레임 등과 관련되어, 적절한 개수의 버튼 등으로 구성된다. 다만, 보관 식품의 명칭을 입력할 필요가 전혀 없으므로, 그 개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 내외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시계수수단(23)은 RFID 판독수단(21)에 의해 보관기간정보 및/또는 식별정보가 획득된 때의 연월일 및 시각을 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이콤(30)으로부터의 요청이 있을 경우, 그 요청이 수신된 때의 연월일 및 시각을 마이콤(30)에 제공한다.
다음으로, 저장수단(24)은 식품관리 냉장고가 제공하는 식품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프레임들과, 마이콤(30)에 의해 형성된 식품관리정보를 적어도 저장한다. 이 프레임들은 사용자가 식품관리를 위해 그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의미한다. 또한, 식품관리정보는 적어도 보관식품 및/또는 보관용기에 부착된 RFID 태그(40)의 보관기간정보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식별정보와, 보관시작일시 또는 보관일수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보관일수는 실제 보관식품과 함께 RFID 태그(40)가 고내에 보관된 날수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표시수단(25)은 상술된 프레임(사용자 인터페이스)들과, 식품관리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도어(D)의 전면에 형성되며, RFID 판독수단(21)과 비슷한 높이에 형성되고, 이 표시수단(25) 근처에 입력수단(22)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다.
마지막으로, 마이콤(30)은 전체 냉동/냉장의 과정을 제어하고, 추가적으로 하기에서 상술될 식품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마이콤(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앙처리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술된 저장수단(24)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고, 이러한 중앙처리장치 등의 프로세서만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저장수단(24)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마이콤(30)과 저장수단(24)을 별개의 소자로 설명한다.
먼저, 마이콤(30)이 식품관리정보를 구성하여 보관식품을 관리하기 위해, 저장수단(24)에 저장된 식품관리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을 표시수단(25)을 통하여 표시한다. 마이콤(30)은 사용자가 식품관리 서비스를 선택하면, 입력수단(22)을 통하 여 그 명령을 수신하고, 먼저 RFID 판독수단(21)으로 하여금 보관 식품 및/또는 보관용기(50)에 부착되거나 부착될 RFID 태그(40)로부터 보관기간정보 및/또는 식별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보관식품 및/또는 보관용기에 부착된 RFID 태그(40)를 RFID 판독수단(2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마이콤(30)은 획득된 보관기간정보 및/또는 식별정보를 식품관리정보로 저장수단(24)에 식품관리정보로 저장한다. 이때, 마이콤(30)은 판독된 보관기간정보 및/또는 식별정보를 저장할 것인지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한 후, 저장수단(24)으로의 저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마이콤(30)은 일시계수수단(23)으로 하여금 RFID 판독수단(21)이 보관기간정보 및/또는 식별정보를 획득한 때, 또는 보관기간정보 및/또는 식별정보를 저장수단(24)에 저장할 때의 시각을 요청하고, 일시계수수단(23)으로부터 제공된 시각(즉, 연월일 및/또는 시각)을 저장수단(24)에 보관기간정보 및/또는 식별정보와 함께 식품관리정보로 저장한다. 이 제공된 시각은 보관식품의 보관시작일시를 의미한다. 또한, 보관식품마다 유효기간이 있으며, 이 유효기간은 보관식품에 부착된 RFID 태그(40)에 의해 판독된다.
상술된 과정을 통하여, 식품관리 냉장고는 고 내에 보관될 식품의 식품관리정보를 획득하여, 저장수단(24)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후에, 사용자가 현재 식품관리 냉장고에 보관 중인 식품의 품목(RFID 태그)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수단(22)을 통하여 현재 보관 식품의 확인을 위한 서비스 선택을 입력하면, 마이콤(30)은 저장수단(24)에 저장된 식품관리정보를 판독하고, 표시수단(25)에 표 시한다.
이때, 마이콤(30)은 식품관리정보를 판독하고, 현재 일시(연월일 및/또는 시각)를 일시계수수단(23)으로부터 획득하여, 보관 식품의 보관일수를 산정하여 표시수단(25)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보관일수는 (현재 일시 - 보관시작일시)로부터 산정된다.
또한, 마이콤(30)은 사용자에 의한 보관식품의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보관시작일시를 기준으로 식품보관정보를 표시하거나, 유효기간의 남은 일시를 기준으로 식품보관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마이콤(30)은 유효기간을 포함하지 않은 식품보관정보의 보관식품은 보관시작일시를 기준으로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마이콤(30)은 저장된 유효기간과 산정된 보관일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한 선택에 의해 또는 자동적으로 보관식품의 남은 유효기간에 대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알림 서비스는 마이콤(30)이 현재 남은 유효기간을 산정하여, 소정의 기간 이내이면, 이를 알리기 위한 경고 메시지(문자적 표시, 아이콘에 의한 표시, 스피커(미도시)에 의한 경고 소리 등)를 표시수단(25)을 통하여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남은 유효기간이 3일이 될 때, 마이콤(30)이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기 시작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경고 메시지는 그 남은 유효기간이 줄어듦에 따라 다른 경고 메시지로 표시되고, 사용자의 주의를 더욱 환기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의 경고 메시지는 저장수단(24)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마이콤(30)은 유효기간이 도과된 보관식품에 대한 경고 메시지도 표시수단(25)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식품관리 냉장고에 보관 중인 보관식품 또는 저장용기(40)에 부착된 RFID 태그(40)의 정보를 통하여 보관식품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이후에 사용자가 보관식품에 보관을 해제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식품관리정보로부터 해당 보관식품의 정보를 삭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마이콤(30)은 현재 보관 중인 보관식품에 대한 식품관리정보를 표시수단(25)을 통하여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삭제될 보관식품을 입력수단(22)을 통하여 수신하고, 이 보관식품에 관련된 정보(보관기간정보, 식별정보, 보관시작일, 보관일수 및 경고 메시지 서비스 선택 여부 등)를 저장수단(23)으로부터 삭제한다. 또는 마이콤(30)은 사용자에 의해 보관이 해제될 보관 식품에 부착된 RFID 태그(40)의 정보(보관기간정보 및/또는 식별정보)를 RFID 판독수단(21)에 의해 판독하고, 사용자가 보관 해제 명령을 입력수단(22)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마이콤(30)이 보관 해제 명령을 수신하면, RFID 태그(40)의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식품관리정보를 삭제할 수도 있다. 이 삭제 이후에, 마이콤(30)은 다시 현재 남은 보관식품에 부착된 RFID 태그(40)에 대한 식품관리정보를 표시수단(25)에 표시한다.
도 4는 RFID 태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태그(40)는 RFID 판독수단(21)으로부터의 무선 주파수를 수신하고, 보관기간정보 및/또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주파수를 송신하는 안테나부(41)와, 무선 주파수가 수신된 때, 이 무선주파수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보관기간정보 및/또는 식별정보를 무선주파수에 포함시켜 송신하 도록 하는 RFID 집적회로(42)와, 안테나부(41)와 RFID 집접회로(42)를 피복하여 보호하는 상하 피복부(43a), (43b)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 피복부(43a)는 보관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용기(50)의 외관에 부착되는 면이므로, 적어도 부착수단(예를 들면, 접착제 등)(미도시)이 부가적으로 형성된다.
이 RFID 태그(40)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식별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이 식별수단은 예를 들면, 상 피복부(43a)에 형성되며, 색상이거나, 숫자(보관기간정보와 관련된 숫자)일 수 있다. 이러한 식별수단은 RFID 집적회로(42)에 저장된 식별정보와 관련되어, 다른 RFID 태그와 구별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식별수단이 색상일 때, 유효기간이 2일인 것은 빨강색, 4일인 것은 파랑색, 6일인 것은 노랑색으로 결정되면, 사용자는 색상을 확인하여 유효기간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식품관리 냉장고의 저장수단(24)도 이러한 식별정보를 통하여 식별수단을 판독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함으로써, 마이콤(30)이 식별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수단(25)을 통하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식별수단을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관식품은 유제품과 같이 그 보관 기간에 식품의 품질이나 맛 등이 주로 좌우되는 것이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보관식품이 이러한 식품관리 서비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RFID 태그와 저장용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유팩과 같은 보관식품이(A) 저장되는 중공형상의 저장용기(50)의 외관에 RFID 태그(40)가 부착된 상태이다. 이 RFID 태그(40)는 착탈이 가능하여, 다른 저장용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저장용기(50)는 보관식품이 상측으로부터 수납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보관식품의 둘레 부분을 감싸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부들(52) 사이에 폭방향으로 소정의 신축성이 있는 연결부(54)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유제품들과 같이 유효기간이 비교적 짧고 그 변질 정도가 신속하게 진행되는 보관식품(A)을 가장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우유팩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용기(50)는 우유팩을 감싸도록 네 면에 네 개의 고정부들(52)이 위치되고, 그 고정부들(52) 사이에 즉 모서리 부분에 연결부(54)가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고정부(52)는 일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고, 연결부(54)는 소정의 탄성을 가진 일종의 밴드로 형성되며, 연결부(54)가 고정부들(52) 사이에 맞물리도록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52) 양단에는 연결부(54)가 끼움 고정 연결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저장용기(50)에서 RFID 태그(40)는 그 표면이 고정된 고정부들(52)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고, 외관에 드러나도록 부착되어 손쉽게 사용자가 저장용기(50)에 부착된 RFID 태그(40)를 RFID판독수단(21)에 근접하도록 가져다 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저장용기(50)는 폭방향으로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보관식품(A)을 수납할 수 있다.
이때, 보관식품(A)이 수납된 저장용기(50)를 RFID판독수단(21)과 소정 거리에 위치되도록 하여 RFID태그(40)로부터 보관기간정보를 입력받도록 하거나, 저장용기(50)만 RFID판독수단(21)과 소정 거리에 위치되도록 하여 RFID태그(40)로부터 보관기간정보를 입력받도록 한 다음, 저장용기(50)에 보관식품(A)을 보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후, 보관식품(A)이 수납된 저장용기(50)를 고내에 보관하고, RFID태그(40)로부터 입력되는 보관기간정보를 기준으로 보관시작일, 보관일수, 유효기간 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식품관리정보의 일실시예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수단(25)에 표시된 식품관리정보는 보관식품에 부착된 RFID 태그(40)의 보관기간정보와, 식별정보(또는 식별수단)(생략될 수도 있음), 보관시작일, 유효기간을 포함한다. 이때, 경고 메시지 서비스가 제공될 보관식품에 대한 표시도 부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콤(30)은 유효기간을 도과한 보관식품의 경우, 품목 '1','2'와 같이, 그 도과된 일시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는 RFID 태그가 부착된 저장용기가 폭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RFID태그로부터 입력된 보관기간정보를 기준으로 식품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식품이 저장용기에 수납된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보관기간정보에 의해 식품을 관리해줌으로 사용자가 보관 식품의 명칭을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보관식품의 편리한 관리가 이루어질 뿐 아니라 보관일수 및 유효기간 등을 표시해줌으로 보관식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저장용기에 다양한 크기의 보관식품을 선택적으로 수납할 수 있어 고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식품의 크기에 상관없이 식품을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식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고내에 보관될 수 있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 일측에 장착되어 소정의 보관기간정보를 포함하는 RFID 소자와,
    상기 저장용기에 수납된 식품을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용기 측 RFID 소자로부터 상기 보관기간정보를 판독하여 그에 따른 식품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보관기간정보 및 그에 따른 식품관리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다양한 크기의 식품이 보관될 수 있도록 그 폭이 가변될 수 있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저장될 수 있는 식품 둘레에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 고 배열된 평판 형상의 고정부들 사이에 폭 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연결부가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소자는 상기 고정부들 중 어느 하나의 외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EID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
  5. 소정의 보관기간정보를 포함하고, 무선 주파수를 수신하여 그에 의해 보관기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주파수를 다시 송신하는 RFID 소자와,
    상기 RFID 소자가 일면에 부착되는 동시에 다양한 보관식품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그 크기가 가변되는 저장용기로 이루어진 냉장고 보관용 RFID 전용용기.
KR1020050026477A 2005-03-30 2005-03-30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 KR20060104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477A KR20060104363A (ko) 2005-03-30 2005-03-30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477A KR20060104363A (ko) 2005-03-30 2005-03-30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363A true KR20060104363A (ko) 2006-10-09

Family

ID=3763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477A KR20060104363A (ko) 2005-03-30 2005-03-30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43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118B1 (ko) * 2007-03-15 2008-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식품 판독 시스템
KR100898526B1 (ko) * 2007-11-19 2009-05-2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Rfid 기능을 갖는 물품 보관 장치
KR101227902B1 (ko) * 2010-09-01 2013-01-30 신경하 냉장고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118B1 (ko) * 2007-03-15 2008-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식품 판독 시스템
KR100898526B1 (ko) * 2007-11-19 2009-05-2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Rfid 기능을 갖는 물품 보관 장치
KR101227902B1 (ko) * 2010-09-01 2013-01-30 신경하 냉장고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707B1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
US7861542B2 (en) Refrigerator including food product management system
US20060181961A1 (en) Perishable item expiration timer
US9381139B2 (en) Pillbox,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JP2003276809A (ja) 保管庫、保管管理方法、保管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保管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A2287935A1 (en) Prescription compliance device and method of using device
CN101071411A (zh) 利用rfid的食品管理冰箱
KR20070078939A (ko) 주방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관리 방법
CN106610171B (zh) 冰箱内食材信息的管理方法与装置
JP2000065465A (ja) 食品管理機能付き冷蔵庫
JP2003004368A (ja) 在庫管理機能付き冷蔵庫、冷蔵庫在庫管理システム、これらの機能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660697B1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
KR20060104364A (ko) 지능형 냉장고
KR20060104363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
CN110796215A (zh) 应用于冰箱内的标签及食品新鲜度提醒方法
KR100605214B1 (ko) 냉장고의 생활정보 제공장치
KR20100032653A (ko) 유통기한 타이머, 이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071017A (zh) 智能冰箱
KR20060104353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
JP2002081849A (ja) 食品情報発信装置及び食品情報発信装置を備えた貯蔵庫
KR20060111007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식품관리 냉장고
KR101718696B1 (ko) 식별코드 판독기를 이용한 유통기한 관리 냉장고 장치
CN101126573B (zh) 利用射频识别(rfid)的食品管理电冰箱
CN101126575A (zh) 利用射频识别的食品管理冰箱
JP3775977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