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160A -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 - Google Patents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160A
KR20060101160A KR1020050068048A KR20050068048A KR20060101160A KR 20060101160 A KR20060101160 A KR 20060101160A KR 1020050068048 A KR1020050068048 A KR 1020050068048A KR 20050068048 A KR20050068048 A KR 20050068048A KR 20060101160 A KR20060101160 A KR 20060101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odor
exhaust duct
exhaust
exhaus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선
Original Assignee
김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선 filed Critical 김경선
Publication of KR20060101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은 변기에 연통하고 타단은 화장실에 갖춰진 환기구에 연통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 내에 마련되어 상기 변기 내에서 발생한 악취를 상기 환기구 측으로 송풍하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동작시키는 팬모터와; 상기 변기로부터 상기 환기구를 향한 악취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배기팬의 후방에 위치하여 외부의 악취가 상기 변기 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배기덕트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류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제거하면서도 외부의 악취가 변기 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기, 악취, 제거시스템, 배기팬, 환기구

Description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System for removing smell of toilet stoo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배기팬과 역류방지판간의 상호 동작관계를 보여주는 도 1의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환기구 10 : 변기
18 : 배기덕트 22 : 배기팬
24 : 팬모터 30 : 역류방지판
32 : 무게추 40 : 필터부재
50 : 연결관
본 발명은,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제거하면서도 외부의 악취가 변기 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변기는 대변이나 소면을 받아내는 것을 가리킨다. 법랑제, 스테인리스제, 고무제, 합성수지제 등으로 만든 것이 있으며, 형태상으로는 타원형의 양식변기와 원형호상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예전만 하더라도 변기가 장착되어 있는 화장실이 실외에 마련되어 있었지만 서구식 문물이 들어오면서 화장실이 실내에 일체로 마련되기 때문에 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처리문제가 대두될 수밖에 없다. 통상적으로 화장실 내의 상면 천장에는 환기구가 마련되어 있기는 하지만 환기구 정도만으로는 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에 부족하다.
이에,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4-0086874호 등에는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공지된 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기술을 보면, 배기팬과 배기덕트를 갖추어 변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배기하기 위한 일반적인 구성만을 가지고 있을 뿐, 반대로 외부의 악취가 화장실 내로 재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수단은 강구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미 출원된 것들의 구조를 개선하여, 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제거하면서도 외부의 악취가 변기 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악취의 제거과정에서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제거하면서도 외부의 악취가 변기 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악취의 제거과정에서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한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단은 변기의 변기몸체에 연통하고 타단은 화장실에 갖춰진 환기구에 연통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 내에 마련되어 상기 변기 내에서 발생한 악취를 상기 환기구 측으로 송풍하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동작시키는 팬모터와; 상기 변기로부터 상기 환기구를 향한 악취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배기팬의 후방에 위치하여 외부의 악취가 상기 변기 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배기덕트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류방지판을 포함하는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 다른 목적은, 일단은 변기의 변기커버에 연통하고 타단은 화장실에 갖춰진 환기구에 연통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 내에 마련되어 상기 변기 내에서 발생한 악취를 상기 환기구 측으로 송풍하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동작시키는 팬모터와; 상기 변기로부터 상기 환기구를 향한 악취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배기팬의 후방에 위치하여 외부의 악취가 상기 변기 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배기덕트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류방지판을 포함하는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 다른 목적은, 일단이 변기의 변기몸체에 연통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일단이 연통하고 화장실에 갖춰진 환기구에 타단이 연통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 내에 마련되어 상기 변기 내에서 발생한 악취를 상기 환기구 측으로 송풍하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동작시키는 팬모터와; 상기 변기로부터 상기 환기구를 향한 악취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배기팬의 후방에 위치하여 외부의 악취가 상기 변기 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배기덕트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류방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의 일단은 상기 변기 내에 유입되는 물의 높이가 배수 사용중 최고일 때의 수면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덕트의 어느 일부 구간에는 필터부재가 개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배기덕트의 일단은 상기 변기 내에 유입되는 물의 높이가 배수 사용중 최고일 때의 수면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판은 일단이 상기 배기덕트 내의 상부 영역에 힌지결 합되어 하단이 회동하되; 하단에는 상기 역류방지판을 무동력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무게추가 마련 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팬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실시 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배기팬과 역류방지판간의 상호 동작관계를 보여주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은 변기(10)가 마련되는 통상의 화장실(1) 내에 갖춰진다.
화장실(1) 내를 보면, 도시 않은 세면기 등을 포함하여 대변이나 소면을 보는 변기(10)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된 변기(10)는 통상의 좌변기식 변기(10)를 소개하고 있다.
변기(10)는 그 위치에 따라 일정량의 수면(H)을 갖는 물이 담겨진 변기몸체(11)와, 변기몸체(11)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변기커버(12)로 이루어져 있다. 변기몸체(11)의 측부에는 변기몸체(11)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노브(13)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변기(10)가 마련된 화장실(1)의 상부 천장(2)에는 환기구(3)가 갖춰져 있다. 환기구(3)는 화장실(1) 내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냄새 등을 환기하는 역할 로써 화장실(1)의 시공시 일체로 시공된다. 따라서 환기구(3)에는 이미, 환기구(3)로 냄새를 제거하는 배관(5) 등이 갖춰져 있다. 이처럼 화장실(1)에는 이미 변기(10)와 환기구(3)가 마련되어 있기에 본 발명에서는 이미 갖춰진 변기(10)와 환기구(3)에 본 시스템을 마련하려 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은 크게 배기덕트(18), 배기팬(22), 팬모터(24) 및 역류방지판(30)으로 이루어진 콤팩트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배기덕트(18)는 변기(10)에서 발생한 악취를 배기하는 부분으로 파이프와 같은 관상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일단(18a)은 변기(10)에 연통하고 타단(18b)은 전술한 화장실(1)의 천장(2)에 이미 갖춰진 환기구(3)에 연통하고 있다. 배기덕트(18)의 단면 크기는 화장실(1)과 변기(10)의 용량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때, 배기덕트(18)의 일단(18a)은 변기(10) 내의 물의 수면(H) 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보면 배기덕트(18)가 화장실(1) 내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것일 뿐, 배기덕트(18) 등은 화장실(1)의 내부 벽에 일체로 시공이 되어 은닉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변기(10)에 인접한 배기덕트(18)에는 변기(10) 내에서 발생한 악취를 환기구(3) 측으로 송풍하는 배기팬(22)이 마련되어 있다. 배기팬(22)에는 배기팬(22)을 동작시키는 팬모터(24)가 장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의 경우, 배기팬(22)과 팬모터(24)가 장착될 수 있는 최소한 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배기덕트(18)의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팬수용공간(19)을 마련하고 이 팬수용공간(19) 내에 배기팬(22)과 팬모터(24)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바, 팬수용공간(19)을 만들지 않고 배기덕트(18) 내에 배기팬(22)과 팬모터(24)를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변기몸체(11)에는 팬모터(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6)가 마련되어 있다. 제어부(26)는 버튼 형태로 되어 있는데, 변기(10)를 이용하여 대소변을 본 후, 제어부(26)를 동작시켜 팬모터(24)를 온(ON) 시킴으로써 배기팬(22)을 회전시킬 수 있다. 물론, 제어부(26)를 한번 더 동작시키면 팬모터(24)가 오프(OFF) 될 수도 있으며, 일정 시간 후 팬모터(24)가 자연적으로 오프(OFF)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역류방지판(30)은 변기(10)로부터 환기구(3)를 향한 악취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기팬(22)의 후방에 위치한다. 배기팬(22)이 회전할 경우에는 배기덕트(18)의 내부공간 개구부(20)를 개방하고, 배기팬(22)의 회전이 중지되면 개구부(20)를 차폐한다. 따라서 배기팬(22)이 동작하지 않는 동안에 외부의 변기(10) 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역류방지판(30)은 전자식 솔밸브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되어 있다. 즉, 역류방지판(30)을 개구부(20)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하면서, 그 상단은 힌지(31)에 의해 배기덕트(18) 내의 상부 브래킷(3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하단에는 무게추(32)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팬모터(24)의 동작에 의해 배기팬(22)이 동작하면 힌 지(31)를 축으로 하여 역류방지판(30)은 소정 각도 회동하여 개구부(20)를 개방함으로써 변기(10) 내의 악취가 배기덕트(18)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만일, 배기팬(22)의 회전이 중지되면, 무게추(32)의 자중에 의해 역류방지판(30)은 도 2의 원위치로 복귀하여 개구부(20)를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역류방지판(30)은 바람의 이동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정도의 얇은 판상체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변기(10)를 이용하여 대소변을 본 후, 물을 배수하고 제어부(26)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제어부(26)의 동작에 의해 팬모터(24)가 온(ON) 되어 배기팬(22)을 회전시킨다.
배기팬(22)이 회전하면 변기(10) 내부에 잔존하는 악취 등의 냄새가 배기덕트(18)의 일단(18a)을 통해 유입되기 시작한다. 이때, 역류방지판(30)은 힌지(31)를 축으로 하여, 도 3과 같이 회전하여 배기덕트(18) 내의 개구부(20)를 개방한다. 그러면 악취 등의 냄새는 배기덕트(18)를 따라 이동한 후, 배기덕트(18)의 타단(18b)을 통해 환기구(3)로 배출된다.
제어부(26)를 다시 동작시키거나 혹은 타이머 설정 등에 의해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팬모터(24)의 동작이 오프(OFF) 되어 배기팬(22)의 회전이 정지된다. 그러면, 도 3과 같이 개구부(20)를 개방하였던 역류방지판(30)은 무게추(32)의 자중에 의해 무동력으로, 도 2와 같이 개구부(20)를 다시 차폐하게 되어 외부의 냄새가 화장실(1) 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변기(10)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제거하면서도 외부의 악취가 변기(10) 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 는 것이다.
<제2 실시예>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다.
여기서,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구성요소가 대동소이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제2 실시 예에 따른 효과만을 설명한다.
배기덕트(18) 내에 별도의 필터부재(40)가 더 개재되어 있다.
이 경우, 환기구(3)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곳에 필터부재(40)를 더 구비하여 공기의 순환과정에서 배기덕트(18) 내의 공기가 필터링 될 수 있는 추가의 이점이 있게 된다.
만일, 필터부재(40)에 숯, 옥, 황토, 게르마늄 등의 원적외선 방사재료를 추가한다면, 공기의 필터효과 외에도 원적외선에 의한 건강증진의 효과를 더 기대할 수 있음에 틀림이 없다.
<제3 실시예>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써 전술한 실시 예와 대동소이하나 배기덕트(18)의 일단이 변기에 직접 연통하지 않고 변기(10)와 배기턱트(18)의 일단(18a) 사이에 연결관을 추가 한 것으로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은 크게 연결관(50), 배기덕트(18), 배기팬(22), 팬모터(24) 및 역류방지판(30)으로 이루어진 콤팩트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연결관(50)은 변기(10)에서 발생한 악취를 배기하는 부분으로 파이프와 같은 관상체 또는 신축성을 갖는 자바라와 같은 것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관(50)의 일단이 변기(10)에 연통하고 그 타단은 배기덕트(18)의 일단(18a)에 연통하여 배기덕트(18)의 타단(18b)은 전술한 화장실(1)의 천장(2)에 이미 갖춰진 환기구(3)에 연통하고 있다.
연결관(50) 또는 배기덕트(18)의 단면 크기는 화장실(1)과 변기(10)의 용량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연결관(50)의 일단은 변기(10) 내에 유입되는 물의 높이가 배수 사용중 최고일 때의 수면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의 잔류수면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배기덕트(18)의 일단(18a)은 변기(10) 내에 유입되는 물의 높이가 배수 사용중 최고일 때의 수면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조에는, 일반적으로 변기(10) 내의 물의 높이가 (L)이라 가정하고, 만약 변기(10)가 막혀서 (H)의 수위까지 올랐다 하더라도 배기덕트(18)의 일단(18a)의 위치가 변기(10)보다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배기덕트(18)의 일단(18a)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파손되었다 할 시라도 변기(10)와 배기덕트(18)의 일단(18a)에 수리 및 설치에 따른 용이성을 부 가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배기덕트(18)가 화장실(1) 내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것일 뿐, 배기덕트(18) 등은 화장실(1)의 내부 벽에 일체로 시공이 되어 은닉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구조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배기덕트(18) 내에 별도의 필터부재(40)를 더 개재할 수 있다. 이 경우, 환기구(3)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곳에 필터부재(40)를 더 구비하여 공기의 순환과정에서 배기덕트(18) 내의 악취를 필터에서 걸러줄 수도 있게 된다.
만일, 필터부재(40)에 숯, 옥, 황토, 게르마늄 등의 원적외선 방사재료를 추가한다면, 공기의 필터효과 외에도 원적외선에 의한 건강증진의 효과를 더 기대할 수 있음에 틀림이 없다.
이상 제3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의 기술적 구성 및 동작이 대동소이하므로 이하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배기덕트(18)의 일단(18a)이 변기몸체(11)에 마련되어 있지만 이를 변기커버(12)에 마련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최소한 배기덕트(18)의 일단(18a)은 변기몸체(11)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여야 할 것이다. 이처럼 배기덕트(18)의 일단(18a)을 변기커버(12)에 마련한다면, 기존의 변기일지라도 변기커버만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기존의 화장실에 갖춰진 변기에도 본 시스템을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제거하면서도 외부의 악취가 변기 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악취의 제거과정에서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일단은 변기의 변기몸체에 연통하고 타단은 화장실에 갖춰진 환기구에 연통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 내에 마련되어 상기 변기 내에서 발생한 악취를 상기 환기구 측으로 송풍하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동작시키는 팬모터와;
    상기 변기로부터 상기 환기구를 향한 악취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배기팬의 후방에 위치하여 외부의 악취가 상기 변기 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배기덕트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류방지판을 포함하는,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
  2. 일단은 변기의 변기커버에 연통하고 타단은 화장실에 갖춰진 환기구에 연통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 내에 마련되어 상기 변기 내에서 발생한 악취를 상기 환기구 측으로 송풍하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동작시키는 팬모터와;
    상기 변기로부터 상기 환기구를 향한 악취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배기팬의 후방에 위치하여 외부의 악취가 상기 변기 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배기덕트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류방지판을 포함하는, 변기용 악 취 제거시스템.
  3. 일단이 변기의 변기몸체에 연통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일단이 연통하고 화장실에 갖춰진 환기구에 타단이 연통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 내에 마련되어 상기 변기 내에서 발생한 악취를 상기 환기구 측으로 송풍하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동작시키는 팬모터와;
    상기 변기로부터 상기 환기구를 향한 악취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배기팬의 후방에 위치하여 외부의 악취가 상기 변기 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배기덕트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류방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의 일단은 상기 변기 내에 유입되는 물의 높이가 배수 사용중 최고일 때의 수면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의 어느 일부 구간에는 필터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
  5. 제1항 및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의 일단은 상기 변기 내에 유입되는 물의 높이가 배수 사용중 최고일 때의 수면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
  6.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판은 일단이 상기 배기덕트 내의 상부 영역에 힌지결합되어 하단이 회동하되;
    하단에는 상기 역류방지판을 무동력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무게추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
  7.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
KR1020050068048A 2005-03-15 2005-07-26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 KR200601011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536 2005-03-15
KR1020050021536 2005-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160A true KR20060101160A (ko) 2006-09-22

Family

ID=37632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048A KR20060101160A (ko) 2005-03-15 2005-07-26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11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971B1 (ko) * 2010-02-04 2012-03-23 김정은 무동력 양변기용 냄새 제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971B1 (ko) * 2010-02-04 2012-03-23 김정은 무동력 양변기용 냄새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133B1 (ko)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KR101375078B1 (ko) 공기 순환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 조립체
KR100297158B1 (ko) 구완을 요하는 사용자용 수세식 변기 조립체
JP2010285863A (ja) 換気式トイレ
KR200387167Y1 (ko)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
KR20060088521A (ko) 좌변기의 냄새제거 장치
KR20060101160A (ko) 변기용 악취 제거시스템
CA2347273C (en) System for directly venting odour air from toilet bowl
KR100776253B1 (ko) 맞춤형 변기 어댑터
JP2643434B2 (ja) 収納式便器ユニット
JP2503745B2 (ja) 脱臭装置を設けた簡易水洗便器
JPH0782774A (ja) 脱臭機能付き洗浄便座装置
KR20070011220A (ko) 양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200447310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200373279Y1 (ko) 정화조 오수 파이프를 통한 배기 탈취 장치를 구비한좌변기
JP2005139618A (ja) トイレ装置
KR20180009299A (ko) 양변기용 탈취 장치
KR20190089256A (ko) 냄새흡입장치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KR0178581B1 (ko) 환기장치를 구비한 사이폰 변기
KR200294082Y1 (ko) 포세식 위생변기의 악취방지장치
KR19990032244U (ko)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JP3728995B2 (ja) タンク設備装置
KR102424052B1 (ko) 팔꿈치용 스위치를 구비한 좌변기
JP6583680B2 (ja) 水洗大便器
JP2008025171A (ja) 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