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660A - 에피 한글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피 한글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660A
KR20060100660A KR1020050022378A KR20050022378A KR20060100660A KR 20060100660 A KR20060100660 A KR 20060100660A KR 1020050022378 A KR1020050022378 A KR 1020050022378A KR 20050022378 A KR20050022378 A KR 20050022378A KR 20060100660 A KR20060100660 A KR 20060100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nsonant
key
hangul
sequenti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Original Assignee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filed Critical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050022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0660A/ko
Publication of KR20060100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 A47G23/0306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3/0309Illuminated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용 PC, PDA, Hand-held Terminal, Set-top box, Mobile phone, car navigation 을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 특히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입력공간이 제한되는 PDA 등에 적용이 가능한 한글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장치는 한글자음 14개와 한글모음3개 +쌍자음버튼(키)를 추출하여 18개의 키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특별히 의식적으로 암기할 필요없이 한글을 필기하는 방식과 같은 순서로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한된 공간에서의 입력이 가능하며 기존의 자음+자음의 쌍자음 입력 시스템이 아닌 쌍자음 버튼(키)를 이용해 쌍자음을 입력하게되는 시스템이다. 또한 PDA나 기타 스타일러스 펜 을 사용하는 시스템(터치스크린)에서 스타일러스 펜 뿐만이 아닌 손으로 직접 입력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한글 입력장치, 전자 입력기기, EFFY, 카 네비게이션

Description

에피 한글입력 시스템 {Effy Korean Input System}
도 1은 PDA의 제한된 공간에서 EFFY 한글입력기의 대표도 (모델)모습이다.
<2> 도 2는 도 1의 같은 공간 안에서의 변형된 모델(모습)이다.
<3> 도 3은 도 1의 같은 공간 안에서의 변형된 모델(모습)이다
<4> 도 4는 카 네비게이션에서의 입력장치 활용 예이다.
<5>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한글은 각 음소(a Phoneme), 즉 알파벳 하나하나가 일차원적으로 나열되는 영어, 불어, 독어, 한자를 제외한 일본어 등과는 달리 각 음소가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분되어 초성과 중성 또는 초성, 중성 및 종성이 어우러져 이차원적으로 배치되면서 하나의 음절을 이루는 문자체계를 갖는다.
<7>전자기기에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일차원적 문자는 단순히 음소의 순서와 사이 띄우기 만으로 하나의 단어가 완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문자입력 프로토콜만으로도 가능하다. 그러나, 한글의 경우 이차원적으로 배열되어야 할 뿐 아니라, "엮이", "역기", "여끼"의 예에서처럼 이응(ㅇ)을 제외한 둘 이상의 자음이 반복될 때, 이 자음을 각 음절에 어떻게 배치해야 할 지를 결정해야 하며, 기본적으로 14개의 자음과 이론상 거의 무한대의 모음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복잡한 프로토콜이 요구된다.
<8> 전기전자 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CDMA, PCS, TDMA, GSM, AMPS, IMT-2000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휴대전화, PDA, Car navigation, 호출기, 소형 게임기, 리모콘, 카메라, 가전기구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에 문자를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면서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필요성도 계속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특히 입력공간이 한정된 PDA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각종 방법(장치)이 개발되 었다. 초기 입력장치는 가장 단순한 것으로서, 한글 입력모드가 되면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에 모든 자음(초성)이 표시되면 사용자가 커서를 움직여 원하는 자음을 선택했고 이어서 많은 수의 모음이 표시되면 역시 사용자가 커서를 사용하여 원하는 모음을 선택하는 방식을 통해 하나의 음절을 결정하는 방식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9-24321호). 이후 모음에 대해서는 각 모음의 기본 형태소를 추출하여 ㅡ,ㆍ,ㅣ를 3개의 버튼에 배치하고 이들의 순열을 통해 모든 모음을 입력하는 소위 "천지인 모음 입력방법(장치)"가 개발, 정착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7-2558호).
<9> 자음 입력방법(장치)은 크게 1. PDA 상에서의 키보드 입력 방식이다. 이것은 공간이 협소한 PDA 상에서 컴퓨터 키보드와 같이 자음, 모음 모두를 한 화면에 배치한 방식이다. 2. 모든 자음을 2~3개씩 하나의 키에 배치하고 소정의 시간 이내에 특정 키를 누른 횟수에 대응하여 하나의 자음을 결정하는 방법(연속배치형), 3. 형태상으로 핵심이 되는 자음들만을 각각 하나의 키에 배치하고 2 또는 3개의 기능키를 부가하여 배치되지 않은 자음은 그와 형태상으로 가까운 자음이 배치된 키를 누른 후 소정 시간 이내에 기능키를 눌러서 자음을 선택하는 방법(기능키활용형) 및 각 자음을 형태학적으로 해체하고 형태상으로 공통되는 도형(또는 기호)을 추출하여 이들을 각 키에 배치하고 이들 키를 1~수회 누름으로써 그 순열에 의해 자음을 선택하는 방법(도형순열형) 으로 구분된다.
<10> 키보드 방식 입력 시스템은 전체 버튼(key)의 수가 20개를 넘어간다. 하지만 PDA 상에서의 터치스크린은 제한된 공간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제한된 동간 안에서 모든 자음과 모음을 배치하다 보니 각각의 버튼이 작아 입력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다른 버튼(key)을 누르게 되는 일도 다반사다. 또한 각 버튼(key) 의 크기가 작아 손으로 직접 입력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11> 연속배치형은 하나의 키에 많은 복수개의 음소가 인쇄되어있어 사용자가 혼란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키를 누름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음소의 변화를 계속 주시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12> 기능키활용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00-42231호, 제00-49346호, 제00-49347호 및 제00-54571호에 공개되어 있다. 이들 자료에 의한 기술은 대표적 인 자음 6~7개를 각각 하나의 키에 배당하고 있고, 상기 3개의 천지인 모음 형태소 또는 6개의 대표적인 모음을 5~6개의 키에 각각 배치하며, 1~3개의 기능키를 배치한 자판을 적용하고 있다. 키에 표시되지 않은 음소는 키에 표시된 소정의 음소를 선택한 후 소정의 시간내에 소정의 기능키를 소정횟수 누름으로써 정하게 되는 방식이다. 또한 도형순열형은 형태상으로 공통되는 도형(또는 기호)을 추출하여 이들을 각 키에 배치하고 이들 키를 1~수회 누름으로써 그 순열에 의해 자음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장치는 한글자음과 한글모음이 있는 상태에서 손쉽게 순열, 순차적으로 입력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것은 따라서, 사용자가 특별히 의식하여 암기할 필요가 없으며 한글을 필기하는(handwriting) 방식과 같은 순서로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한정된 수의 키로 모든 한글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휴대전화 등 소형화-다기능화된 전자기기에 소형 키보드 또는 키패드로 적용이 기대된다.
<16>한글 입력방법(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특별히 의식적으로 암기해야 할 필요가 없고, 자음 14개(ㄱ,ㄴ,ㄷ,ㄹ,ㅁ,ㅂ,ㅇ,ㅅ,ㅈ,ㅊ,ㅋ,ㅌ,ㅍ,ㅎ)와 모음 3개(ㅡ,ㆍ,ㅣ) 의 조합 + 쌍자음 버튼(키)에 의한 한글 입력체로서 펜으로 글을 쓰는 방식과 동일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글 자음입력부와 한글 모음입력부를 필수 구성요소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특히, PDA나 Car navigation 등 버튼(key)이 필요없이 터치패드에 의해 입력이 가능한 상황에 유용하다. 한글 자음 (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이 순차적으로 정렬돼 있고, 한글 모음 (ㅡ,ㆍ,ㅣ)또한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보기에 간편하고 아무런 교육이 필요하지 않으며 필기체를 쓰듯 자연스럽게 써 나가면 된다.이것은 각각 (도 1) 과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18> (표 1)은 초성 또는 종성 입력키의 입력신호 순열과 그에따른 자음음소의 모 음이며 (표 2)는 중성입력키의 입력신호 순열과 그에 대응되는 모음 음소이다.
<19> 또한 (예1) 은 이 두 자음과 모음을 합하여 한 단어를 만들어내게 된 예시이다.
<20> 도 1 과 도 2 및 도 3참조
사용자가 특별히 의식하여 암기할 필요가 없으며 한글을 필기하는(handwriting) 방식과 같은 순서로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한정된 수의 키로 모든 한글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휴대전화 등 소형화-다기능화된 전자기기에 소형 키보드 또는 키패드로 적용 또는 이식이 기대된다.
<22> (표 1)
초성 또는 종성 입력키의 입력신호 순열과 그에 대응되는 자음 음소
입력신호 순열 대응되는 음소 입력신호 순열 대응되는 음소
ㄱ+쌍자음 버튼
ㄷ+쌍자음 버튼
ㅂ+쌍자음 버튼
ㅈ+쌍자음 버튼
<23> (표 2)
중성입력키의 입력신호 순열과 그에 대응되는 모음 음소
입력신호 순열 대응되는 음소 입력신호 순열 대응되는 음소
ㅣㆍ ㆍㆍㅡ
ㅣㆍㆍ ㅡㆍ
ㆍㅣ ㅡㆍㆍ
ㆍㆍㅣ
ㆍㅡ
ㅣㆍㅣ ㆍㅡ ㅣ
ㅣㆍㆍㅣ ㅡㆍㆍㅣ
ㆍㅣㅣ ㅡㆍㆍㅣㅣ
ㆍㆍㅣㅣ ㅡㆍㅣ
ㆍㅡ ㅣㆍ ㅡ ㅣ
<24> (예1)
<25> "가" 라는 글자를 만들 시 : ㄱ +ㅣ+ㆍ=가
<26> "쌍둥이" 라는 글자를 만들 시 : ㅅ+쌍자음 버튼+ㅣ+ㆍ+ㅇ ㄷ+ㅡ+ㆍ+ㅇ ㅇ+ㅣ
<27> 또한 이러한 실 예를 들어 [도1]과 같이 문자입력 시스템이 이루어지게 된다.
<28> 또한 [도2]와 같이 car navigation 을 할 시에 이러한 문자입력 시스템이 보다 원활하고 쉽게 이루어진다.

Claims (3)

  1.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에 있어서,한글 자음 14개와 한글 모음 3개, + 쌍자음 버튼(키)를 인식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Normal mode 에서의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순차적으로 ㅣ ㆍ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모음 (ㅏ)로,
    순차적으로 ㅣ ㆍㆍ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모음 (ㅑ)로,
    순차적으로 ㆍ ㅣ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모음 (ㅓ)로,
    순차적으로 ㆍㆍㅣ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모음 (ㅕ)로,
    순차적으로 ㆍㅡ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모음 (ㅗ)로,
    순차적으로 ㆍㆍㅡ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모음 (ㅛ)로,
    순차적으로 ㅡㆍ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모음 (ㅜ)로,
    순차적으로 ㅡㆍㆍ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모음 (ㅠ)로,
    순차적으로 ㆍㆍ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ㆍㆍ)로,
    ㅡ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모음(ㅡ)로,
    ㅣ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모음(ㅣ)로,
    ㆍ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ㆍ)로, 인식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Normal mode 에서의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순차적으로 ㄱ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첫번째 자음인 기억(ㄱ)으로,
    순차적으로 ㄴ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두번째 자음인 니은(ㄴ)으로,
    순차적으로 ㄷ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세번째 자음인 디귿(ㄷ)으로,
    순차적으로 ㄹ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네번째 자음인 리을(ㄹ)으로,
    순차적으로 ㅁ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다섯번째 자음인 미음(ㅁ)으로,
    순차적으로 ㅂ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여섯번째 자음인 비읍(ㅂ)으로,
    순차적으로 ㅅ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일곱번째 자음인 시읏(ㅅ)으로,
    순차적으로 ㅇ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여덟번째 자음인 이응(ㅇ)으로,
    순차적으로 ㅈ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아홉번째 자음인 지읒(ㅈ)으로,
    순차적으로 ㅊ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열번째 자음인 치읓(ㅊ)으로,
    순차적으로 ㅋ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열한번째 자음인 키읔(ㅋ)으로,
    순차적으로 ㅌ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열두번째 자음인 티읕(ㅌ)으로,
    순차적으로 ㅍ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열세번째 자음인 피읖(ㅍ)으로,
    순차적으로 ㅎ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마지막 자음인 히읗(ㅎ)으로,
    순차적으로 ㄱ+쌍자음 버튼(키)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겹자음인 (ㄲ)으로,
    순차적으로 ㄷ+쌍자음 버튼(키)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겹자음인 (ㄸ)으로,
    순차적으로 ㅅ+쌍자음 버튼(키)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겹자음인 (ㅆ)으로,
    순차적으로 ㅂ+쌍자음 버튼(키)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겹자음인 (ㅃ)으로,
    순차적으로 ㅈ+쌍자음 버튼(키)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겹자음인 (ㅉ)으로 인식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
KR1020050022378A 2005-03-17 2005-03-17 에피 한글입력 시스템 KR20060100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378A KR20060100660A (ko) 2005-03-17 2005-03-17 에피 한글입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378A KR20060100660A (ko) 2005-03-17 2005-03-17 에피 한글입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660A true KR20060100660A (ko) 2006-09-21

Family

ID=3763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378A KR20060100660A (ko) 2005-03-17 2005-03-17 에피 한글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06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960B1 (ko) 문자 키패드
CN101398718B (zh) 键盘及其汉字输入方法
KR100371381B1 (ko) 한글과 영어의 자소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문자인식모듈이내장된 문자입력장치
CN102422621A (zh) 字母输入的方法与装置
KR100893152B1 (ko) 2차원 좌표 대응방식을 이용한 문자입력 시스템
KR20060100660A (ko) 에피 한글입력 시스템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921586B1 (ko) 한글의 모음과 자음 사용빈도에 따른 전자통신기기의 문자입력장치
KR100659379B1 (ko)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KR100709309B1 (ko) 한글 자음 입력장치
KR20050110744A (ko) 에피 한글입력 시스템
KR100663705B1 (ko) 한글 자음 입력장치
KR100434669B1 (ko) 한글 입력장치
KR100609287B1 (ko) 5행3열 플러스 키패드의 자/모음 배열과정과 그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271352B1 (ko) 5버튼 키보드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KR100764113B1 (ko) 문자입력장치
KR100669227B1 (ko) 3×4 키패드를 갖는 제품을 위한 한글문자 입력장치
KR100971280B1 (ko)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927972B1 (ko)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WO2002031636A1 (en)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for the electronic apparatuses
KR20020093727A (ko) 이동식 단말기의 글자형태식 한글입력방법
KR2006006226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
KR200332058Y1 (ko) 양손 손가락의 대칭적 신경동작 반응을 이용한 한손용소형 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