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549A - 교량 배수시설 - Google Patents

교량 배수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549A
KR20060100549A KR1020050022146A KR20050022146A KR20060100549A KR 20060100549 A KR20060100549 A KR 20060100549A KR 1020050022146 A KR1020050022146 A KR 1020050022146A KR 20050022146 A KR20050022146 A KR 20050022146A KR 20060100549 A KR20060100549 A KR 20060100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drainage
drain
pip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4667B1 (ko
Inventor
최광수
김상헌
Original Assignee
최광수
김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수, 김상헌 filed Critical 최광수
Priority to KR1020050022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667B1/ko
Publication of KR20060100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7Knea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6Leg for the lowe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노면으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세척수 등을 집수하여 교량하부에 설치된 집수정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교량 배수시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하부의 수계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의 노면에 발생되는 비점 오염물질의 처리와 배수관의 청소를 용이하면서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교량 배수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의 슬래브에 설치되는 배수구와 배수관로를 형성하는 배수관들의 모든 접속부위를 교축의 배수구배 방향 및 교량하부의 집수정 쪽을 향해 완만하게 구부러지는 만곡부로 형성하는 구성을 특징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관로가 막힐 경우 작업여건이 좋은 교량 상부에서 배수구를 통해 PC강선이나 와이어 등의 청소도구를 밀어 넣더라도 교축의 배수구배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므로 교량상부에서 배수관 청소가 가능하다.
또한, 교량상부는 작업자 및 청소도구의 이동이 용이하므로 청소도구를 배수관 내로 밀어 넣는 작업을 어느 한곳의 배수구에서 일괄적으로 실시하지 않고 최 상류측 배수구 설치위치부터 차례대로 신속하게 이동하면서 실시할 수 있다.
교량, 노면배수, 비점 오염물질, 초기 우수, 청소, 배수구, 배수관, 접속관

Description

교량 배수시설{Bridge draining system}
도1은 종래 일반적인 교량 배수방식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2는 종래 수계 오염 방지를 위한 교량 배수시설을 나타낸 측면도
도3은 종래 수계 오염 방지를 위한 도2의 교량 배수시설을 개량한 다른 배수시설을 나타낸 측면도
도4는 도3에 따른 배수시설의 일부를 발췌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배수시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접속관들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단면도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접속관들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단면도
도8 내지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배수시설을 이용한 청소방식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배수구 12:교축방향 배수관 13:상하방향 배수관
14:일측단부 접속관 15:중간부 접속관 16:타측단부 접속관
17:이음띠관 a:만곡부 w:집수정
s:교량 슬래브 h:행거 c:청소도구
p:오염물질 A:최상류측 지점 B,C:중간부 지점
N:최하류측 지점
본 발명은 교량의 노면으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세척수 등을 집수하여 교량하부에 설치된 집수정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교량 배수시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하부의 수계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의 노면에 발생되는 비점 오염물질의 처리와 배수관의 청소를 용이하면서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교량 배수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교량 노면의 배수방식은 도1의 도시와 같이, 노면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부를 낮게 형성하여 노면위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세척수 등의 노면수가 집수되도록 하고, 그 가장자리부에 교량 슬래브(s)를 상하로 관통하는 배수구(1)를 교량의 교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매입 설치하여 가장자리로 집수되는 노면수가 교량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교량의 일반적인 배수방식은 노면수를 차도 가장자리부로 모아 배수구를 통해 교하공간으로 낙수시키는 방식으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교량하부의 하천을 오염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즉, 교량의 노면에는 자동차 운행과정과 도로자체에서 비점 오염형태로 발생되는 각종 오염물질이 혼재하는데 위와 같은 교량의 배수방식은 초기 강우시 오염물질이 여과 없이 그대로 급속히 수계로 유입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되므로 하천오염이 점점 심각해진다.
따라서, 교량 노면으로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모아 별도 처리하는 배수시설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는 이미 하천에 가설된 교량의 배수시설을 초기 우수 처리 시설과 연계하여 교체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하천에 신규로 가설되는 교량도 이 기준에 적합하도록 배수관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근래에 들어서 교량의 슬래브에 설치된 개별 배수구를 통해 직접 하천으로 방류하던 종래 배수방식과 달리,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노면수를 교량하부에 마련된 집수정으로 모아 별도의 정화시설을 거쳐 정화시킨 후 하천에 유입시키도록 한 배수시설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념의 배수시설은 도2의 도시와 같이, 다수의 수평 배수관(2)을 교량 슬래브(s)의 하부에 일정 구배를 갖도록 설치하고, 이 수평 배수관(2)들을 접속관(3)들을 이용해 교량슬래브에 매입 설치된 배수구(1)와 연결하며, 구배방향 마지막 지점의 수평 배수관(2)을 수직 배수관(4)과 연결하는 한편, 이 수직 배수관(4)을 교량하부에 설치된 집수정(w)까지 연장하여 놓은 구성으로 설치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배수시설은 교량의 노면수를 교량하부의 하천으 로 직접 낙하시키지 않고 집수정으로 일단 모은 후 별도의 정화시설을 이용해 정화시킨 다음 하천으로 방출시키므로, 교량 노면에서 비점 오염형태로 발생되는 각종 오염물질로 인한 하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배수시설은 비점 오염물질의 처리를 위해 노면배수를 한곳으로 모아 초기 우수처리시설로 차집해야 하므로 배수관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이 필연적이다.
따라서 교량 노면의 각종 오염물질이 초기 강우시 한꺼번에 긴 배수관로로 유입되게 되어 배수관이 막히는 일이 종종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배수관이 막히면 교량 노면의 배수기능이 저하되어 노면 위에 고인 물로 인하여 교통 사고의 위험이 높다.
이에 서울시를 비롯한 각 지방자치단체는 관내 관리교량에 많은 인력 및 장비를 투입하여 배수시설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있으며, 장마를 앞두고 교량의 노면의 오염물질의 제거와 배수관의 막힌 부위를 뚫어주는 청소를 실시하고 있지만 예산 및 점검인원이 부족하고 많은 시간이 투입되는 일이므로 애로가 많은 실정이다.
특히, 배수관이 막혀 청소할 경우 접속부분을 해체하고 청소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심각한 어려움이 따른다.
즉, 위와 같이 설치된 배수관은 배수관 청소시 교량 슬래브 하부에 설치된 배수관 해체부위로 작업자가 접근하기 위해서 별도의 작업시설(작업차 또는 비계) 이 필요하고 많은 인원과 시간 및 비용이 들며, 특히 고소에서 까다로운 작업이 이루어지는 여건이므로 작업자가 위험에 장시간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차를 이용해 작업자를 교량측면으로 접근시킬 경우 최소한 하나이상의 차도를 통제해야 하므로 주변 교통 흐름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교량의 배수관 청소를 원활히 수행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345926호와 같은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이 선등록고안은 도3 및 도4의 도시와 같이, 교량의 슬래브(s)에 매입되는 최 상류지점의 배수구(1)와 수평 배수관(2)을 "+"자형 오물배출구(5)로 결합하고, 이 "+"자형 오물 배출구(5)의 일측단부와 하측단부에 작업용 캡(6) 및 오물침전용 캡(7)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며, 수평배수관(2)들을 "T"형 오물배출구(8)로 연결하고, 그 "T"형 오물배출구(8)의 하측단부에 오물침전용 캡(7)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놓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선등록고안은 배수관 내부에 오물이 퇴적되어 교량의 노면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할 경우, 상기 작업용 캡(6)을 개방하고 그 개방부를 통해 수평 배수관(2)의 내부에 청소도구(예들 들어, 건설용 PC강선이나 와이어 등)를 넣고 배수구배 방향으로 진행시키면서 오물을 밀고 나가는 방법으로 관내 막힌 부분을 뚫게 되며, 상기 오물침전용 캡(7)들을 열고 그 안에 침전된 오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병행한다.
따라서, 배수관 청소시 접속부위 전체를 해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앞서 설명한 도2의 배수시설보다 작업이 간편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 선등록고안 역시 배수관 청소시 작업차나 비계 등의 장비를 이용해 교량측면으로 접근한 후 시행해야 하는 고소작업여건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교통 흐름을 방해함은 물론, 작업여건이 매우 열악하고 작업진행속도가 매우 더딜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축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 배수관 한쪽에서 길이가 긴 PC강선 등의 청소도구를 넣고 배수관이 끝나는 지점까지 오물을 한꺼번에 밀어내면서 청소해야 하므로 작업시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며, 중간 연결부를 두어 구간별로 나누어 작업하는 경우도 작업차나 비계 등의 장비를 옮겨가며 실시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평배수관의 연결부에 설치한 오물침전용 캡 부분이 청소도구의 진행방향을 교란시키므로 청소작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평상시 캡부분이 오히려 유수의 흐름에 장애를 일으키면서 오염물질이 집중적으로 쌓이게 됨에 따라 잦은 청소가 요구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교량하부의 수계를 보호하기 위해 교량의 노면수를 집수하여 교량하부에 설치된 정화시설로 배출시키기 위한 종래의 교량 배수시설에서 나타나는 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노 면에 발생되는 비점 오염물질의 처리와 배수관의 청소에 따른 모든 작업을 작업환경이 양호한 교량 슬래브 위에서 간단한 장비만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 교통의 소통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완벽하게 보장할 수 있는 교량 배수시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량 배수관의 청소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힘을 덜 들이고 청소할 수 있는 동시에 배수관의 유수가 원활하게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유지관리가 양호한 교량 배수시설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량 배수시설은 교량 슬래브의 가장자리부에 교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매입 설치되어 교량의 노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슬래브 아래로 배출하는 다수의 배수구; 상기 배수관들 사이의 아래측에 1피스씩 배치되어 상기 슬래브의 아래에 현수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배수구배를 갖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교축방향 배수관; 상기 교축방향 배수관들 중 타측 끝지점 것 아래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교량하부에 설치된 집수정과 연결되는 상하방향 배수관; 상기 교축방향 배수관들 중 일측 끝지점 것과 그 위의 배수구를 L형으로 연결하며, 그 L형의 꺾인 부분이 배수구배 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구부러지는 만곡부로 형성되는 일측단부 접속관; 상기 교축방향 배수관들과 그 위의 배수구를 'ㅗ'형으로 연결하며 그 'ㅗ'형의 상하방향 라인이 배수구배 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구부러지는 만곡부로 형성되는 중간부 접속관; 상기 교축방향 배수관들 중 타측 끝지점 것과 그 아래의 상하방향 배수관을 역L형으로 연결하며 그 역L형의 꺾인 부분이 배수구배 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구부러지는 만곡부로 형성되는 타측단부 접속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특징적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배수구와 배수관들의 모든 접속부위가 교축의 배수구배 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구부러지는 만곡부로 형성되기 때문에 배수관로가 막힐 경우 작업여건이 좋은 교량 상부에서 배수구를 통해 PC강선이나 와이어 등의 청소도구를 밀어 넣더라도 교축의 배수구배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므로 교량상부에서 배수관 청소가 가능하다.
또한, 교량상부는 작업자 및 청소도구의 이동이 용이하므로 청소도구를 배수관 내로 밀어 넣는 작업을 어느 한곳의 배수구에서 일괄적으로 실시하지 않고 최 상류측 배수구 설치위치부터 차례대로 신속하게 이동하면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측면에서의 고소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일이 없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이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되며, 청소작업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차나 비계 등과 같은 대형 장비나 시설이 필요치 않으므로 주변 차도를 통제할 필요가 없게 되어 주변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원 장비와 인원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비용절감 효과가 크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첨부도면을 참조하 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배수시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접속관들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접속관들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8 내지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배수시설을 이용한 청소방식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량 배수시설은 배수구(1)와 교축방향 배수관(12)과 상하방향 배수관(13)과 일측단부 접속관(14)과 중간부 접속관(15)과 타측단부 접속관(16)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부재들이 하나로 연속되는 배수관로를 형성하도록 적절하게 접속되어 교량 하부에 마련된 집수정(w)과 연결된다.
상기 배수구(1)는 교량 슬래브(s)의 가장자리부에 교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슬래브(s)를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매입 설치되는 것으로, 교량의 노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슬래브(s) 아래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교축방향 배수관(12)은 상기 배수구(11)들 사이의 아래측에 1피스씩 배치되어 상기 슬래브(s)의 아래에 고정되는 별도의 행거(h)를 통해 매달리는 형태로 고정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정한 배수구배를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하방향 배수관(13)은 상기 교축방향 배수관(12)들 중 타측 끝지점 것 아래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교량하부에 설치된 집수정(w)과 연결된다. 이 상하방향 배수관(1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의 배수관로로 유입되는 교량 노면수를 집수정 (w)에 최종적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집수정(w)은 별도의 정화시설과 연계됨으로써, 집수되는 노면수에 섞인 비점 오염물질로 인한 하천 오염을 방지하게 됨이 물론이다.
상기 일측단부 접속관(14)과 중간부 접속관(15) 및 타측단부 접속관(16)은 본 발명의 중요한 구성부재들로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스텐레스 재질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구성부재에서 일측단부 접속관(14)은 상기 교축방향 배수관(12)들 중 일측 끝지점 것과 그 위의 배수구(1)를 L형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일측단부 접속관(14)은 그 L형의 꺾인 부분이 배수구배 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구부러지는 만곡부(a)로 형성된다.
그리고 중간부 접속관(15)은 상기 교축방향 배수관(12)들과 그 위의 배수구(1)를 'ㅗ'형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 'ㅗ'형의 상하방향 라인이 배수구배 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구부러지는 만곡부(a)로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단부 접속관(16)은 상기 교축방향 배수관(12)들 중 타측 끝지점 것과 그 아래의 상하방향 배수관(13)을 역L형으로 연결하며, 그 역L형의 꺾인 부분이 배수구배 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구부러지는 만곡부(a)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일측단부 접속관(14)과 중간부 접속관(15) 및 타측단부 접속관(16)이 만곡부(a)를 공통적으로 가지며, 이들 만곡부(a)는 관내부의 청소를 위한 도구(PC강선, 와이어 등)가 배수구배 방향으로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만곡부(a)는 다음의 2가지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즉, 도6a 및 도6b의 도시와 같이 상기 일·타측단부 접속관(14)(16)과 중간부 접속관(15)의 만곡부(a)를 라운드 형태로 만들 수도 있고, 도7a 및 도7b의 도시와 같이 상기 관들의 만곡부(a)를 일정각도로 꺾이는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만곡부(a)가 라운드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그 라운드의 반경이 상기 접속관(14)(15)(16)들의 관경에 비해 2~5배의 범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관경이 아주 클 경우에는 2D로 형성하고 관경이 작아짐에 따라 점점 더 큰 관경 배수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만곡부(a)가 각이 지게 꺾인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그 꺾인 내각이 110~160°범위에서 조절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략 135°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만곡부(a)의 라운드 또는 꺾인 각도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이유는 관내부의 청소를 위한 도구(PC강선, 와이어 등)가 배수구배 방향으로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유도하면서 접속관들이 너무 크지 않도록 적당하게 제작하기 위함이다.
한편, 각각의 접속관(14)(15)(16)들과 다른 관들의 접속부는 도6a 내지 도7b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이음띠관(17)을 관들이 접하는 부분의 외측에 끼우고 접합하는 방식으로 한다. 물론 관 접속방법은 상기 방식 외에 다른 방식을 채택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속관의 끝단부들에 다른 관들이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는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끼움결합 방식으로 접속시킬 수도 있 음을 밝힌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으로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배수시설을 이용해 장마철에 앞서서 실시하는 교량 노면의 청소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수시설을 이용한 청소 방법은, 우선 노면의 오염물질을 배수구(1)들이 설치된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교량 슬래브(s) 위에서 각 배수구(1) 주변에 모인 오염물질(p)을 배수구(1)를 통해 접속관(14)(15)(16)들을 거쳐 교축방향 배수관(12)내로 밀어 넣는다.
다음으로, 도8의 도시와 같이 배수구배 최상류측 지점(A)에 위치한 배수구(1)를 통해 PC강선 등의 청소도구(c)를 교축방향 배수관(12)으로 넣고 전진시켜 오염물질(p)을 중간부 지점(B)의 배수구(1)를 지나치는 지점까지 밀어낸다.
이후, 도9의 도시와 같이 배수구배 중간부 하류측에 설치된 배수구(1)의 위치로 차례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를 통해 청소도구(c)를 교축방향 배수관(12)으로 넣고 전진시켜 오염물질(p)을 다음 중간부 지점(C)의 배수구(1)를 지나치는 지점까지 밀어내는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최종적으로 도10의 도시와 같이 최하류측 지점(N)에 위치한 배수구(1)를 통해 청소도구(c)를 넣고 오염물질(p)을 상하방향 배수관(13)으로 밀어 넣으면서 교량 하부의 집수정(w)으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교량 배수시설은 이상과 같은 작업과정을 통해 교량의 노면으로 유입되는 비점 오염물질의 제거 및 관내부 청소를 하는 것으로, 위와 같은 작업과정에서 본 발명은 배수구(1)와 교축방향 배수관(12)을 연결하는 일측단부 접속관(14)이 배수진행 방향으로 완만하게 구부러져 있으므로 청소도구가 자연스럽게 배수진행방향으로 진입되게 하여 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 슬래브 위에서 옆으로 이동하면서 청소하므로 이동성이 좋으며 비교적 길이가 짧은 청소도구를 이용해 간단하고 신속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청소도구를 이용해 오물을 밀어내는 길이가 종래 배수시설에 비해 짧아지므로 힘이 적게 들고, 작업여건이 장비 또는 장치를 이용한 교량측면 고소작업여건인 종래 배수시설과는 달리 교량상부 일반작업여건으로 개선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은 교량하부의 환경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의 노면에 발생되는 비점 오염물질의 처리와 배수관의 청소에 따른 모든 작업을 작업환경이 양호한 교량 슬래브 위에서 간단한 장비만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 교통의 소통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완벽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 배수관의 청소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힘을 덜 들이고 청소할 수 있으며, 배수관내의 유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짐 으로서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교량 배수시설에 의하면 배수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작업 여건이 고소작업에서 상부일반작업으로 단순해져서 작업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교량상부에서 간단한 청소도구를 이용해 청소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어 청소시간 단축과 막대한 비용절감 효과가 기대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교량 슬래브(s)의 가장자리부에 교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매입 설치되어 교량의 노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슬래브(s) 아래로 배출하는 다수의 배수구(1);
    상기 배수구(11)들 사이의 아래측에 1피스씩 배치되어 상기 슬래브(s)의 아래에 현수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배수구배를 갖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교축방향 배수관(12);
    상기 교축방향 배수관(12)들 중 타측 끝지점 것 아래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교량하부에 설치된 집수정(w)과 연결되는 상하방향 배수관(13);
    상기 교축방향 배수관(12)들 중 일측 끝지점 것과 그 위의 배수구(1)를 L형으로 연결하며, 그 L형의 꺾인 부분이 배수구배 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구부러지는 만곡부(a)로 형성되는 일측단부 접속관(14);
    상기 교축방향 배수관(12)들과 그 위의 배수구(1)를 'ㅗ'형으로 연결하며 그 'ㅗ'형의 상하방향 라인이 배수구배 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구부러지는 만곡부(a)로 형성되는 중간부 접속관(15);
    상기 교축방향 배수관(12)들 중 타측 끝지점 것과 그 아래의 상하방향 배수관(13)을 역L형으로 연결하며 그 역L형의 꺾인 부분이 배수구배 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구부러지는 만곡부(a)로 형성되는 타측단부 접속관(1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타측단부 접속관(14)(16)과 중간부 접속관(15)의 만곡부(a)가 라운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교량 배수시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a)는 그 라운드의 반경이 상기 접속관(14)(15)(16)들의 관경에 비해 2~5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교량 배수시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타측단부 접속관(14)(16)과 중간부 접속관(15)의 만곡부(a)가 일정각도로 꺾이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교량 배수시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a)는 그 꺾인 각도가 110~160°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교량 배수시설.
KR1020050022146A 2005-03-17 2005-03-17 교량 배수시설 KR100684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146A KR100684667B1 (ko) 2005-03-17 2005-03-17 교량 배수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146A KR100684667B1 (ko) 2005-03-17 2005-03-17 교량 배수시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248U Division KR200387025Y1 (ko) 2005-03-17 2005-03-17 교량 배수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549A true KR20060100549A (ko) 2006-09-21
KR100684667B1 KR100684667B1 (ko) 2007-02-22

Family

ID=3763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146A KR100684667B1 (ko) 2005-03-17 2005-03-17 교량 배수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6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3373A (zh) * 2010-09-06 2012-03-21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 应用于平坡的高架桥梁隐形雨水收集系统及其设置方法
CN103266558A (zh) * 2013-04-28 2013-08-28 韩红桂 一种桥梁泄水弯管
KR101652758B1 (ko) * 2016-02-17 2016-09-01 이엔이건설주식회사 배수날개를 구비한 덮개판으로 제작된 교량용 배수구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442B1 (ko) * 2017-11-03 2019-03-18 이시훈 파이프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2601B2 (en) * 2000-09-07 2006-03-14 Actuality Systems, Inc. Line drawing for a volumetric displa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3373A (zh) * 2010-09-06 2012-03-21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 应用于平坡的高架桥梁隐形雨水收集系统及其设置方法
CN102383373B (zh) * 2010-09-06 2015-11-25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 应用于平坡的高架桥梁隐形雨水收集系统及其设置方法
CN103266558A (zh) * 2013-04-28 2013-08-28 韩红桂 一种桥梁泄水弯管
KR101652758B1 (ko) * 2016-02-17 2016-09-01 이엔이건설주식회사 배수날개를 구비한 덮개판으로 제작된 교량용 배수구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667B1 (ko)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9198A (en) Grate suspended storm drain filter with oil absorbing media
KR100959161B1 (ko) 초기우수 처리시스템
KR101306943B1 (ko) 교량용 배수장치
KR100684667B1 (ko) 교량 배수시설
KR200387025Y1 (ko) 교량 배수시설
KR101429147B1 (ko) 연속배수시설이 구비된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82931B1 (ko)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200417012Y1 (ko) 초기우수처리시설 시스템
CN101858051A (zh) 桥梁路面径流过滤净化装置
KR20210013817A (ko) 우수 부유물 제거장치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CN215210505U (zh) 一种j形的桥梁排水装置
KR100650930B1 (ko) 배수관클리너
KR101227150B1 (ko)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 및 그 필터부 교환방법
CN216739251U (zh) 一种基于bim+gis的桥面径流收集装置及控制系统
KR101155280B1 (ko)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639928B1 (ko) 배수로의 막힘 방지 기능이 부여된 교량 배수관 연결장치
CN221167436U (zh) 一种钢箱梁桥的排水结构
CN219175686U (zh) 雨水落水管
CN104047359B (zh) 跳跃堰式截污雨水口
KR102350582B1 (ko)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
CN221798671U (zh) 一种市政道路分流式排水管道
CN220908143U (zh) 一种桥面集中排水装置
CN214994510U (zh) 一种防堵型的市政排水管道
CN220978280U (zh) 一种市政道路雨水检查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