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170A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170A
KR20060100170A KR1020050021891A KR20050021891A KR20060100170A KR 20060100170 A KR20060100170 A KR 20060100170A KR 1020050021891 A KR1020050021891 A KR 1020050021891A KR 20050021891 A KR20050021891 A KR 20050021891A KR 20060100170 A KR20060100170 A KR 20060100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grill
grills
base member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윤흥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1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0170A/ko
Publication of KR20060100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6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마스크의 전체 면에 걸쳐 균일한 장력을 유지하기 하기 위하여 기본 부재에 당김력이 작용할 때 각 그릴부를 구성하는 모든 그릴들이 균일한 변위, 즉 최소한의 변위 차이를 갖고 변형될 수 있는 구조의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는 기판의 소정 영역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태로 기본 부재의 절단 예정선 내측 영역에 형성되며, 기본 부재를 관통하는 다수의 그릴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그릴부; 및 그릴부 중에서 그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최외곽 그릴부와 대응되도록 절단 예정선 외측의 외곽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그릴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더미 그릴부들을 포함한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마스크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Mask for manufactur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도 1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마스크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부의 상세도.
도 5는 어느 한 그립퍼에 의해 가해진 당김력이 작용하는 최외곽 그릴부의 부분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평면도.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스트레칭을 위하여 당김력이 작용할 때 각 그릴부를 구성하는 모든 그릴들이 균일한 변위, 즉 최소한의 변위 차이를 갖고 변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은 유기물(저분자 또는 고분자) 박막에 음극과 양극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이 재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형성된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 및 제조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투명 기판(1) 상에 배열된 ITO층(2), ITO층(2) 상에 형성된 유기 전계 발광층(3; 이하 "유기 EL 층"이라 칭함), 유기 EL 층(3) 상에 형성된 금속층(4)으로 이루어진다.
유기 EL 층(3)은 정공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이 적층되어 구성되며, 각 금속 전극(4; 유기 EL 층 포함)은 이웃하는 금속 전극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여기서 기판(1) 상에 배열된 ITO층(2)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수행하며, 각 금속층(4)은 캐소드 전극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하는 각 단계를 도면을 통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글라스 기판(1) 상에 다수의 ITO층(2)을 형성하고, ITO층(2)의 일부(유기 EL층 및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발광 영역)을 제외한 전체 영역에 절연막(4a)을 형성한다. 그 후, ITO층(2)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다수의 격벽(5)을 형성하며, 이후 격벽(5)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부에 유기 EL층(3)과 금속층(4)을 순차적으로 형성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소자 영역(이하, "액티브(active) 영역"이라 칭함)들이 글라스 기판(1) 상에 형성된다. 이후, 각 액티브 영역에서의 각 ITO층(2)과 금속층(4)에 대한 배선 공정, 캡 부착 공정을 거치게 되며, 최종적으로 개별 소자화를 위한 글라스 기판 절단 공정이 진행된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공정 중에서, 소정 면적의 글라스 기판 상에 한정된 각 액티브 영역 상에 R(red), G(green), B(blue) 계열의 유기 EL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마스크(mask)가 이용된다.
도 3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글라스 기판의 전체 면적과 대응하는 규격의 마스크(10)에는 글라스 기판의 예정된 액티브 영역들과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그릴(grille)부(12)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A"부의 상세도로서, 어느 한 그릴부(12)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그릴부(12)는 마스크 기본 부재(11)를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그릴(12A-1 내지 12A-5; 패턴)로 이루어지며, 이 그릴(12A-1 내지 12A-5)은 일정 길이 및 폭을 가지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다. 증착원에서 발생된 R, G, 또는 B 계열의 유기물 증착 재료 증기가 각 그릴(12A-1 내지 12A-5)을 통과하여 기판에 도달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마스크(10)를 유기 EL층 형성 공정에 투입하기에 앞 서 마스크(10)에 대한 스트레칭(stretching) 공정 및 프레임으로의 부착 공정을 실시한다.
마스크(10)는 얇은 금속 박막(薄膜) 형태로 제조되며, 따라서 마스크(10)는 부분적으로 장력(tension)이 다르게 나타난다. 부분적으로 다른 장력을 갖는 마스크(10)를 이용하여 좁은 폭의 유기 EL층을 글라스 기판의 각 액티브 영역 상의 정확한 위치에 형성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스트레칭 장치(stretcher)를 이용하여 마스크(10)를 잡아당겨 마스크(10)의 전체 면에 걸쳐 균일한 장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그립퍼에 의하여 전체 면에 균일한 장력을 갖는 마스크(10)를 사각 프레임에 (용접) 고정시킨다. 이후 절단 예정선(L)을 따라서 절단 공정을 수행하여 그릴부가 형성되지 않은 기본 부재(11)의 외곽부를 제거하며,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구성된 마스크(10)를 이용한 유기 EL층 형성 공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마스크(10)의 스트레칭 공정에서, 마스크(10)의 각 에지에는 구동 수단에 연결된 다수의 그립퍼(gripper; 도시되지 않음)가 물려지며, 각 그립퍼는 도 3의 각 화살표 방향으로 마스크(10)를 잡아당기게 된다.
그러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0)의 기본 부재(11)에는 다수의 그릴(12A-1 내지 12A-5)로 이루어진 다수의 그릴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그립퍼에 의한 마스크(10)의 스트레칭 공정 과정에서 각 그릴부(12)를 구성하는 그릴(12A-1 내지 12A-5)의 변형(찌그러짐)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도 5는 그립퍼에 의하여 가해진 당김력이 작용하는, 도 3의 좌측단에 형성된 그릴부(12)의 부분 상세도로서, 그립퍼에 의한 스트레칭 과정에 있는 마스크(10)의 그릴부(12)의 형상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마스크(10)의 기본 부재(11)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그릴부(12)들중 최외곽에 형성된 그릴부에는 그립퍼로부터 힘(당김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게 되며, 따라서 최외곽부에 배치된 그릴부는 스트레칭 과정 중에 그 최초 형상, 즉 다수의 그릴(12A-1 내지 12A-5)이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형상이 크게 변형(도 5의 점선 부분)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0)의 기본 부재(11)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각 그릴(12A-1 내지 12A-5)의 상단 및 하단(도 5 기준)은 기본 부재(11)에 인접하기 때문에 그릴부에 화살표 방향으로의 당김력이 작용할 경우, 도 5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에지를 향하여 각 그릴(12A-1 내지 12A-5)의 중앙부가 상부 및 하부보다 더 많은 변위를 갖고 변형된다. 특히, 그릴(12A-1 내지 12A-5) 중에서 그립퍼에 의한 당김력이 가장 먼저 작용하는 최외곽 그릴(12A-1)은 그 내측에 형성된 그릴(12A-2 내지 12A-5)보다 변위가 더욱 커지게 됨을 도 5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기본 부재(11)의 양 측단부에 형성된 모든 최외곽 그릴부에 동일하게 발생한다.
변위가 서로 다른 상태로 그릴들이 변형된 마스크(10)를 이용하여 기판에 미세 폭의 유기EL층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없으며, 따라서 마스크(10)의 스트레칭 과정에서 각 그릴(12A-1 내지 12A-5)의 변위 차이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마스크의 스트레칭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당김력이 작용할 때 각 그릴부를 구성하는 모든 그릴이 균일한 변위, 즉 최소한의 변위 차이를 갖고 변형될 수 있는 구조의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는 기판의 소정 영역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태로 기본 부재의 절단 예정선 내측 영역에 형성되며, 기본 부재를 관통하는 다수의 그릴로 이루어진 다수의 그릴부; 및 그릴부 중에서 그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최외곽 그릴부와 대응되도록 절단 예정선 외측의 외곽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그릴로 이루어진 다수의 더미 그릴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평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20) 역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판의 예정된 액티브 영역들과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그릴부(22)를 포함하며, 각 그릴부(22)는 마스크(20)의 기본 부재(21)를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그릴(22A; 패턴)로 이루어진다. 각 그릴(22A)은 일정 길이 및 폭을 가지며, 인접한 다른 그릴과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다(도 4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20)의 가장 큰 특징은 기본 부재(21)의 외곽부, 즉 절단 예정선(L)의 외측 영역에 다수의 더미 그릴(dummy grille)부(30)를 형성한 것이다. 각 더미 그릴부(30) 역시 일정 폭 및 길이를 갖고 서로 평행하게 구성된 다수의 그릴(31)로 이루어지며, 이 그릴(31)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더미 그릴부(30)를 구성하는 그릴(31)의 방향은 기판의 액티브 영역들과 각각 대응하는 각 그릴부(22)의 그릴(22A)의 방향과 동일하다.
여기서, 더미 그릴부(30)들은 기본 부재(21)의 양측면(도 6 기준) 외곽부에만 형성되어 양측의 최외곽 그릴부(22)들과 각각 대응한다. 도 4에 도시된 일반적인 마스크(10)와 마찬가지로 각 그릴부(22)를 구성하는 그릴(22A)은 폭에 비하여 길이가 매우 길며, 이러한 구조적인 특성에 의하여 마스크(20)에 당김력이 작용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각 그릴(22A)은 폭 방향으로의 변형이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그릴(22A)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그릴부(22)들 중에서 최외곽의 그릴부과 대응되도록 더미 그릴부(3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기본 부재(21)의 양측면 외곽부에 그 내측에 형성된 그릴부(22)들과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더미 그릴부(30)를 형성할 경우, 도 6의 도시된 화살표 방향, 양 측방향으로 그립퍼에 의한 당김력이 기본 부재(21)에 작용하면, 당김력은 먼저 더미 그릴부(30)들에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각 더미 그릴부(30)의 그릴(31)은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그릴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변형되며, 이후 당김력은 절단 예정선(L) 내측에 형성된 그릴부(22)들에 가해진다. 변형이 이루어진 더미 그릴부(30)의 그릴(31)을 통하여 당김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더미 그릴부(30)와 대응하는 그릴부(22)들로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당김력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결과적으로 그릴부(22)들을 제외한 기본 부재(21)에는 당김력이 작용하여 기본 부재(21)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장력을 갖게 되지만, 그릴부(22)들, 특히 최외측 그릴부들의 최외측 그릴은 당김력에 의한 변위가 크게 감소된다.
이와 같이 마스크(20)에 대한 스트레칭이 종료된 상태에서, 마스크(20)를 프레임에 용접, 고정시키고 절단 예정선(L)을 따라 마스크 기본 부재(21)의 외곽부, 즉 그릴이 심하게 변형되어 있는 더미 그릴부(30)들이 형성된 외곽부를 절단, 분리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는 균일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스트레칭 공정시 그릴부들을 구성하는 그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형상의 유기 EL층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과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과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Claims (1)

  1. 기판에 소정의 재료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스크에 있어서,
    기판의 소정 영역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태로 기본 부재의 절단 예정선 내측 영역에 형성되며, 기본 부재를 관통하는 다수의 그릴로 이루어진 다수의 그릴부;
    상기 그릴부 중에서 그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최외곽 그릴부와 대응되도록 절단 예정선 외측의 외곽부에 형성되며, 그릴부의 그릴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그릴로 이루어진 다수의 더미 그릴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0050021891A 2005-03-16 2005-03-16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 KR20060100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891A KR20060100170A (ko) 2005-03-16 2005-03-16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891A KR20060100170A (ko) 2005-03-16 2005-03-16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170A true KR20060100170A (ko) 2006-09-20

Family

ID=3763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891A KR20060100170A (ko) 2005-03-16 2005-03-16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01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7428B1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6535434B2 (ja) 単位マスクストリッ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816519B2 (ja) マスクフレーム組立体、マスクフレーム組立体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I536092B (zh) 用於薄膜沉積之光罩以及使用此光罩製造oled的方法
JP4925566B2 (ja) シャドーマスク
US9953828B2 (en) Frame and mask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2330330B1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919467B1 (ko) 단위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조립체
US20150014667A1 (en) Oled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apparatus
KR20110088052A (ko) 증착마스크 및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 어셈블리
JPWO2015155971A1 (ja) 有機発光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97305B1 (ko) 더미 슬릿부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한 고정세 증착 마스크, 상기 고정세 증착 마스크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기 발광 소자
JP2018110109A (ja) 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96378A (ja) 有機el表示装置
KR100676175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
KR101102037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용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1788326A (zh) 蒸镀掩膜、其制造方法以及有机el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20060100173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
JP6207928B2 (ja) 発光装置の製造方法
KR20060102838A (ko) 마스크 프레임
KR101222971B1 (ko)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20060100537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
KR20060100170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
KR101154294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유기 발광층 형성방법
KR20070052376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용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