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073A - 온감성 직편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제품 - Google Patents

온감성 직편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073A
KR20060100073A KR1020050021713A KR20050021713A KR20060100073A KR 20060100073 A KR20060100073 A KR 20060100073A KR 1020050021713 A KR1020050021713 A KR 1020050021713A KR 20050021713 A KR20050021713 A KR 20050021713A KR 20060100073 A KR20060100073 A KR 20060100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yarn
warm
fabri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공주
Original Assignee
김찬수
김공주
(주)대림텍스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수, 김공주, (주)대림텍스타일 filed Critical 김찬수
Priority to KR1020050021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0073A/ko
Publication of KR2006010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02Amides imides, sulfamic acids
    • D06M13/415Amides of aromatic carboxylic acids; Acylated aromatic amin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9Yarns or thread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D03D15/258Noble met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21/207Wearing apparel or garment blan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온감성 직편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제품에 관한 것으로, 고추틴크 30~70중량% 및 캐모마일 추출물 30~75중량%로 이루어진 온감성 성분을 0.1~120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은사 또는 은사합사가 혼방된 은사 혼방직편물에 함침시켜 된 온감성 직편물을 제공한다.
온감성 직편물, 고추틴크, 캐모마일, 은사, 보온성

Description

온감성 직편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제품 {Warming woven-knit fabrics and article for clothes comprizing the same}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온감성 성분의 마이셀 구조를 나타낸 전자현미경사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온감성 성분의 마이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열화상 측정 결과를 나타낸 열화상 사진이다.
본 발명은 온감성 직편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은사 또는 은사합사가 혼방된 은사 혼방직편물에 특정 온감성 성분을 함침시켜 지속적인 보온성과 함께 편안한 느낌을 부여한 온감성 직편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제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원적외선, 향균성, 탈취 및 소취성, 도전성 및 난연성 등의 각종 기능성 섬유가 등장하고 있으며 더욱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기능성 섬유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체에 유해한 항독성 및 항균성 등을 갖는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은(Ag)은 독소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및 세균성 감염병 등을 포함하여 약 650 종류의 병을 치료할 수 있으며, 세균의 신진대사 작용을 하는 효소를 무력화시켜 탁월한 항균 효과를 지닌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은(Ag)은 식기 또는 장신구 등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항생제, 정수기의 필터 등에 응용되고 있다.
특히, 은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항균성 이외에도 정전기 방지효과, 높은 열전도성, 고반사율, 고방사율 등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정전기는 일종의 전기마찰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비전도체의 마찰에 의해 5만볼트 이상의 높은 정전기가 발생하고, 특히 겨울철 건조한 상태에서 합성섬유 등의 사용에 의해 일어나며, 인체에 강한 자극을 주고, 산업설비 등에서 오동작 기타 정밀부품의 파손 등의 문제를 야기하는 바, 은은 전도성이 매우 높은 물질로 은을 포함하는 직편물은 정전기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은은 또한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며, 고온의 외부로부터 열을 쉽게 내부로 전 도시킬 수 있다. 은의 고반사율은 특히 적외선 반사율이 95%를 넘어 모든 원소 중 가장 높다. 따라서, 은을 포함하는 직편물의 착용 시, 신체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의 대부분을 다시 신체쪽으로 되돌려 높은 보온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은은 저방사율을 가지며, 은은 방사율이 가장 낮은 원소 가운데 하나로서,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속도가 아주 느리며, 이에 따라 은을 포함하는 직편물의 착용 시, 매우 짧은 시간에 열을 전도받아 오랜 시간동안 따뜻한 기운을 유지시킬 수 있다.
종래에 이러한 은의 고유 특성을 이용하여 다 기능성 섬유를 제조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이러한 은 성분에 의한 특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부드러운 촉감 및 우수한 섬유 친화력을 부여하여 비교적 저온의 외부 환경하에서 장시간의 신체 접촉시에도 편안하고 기분 좋은 온감성을 지속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는 온감성 직편물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은(silver) 성분 특유의 우수한 특성을 배가하여 발현시키는 동시에 오랜시간 착용시에도 불편함 없이 편안하고 따뜻한 보온성을 은은하게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온감성 직편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감성 직편물은 고추틴크 30~70중량% 및 캐모마일 추출물 30~75중량%로 이루어진 온감성 성분을 0.1~120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은사 또는 은사합사가 혼방된 은사 혼방직편물에 함침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온감성 직편물은 또한 모자, 귀마개 또는 마스크와 같은 피부보호용 의류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은사 또는 은사합사가 혼방된 은사 혼방직편물에 특정 온감성 성분을 함침시킴으로써 은 성분과 온감성 성분의 상호 상승작용에 기인하여 편안하고 부드러운 촉감 및 은은하게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보온성이 부여된 온감성 직편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은사 혼방직편물은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0.1~120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은사 또는 은사합사가 혼방된 은사 혼방직편물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때, 상기 은사 또는 은사합사의 섬도가 0.1데니어 미만인 경우에는 혼방시 사절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120데니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직편물로 직조된 경우 촉감이 거칠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은사합사의 경우, 은사와 일반섬유를 함께 합연하여 제조되는 바 , 상기 은사합사에 사용되는 일반섬유는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지의 섬유는 어느 것이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일반섬유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모노사 또는 멀티사, 나이론 모노사 또는 멀티사, 레이온, 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은사와 일반섬유의 합연은 통상의 합연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S연 1가닥과 Z연 1가닥을 서로 합연시키되, 예를 들어, 100 내지 500TPM(twist per meter)의 범위로 합연될 수 있다.
상기 은사 혼방직편물은 상술한 은사 또는 은사합사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피부보호 역할을 한다. 이러한 혼방직편물의 제조방법 역시 당업자에게는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방직물의 경우에는 대개 평직, 교직 등의 직조방법에 따라 제직될 수 있으며, 상기 은사 또는 은사합사를 심사로 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섬유를 이중으로 서로 교호하도록 하여 상기 심사를 감싸도록 하는 더블커버링사(double covering fiber) 또는 상기 은사 또는 은사합사를 심사로 하고, 이 심사에 루프를 만드는 부사를 첨가하여 연속하여 부분적으로 실 표면에 루 프가 생기게끔 한 의장사를 사용하여 제직할 수 있다. 루프가 아주 짧은 실은 부클레(Boucle or Curled yarn)라고 부르며, 이를 이용하면 보다 감촉이 좋은 직물을 제직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은사 또는 은사합사를 심사로 하고, 일반섬유를 부사로 하여 루프를 형성한 의장사를 다른 일반섬유와 함께 직조하여서 은사 또는 은사합사를 포함하는 직물을 만들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은사 혼방직편물에 온감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온감성 성분은 고추틴크(Capsicum Tincture) 30~70중량% 및 캐모마일 추출물(Chamomile Extract) 30~7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고추틴크는 고추에 함유된 매운 맛의 원인 물질로서, 혈관을 확장시켜 신체내 에너지 대사를 촉진시키고 체지방을 연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뜨거운 느낌을 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근육통, 신경통 등의 통증 완화 작용을 가지며, 관장의 약리작용 및 신체 저항력과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캐모마일은 국화과의 일년초 식물로서, 특히 캐모마일 추출물은 피부 완화 및 유화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소염진정 작용, 발한작용 및 살균작용을 하며, 나아가 체온을 상승시키고 피로 회복 및 피부 미용 효과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추틴크 및 캐모마일 추출물의 사용량은 각각 30~70중량%로서, 이러한 함량범위 내에서 함께 사용됨으로써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고추틴크 특유의 다소 자극적인 느낌은 완화되는 반면, 편안하고 부드러운 느낌의 온감성이 은은하게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온감 성분들은 양이온성 용액중에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친유성 상(Oil Phase)과 친수성 상(Water Phase)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의 마이셀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온감 성분의 마이 셀 구조는 후술되는 온감 성분 함침 과정에서 직편물에 부드러운 촉감 및 매우 우수한 섬유 친화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술한 은사 또는 은사합사 혼방직편물과 온감 성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감성 직편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온감성 직편물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공지된 방법이라면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우선, 고추틴크 30~70중량% 및 캐모마일 30~70중량%로 이루어진 온감성 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한다. 상기 용액 중 온감성 성분의 농도는 약 1~10중량%인 것이 좋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되는 용매, 적용 직편물, 가공조건 및 목적하는 제품 등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용액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은사 또는 은사합사 혼방직편물을 당업계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공지된 방법에 따라 침지시켜 본 발명의 온감성 성분을 상기 혼방직편물에 함침시킨다.
여기서, 적용되는 혼방직편물이 직물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통상의 직물 유연가공 공정에 적용되는 침염법에 따라, 예를 들어, 40~60℃의 온도에서 20~60분 동안 침지시켜 상기 혼방직물에 온감성 성분이 충분히 침투되어 목적하는 특성이 발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적용 혼방직편물이 편물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통상의 편물 후처리가공 공정에 적용되는 연속법에 따라, 예를 들어, 100~110℃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열처리 및 건조하여 상기 혼방편물에 온감성 성분이 충분히 침투되어 목적하는 특성이 충분히 발현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의 온감성 은사 혼방직편물은 피부보호용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피부보호용으로는 모자, 귀마개 또는 마스크와 같이 기타 인체와 접촉하는 의류용 직편물로서 사용이 가능하며, 은 성분의 고유 특성에 의한 높은 항균성과 우수한 보온성에 덧붙여 정전기발생억제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이러한 은 성분에 의한 보온성은 본 발명의 온감성 성분을 이용한 함침과정을 통해서 상승작용을 일으켜 비교적 저온의 외부 환경하에서도 보온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온감성 성분의 마이셀 구조에 기인한 우수한 섬유 친화력으로 온감성이 은은하게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신체 접촉시 부드러운 촉감과 더불어 캐모마일 성분 특유의 기분 상승 효과가 발현되어 편안한 느낌을 제공한다.
또한, 은에 의한 항균성에 의하여 사용 후의 소독이 필요 없고, 은 성분 및 온감성 성분의 상승작용에 의한 온감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편안하고 따뜻한 느낌이 부여되며, 피부에 유해한 세균 등을 잔류시키지 않아 피부위생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온감 성분으로서 사용된 물질들은 모두 천연물질로서 피부 자극이 없고 친환경적인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온감성 은사 혼방직편물은 피부보호용으로 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피부 마사지용과 같이 피부와 접촉하거나 또는 피부를 감싸는 직편물 위에 덮여져서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여 통상의 직편물이 사용되는 범위의 거의 모든 범위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은사와 폴리에스테르 모노사와 함께 합연시켜 된 20데니어의 은사합사를 심사로 하고, 루프를 만드는 부사로서 통상의 섬유를 첨가하여 연속하여 부분적으로 실 표면에 루프가 생기게끔 하여 의장사로 제조하고, 이를 위사로 하여 평직하여 직물로 제직하였다. 이때 경사로는 폴리에스테르 75d/36f 가연사를 사용하였다.
다음, 제직된 직물을 고추틴크 55중량% 및 캐모마일 45중량%로 이루어진 온감성 성분을 약 5중량%의 농도로 포함하는 용액에 약 40℃의 온도에서 약 20분 동안 침지시킨 다음, 약 100℃의 온도에서 1분 동안 열처리하여 온감성 은사 혼방직물을 제조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온감성 은사 혼방직물의 온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직물의 열화상 사진 측정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은사와 폴리에스테르 모노사와 함께 합연시켜 된 20데니어의 은사합사를 심사로 하고, 루프를 만드는 부사로서 통상의 섬유를 첨가하여 연속하여 부분적으로 실 표면에 루프가 생기게끔 하여 의장사로 제조하고, 이를 위사로 하여 평직하여 직물로 제직하였다. 이때 경사로는 폴리에스테르 75d/36f 가연사를 사용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은사 혼방직물의 온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직물의 열화상 사진 측정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열화상 사진 측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 열화상 측정
촬영조건
- 실내 온도 : 20℃
- 실내 습도 : 40~65% RH
1. 최소 30분 이상 실내에 둔다.
2. 직물을 착용하기 전에 사진을 측정한다.
3. 직물을 착용한다.
4. 약 30분 후 사진을 측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온감가공되지 않은 직물을 착용한 경우(미처리), 착용 후 약 +1.0℃의 체온증가 현상이 나타나는 반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온감가공된 직물을 착용한 경우에는(처리후), 약 +1.5℃의 체온증가 현상이 나타나 미처리 직물에 비하여 우수한 온감 효과가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온감성 직편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제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감성 직편물은 은 성분의 고유 특성에 의한 높은 항균성과 우수한 보온성에 덧붙여 정전기발생억제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이러한 은 성분에 의한 보온성은 본 발명의 온감성 성분을 이용한 함침과정을 통해서 상승작용을 일으켜 비교적 저온의 외부 환경하에서도 보온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온감성 성분의 마이셀 구조에 기인한 우수한 섬유 친화력으로 온감성이 은은하게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신체 접촉시 부드러운 촉감과 더불어 캐모마일 성분 특유의 기분 상승 효과가 발현되어 편안한 느낌을 제공한다.
또한, 은에 의한 항균성에 의하여 사용 후의 소독이 필요 없고, 은 성분 및 온감성 성분의 상호 상승작용에 의한 온감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편안하고 따뜻한 느낌이 부여되며, 피부에 유해한 세균 등을 잔류시키지 않아 피부위생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2)

  1. 고추틴크 30~70중량% 및 캐모마일 추출물 30~75중량%로 이루어진 온감성 성분을 0.1~120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은사 또는 은사합사가 혼방된 은사 혼방직편물에 함침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감성 직편물.
  2. 제1항에 따른 온감성 직편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피부보호용 의류제품.
KR1020050021713A 2005-03-16 2005-03-16 온감성 직편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제품 KR20060100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713A KR20060100073A (ko) 2005-03-16 2005-03-16 온감성 직편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713A KR20060100073A (ko) 2005-03-16 2005-03-16 온감성 직편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073A true KR20060100073A (ko) 2006-09-20

Family

ID=3763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713A KR20060100073A (ko) 2005-03-16 2005-03-16 온감성 직편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00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955B1 (ko) 냉감성 직편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제품
CN106337240B (zh) 一种轻盈透气防水游戏服装面料
JP6734076B2 (ja) 両面編地及びこれを含む衣類
KR102084091B1 (ko) 양모 커버링 복합사 및 그를 이용한 신발 제조방법
KR101225040B1 (ko)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 기능이 있는 환자복
CN209699991U (zh) 一种抗菌防紫外线布料
CN108000959A (zh) 一种弹性好的家用纺织面料
KR20080111359A (ko) 보습 원단
CN208148681U (zh) 一种混纺布料
CN103132340A (zh) 一种可散发香气的面料
JPH1037070A (ja) 緑茶成分カテキン含有抗菌繊維
KR101821965B1 (ko) 이중파일편성구조를 구비하는 기능성 스타킹 양말
KR20060100073A (ko) 온감성 직편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제품
Jamal et al. Cosmetotextiles: A wearable skin care
CN108115999A (zh) 具有抗菌吸湿功能的内衣面料
KR20100048750A (ko) 냉감성 스카프
KR200389599Y1 (ko) 패딩의류
CN208685138U (zh) 一种功能性抗疲劳保健针织面料
KR20120054894A (ko) 기능성 의류제품 및 그 제조방법
US20080289090A1 (en) Performance wear formed of hydrophobic moisture management fabric
CN205443531U (zh) 沉香远红外线纤维及纱线
JP2010229568A (ja) セルロース複合糸条及び織編物
WO2016009095A1 (es) Tejidos textiles funcionales
KR20040045192A (ko) 피부질환을 완화시켜 주는 원단
CN2829495Y (zh) 生态拟真隐纺热能健康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