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9995A - 자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9995A
KR20060099995A KR1020050021580A KR20050021580A KR20060099995A KR 20060099995 A KR20060099995 A KR 20060099995A KR 1020050021580 A KR1020050021580 A KR 1020050021580A KR 20050021580 A KR20050021580 A KR 20050021580A KR 20060099995 A KR20060099995 A KR 20060099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sset
article
goods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승
민상철
서승교
김준한
김진태
류승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1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9995A/ko
Publication of KR20060099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interrogation of grouped or bundled articles tagged with wireless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산관리 시스템과 물품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물품의 반입/반출을 확인하며 자산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자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으로 반입/반출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여 물품을 식별하는 무선 물품정보 식별부와; 무선 물품정보 식별부를 통해 식별한 물품을 자산목록에 등록시키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하는 자산정보 입력부와; 자산목록 관리에 따른 프로그램들과 자산목록에 등록된 물품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무선 물품정보 식별부를 통해 입력되는 물품정보의 해당 자산목록에 따라 반입/반출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른 물품정보를 표시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의 제어하에 반입/반출되는 물품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OPER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자산관리 시스템 11: 무선 물품정보 식별부
12: 자산정보 입력부 13: 메모리
14: 서버 15: 표시부
20: 물품
본 발명은 자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산관리 시스템과 물품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물품의 반입/반출을 확인하며 자산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자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흔히 집안에 있는 물품이 필요하여 해당 물품을 갖고 출근하였다가 귀가시 출근시 챙겨서 나간 물품을 다시 갖고 집안에 들어와야 하는 경우를 반복해야 하는 물품은 많다. 그러한 물품들로는 우산, 시계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런 물품들은 이동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관리를 잘해야지 분실하지 않는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아침에 비가 와서 우산을 갖고 외출한 사람이 오후에 비가 멈춰 우산을 챙기지 못하고 회사 혹은 버스나 지하철에 놔두고 귀가할 수 있다.
이에, 출근했을때에 갖고 갔었던 물품을 회사에 놓고 귀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물품을 갖고 귀가했는지 혹은 물품을 놔두고 귀가했는지를 알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자신(물품)을 관리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간이 지나서야 특정 물품을 찾으려고 할때에는 그 물품이 집안에 있는지 혹은 분실하였는지 조차 알기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자산관리 시스템과 물품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물품의 반입/반출을 확인하며 자산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자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산관리 시스템과 물품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반입/반출되는 물품을 확인하여 분실된 물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자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으로 반입/반출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여 물품을 식별하는 무선 물품정보 식별부와;
무선 물품정보 식별부를 통해 식별한 물품을 자산목록에 등록시키기 위한 기 능키들을 구비하는 자산정보 입력부와;
자산목록 관리에 따른 프로그램들과 자산목록에 등록된 물품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무선 물품정보 식별부를 통해 입력되는 물품정보의 해당 자산목록에 따라 반입/반출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른 물품정보를 표시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의 제어하에 반입/반출되는 물품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물품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물품정보가 자산목록에 등록된 물품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자산목록에 등록된 물품이면 자산목록에 등록된 해당 물품의 반입/반출 정보를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결과, 자산목록에 등록된 해당 물품이 반입상태이면, 반입된 해당 물품이 반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반출되는 해당 물품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결과, 자산목록에 등록된 해당 물품이 반출상태이면, 반출된 해당 물품이 반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반입되는 해당 물품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자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른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자산관리 시스템(10)은 일정구역 예를 들어, 집안 혹은 회사의 입구쪽에 위치하여 반입/반출되는 물품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자산을 자동으로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자산관리 시스템(10)은 집안 혹은 회사의 입구쪽에 위치할 필요는 없는나, 반입/반출되는 물품정보를 관리하기에는 적소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일예로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일 수 있으며, RFID일 경우 자산관리 시스템(10)에는 RFID 리더(reader)가 포함되어 구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RFID 태그는 내부에 전지 포함유무에 따라 전지 없이 RFID 리더의 신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수동형(passive) 태그와, 전원 혹은 중앙처리장치(CPU)를 포함하는 능동형(active) 태그로 나뉜다. 그러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정보를 교환하는 기능적 측면에서는 수동형 RFID 태그와 능동형 RFID 태그는 거의 동일하다. 다만, 통신거리차원에서 장거리 전송을 위해서는 능동형 RFID 태그를, 단거리 전송을 위해서는 수동형 RFID 태그를 이용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FID 리더가 RFID방식으로 물품정보를 수신하여 자산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물품(20)에는 해당 물품정보가 저장되어 그 저장된 물품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RFID 태그(Tag)가 추가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에, 상기 자산관리 시스템(10)은 집안이나 회사로 반입/반출되는 물품(20)으로부터 물품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자산을 자동으로 관리한다.
상술한 자산관리 시스템(10)의 내부구성과 상세한 동작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물품정보 식별부(11)는 무선으로 반입/반출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여 물품을 식별한다.
자산정보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자산정보 입력부(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물품정보 식별부(11)를 통해 식별한 물품을 자산목록에 등록시키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산목록 관리에 따른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 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자산정보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되는 물품의 자산정보가 자산목록에 등록 저장된다.
서버(14)는 자산관리 시스템(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14)는 키패드(12)를 통해 입력되는 물품의 자산정보를 메모리(13)의 자산목록에 등록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서버(14)는 반입/반출에 따른 물품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서버(14)는 자산목록에 등록된 물품이 반출된후 반입되지 않으면 해당 물품이 반입되지 않았음을 표시한다.
표시부(15)는 상기 서버(14)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5)는 상기 서버(14)의 제어하에 반입/반출에 따른 해당 물품을 표시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자산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무선 물품정보 식별부(11)는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반입되는 물품(20)으로부터 물품정보를 입력받아 물품(20)을 식별한후 서버(14)측으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14)는 상기 무선 물품정보 식별부(11)로부터 식별한 물품정보를 입력받으면 자산정보 입력부(12)를 통해 해당 물품(20)을 자산목록에 등록하라는 안내메시지를 표시부(15)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서버(14)는 사용자의 자산정보 입력부(12)의 키를 조작하고, 그 키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키데이터에 따라 자산목록에 해당 물품을 등록하여 메모리(13)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서버(14)는 무선 물품정보 식별부(11)를 통해 반입/반출되는 물품의 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13)에 저장된 해당 물품의 반입/반출 정보를 갱신하여 자산목록을 관리한다. 상기 서버(14)는 반입/반출에 따른 해당 물품 의 정보를 표시부(15)에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자산관리 시스템(10)은 무선 물품정보 식별부(11)를 통해 반입되는 물품의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물품종류를 인식한다. 여기서, 상기 자산관리 시스템(10)은 일예로 반입/반출을 감지하기에 수월한 집이나 사무실 등의 입구에 구비시킨다.
303단계에서 서버(14)는 반입된 물품의 정보를 표시부(15)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화기를 들고 집의 현관을 통과하면, 상기 서버(14)는 그 휴대용 전화기의 정보가 저장되어 RFID태그로부터 휴대용 전화기라는 물품정보와 함께 그 휴대용 전화기의 전화번호 등과 같은 세부 정보까지도 수신한다.
305단계에서 서버(14)는 상기 반입되어 인식된 물품을 자산목록에 등록시킨다. 이때, 상기 서버(14)는 사용자의 자산정보 입력부(12)를 통한 키조작에 따라 반입되어 인식된 물품의 자산목록 등록여부가 결정될 수 도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산관리하고자 하는 물품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307단계에서 서버(14)는 자산목록에 등록된 물품이 반출되는가를 판단한다. 즉, 무선물품 정보 식별부(11)로 수신되는 물품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판단결과, 자산목록에 등록된 물품이 반출되면, 309단계에서 서버(14)는 무선물품 정보 식별부(11)로 수신된 물품정보를 이용하여 반출된 물품을 표시부(15)에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자산목록에 등록된 물품이 반출되지 않으면, 3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9단계를 수행한 이후, 311단계에서 서버(14)는 해당 물품이 반출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산목록으로 갱신한다. 여기서, 상기 309단계와 311단계는 거의 동시에 수행된다.
이후, 313단계에서 서버(14)는 무선물품 정보 식별부(11)를 통해 물품(20)이 반입되는가를 판단한다. 즉, 무선물품 정보 식별부(11)를 통해 물품(20)의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무선물품 정보 식별부(11)를 통해 물품(20)이 반입되면, 서버(14)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물품(20)이 자산목록에 등록된 물품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315단계에서 서버(14)는 무선물품 정보 식별부(11)로 수신된 물품정보가 자산목록에 등록된 물품이면 317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무선물품 정보 식별부(11)로 수신된 물품정보가 자산목록에 등록되지 않은 물품이면, 상기 301단계로 복귀하여 전술한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317단계에서 서버(14)는 반입된 물품 정보를 표시부(15)에 표시하고, 319단계로 진행하여 반출되었던 해당 물품이 반입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산목록으로 갱신한다.
예를 들어, 집이나 회사의 입구에서 무선통신 즉, RFID방식에 의해 자산관리 시스템(10)이 휴대용 전화기의 물품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13)의 자산목록에 휴대 용 전화기의 정보를 등록한다. 상기 자산목록에 등록된 휴대용 전화기를 갖고 사용자가 귀가하게 되면, 상기 자산관리 시스템(10)은 자산목록에 등록된 휴대용 전화기가 반입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반입된 휴대용 전화기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13)에 저장되어 있는 자산목록은 반출되었던 휴대용 전화기가 반입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로 갱신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산관리 시스템과 물품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물품의 반입/반출을 확인하며 자산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확실한 물품관리를 통해 자산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산관리 시스템과 물품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반입/반출되는 물품을 확인하여 반출후 반입되지 않은 물품을 분실한 것으로 표시함으로써, 물품의 분실시기와 분실한 장소를 사용자가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실한 물품을 되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무선으로 반입/반출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여 물품을 식별하는 무선 물품정보 식별부와;
    무선 물품정보 식별부를 통해 식별한 물품을 자산목록에 등록시키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하는 자산정보 입력부와;
    자산목록 관리에 따른 프로그램들과 자산목록에 등록된 물품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무선 물품정보 식별부를 통해 입력되는 물품정보의 해당 자산목록에 따라 반입/반출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른 물품정보를 표시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의 제어하에 반입/반출되는 물품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자산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각 물품의 반입/반출 여부에 따라 갱신된 자산목록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식별된 물품의 반입/반출여부에 따라 해당 물품정보의 반입/반출 정보를 갱신하여 자산목록을 갱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메모리에 저장된 자산목록을 독출하여 반출후 반입되지 않은 물품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물품정보 식별부는,
    알에프아이디(RFID)방식에 따른 알에프아이디 리더(rea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알에프아이디(RFID)방식에 따른 물품 정보가 저장된 알에프아이디 태그(Ta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 시스템.
  7.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물품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물품정보가 자산목록에 등록된 물품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자산목록에 등록된 물품이면 자산목록에 등록된 해당 물품의 반입/반출 정보를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결과, 자산목록에 등록된 해당 물품이 반입상태이면, 반입된 해당 물품이 반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반출되는 해당 물품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결과, 자산목록에 등록된 해당 물품이 반출상태이면, 반출된 해당 물품이 반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반입되는 해당 물품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으로 물품정보 수신시 해당 물품정보를 자산목록에 등록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된 해당 물품이 반출되면, 해당 물품의 반입/반출 정보를 갱신하여 자산목록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된 해당 물품이 반입되면, 해당 물품의 반입/반출 정보를 갱신하여 자산목록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 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되는 해당 물품정보와 함께 반출되어 반입되지 않은 물품들의 물품정보를 자산목록으로부터 독출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 방법.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방식은,
    알에프아이디(RFID)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 방법.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물품 정보가 저장된 알에프아이디 태그(Ta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관리 방법.
KR1020050021580A 2005-03-15 2005-03-15 자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9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580A KR20060099995A (ko) 2005-03-15 2005-03-15 자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580A KR20060099995A (ko) 2005-03-15 2005-03-15 자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995A true KR20060099995A (ko) 2006-09-20

Family

ID=3763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580A KR20060099995A (ko) 2005-03-15 2005-03-15 자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99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573B1 (ko) * 2006-09-29 2008-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인식 물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8169138B2 (en) 2007-11-16 2012-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a driving voltage l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48423B1 (ko) 2021-05-28 2022-01-07 임시원 병원용 자산 자동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573B1 (ko) * 2006-09-29 2008-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인식 물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8169138B2 (en) 2007-11-16 2012-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a driving voltage l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48423B1 (ko) 2021-05-28 2022-01-07 임시원 병원용 자산 자동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812B2 (en) Medical device tracking system and apparatus
JP4733198B2 (ja) 情報登録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287194A1 (en) Presence-at-home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US10949802B2 (en) Storage cabinet
KR101632542B1 (ko) 화장품관리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US11475399B2 (en) Storage cabinet
JP2016162178A (ja) 物品管理装置
US20080121723A1 (en) Portable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8044803B2 (en) Article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KR20100013788A (ko) 장비 점검 장치 및 장비 점검 방법
CN202771433U (zh) 一种基于电子标签的物品管理系统
KR20060099995A (ko) 자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3067618A (zh) 来电显示方法及系统
KR20120028177A (ko) Pda 단말기를 이용한 esl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1053894A (ja) 物品管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7316996A (ja) 資産管理システム、資産管理サーバ、資産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11207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a merchandise location
KR100664033B1 (ko) 쇼핑목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9997A (ko) 쿠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371910B2 (ja) 部材の位置管理システム及び部材の位置管理方法
CN111612107A (zh) 一种存储系统、查询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7330740A (ja) 頭取り情報分析システム
KR20080023407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pos가맹점의 위치안내 시스템및 방법
US20100156611A1 (e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rfid tag
KR100782340B1 (ko) Rfid/usn을 이용한 경로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