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458A -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458A
KR20060097458A KR1020050019798A KR20050019798A KR20060097458A KR 20060097458 A KR20060097458 A KR 20060097458A KR 1020050019798 A KR1020050019798 A KR 1020050019798A KR 20050019798 A KR20050019798 A KR 20050019798A KR 20060097458 A KR20060097458 A KR 20060097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grill
air conditioner
grille
lifting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7458A/ko
Publication of KR2006009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르래를 통하여 와이어로 연결된 승강그릴을 상승/하강시키는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승강그릴의 닫힘여부를 여부를 감지하는 닫힘감지부와, 상기 승강그릴의 바닥접촉여부를 감지하는 바닥감지부와, 상기 승강그릴을 상승/하강시키거나 닫힘여부와 바닥접촉여부에 따라 상기 승강그릴이 정지되도록 모터구동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승강그릴의 하강거리 설정장치를 리모컨에 구비하여 본체를 해체하지 않고도 손쉽게 승강그릴의 하강거리를 설정할 수 있고, 별도의 센서 없이도 내부타이머를 이용하여 승강거리를 계산하고 바닥감지부를 따로 두어 바닥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와이어의 엉킴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승강그릴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승강그릴을 탈거하고 공기조화기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승강그릴, 공기조화기, 제어장치, 바닥감지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A Grill control unit of a Air-conditioner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가 도시된 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4a,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바닥감지부의 동작이 도시된 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마이컴 110:타이머부
120: 닫힘감지부 130: 바닥감지부
140: 모터구동부 150: 표시부
200: 리모컨부 210: 스위치부
300: 모터 310: 도르래
320: 와이어 400: 리미트스위치
500: 스프링 600: 승강그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강거리를 내부타이머에 의해 계산하고, 바닥감지부를 두어 승강그릴 하강시 바닥/장애물을 감지하여 와이어의 엉킴을 방지하고, 승강거리 설정이 쉽도록 설정 스위치를 리모컨에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 1 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는 승강그릴의 하강거리를 설정하는 DIP 스위치부(11)와, 승강그릴이 상승하는 경우 승강그릴이 닫히는지 감지하는 승강그릴 닫힘감지부(12)와, 상기 승강그릴이 상승/하강시 승강거리를 측정하고 계산하는 캠회전수감지부(13)와, 상기 승강그릴의 상승/하강하도록 상기 와이어 일단에 연결된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모터를 역/정회전 시켜 상기 승강그릴을 상승/하강시키기 위한 마이컴(10)과, 상기 마이컴을 사용자가 제어하기 위한 무선/유선 리모컨(15)(1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를 도시한 도이다. 승강그릴(50)이 모터(20)에 와이어(22)로 도르래(21)를 거쳐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도르래에 구비된 캠(40)과 상기 도르래의 상부에 캠의 회전에 의해 접촉이 온/오프 되도록 위치한 스위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르래에 구비된 캠이 도르래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도르래 상부의 스위치를 접촉시켜 회전수가 측정되어 승강거리가 계산된다. 이 경우 캠회전수를 이용하여 승강거리를 조정할 수는 있지만 바닥이나 장애물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승강거리 제어장치는 승강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한 장치가 필요하고, 승강그릴의 하강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DIP스위치가 공기조화기의 본체에 있어 상기 하강거리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를 분해하여 설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닥을 감지하는 장치가 없어 상기 설정된 하강거리가 바닥과의 거리보다 긴 경우 승강그릴에 연결된 와이어가 엉킬 염려가 있고, 하강도중 탁자와 같은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리모컨에 승강그릴의 하강거리 설정장치를 구비하여 본체를 해체하지 않고도 손쉽게 승강그릴의 하강거리를 설정할 수 있고, 바닥감지부를 두어 바닥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와이어의 엉킴을 방지하고, 별도의 센서 없이도 내부타이머를 이용하여 승강거리가 계산가능한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는 도르래를 통하여 와이어로 연결된 승강그릴을 상승/하강시키는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승강그릴의 닫힘여부를 여부를 감지하는 닫힘감지부와, 상기 승강그릴의 바닥접촉여부를 감지하는 바닥감지부와, 상기 승강그릴을 상승/하강시키거나 닫힘여부와 바닥접촉여부에 따라 상기 승강그릴이 정지되도록 모터구동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방법은 모터구동에 의해 승강그릴이 하강되는 제 1 단계와, 승강그릴이 바닥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바닥에 접촉된 경우 상기 모터가 상기 승강그릴을 약간 상승시켜 멈추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는 도 3과 같이 도르래를 통 하여 와이어로 연결된 승강그릴을 상승/하강시키는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140)와, 상기 승강그릴의 닫힘여부를 여부를 감지하는 닫힘감지부(120)와, 상기 승강그릴의 바닥접촉여부를 감지하는 바닥감지부(130)와, 상기 승강그릴을 상승/하강시키거나 닫힘여부와 바닥접촉여부에 따라 상기 승강그릴이 정지되도록 모터구동부를 제어하는 마이컴(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이컴(100)의 내부에는 타이머부(110)가 있는데 상기 승강그릴의 모터의 구동시간에 따른 상승/하강거리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기능을 한다. 즉, 타이머부(110)에서 구동시간을 측정하면 상기 마이컴(100)은 카운트된 시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거리를 연산하고 그에 따라 모터구동부(140)를 제어한다.
상기 닫힘감지부(120)는 승강그릴이 상승하는 경우 승강그릴이 본체에 접촉되는지 감지하여 승강그릴의 상승을 멈추도록 마이컴(100)에 신호를 보내도록 동작한다.
상기 모터구동부(140)는 상기 마이컴 내부의 타이머부(110)에 의해 구동시간에 따른 승강거리가 환산되어 상기 모터가 역/정회전되도록 구동한다.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마이컴(10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승강그릴의 상승/하강/정지에 따른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그 예로 동작상태에 따라 점등하는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강그릴이 상승/하강 하는 경우에는 상기 LED가 점멸되고, 상기 승강그릴이 중간에 정지하였을 경우 점등되고, 상기 승강그릴이 닫혀 있는 경우에는 소등되어 상기 승강그릴의 운전상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표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 승강그릴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마이컴(100)에 명령신호를 내릴 수 있는 리모컨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모컨부(200)는 유선/무선으로 상기 마이컴(100)에 명령을 내리는 유선/무선 리모컨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리모컨에는 승강그릴의 하강거리를 설정하는 스위치부(210)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부(210)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스위치로 하강거리를 설정하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상기 승강그릴이 하강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리모컨부(200)는 스위치부(210)를 통해 하강거리가 재설정되거나 변경된 경우, 그 정보를 자동적으로 상기 마이컴(100)에 전송하도록 구성가능하다. 상기 마이컴(100)은 상기 리모컨부(200)를 통해 하강거리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면 하강거리를 재설정해 그 이상으로 승강그릴이 하강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마이컴(100)은 상기 승강그릴이 하강시 상기 바닥감지부에 의해 승강그릴이 바닥에 접촉한것이 감지되면 모터를 역회전 시켜 와이어의 엉킴이 방지되도록 상기 승강그릴을 약간 상승시켜 멈추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감지부(130)를 도4a,4b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도르래(310)의 하부에는 스프링(500)이 위치하고 상기 도르래(310)의 상부에는 리미트스위치(400)가 위치하여 승강그릴(600)의 하강시 승강그릴의 무게에 의해 상기 도르래가 상기 스프링(500)을 압축시켜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접점이 떨어져 오프(도 4a)된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오프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직 바닥이 감지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다.
상기 승강그릴이 계속 하강하다 바닥에 접촉시 상기 스프링은 더 이상 상기 승강그릴의 무게에 따른 압축력을 받지 않으므로 다시 탄성에 의해 상기 도르래를 상승(도 4b)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접점이 온되어 바닥접촉이 감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강그릴의 하강거리를 설정한다(S1). 보통 승강그릴의 하강거리는 본체에 구비된 DIP스위치를 통해 설정되나 본 발명은 리모컨에 구비된 슬라이드 스위치를 통해 설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사용자로부터 승강그릴이 하강하도록 명령이 입력되면 모터를 회전시켜 승강그릴을 하강시킨다(S2).
상기 승강그릴이 하강되는 거리는 마이컴 내부의 타이머에 모터구동시간이 카운트됨에 따라 하강 거리가 계산된다(S3).
상기 계산된 하강거리와 S1단계에서 설정된 하강거리(이하 설정거리)를 비교하여 실제 하강된 거리가 설정거리보다 크거나 같으면 하강을 멈추도록 한다(S4). 그러나 리모컨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거리보다 더 내려오도록 명령하는 경우에는 승강그릴을 일정거리 만큼 더 하강시킨다(S5).
리모컨에 의해 정지버튼을 누리면 승강그릴이 정지한다(S6). 만일 정지버튼 을 누르지 않으면 승강그릴이 상기 설정거리만큼 내려오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그릴에 연결된 와이어 길이보다 더 많이 내려오는지 검사하여 하강거리가 와이어길이와 일치하거나 클 경우 승강그릴을 멈춘다(S7).
하강중에 상기 승강그릴이 바닥에 접촉하였는지 검사(S8)하여 접촉한 경우에는 와이어의 엉킴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를 약간 역회전 시켜 승강그릴을 상승시키도록 한다(S9). 그리고 최종적으로 승강그릴은 멈추게 된다(S10).
승강그릴이 상승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리모컨에 의해 상승/정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계속 상승하여 닫힘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면 승강그릴이 자동으로 멈춘다. 이때 승강그릴 자체의 무게에 의해 아래로 승강그릴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승강그릴이 상승하여 닫히도록 한다. 또한, 사람이 인위적으로 승강그릴을 잡아당기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승강그릴이 상승하여 본래의 닫힘상태를 유지하도록 동작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승강그릴의 하강거리 설정장치를 리모컨에 구비하여 본체를 해체하지 않고도 손쉽게 승강그릴의 하강거리를 설정할 수 있고, 별도의 센서 없이도 내부타 이머를 이용하여 승강거리를 계산하고 바닥감지부를 따로 두어 바닥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와이어의 엉킴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승강그릴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승강그릴을 탈거하고 공기조화기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도르래를 통하여 와이어로 연결된 승강그릴을 상승/하강시키는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승강그릴의 닫힘여부를 감지하는 닫힘감지부와; 상기 승강그릴의 바닥접촉여부를 감지하는 바닥감지부와; 상기 승강그릴을 상승/하강시키거나 닫힘여부와 바닥접촉여부에 따라 상기 승강그릴이 정지되도록 모터구동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감지부는 상기 도르래의 하부에 위치한 스프링과; 상기 도르래의 상부에 위치한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승강그릴의 하강시 승강그릴의 무게에 의해 상기 스프링이 압착되어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접점이 떨어져 오프되고, 상기 승강그릴이 바닥에 접촉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도르래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접점이 온되어 바닥접촉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승강그릴의 모터의 구동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이컴은 상기 타이머에서 카운트된 구동시간에 따라 상승/하강거리를 계산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승강그릴이 하강시 상기 바닥감지부에 의해 승강그릴이 바닥에 접촉한것이 감지되면 와이어의 엉킴이 방지되도록 상기 승강그릴이 약간 상승하여 멈추도록 상기 모터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승강그릴이 상승시 상기 닫힘감지부에 의해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그릴의 상승이 멈추도록 상기 모터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는 상기 승강그릴의 동작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점멸/점등/소등의 방법으로 상기 승강 그릴의 운전상태가 표시되는 LE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는 유/무선으로 상기 승강그릴의 운전을 원격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마이컴에 보내는 리모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부는 승강그릴의 하강거리를 수동으로 설정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10. 모터구동에 의해 승강그릴이 하강되는 제 1 단계와;
    승강그릴이 바닥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바닥에 접촉된 경우 상기 모터가 상기 승강그릴을 약간 상승시켜 멈추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방법은 상기 제 1 단계와 제 2 단계 사이에 하강거리가 와이어길이와 같은 경우 상기 모터가 상기 승강그릴을 멈추는 와이어길이비교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방법은 상기 제 1 단계 전에 승강그릴 하강거리를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방법은 상기 제 1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사이에 하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같은 경우 상기 모터가 상기 승강그릴을 멈추는 설정거리비교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방법은 상기 설정거리비교단계 후 리모콘에 의해 하강/멈춤 명령이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상기 모터가 승강그릴을 하강/멈춤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방법.
KR1020050019798A 2005-03-09 2005-03-09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60097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798A KR20060097458A (ko) 2005-03-09 2005-03-09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798A KR20060097458A (ko) 2005-03-09 2005-03-09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458A true KR20060097458A (ko) 2006-09-14

Family

ID=3762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798A KR20060097458A (ko) 2005-03-09 2005-03-09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74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913B1 (ko) 2007-01-25 200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859944B1 (ko) * 2007-07-25 2008-09-23 신정훈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그릴 결합방법
KR100909558B1 (ko) * 2009-04-01 2009-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릴승강수단의 동작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913B1 (ko) 2007-01-25 200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859944B1 (ko) * 2007-07-25 2008-09-23 신정훈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그릴 결합방법
KR100909558B1 (ko) * 2009-04-01 2009-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릴승강수단의 동작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0165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그릴 승강기
US20060184853A1 (en) Operating method for a motorized roller blind
JP2001503116A (ja) 車庫扉の操作パラメータを検出しかつ測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06509134A (ja) 可動バリアの位置の信号を送り且つその位置を確実に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060097458A (ko) 공기조화기의 승강그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90131107A (ko) 승강장치
KR100859944B1 (ko)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그릴 결합방법
KR200450078Y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그릴 승강기
KR20120006522U (ko) 광센서에 의한 전동 블라인드 승강 제어장치
KR101047665B1 (ko) 과부하 검출 기능을 갖는 권양 장치
KR101589158B1 (ko) 쌍 미닫이 창문용 개폐장치
JP2019190117A (ja) 保安機能付きブラインド
JP3912135B2 (ja) 開閉体の警報制御装置
US97655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moveable closure
KR102227986B1 (ko) 스태킹 도어
CN209354670U (zh) 一种具有电子自检装置的防火阀
JP5158831B2 (ja) 電動シャッター
KR20190089203A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CN111174251A (zh) 油烟机障碍检测方法及油烟机
KR100313304B1 (ko) 축사용 자동커텐 제어장치및 제어방법
TWI795029B (zh) 簾體控制裝置及簾體控制方法
KR100776001B1 (ko) 시스템 에어컨 및 그 제어방법
JPH0361796A (ja) 情報管理装置
KR102229501B1 (ko) IoT에 기반한 무대장치 바텐의 추락방지 안전시스템의 운용방법
JPH03125783A (ja) 電動ロールブラインドの障害物検知停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