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149A - 펩티드 예방접종 및 에스트라머스틴 치료의 병용요법 - Google Patents

펩티드 예방접종 및 에스트라머스틴 치료의 병용요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149A
KR20060096149A KR1020067008331A KR20067008331A KR20060096149A KR 20060096149 A KR20060096149 A KR 20060096149A KR 1020067008331 A KR1020067008331 A KR 1020067008331A KR 20067008331 A KR20067008331 A KR 20067008331A KR 20060096149 A KR20060096149 A KR 20060096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s
peptide
cancer
peptides
estramast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972B1 (ko
Inventor
교고 이토
마사노리 노구치
Original Assignee
구루메 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루메 다이가쿠 filed Critical 구루메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060096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6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1Cancer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80Vaccine for a specifically defined cancer
    • A61K2039/884Vaccine for a specifically defined cancer prost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n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치료적 유효량의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 및 저 투여량의 에스트라머스틴 (estramustine) 또는 이의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을 치료하는 방법 및 이의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펩티드 예방접종 및 에스트라머스틴 치료의 병용요법{COMBINATION THERAPY OF PEPTIDE VACCINATION AND ESTRAMUSTINE TREATMENT}
본 발명은 암에 대한 면역요법, 상세하게는 호르몬 난치성 (hormone-refractory) 전립선암에 대한 치료에 관한 것이다.
전이성 호르몬 난치성 전립선암 (HRPC) 환자의 최적 치료 방법은 암전문의에게 있어서 도전의 목표로 남아 있다. 전이성 HRPC 환자의 생존 기간 중앙값은 약 12 개월이다 [1 ~ 3]. 마이토잔트론 (mitoxantrone) 을 이용한 화학요법이 일시적 완화 효과를 제공하기는 하지만 [1,2], 생존 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보이는 치료법은 아직 없다. 최근, 에스트라머스틴계 (estramustine-based) 또는 탁산계 (taxane-based) 요법의 제 2 상 시험 중, 환자의 45 % 내지 67 % 에서 혈청 전립선-특이 항원 (PSA) 수준이 50 % 이상 저하되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4 ~ 8]. 그러나,이러한 병용은 심각한 수준의 구역, 설사, 백혈구감소증 및 과적성 체액 저류와 혈전 발생의 위험 증가와 연관되었으며, 상황이 나쁜 환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었다. 더욱이, 상기 요법 중 어느 것도 생존을 연장시키지 못했고, 이러한 연구에서의 환자의 수도 제한적이었다.
제 I 급 인체 백혈구 연관 항원 (HLA)-구속성 세포독성 T 림프구 (CTLs) 로 인식되는 많은 종양 항원이 지난 십년간 확인되었고 [9,10], 종양 백신을 사용한 HRPC 에 대한 신규 시도가 연구되었다. 가지 세포에 기초한 면역요법의 제 I 상/ 제 II 상 임상 시험이 수행되었고, 재병용체 전립선-특이적 막 항원 (PSMA) 및 항원보강제를 함유하는 백신 역시 전립선암 환자에게 시험되었다 [11,12]. HRPC 환자를 위한 면역요법에서 우리의 시도는, 암환자의 순환혈 중에서, CTL 을 유도하는 능력이 있는 30 종류의 백신 후보 물질에 반응성인 펩티드-특이적 CTL 전구체를 예방접종 전에 측정한 후, 이미 보고된 바와 같이, 오직 반응성 펩티드 (환자 지향적 (patient-oriented) 펩티드 예방접종) 를 투여하는 것이다 [13, 14]. 최근 우리는 HRPC 에 관한 제 I 상 임상 시험을 완료하였고, 이러한 펩티드의 안전한 투여를 평가하였다 [15]. 이 면역요법의 유해 사례는 통상의 요법에서의 유해 사례보다 덜 심각하였으나, 이 시도의 임상 응답성은 제한적이었다. 세포독성제가 최소의 면역계 억제를 갖는 경우, 추가의 항종양 효과가 펩티드 예방접종 및 세포독성제의 병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었다는 것이 제안되었다.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는 에스트라디올 및 질소 머스터드의 안정한 컨쥬게이트이고, 유사분열억제성을 갖고, 미세소관 조직화 (organization) 의 방해를 야기한다 [16].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는 과거 25 년간 HRPC 의 1 차 치료에 더하여 2 차 치료로서, 다수회의 제 II 상 및 제 III 상 임상 시험을 진행하였다. 기타 세포독성 약물과 비교한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의 잇점은 (경구) 투여의 용이성, 및 유효 투여량에서 상대적으로 양호한 내용성 (耐容性, tolerability) 이다.
면역요법 및 세포독성 약물의 병용은 새로운 개념이 아니나 [27], 많은 세포독성 약물의 골수억제성 성질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음성적 상호작용이 주요 관심사였다. 세포독성 약물은 또한 활성화 면역계의 특징으로서, 분열중인 세포를 우선적으로 죽이고, 따라서 면역 응답성을 억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HRPC 를 치료했던 환자에게 있어서,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의 독성으로서의 골수억제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16]. 빈블라스틴 (vinblastine) 이 병용된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 대 빈블라스틴 단독의 제 3 상 연구에서, 단독요법과 비교하여 병용요법에서 호중성백혈구감소증의 비율이 보다 낮았다 (등급 2, 3, 4: 각각 7 %, 1 % 및 1 % 대 27 %, 18 % 및 9 %)[3].
본 발명의 목적은 HRPC 환자에서 환자 지향적 펩티드 예방접종 및 경구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의 병용의 임상 및 면역 응답성을, 순차적으로 측정한 혈청 PSA, 임상 뼈스캔 기록과 함께 골교체 표지, IFN-γ-방출 검정법에 의한 펩티드-특이적 CTL 전구체 및 효소 면역 검정법에 의한 펩티드-반응성 IgG 를 분석함으로써 평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에 관한 것이다:
(1) 치료적 유효량의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 및 저 투여량의 에스트라머스틴 (estramustine) 또는 이의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치료 방법;
(2) 상기 (1) 에 있어서, 에스트라머스틴 또는 이의 염의 저 투여량은 140 내지 560 mg/일인 방법;
(3) 상기 (1) 또는 (2) 에 있어서,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가 환자 지향적인 방법;
(4) 상기 (3) 에 있어서,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가 암 항원 단백질, 이의 암 항원 펩티드, 이의 유전자 및 이들 물질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암이 호르몬 난치성 전립선암인 방법;
(6) 저 투여량의 에스트라머스틴 또는 이의 염을 함유하고,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와 함께 투여되는, 전립선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상기 (6) 에 있어서, 에스트라머스틴 또는 이의 염의 저 투여량은 140 내지 560 mg/일 인 약학 조성물;
(8) 상기 (6) 또는 (7) 에 있어서,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가 환자 지향적인 약학 조성물;
(9) 상기 (8) 에 있어서,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가 암 항원 단백질, 이의 암 항원 펩티드, 이의 유전자 및 이들 물질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학 조성물;
(10) 상기 (6)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암이 호르몬 난치성 전립선암인 약학 조성물; 및
(11) 전립선암의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에스트라머스틴 또는 이의 염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라머스틴 또는 이의 염이 저 투여량으로 존재하고, 상기 약제가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와 함께 투여되는 용도.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A 내지 1J 는 각각의 사례에서 투여된 펩티드에 특이적인 IFN-γ 생산 및 IgG 수준의 일련의 변화를 나타낸다. 사례 2, 5, 7, 8, 10 및 12 에서는 펩티드-특이적 CTL 전구체가 관찰되고, 사례 3, 4, 5, 7, 8, 10, 11, 12 및 13 에서는 펩티드-특이적 IgG 의 유도가 관찰되었다.
도 2A 내지 2J 는 치료가 유도한 면역 억제의 모니터링을 보여주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사례 2 및 3 은 심각한 면역 억제를 드러내며, 이들의 면역 억제는 총 투여량 (560 mg/일)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의 투여를 중지시킴으로써 회복되었다. 펩티드 및 저 투여량의 (280 mg/일)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가 투여된 여덟 사례 어디에도 면역 억제는 없었다.
도 3A 내지 3K 는 연구 중 11 명의 환자에 있어서 PSA 수준의 일련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환자 11 명 중 10 명 (94 %) 은 병용요법 중에 혈청 PSA 수준이 기준선으로부터 떨어짐을 보였다.
도 4 는 사례 12 의 CT 영상이다. A: 병용요법이 개시될 때 CT 스캔에 대동맥주위 림프절 전이 (화살표) 가 탐지되었다. B: 병용요법의 8 개월 후 재측정한 CT 스캔에서는 림프절 전이 (화살표) 의 크기가 44 % 감소되었다.
도 5A 내지 5G 는 예방접종 전 및 후의 PBMC 에서 펩티드-특이적 CTL 전구체의 대표적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펩티드-특이적 CTL 전구체의 증가가 펩티드 예방접종 단독 및 병용요법에서 관찰되었다. 고도의 응답성 (Armed response: Ar): p ≤ 0.01 및 500 ≤ 순량 (대응 펩티드에 응답한 IFN-γ 의 양 - HIV 펩티드에 응답한 IFN-γ 의 양); 응답성의 A 수준 (A): p ≤ 0.05 및 50 ≤ 순량; B: p ≤ 0.05 및 25 ≤ 순량 < 50; C: 0.05 < p ≤ 0.1 및 50 ≤ 순량.
도 6A 내지 6J 는 투여된 펩티드에 특이적인 IgG 수준의 일련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수직선은 OD 를 지시하고, 수평선은 혈청의 희석을 나타낸다. 펩티드 예방접종 단독 및 병용요법에서 펩티드-특이적 IgG 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Sc: 피하 주사.
도 7A 내지 7E 는 예방접종 중 % QOL 척도의 평가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n.s.; 현저하지 않음. 모든 인자에 관하여 QOL 결과는 치료 중 악화되지 않았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양태]
본 발명에 따라 우리들은, 펩티드 예방접종 전에 응답하지 않았던, 인체 백혈구 항원 (HLA)-A24 또는 A2 에 양성인, 전이성 호르몬 난치성 전립선암 (HRPC) 환자에게 펩티드 예방접종 및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 치료의 병용요법을 실시했고, 이 병용요법이 펩티드-특이적 CTL 전구체 또는 펩티드-특이적 IgG 를 증가시키고, 환자의 혈청 PSA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첫번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치료적 유효량의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 및 저 투여량의 에스트라머스틴 또는 이의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치료되는 전립선암에는 호르몬 응답성 전립선암, 호르몬 난치성 전립선암 및 호르몬 불감성 전립선암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호르몬 난치성 전립선암, 특히 전이성 호르몬 난치성 전립선암을 치료 또는 예방한다.
에스트라머스틴은 항신생물제라 불리는 일반적 의약군에 속하고, 전립선암의 일부 사례를 치료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사용된다. 에스트라머스틴은 질소 머스터드와 에스트라디올의 조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에스트라머스틴은 염의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포스페이트로서 환자에게 경구투여될 수 있다.
에스트라머스틴과 관련되어 사용되는 용어 "저 투여량" 은 에스트라머스틴의 통상 투여량 미만의 투여량을 의미하며, 상세하게는, 140 내지 560 mg/일, 바람직하게는 210 내지 490 mg/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 내지 420 mg/일,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80 mg/일이다. 저 투여량에는 특히 100 내지 150 mg/일, 100 내지 200 mg/일, 100 내지 250 mg/일, 120 내지 170 mg/일, 120 내지 220 mg/일, 120 내지 270 mg/일, 140 내지 190 mg/일, 140 내지 240 mg/일, 140 내지 290 mg/일, 160 내지 210 mg/일, 160 내지 260 mg/일, 180 내지 230 mg/일 및 180 내지 280 mg/일이 포함된다.
본 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 는 종양 항원 단백질 및 이의 유전자, 종양 항원 단백질 유래의 종양 항원 펩티드 및 이의 유전자, 및 이들 물질의 유도체를 의미한다. 종양 항원 펩티드는 세포 내에서 종양에 특이적 단백질인 종양 항원 단백질과 세포 내에서 합성되는 단백질인 프로테오솜 (proteosomes) 의 분해에 의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종양 항원 펩티드는 세포질세망에서 MHC 제 I 형 항원 (HLA 항원) 에 결합되어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 복합체는 세포 표면으로 이동되어 항원으로서 나타난다.
본 원에서 사용되는 종양 항원 단백질에는 인체 흑색종 세포 유래의 MAGE 로 명명된 단백질 (Science, 254:1643, 1991); 멜라노소말 단백질, 예컨대 멜라닌세포성 조직-특이적 단백질, gp100 (J. Exp. Med., 179:1005, 1994), MART-1 (Proc. Natl. Acad. Sci. USA, 91:3515, 1994) 및 타이로시네이스 (J. Exp. Med., 178:489, 1993); MEGE-관련 단백질 (J. Exp. Med., 179:921, 1994); 종양-특이적 아미노산 돌연변이를 갖는 β-카테닌 (J. Exp. Med., 183:1185, 1996); 및 CDK4 (Science, 269:1281, 1995); HER2-neu (J. Exp. Med., 181:2109, 1995), p53 (변이) (Proc. Natl. Acad. Sci. USA, 93:14704, 1996); 종양 표지, 예컨대 CEA (J. Natl. Cancer Inst., 87:982, 1995), PSA (J. Natl. Cancer Inst., 89:293, 1997); 및 바이러스 단백질, 예컨대 HPV (J. Immunol., 154:5934, 1995) 및 EBV (Int. Immunol., 7:653, 1995) 가 포함된다. 이러한 물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행된 검토서에서 찾을 수 있다 (예, Immunol. Today, 18:267, 1997; J. Exp. Med., 183:725, 1996; 및 Curr. Opin. Immunol., 8:628, 1996).
본 원에 사용되는 종양 항원 펩티드의 전형적 예에는 하기의 것들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WO97/46676, WO99/29715 및 WO99/33977 에 기술된 종양 항원 펩티드; 사이클로필린 B 유래의 종양 항원 단백질 (WO99/67288); SART-1 유래의 종양 항원 단백질 (WO00/06595); SART-3 유래의 종양 항원 단백질 (WO00/12701); ART-1 유래의 종양 항원 단백질 (WO00/32770); SART2 유래의 종양 항원 단백질 (J. Immunol., 164:2565, 2000); lck 유래의 종양 항원 단백질 (Eur. J. Immunol., 31:323, 2001); ART4 유래의 종양 항원 단백질 (Cancer Res., 60:3550, 2000); 및 ppMAPkk, WHSC2, UBE2V, HNRPL, EIF 유래의 종양 항원 단백질 (Cancer Res., 61:2038, 2001).
본 원에서 사용되는, 암 항원 단백질 및 암 항원 펩티드의 유전자는, 예를 들어, 문헌 [Molecular Cloning, 제 2 판.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89)] 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상기의 내용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원에서 사용되는, 암 항원 단백질, 암 항원 펩티드 및 이의 유전자의 유도체는, 상기 암 항원 단백질, 및 펩티드 및 이의 유전자의 아미노산 서열을 기초로하여 제조되는 인공 단백질 및 펩티드를 의미한다. 유도체의 전형적 예에는, 자연 발생 암 항원 단백질 및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소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 결손 및/또는 첨가되어 있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자연 발생 암 항원 단백질 및 펩티드와 유사한 면역 응답성 유도 활성이 있는 단백질 및 펩티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 환자 지향적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가 투여된다. 예를 들어, 환자 지향적 암 항원 펩티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항원 펩티드를 함유하는 백신 후보 물질을 암 환자에게 투여하고, 상기 백신 후보 물질이 CTL 을 유도하는 능력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13, 14].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는 통상 피하에 투여된다.
두번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전립선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저 투여량의 에스트라머스틴 또는 이의 염을 함유하고, 상기 조성물이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와 함께 투여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립선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저 투여량의 에스트라머스틴 또는 이의 염을 함유하고,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에 특이적인 CTL 전구체를 증가시키고/증가시키거나,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에 특이적인 면역글로불린 G 를 증가시키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전립선암", "에스트라머스틴", "저 투여량" 및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 의 의미는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의 어떠한 면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원에서 사용되는 약어는 하기의 하기의 용어를 의미한다: 세포독성 T 림프구 (CTL);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s); 인체 백혈구 항원 (HLA); 호르몬 난치성-전립선암 (HRPC); 전립선-특이적 항원 (PSA); 골교체 표지 (피리디놀린 가교화 제 1 형 콜라겐의 카르복시말단 텔로펩티드: ICTP); 효소면역검정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지연형 과민증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DHT); 전산화 단층촬영법 (CT); 완전 응답성 (CR); 부분 응답성 (PR); 진행 (PD); 고도의 응답성 (Armed response: Ar).
실시예 1
환자 및 방법
환자
2001 년 2 월부터 2002 년 9 월 사이에, 인체 백혈구 항원 (HLA)-A24 또는 A2 에 양성인 전이성 HRPC 환자 20 명이 제 I 상 연구에 참여했고, 여기서 환자들은 펩티드-특이적 세포독성 T 림프구 (CTL) 전구체 지향성 예방접종에 의해 치료받았다 [15]. 환자 13 명은 제 I 상 연구에서 3 회 이상의 펩티드 예방접종 후 질환이 진행된 경우, 펩티드 예방접종 및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의 병용요법에 참가하였다. 질환의 진행은 하기 세 가지의 기준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정의하였다: 2 주 이상 간격으로, PSA 수준이 기준선 (baseline) 으로부터 2 회 연속 25 % 증가, 이차원적으로 측정가능한 연조직 전이에서의 25 % 초과의 증가 및 방사선핵종 뼈스캔 상에 신규 초점들 (foci) 의 출현. 혈청 PSA 수준은 정상 범위를 0 ~ 4.0 ng/ml 로 해서 Tandem-R (Hybritech Inc., San Diego, CA) 검정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기타 적격성에는 0 또는 1 의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활동도, 79 세 이하의 연령, 3,000/mm3 초과의 과립백혈구수, 10 g/dl 초과의 헤모글로빈, 100,000/mm3 초과의 혈소판, 정상 한계 이하의 빌리루빈 및 1.4 mg/dl 미만의 크레아티닌이 포함된다. B 형 간염 및 C 형 간염 혈청 검사에서의 음성이 요구되었다. 최근 5 년 이내 중병 질환 또는 활성 이차적 악성종양에 걸린 환자는 연구의 참여에서 제외되었다. 제외 기준에는 면역억제 또는 자기면역질 환의 증거가 있는 사람도 포함되었다. 모든 환자에게 시설의 지침에 관하여 설명하여 확인을 받았다. 이 연구는 Kurume 대학부 윤리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13 명 중 2 명의 환자는 의도했던 요법 코스가 완료되지 않아 (6 차 예방접종), 면역 및 임상 평가에서 제외되었고, 면역 분석용 시료가 없었다. 그러므로, 11 명의 환자가 면역 및 임상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었다. 병용요법에 의해 치료받은 환자 11 명의 기준선 특성을 이하 표 1 에 정리하였다.
연구 등록 시, 뼈전이가 있는 환자의 PABS 중앙값 % 는 6.0 (범위: 1.5 ~ 8.4) 였다. 사전 치료에는 호르몬 요법 (환자 11 명), 뼈전이에 대한 방사선 요법 (환자 2 명) 및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화학요법 (환자 8 명: 에스트라머스틴 단독으로 치료한 환자 5 명; 에스트라머스틴 + 에토포사이드의 배합물로 치료한 환자 3 명) 이 포함된다. 11 명 환자 모두는 병용요법 개시에 앞서 3 회 이상 (중앙값 6 회, 범위 3 ~ 23 회) 의 펩티드 예방접종도 받았다. 병용요법 기간의 중앙값은 13 개월 (범위, 6 ~ 21 개월) 이었다.
환자 지향적 펩티드 예방접종
HRPC 환자에 관련한 면역 요법에서의 우리들의 시도는, 이미 보고된 바와 같이 [13 ~ 15], CTL 을 유도하는 능력이 있는 30 종의 백신 후보 (HLA-A24 양성 환자에 대한 펩티드 14 종 및 HLA-A2 양성 환자에 대한 펩티드 16 종) 에 반응하는 암 환자의 순환혈 중 펩티드-특이적 CTL 전구체를 백신 접종 전에 측정하는 것이 며, 이어서 오직 반응성 펩티드 (CTL 전구체-지향 펩티드 백신) 만 투여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펩티드는 이하 표 2 에 열거된다. 이러한 펩티드는 Multiple Peptide System (San Diego, CA) 에 의한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의 조건 하에서 제조되었다. 이러한 펩티드는 모두 암환자의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MMCs) 에서 HLA-A24 또는 HLA-A2-구속성 및 종양-특이적 CTL 활성을 유도하는 능력을 갖는다 [17 ~ 23]. 1 차 예방접종 전과 매 6 차 예방접종 7 일 후에, 말초 혈액의 30 ml 를 취하고, Ficoll-Conray 밀도 구배 원심분리에 의해 PBMC 를 단리하였다. PBMC 중의 펩티드-특이적 CTL 전구체는 사전에 보고된 배양법을 사용하여 탐지하였다 [24]. 간단히 말하면, PBMC (1 x 105 세포/웰) 을 10 μM 의 각 펩티드 와 함께 200 ㎕ 의 배양배지 중에 U 자형 바닥 96-웰 마이크로배지 플레이트 (Nunc, Roskilde, Denmark) 상에서 항온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배지는 45 % RPMI-1640 배지, 45 % AIM-VTM 배지 (Invitrogen Corp., Carlsbad, CA), 10 % FCS, 100 U/ml 의 인터루킨-2 (IL-2) 및 0.1 mM MEM 비필수 아미노산 용액 (Invitrogen Corp.) 을 포함한다. 12 일까지 매 3 일 마다 배지의 절반을 제거하고, 대응 펩티드 (20 μM) 를 함유하는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였다. 배양 12 일 째, 마지막 자극으로부터 24 시간 후, 이들 세포를 수합하고, 3 회 세정한 후, 대응 펩티드, 또는 음성 대조구로서의 HIV 펩티드 (RYLRQQLLGI) 중 어느 하나로 미리 로딩된 C1R-A2402 또는 T2 세포에 응답하여 IFN-γ 을 생산하는 이들의 능력을, HLA-A24 또는 HLA-A2 PBMC 에서 각각 시험하였다. 표적 세포 (C1R-A2402 또는 T2, 1 x 104/웰) 을 각각의 펩티드 (10 μM) 로 2 시간 동안 펄스 (pulse) 한 후, 작동 세포 (1 x 105/웰) 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여 최종 체적이 200 ㎕ 였다. 18 시간의 항온 배양 후, 상청 (100 ㎕) 을 수합하고, IFN-γ 의 양을 효소면역검정법 (ELISA)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검출 한계: 10 pg/ml). 모든 실험을 상이한 4 개의 웰 중에서 2 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펩티드 30 종 (HLA-A24 양성 환자에 대한 펩티드 14 종 및 HLA-A2 양성 환자에 대한 펩티드 16 종) 에 반응하는 CTL 전구체에 관하여 예방접종 전 PBMC 를 각 웰에 대하여 2 회 반복하여 상이한 웰에 대해 스크리닝 (screening) 하였고, 각 웰의 결과를 p 값 (양측 스튜던트 t 검정) 에 따라 4 개의 군으로 분류하였고, IFN-γ 의 양 (대응 펩티드에 대한 응답성 평균값 - HIV 펩티드에 대한 응답성 평균값) 은 하기와 같았다: 고도의 응답성 (Ar): p ≤ 0.1 및 500 ≤ 순량; 응답성의 A 수준 (A): p ≤ 0.05 및 50 ≤ 순량; B: p ≤ 0.05 및 25 ≤ 순량 < 50; C: 0.05 < p ≤ 0.1 및 50 ≤ 순량. 펩티드는 4 개의 웰 전체에서의 평가에 기초하여 앞서 기술한 대로 선택하였다.
병용요법
펩티드 예방접종 계획은 하기와 같았다. 피부 시험에서 선택했던 펩티드 각 10 ㎍ 씩을 4 종까지, 27 게이지 주사침을 장착한 튜베르쿨린 주사기를 이용해 개별적으로 피부 내에 주사하였다. 피부 시험 20 분 후 및 24 시간 후에 각각 즉발형 및 지연형 과민증 (DHT) 반응을 측정하였다. 양성 피부 검사 반응을 30 mm 를 초과하는 직경의 홍반 및 경화로서 정의하였고, 식염수를 과민증 평가의 음성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즉발형 과민증이 음성인 경우, 펩티드를 주사하였다. 병용요법 전에, 각 펩티드 3 mg/ml 을 각 환자의 외측 대퇴 피하에 2 주 간격으로 총 6 회 주사하였다. 병용요법 중, 각 펩티드의 1 mg/ml 을 4 주 간격 내지 6 주 간격으로 주사하였다.
최초의 두 사례에 대하여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을 140 mg 의 캡슐로 1 일 2 회 두 캡슐씩으로 일일 총 투여량이 560 mg 이 되도록 경구투여했으나, 이들 환자에서 심각한 면역 억제가 관찰되었다. 심각한 면역 억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남은 11 사례에서는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를 280 mg/일로 감소시켰다.
면역학적 모니터링
병용 요법 중 면역 응답성을 평가하기 위해, PBMC 내의 펩티드 특이적 CTL 전구체 및 펩티드-특이적 항체의 혈청 수준을 매 6 차 예방접종에서 측정하였다. PBMC 내 펩티드-특이적 CTL 전구체는 사전 보고된 배양법을 사용하여 탐지하였고 [24], 투여된 펩티드에 특이적인 혈청 IgG 수준은 이미 보고된 바와 같이 ELISA 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13 ~ 15]. 이에 덧붙여, 에스트라머스틴-유도 면역 억제를 신중히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하였다. 즉, PBMC 를 매 2 주 마다 수합하고, 3 회 반복 검정에 의해 10 ㎕ M 식물적혈구응집소 (PHA), HLA-A24 또는 HLA-A2 결합 모티프 (motif) 를 갖는 Epstein-Bar 바이러스 (EBV)-유래 펩티드 10 ng/ml 및 예방접종한 2 종의 상이한 펩티드 10 ng/ml 를 2 일간 배양 하였다 (104 세포/웰). 2 일간 배양 후, 무세포 상청에서 IFN-γ 의 양을 3 회 반복검정하여 측정하였고, 생존 세포의 수도 세었다. 각 검정에서 편재를 방지하기 위해, PBMC 전부를 한번에 저온보관하고, 4 종의 상이한 PBMC (건강한 제공자로부터 2 종, 최근의 예방접종 2 주전에 수합된 환자 PBMC 로부터 1 종 및 최근 예방접종으로부터 1 종) 를 실험일 아침에 동시에 해동시켰다. 건강한 제공자로부터의 PBMC 는 일련의 면역 모니터링을 거친 동일한 제공자로부터의 PBMC 이다. PHA, EBV-펩티드, 및 예방접종된 펩티드에 대한 응답성 (IFN-γ 생산) 은 휴지 T 세포, 기억 T 세포 및 활성 T 세포의 각각에 의해 중개되었다.
임상 모니터링
환자를 임상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병용요법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질환에 의한 사망 또는 참지 못할 시점 (intolerance) 까지, 또는 동의가 철회될 때까지 본 시험에 참여한 환자를 관찰하였다. 매 방문시에 임상 및 실험실에서의 평가를 수행하여, 환자로부터 유해 사례, 이들의 중증도 (severity) 및 빈도에 관하여 들었다. 유해 사례의 중증도는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의 독성 기준에 따라 평점을 주었다. 혈청 PSA 및 골교체 표지 (피리디놀린 가교화 제 I 형 콜라겐의 카르복시말단 텔로펩티드: ICTP) 수준을 치료중 매 4 주에 측정하였다. ICTP 의 혈청 수준은 텔로펩티드 ICTP RIA 키트 (Orion Diagnostica 사제, Espoo, Finland; Chugai 제공, Tokyo, Japan) 를 사용하여 2-항 체 방사면역검정법 (RIA)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청 ICTP 의 정상 범위는 1.8 ~ 5.0 ng/ml 였다 [25]. 뼈스캔 및 복부의 전산화 단층촬영법 (CT) 스캔은 이 연구 중 매 3 개월마다 수행하였다. 뼈스캔 상 전이의 발견은, 뼈스캔 상에서 양성 부분의 백분율 (% PABS) [26] 을 이용한 질환의 범위에 따라 평가하였다. 임상 응답성은 PSA 수준의 변화, 및 측정가능한 질환을 갖는 환자에 있어서의 영상 연구의 양측에 의해 결정하였다. PSA 응답성은, 4 주 이상 간격의 2 회의 연속 측정에서 PSA 수준의 기준선으로부터의 50 % 이상의 감소 (PR) 또는 PSA 수준의 정상화 (CR) 라고 정의하였다. PSA 진행의 시점은 최초 2 회 연속에서 PSA 수준이 기준선으로부터 25 % 증가한 시점이라고 등록하였다. 측정가능하고 평가가능한 질환의 응답성 및 진행에 관하여 표준 정의가 사용되었다. 이차원적으로 측정가능한 질환을 가진 환자에 있어서, 완전 응답성 (CR) 은 4 주 이상 동안 모든 목표 병변의 소실로서 정의하였고; 부분 응답성 (PR) 은 이차원적으로 측정가능한 질환의 50 % 이상의 감소로서 정의하였고; 경도 응답성은 25 % 내지 50 % 의 감소로서 정의하였다. 골전이의 응답성에 대하여는, CR 을 뼈스캔에 있어서의 전체 양성 부분의 소실로서 정의하였다. PR 은 % PABS 에서의 50 % 이상의 감소로서 정의하고, 진행 (PD) 은 양성 부위 수의 증가, 기존 병변의 악화 또는 상기 두 가지가 동시에 관찰되는 것으로서 정의하였다.
통계적 방법
무진행생존률 (Progression-Free Survival) 은, 병용요법의 개시 시점부터, 질환이 진행된 환자에 있어서는 진행 시점까지, 또는 진행없이 사망한 환자에 있어서는 사망 시점까지, 또는 진행없이 생존한 환자에게 있어서는 최후의 접촉 시점까지로서 정의하였다. 원인특이적생존률 (Cause-specific survival) 은 병용요법 개시부터 질환이 원인이 된 사망까지의 시간으로서 정의하였다. Kaplan-Meier 방법을 사용하여 무진행생존률 및 원인특이적생존률을 평가하였다.
결과
병용요법 중 면역 응답성
병용요법 도중, 펩티드-특이적 CTL 전구체 및 펩티드-특이적 항체를 전체 환자 11 명에게서 6 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예방접종 펩티드 및 면역 응답성을 이하 표 2 에 요약하였다. 병용요법 중, 면역 응답성을 모니터링했던 11 명의 환자 모두는 세포성 또는 체액성 응답성 중 어느 하나는 증강되었다. 펩티드-특이적 CTL 전구체의 증가가 환자 11 명 중 6 명 (사례 2, 5, 7, 8, 10 및 12) 에게서 관찰되었고, 한편, 펩티드-특이적 IgG 의 유도가 환자 11 명 중 10 명 (사례 3, 4, 5, 7, 8, 10, 11, 12 및 13) 에게서 관찰되었다. 도 1 은, INF-γ 의 생산, 및 각 환자에게 투여된 펩티드에 특이적인 IgG 수준 양측의 일련의 변화를 나타낸다.
에스트라머스틴-유도 면역억제 역시, 환자 11 명 중 10 명에서, PHA, EBV-펩티드 및 예방접종되는 펩티드에 대하여 IFN-γ 생산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분석하였다. 사례 13 에서는, 검정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PBMC 가 너무 부족한 이유 로 면역 모니터링이 수행되지 못했다. PHA, EBV-펩티드 및 예방접종되는 펩티드에 대한 응답성 (IFN-γ 생산) 은 휴지 T 세포, 기억 T 세포 및 활성화 T 세포의 각각에 의해 중개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각 사례의 모니터링 결과를 도 2 에 나타내었다. 사례 2 및 3 은 초기에 총 투여량 (560 mg/일) 의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병용에 의해 치료되었으나, 면역학적 모니터링에서 심각한 면역 억제를 드러냈다. 이러한 면역 억제는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의 투여를 중단함에 의해 회복되었다. 펩티드 및 절반 투여량의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가 투여되는 경우 (도 2) 에는 8 사례 중 어느 것에서도 심각한 면역 억제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전이성 HRPC 환자에 있어서 펩티드 예방접종 및 저 투여량 (280 mg/일) 의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를 병용하는 것의 잇점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펩티드 예방접종 및 저 투여량의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의 병용 중 전이성 HRPC 환자 전체에서 세포 및 체액성 면역 응답성이 잘 유지되는 것을 증명하였다. 본 발명의 결과, 환자 11 명 중 6 명에서 펩티드-특이적 CTL 전구체의 증가가 관찰되었고, 환자 11 명 중 10 명에서 펩티드-특이적 IgG 의 유도가 관찰되었다. 펩티드 및 저 투여량의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가 투여된 환자 11 명 중 어느 누구에서도 심각한 면역 억제는 없었다. 상기 소규모의 연구로부터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적 다수의 환자가 참여한 추가적인 연구가 권장된다.
임상 응답성
펩티드 예방접종 및 경구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의 병용에 대한 임상 응답성을 표 3 에 나타내었다. 환자 11 명 중 10 명 (91 %) 이 치료 후 기준선으로부터 혈청 PSA 수준의 감소를 보였고, 이 중 환자 8 명 (73 %) 에서 혈청 PSA 수준의 50 % 이상의 감소를 보였다. 병용요법 중 각 사례에서 PSA 수준의 일련의 변화를 도 3 에 나타내었다. 사전에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화학요법에 반응하지 않았던 환자 8 명 전원에서, PSA 응답성이 확인되었다. 측정가능한 질환이 있는 환자 2 명 중 1 명에서는 CT 상에서 림프절 전이의 44 % 의 감소가 보였다 (도 4). 이 환자는 현재도 50 % 이상의 PSA 감소를 유지하며 생존해 있다 (사례 12). 환자 10 명에서 뼈전이가 있었다. 뼈전이의 개선은 없었으나, 뼈전이가 있는 환자 10 명 중 1 명이 50 % 이상의 혈청 ICTP 수준 감소를 보였다.
현 시점에서, 환자 3 명이 사망했고, 원인은 전부 전립선암 및 전이에 있었다. 전체 환자에 있어서 추적된 중앙값은 14 개월이었고, 범위는 8 내지 24 개월이었다. 생존률 중앙값은 계산하지 않았다. 12 개월의 시점에서, 환자의 64 % 가 여전히 생존하고 있었다.
전반적 응답 비율 (73 %) 은 혈청 PSA 수준의 50 % 이상의 감소로 정의되었는데, 이것은 이미 보고된 면역 요법 (예를 들어, 인터페론-α 및 인터루킨-2 의 병용요법 (31 %) [32] 또는 전립선 특이 막 항원의 펩티드로 처리한 가지 세포의 주입 (27 %) [11, 12]) 의 제 I/II 상 연구에서 보여지는 것보다도 명확히 높다. 게다가, 이는 병용요법에 관한 최근 보고된 화학 요법 시험 (예컨대, 에스트라머스 틴 및 파크리탁셀 (53 %) [6], 에스트라머스틴 및 도세탁셀 (62 %) [7] 및 에스트라머스틴, 페크리탁셀 및 카르보플라틴의 세가지 약물의 병용 (67 %) [8]) 에서의 응답 비율에도 필적한다. 측정가능한 질환에 있어서, 전반적 응답 비율은 화학요법 치료계획에서 보고된 값 보다도 어느정도 낮다고 생각되나, 그것은 본 연구의 환자가 대부분 측정가능한 연조직 질환을 갖지 않았다는 것에 기인한다. 대부분의 환자는 골교체 표지 (ICTP) (뻐전이가 있는 전립선암환자에서 뼈전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법으로서 제안되어 있음 [33]) 가 감소되었으나, 뼈스캔 상에서는 뼈전이의 개선이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모순은 뼈스캔이 낮은 감도의 수단이라는 점, 또는 치료에 대하여 보다 저항성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뼈 중의 질환에 영향을 주기에는 치료 기간이 너무 짧다는 것으로도 설명 가능하다.
독성
전체 환자 13 명이 독성 평가에 참여되었다. 치료받은 환자 13 명에게 보고된 독성을 표 4 에 정리하였다. 병용요법은 안전하고, 양호한 내용성 (耐容性) 을 가져 대부분의 사례에서 중요한 부작용이 없었으나, 각 사례에서 등급 3 의 부정맥 및 뇌경색증이 관찰되었다. 환자 1 명 (사례 4) 은 등급 3 의 부정맥이 진전되었으나, 이 부정맥은 에스트라머스틴의 중단에 의해 사라졌다. 14 개월의 병용요법 후, 등급 3 의 뇌경색증으로 입원했던 다른 환자 (사례 7) 는 항응고제를 사용한 치료에 성공했고, 다른 주요 독성 없이 병용요법을 지속했다. 가장 일반적 독성은 전체 사례에 있어서 예방접종의 주사 부위에 있어서의 피부과 적 반응이었다. 전체 13 의 피부과적 반응은 National Cancer Institute 의 통상 독성 평가 기준에 따라 등급 1 또는 2 로서 평점되었다. 환자 7 명은 뼈통증을 호소하였고, 환자 4 명은 등급 2 의 혈뇨가 발병되었고, 환자 3 명은 피로를 호소했다. 혈액, 간 또는 신장 독성에 관련한 치료는 없었다.
여기에 보고하는 병용요법의 독성은 약했고, 이 치료는 전이성 HRPC 에 걸린 고령 남성 (연령 중앙값 71 세) 의 치료에 적합하다고 생각되었다. 가장 일반적 독성은 예방접종의 주사 부위에서의 피하 반응이었다. 중요한 것은, 에스트라머스틴계 또는 탁산계 화학요법에 있어서, 혈액학적 독성도 신경병증도 없었는데, 이들은 투여량 제한 독성이다 [4 ~ 8]. 에스트라머스틴 치료의 일반적 독성에는 구역, 구토, 말초 부종 및 혈관 문제 [16] 가 포함된다. 병용요법은 안전하고, 양호한 용인성을 보였다.
환자 지향적 예방접종 및 저 투여량의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의 병용에서는, 연구 환자의 73 % 에서 혈청 PSA 수준에 50 % 이상의 감소가 보였고, 또한 요법 전에 집중치료를 받았던 주로 고령의 전이성 HRPC 환자에 있어서도 낮은 독성이었다. 이러한 예비적 발견에 근거하여, 상기 병용요법에 관하여 보다 대규모의 제 II 상 임상 시험이 보장되었다.
실시예 2
환자 및 방법
하기 사항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도가 적용되었 다.
환자
2002 년 3 월부터 2003 년 1 월 사이에, HLA-A24 에 양성인 전이성 HRPC 환자 16 명으로 제 I/II 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환자 13 명에 있어서는, 3 차 이상의 펩티드 예방접종 후에도 질환이 진행된 경우, 펩티드 예방접종 및 저 투여량의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의 병용 치료를 수행하였다. 남은 환자 3 명은 질환이 급속히 진행되어 사망에 이르렀기 때문에 예방접종 요법밖에 받지 못했다. 표 5 에 본 연구의 HRPC 환자 16 명의 임상 특성을 요약하였다.
환자 지향적 펩티드 예방접종
이 연구에서는 상피암-연관 항원 및 전립선-연관 항원에 유래한 하기의 펩티드 16 종이 사용된다: SART1690-698 (EYRGFTQDF), SART293-101 (DYSARWNEI), SART2161-169 (AYDFLYNYL), SART2899-907 (SYTRLFLIL), SART3109-118 (VYDYNCHVDL), SART3315-323 (AYIDFEMKI), Lck208-216 (HYTNASDGL), Lck486-487 (TFDYLRSVL), Lck488-497 (DYLRSVLEDF), ART1170-179 (EYCLKFTKL), 전립선 산성인산분해효소 (PAP)213-221 (LYCESVHNF), PSA152-160 (CYASGWGSI), PSA248-257 (HYRKWIKDTI), 전립선-특이적 막 항원 (PSMA)624-632 (TYSVSFDSL), 다제내성-연관 단백질 (MRP)3503-511 (LYAWEPSFL) 및 MRP31293-1302 (RYLTQETNKV). 이러한 펩티드는 전부 암환자에게서 PBMC 에 HLA-A24-구속성 및 종양-특이적 CTL 활성을 유도하는 능력을 갖는다 (15, 19, 20, 34 ~ 41). 환자 전부는 예방접종 전 측정에 의해 펩티드 후보 16 종으로부터 선택된 펩티드를 4 종까지 예방접종하였다.
병용요법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의 140 mg 캡슐을 1 캡슐씩 1 일 2 회, 총 1 일 투여량 280 mg 을 경구투여하여 병용요법에 있어서 심각한 면역 억제를 방지하였다.
임상 모니터링
일본 문헌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FACT-P) 부척도, FACT-P (전립선암용) (42) 을 사용하여, 상기 치료 중 환자의 QOL 결과를 예방접종 전 및 3 차, 6 차, 및 12 차 예방접종에서도 평가하였다. FACT-P 질문표는 신체적 건강 (7 항목), 사회/가정적 건강 (8 항목), 감정적 건강 (6 항목), 기능적 건강 (7 항목) 및 전립선암 척도 (12 항목) 을 포함하는 다섯 인자로 이루어졌다. QOL 결과는 각 척도의 백분율에 따라 별도로 평가하였다.
결과
병용요법 중 면역학적 응답성
펩티드 예방접종 전에 펩티드-특이적 CTL 전구체를 조사하였고, 환자 16 명 중 14 명에서 탐지가능했고, 환자 당 양성수 중앙값은 1.5 펩티드 (범위, 0 ~ 4 펩티드) 였다 (표 6). 덧붙여, 항-펩티드 IgG 도 환자 16 명 중 14 명에서 탐지가능했고, 환자 당 양성수 중앙값은 3 펩티드 (0 ~ 4 펩티드) 였다. 최대 4 펩티드를 선택하여 각 환자에게 주사하고, 그 선택의 결과를 표 6 에 열거하였다. 최대 빈도로 선택된 펩티드는 PSA248-257 (13/16) 였고, 이어서 PAP213-221 (11/16), SART3109-118 (11/16), SART3315-323 (6/16), PSA152-160 (5/16), Lck488-497 (5/16), SART1690-698 (3/16), SART293-101 (3/16) 및 Lck208-216 (3/16) 을 선택하였다. PSMA624-628 SART2161-169 는 각 환자에서 선택되었으나, SART2, Lck, ART1 및 MRP3 유래의 남은 펩티드 5 종은 이러한 환자에서 선택되지 못했다. 펩티드-특이적 CTL 전구체 또는 펩티드-특이적 IgG 의 증가가 12 주째 (펩티드 예방접종 단독) 에 환자 14 명 중 10 명 또는 환자 14 명 중 7 명에게서 관찰되었고, 24 주째 (병용요법 중) 에 환자 12 명 중 10 명 또는 환자 8 명 중 6 명에게서 각각 관찰되었다. PBMC 에서 펩티드-특이적 CTL 전구체에 관한 대표적 결과를 도 5 에 도시하였다. 도 6 은 각 환자에게 투여한 펩티드에 특이적인 IgG 수준의 일련의 변화를 도시하였다. DTH 응답성은 환자 16 명 중 4 명에서 관찰되었고, 그 요약을 표 6 에 나타내었다.
펩티드 및 절반 투여량 (280 mg/일) 의 에스트라머스틴이 투여되는 경우, 대부분의 사례에서 심각한 면역 억제가 없었다.
임상 응답성
환자 16 명 중, 2 명의 환자는 병용요법에 앞서 종양이 급속히 진행되었고, 남은 환자 1 명은 예방접종 단독으로 혈청 PSA 수준이 50 % 이상으로 감소하여, 이후 병용요법에 대한 동의를 철회하였다. 남은 환자 13 명이 예방접종 및 저 투여량의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의 병용요법을 받았고, 임상 응답성이 평가되었다. 13 명의 환자 전부 병용요법 후 기준선으로부터 혈청 PSA 수준 감소를 보였고, 환자 13 명 중 6 명 (46 %) 이 중앙값 7.5 개월 (범위, 3 ~ 13 개월) 의 기간에 혈청 PSA 수준이 50 % 이상으로 감소함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환자 13 명 중 아무도 치료에 대하여 대상 응답성을 갖지 않았다.
기대여명이 감소되고, 치료에 대한 희망이 없는, 질환이 진행된 환자에 있어서는, 신체적 증상의 경감 및 기능의 유지가 의학적 개입의 제 1 목적이 된다 [43]. 이 연구에서, 상기 치료 중 환자 16 명의 QOL 결과는 예방접종 전 (16 환자), 및 3 차 (16 환자), 6 차 (13 환자), 및 12 차 예방접종 (7 환자) 의 시점에서 FACT-P 의 일본어 질문표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도 7 은 관찰점에서 각 인자에 대하여 척도의 평균 백분율을 보여준다. 모든 인자에 대한 QOL 결과는 치료 중 저하되지 않았다.
독성
환자 16 명 전부를 일반적 독성에 관하여 평가하고, 전체 독성을 표 7 에 도 시하였다. 여기에 보고된 병용요법의 독성은 내용성이 있었고, 상기 치료는 대부분의 전이성 HRPC 를 치료하는 데 적합하다고 고려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용량 (560 mg/일) 의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에서는 심각한 면역 억제가 관찰되었다.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 투여량의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병용요법의 결과를 표 8 에 요약하였다. 펩티드 예방접종 단독으로는 질환의 진행을 보였던 HRPC 환자가, 280 mg/일 (비-면역 억제의 최대 투여량) 의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를 사용한 병용요법에서 면역 응답성의 증가 및 임상 응답성의 개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저 투여량의 에스트라머스틴 및 펩티드 예방접종의 병용요법의 유리한 효과를 뒷받침한다.
실시예 4
표 9 역시 본 발명의 병용요법이 지금까지의 요법과 비교하여 우월한 결과를 갖는다는 것을 증명한다. 모든 사례가 종래의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 요법에 응답하지 않았고, 예방접종 단독 후에도 그 질환이 진행되었다 (PD). 병용요법으로는, 대부분의 사례에서 임상 응답성이 PR (부분 응답성) 또는 SD (병상 안전) 까지 개선되었고, HRPC 환자의 생존은 현저히 연장되었다 (생존 기간 중앙값: 25 개월).
논의
상이한 단계의 전립선암에서 종양 항원의 발현을 정의하는 것은, 특이적 면역 요법의 목표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제 1 단계이다 [28 ~ 30]. HRPC 환자에 대한 면역 요법에서 본 발명의 시도는, 암환자의 순환혈 중에 있는 펩티드-특이적 CTL 전구체의 예방접종 전 측정에 이어, 예방접종 후보 물질들 중 예방접종 전 측정에서 응답했던 펩티드를 4 종까지 투여한다는 새로운 전략을 사용하였다 (환자 지향적 예방접종). 앞서 제 1 상 연구로부터의 결과는 환자 지향적 예방접종이 가능하고, 안전하며, 면역학적으로로 활성이나, 임상 응답성은 대게 제한적이라는 것을 보였다 [15]. 근래, 세포의 악성 전이가 HLA 등급 I 발현의 변화 및/또는 기능의 변화에 연관되어 있고, 이러한 이상성이 종양 세포에게 면역 인식으로부터의 도피의 수단을 제공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양성 조직의 정상 HLA 등급 I 발현과는 대조적으로 원발성 전립선암 세포의 34 % 및 림프절 전이의 전립선암 세포의 80 % 에는 HLA 등급 I 발현의 완전한 손실이 보고되었다 [31]. 그러므로, 전립선암에 있어서, HLA 등급 I 항원의 하향 조절은 악성 세포에게 T-세포계의 인식으로부터 도피할 수 있는 기전을 제공하기 때문에, T-세포계 면역요법의 결과에 음성적 영향을 가질 수 있다. T-세포계 면역요법과 최저 면역 억제성 세포 독성 물질의 병용에 의해, 추가의 항종양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이 제안된다. 본 연구에서, 에스트라머스틴 포스페이트 또는 펩티드 예방접종에 앞서, 질환의 진행을 경험한 환자에서 PSA 응답성이 관찰되었고, 이 사실은 상기 병용요법이 추가의 항종양 효과에 의해 작용한다는 가설을 지지해 준다. 그러나, 이 상호작용의 정확한 기전은 불명확하다. 이 기전에 관한 추가의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 문헌
1. Tannock IF, Osoba D, Stockler MR, Ernst DS, Neville AJ, Moore MJ, Armitage GR, Wilson JJ, Venner PM, Coppin CM, Murphy KC. Chemotherapy with mitxantrone plus prednisone or prednisone alone for symptomatic hormone-resistant prostate cancer: A Canadian randomized trial with palliative end points. J Clin Oncol 1996;14:1756-1764.
2. Kantoff PW, Halabi S, Conaway M, Picus J, Kirshner J, Hars V, Trump D, Winer EP, Vogelzang NJ. Hydrocortisone with or without mitoxantrone in men with hormone-refractory prostate cancer: Results of the cancer and leukemia group B 9182 study. J Clin Oncol 1999;17:2506-2513.
3. Hudes G, Einhorn L, Ross E, Balsham A, Loehrer P, Ramsey H, Sprandio J, Entmacher M, Dugan W, Ansari R, Monaco F, Hanna M, Roth B. Vinblastine versus vinblastine plus oral estramustine phosphate for patients with hormone-refractory prostate cancer: a Hoosier Oncology Group and Fox Chase Network phase III trial. J Clin Oncol 1999;17:3160-3166.
4. Smith DC, Esper P, Strawderman M, Redman B, Pienta KJ. Phase II trial of oral estramustine, oral etoposide, and intravenous paclitaxel in hormone-refractory prostate cancer. J Clin Oncol 1999;17:1664-1671.
5. Beer TM, Pierce WC, Lowe BA, Henner WD. Phase II study of weekly docetaxel in symptomatic androgen-independent prostate cancer. Ann Oncol 2001;12:1273-1279.
6. Hudes GR, Nathan F, Khater C, Haas N, Cornfield M, Giantonio B, Greenberg R, Gomella L, Litwin S, Ross E, Roethke S, McAleer C. Phase II trial of 96-hour paclitaxel plus oral estramustine phosphate in metastatic hormone-refractory prostate cancer. J Clin Oncol 1997;15:3156-3163.
7. Ellerhorst JA, Tu SM, Amato RJ, Finn L, Millikan RE, Pagliaro LC, Jackson A, Logothetis CJ 등: Phase II trial of alternating weekly chemohormonal therapy for patients with androgen-independent prostate cancer. Clin Cancer Res 1997;3:2371-2376.
8. Kelly WK, Curley T, Slovin S, Heller G, McCaffrey J, Bajorin D, Ciolino A, Regan K, Schwartz M, Kantoff P, George D, Oh W, Smith M, Kaufman D, Small EJ, Schwartz L, Larson S, Tong W, Scher H. Paclitaxel, estramustine phosphate, and carboplatin in patients with advanced prostate cancer. J Clin Oncol 2001;19:44-53.
9. Van der Bruggen P, Traversari C, Chomez P, Lurquin C, De Plaen E, Van den Eynde B, Knuth A, Boon T. A gene encoding an antigen recognized by cytolytic T lymphocytes on a human melanoma. Science 1991;254:1643- 1647.
10. Kawakami Y, Eliyahu S, Sakaguchi K, Robbins PF, Rivoltini L, Yannelli JR, Appella E, Rosenberg SA. Identification of the immunodominant peptides of the MART-1 human melanoma antigen recognized by the majority of HLA-A2-restricted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J Exp Med 1994;180:347-352.
11. Tjoa BA, Simmons SJ, Bowes VA, Ragde H, Rogers M, Elgamal A, Kenny GM, Cobb OE, Ireton RC, Troychak MJ, Salgaller ML, Boynton AL, Murphy GP. Evaluation of phase I/II clinical trials in prostate cancer with dendritic cells and PSMA peptides. Prostate 1998;36:39-44.
12. Salgaller ML, Lodge PA, McLean JG, Tjoa BA, Loftus DJ, Ragde H, Kenny GM, Rogers M, Boynton AL, Murphy GP. Report of immune monitoring of prostate cancer patients undergoing T-cell therapy using dendritic cells pulsed with HLA-A2-specific peptides from prostate-specific membrane antigen (PSMA). Prostate 1998;35:144-151.
13. Mine T, Gouhara R, Hida N, Imai N, Azuma K, Rikimaru T, Katagiri K, Nishikori Misa, Sukehiro A, Nakagawa M, Yamada A, Aizawa H, Shirozu K, Itoh K 및 Yamana H. Immunological evaluation of CTL precursor-oriented vaccine for advanced lung cancer patients. Cancer Sci 2003;94:548-556.
14. Tanaka S, Harada M, Mine T, Noguchi M, Gohara R, Azuma K, Yamada A, Morinaga A, Nishikori M, Katagiri K, Itoh K, Yamana H 및 Hashimoto T.: Peptide vaccination for patients with melanoma and other types of cancers based on pre-existing peptide-specific cytotoxic T lymphocyte precursors in periphery. J Immunother (in press)
15. Noguchi M, Kobayashi K, Suetugu N, Tomiyasu K, Suekane S, Yamada A, Itoh K, Noda S. Induction of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to tumor cells and peptides in HLA-A24 positive hormone-refractory prostate cancer patients by peptide vaccination. Prostate (in press)
16. Perry CA 및 McTavish D. Estramustine phosphate sodium. A review of its pharmacodynamic and pharmacokinetic properties, and therapeutic efficacy in prostate cancer. Drugs and Aging 1995;7:49-74.
17. Shichijo S, Nakao M, Imai Y, Takasu H, Kawamoto M, Niiya F, Yang D, Toh Y, Yamana H, Itoh K. A gene encoding antigenic peptides of human squamous cell carcinoma recognized by cytotoxic T lymphocytes. J Exp Med 1998;187:277-288.
18. Nakao M, Shichijo S, Imaizumi T, Inoue Y, Matsunaga K, Yamada A, Kikuchi M, Tsuda N, Ohta K, Takamori S, Yamana H, Fujita H, Itoh K. Identification of gene coding for a new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recognized by the CTLs. J Immunol 2000;164:2565-2574.
19. Yang D, Nakao M, Shichijo S, Sasatomi T, Takasu H, Matsumoto H, Mori K, Hayashi A, Yamana H, Shirouzu K, Itoh K. Identification of a gene coding for a protein possessing shared tumor epitopes capable of inducing HLA-A24-restricted cytotoxic T lymphocytes in cancer patients. Cancer Res 1999;59:4056-4063.
20. Gomi S, Nakao M, Niiya F, Imamura Y, Kawano K, Nishizaka S, Hayashi A, Sobao Y, Oizumi K, Itoh K. A cyclophilin B gene encodes antigenic epitopes recognized by HLA-A24-restricted and tumor-specific cytotoxic T lymphocytes. J Immunol 1999;163:4994-5004.
21. Maeda Y, Ito M, Harashima N, Nakatsura T, Hida N, Imai N, Sato Y, Shichijo S, Todo S, Itoh K. Cleavage and polyadenylation specificity factor (CPSF)-derived peptides can induce HLA-A2-restricted and tumor-specific CTLs in the majority of gastrointestinal cancer patients. Int J Cancer 2002;99:409-417.
22. Suzuki N, Maeda Y, Tanaka S, Hida N, Mine T, Yamamoto K, Oka M, Itoh K. Detection of peptide-specific cytotoxic T lymphocyte precursors used for specific immunotherapy of pancreatic cancer. Int J Cancer 2002;98:45-50.
23. Miyagi Y, Imai N, Sasatomi T, Yamada A, Mine T, Katagiri K, Nakagawa M, Muto A, Okouchi S, Isomoto H, Shirouzu K, Yamana H, Itoh K. Induction of cellular immune response to tumor cells and peptides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by vaccination with SART3 peptides. Clin Cancer Res 2001;7:3950-3962.
24. Hida N, Maeda Y, Katagiri K, Takasu H, Harada M, Itoh K. A simple culture protocol to detect peptide-specific cytotoxic T lymphocyte precursors in circulation. Cancer Immunol Immunotherapy 2002;51:219-228.
25. Noguchi M 및 Noda S: Pyridinoline cross-linked carboxyterminal telopeptide of type I collagen as a useful marker for monitoring metastatic bone activity in men with prostate cancer. J Urol 2001;166:1106-1110.
26. Noguchi M, Kikuchi H, Ishibashi M, Noda S. Percentage of the positive area of bone metastasis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thedisease death in advanced prostate cancer. Br J Cancer 2003;88:195-201.
27. Mitcell MS. Chemotherapy in combination with biomodulation: a 5 year experience with cyclophosphamide and IL-2. Semin Oncol 1992;19 (부록 2):80-87.
28. Zhang S, Cordon-Cardo C, Zhang HS, Reuter VE, Adluri S, Hamilton WB, Lloyd KO 및 Livingston PO. Selection of tumor antigens as targets for immune attack using immunohistochemistry. I. Focus on gangliosides. Int J Cancer 1997;73:42-49.
29. Zhang S, Zhang HS, Cordon-Cardo C, Reuter VE, Singhal AK, Lloyd KO 및 Livingston PO. Selection of tumor antigens as targets for immune attack using immunohistochemistry. II. Blood group-related antigens. Int J Cancer 1997;73:50-56.
30. Zhang S, Zhang HS, Reuter VE, Slovin SF, Scher HI, Livingston PO. Expression of potential target antigens for immunotherapy on primary and metastatic prostate cancers. Clin Cancer Res 1998;4:295-302.
31. Blades RA, Keating PJ, McWilliam LJ, George NJ, Stern PL. Loss of HLA class I expression in prostate cancer: implications for immunotherapy. Urology 1995;46:681-687.
32. Maffezzini M, Simonato A, Fortis C. Salvage immunotherapy with subcutaneous recombination interleukin 2 (rIL-2) and alpha-interferon (A-INF) for stage D3 prostate carcinoma failing second-line hormonal treatment. Prostate 1996;28:282-286.
33. Noguchi M, Yahara J 및 Noda S: Serum levels of bone turnover markers parallel the results of bone scintigraphy in monitoring bone activity of prostate cancer. Urology 2003;61:993-998.
34. Noguchi M, Itoh K, Suekane S, Yao A, Suetsugu N, Katagiri K, Yamada A, Yamana H 및 Noda S. Phase I trial of patient-oriented vaccination in HLA-A2 positive patients with metastatic hormone refractory prostate cancer. Cancer Sci 2004;95:77-84.
35. Noguchi M, Itoh K, Suekane S, Morinaga A, Sukehiro A, Suetsugu N, Katagiri K, Yamada A 및 Noda S. Immunological Monitoring during Combination of Patient-Oriented Peptide Vaccination and Estramustine Phosphat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Hormone Refractory Prostate Cancer. Prostate 2004;60:32-45.
36. Inoue Y, Takaue Y, Takei M, Kato K, Kanai S, Harada Y, Tobisu K, Noguchi M, Kakizoe T, Itoh K 및 Wakasugi H. Induction of tumor specific cytotoxic T lymphocytes in prostate cancer using prostatic acid phosphatase derived HLA-A2402 binding peptide. J Urol 2001;166:1508-1513.
37. Harada M, Kobayashi K, Matsueda S, Nakagawa M, Noguchi M 및 Itoh K. Prostate-specific antigen-derived epitopes capable of inducing cellular and humoral responses in HLA-A24+ prostate cancer patients. Prostate 2003;57:152-159.
38. Kobayashi K, Noguchi M, Itoh K 및 Harada M. Identification of a prostate-specific membrane antigen-derived peptide capable of eliciting both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in HLA-A24+ prostate cancer patients. Cancer Sci 2003;94:622-627.
39. Harada M, Noguchi M, Itoh K. Target molecules in specific immunotherapy against prostate cancer. Int J Clin Oncol 2003;8:193-199.
40. Harashima N, Tanaka K, Sasatomi T, Shimizu K, Miyagi Y, Yamada A, Tamura M, Yamana H, Itoh K 및 Shichijo S. Recognition of the Lck tyrosine kinase as a tumor antigen by cytotoxic T lymphocytes of cancer patients with distant metastases. Eur J Immunol 2000;31:323-332.
41. Kawano K, Gomi S, Tanaka K, Tsuda N, Kamura T, Itoh K 및 Yamada A. Identification of a new endoplasmic reticulum-resident proteine recognized by HLA-A-24 restricted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of lung cancer. Cancer Res 2000;60:3550-3558.
42. Esper PMoF, Chodak G., Sinner M, Cella D 및 Pienta KJ. Measuring quality of life in men with prostate cancer using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prostate instrument. Urology 1997;50:920-928.
43. Coons SJ, Kaplan RM. Assessing health-related quality-of-life: application to drug therapy. Clin Ther 1992;14:850-858.
[표 1]
Figure 112006030266401-PCT00001
[표 2]
Figure 112006030266401-PCT00002
Figure 112006030266401-PCT00003
Figure 112006030266401-PCT00004
Figure 112006030266401-PCT00005
[표 3]
Figure 112006030266401-PCT00006
[표 4]
Figure 112006030266401-PCT00007
[표 5]
Figure 112006030266401-PCT00008
[표 6]
Figure 112006030266401-PCT00009
Figure 112006030266401-PCT00010
Figure 112006030266401-PCT00011
Figure 112006030266401-PCT00012
[표 7]
Figure 112006030266401-PCT00013
[표 8]
Figure 112006030266401-PCT00014
[표 9]
Figure 112006030266401-PCT00015

Claims (11)

  1. 치료적 유효량의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 및 저 투여량의 에스트라머스틴 (estramustine) 또는 이의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치료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에스트라머스틴 또는 이의 염의 저 투여량은 140 내지 560 mg/일인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가 환자 지향적 (patient-oriented) 인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가 암 항원 단백질, 이의 암 항원 펩티드, 이의 유전자 및 이들 물질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이 호르몬 난치성 (hormone-refractory) 전립선암인 방법.
  6. 저 투여량의 에스트라머스틴 또는 이의 염을 함유하고,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와 함께 투여되는, 전립선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에스트라머스틴 또는 이의 염의 저 투여량은 140 내지 560 mg/일인 약학 조성물.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가 환자 지향인 약학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가 암 항원 단백질, 이의 암 항원 펩티드, 이의 유전자 및 이들 물질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학 조성물.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이 호르몬 난치성 전립선암인 약학 조성물.
  11. 전립선암의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에스트라머스틴 또는 이의 염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라머스틴 또는 이의 염이 저 투여량으로 존재하고, 상기 약제가 암 항원 펩티드-연관 제제와 함께 투여되는 용도.
KR1020067008331A 2003-10-31 2004-10-29 펩티드 예방접종 및 에스트라머스틴 치료의 병용요법 KR101107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3/014010 WO2005041981A1 (en) 2003-10-31 2003-10-31 Combination therapy of peptide vaccination and estramustine treatment
WOPCT/JP03/14010 2003-10-31
PCT/JP2004/016497 WO2005041982A1 (en) 2003-10-31 2004-10-29 Combination therapy of peptide vaccination and estramustine treatmen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262A Division KR20110120369A (ko) 2003-10-31 2004-10-29 펩티드 예방접종 및 에스트라머스틴 치료의 병용요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149A true KR20060096149A (ko) 2006-09-07
KR101107972B1 KR101107972B1 (ko) 2012-01-30

Family

ID=345320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262A KR20110120369A (ko) 2003-10-31 2004-10-29 펩티드 예방접종 및 에스트라머스틴 치료의 병용요법
KR1020067008331A KR101107972B1 (ko) 2003-10-31 2004-10-29 펩티드 예방접종 및 에스트라머스틴 치료의 병용요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262A KR20110120369A (ko) 2003-10-31 2004-10-29 펩티드 예방접종 및 에스트라머스틴 치료의 병용요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18614B2 (ko)
KR (2) KR20110120369A (ko)
AU (1) AU2003280688A1 (ko)
WO (2) WO2005041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5790A1 (en) * 2006-10-24 2008-04-24 Perambakam Supriya M Methods of Treating Prostate Cancer
CN101854945B (zh) * 2007-09-18 2015-07-01 株式会社绿多肽 Ctl诱导剂组合物
EP2591799B1 (en) * 2010-07-07 2017-03-08 Green Peptide Co., Ltd. Cancer peptide vaccine
US9701729B2 (en) * 2013-03-08 2017-07-11 Taiho Pharmaceutical Co., Ltd. Peptide having 5 linked CTL epitopes
SG11201603165TA (en) * 2013-10-21 2016-05-30 Taiho Pharmaceutical Co Ltd Novel Peptide Having 4 Linked CTL Epitop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3864A (en) * 1994-06-28 2000-11-07 Merck & Co., Inc. Peptides
US5597830A (en) * 1994-12-20 1997-01-28 Warner-Lambert Company Combination chemotherapy
ES2282120T3 (es) * 1999-06-25 2007-10-16 Genentech, Inc. Tratamiento del cancer de prostata con anticuerpos anti-erbb2.
AU2002228648A1 (en) * 2000-11-16 2002-05-27 Pharmacia And Upjohn Company Combined therapy against tumors comprising estramustine phosphate and lhrh agonists or antagonists
WO2002060469A1 (fr) * 2001-01-29 2002-08-08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Agents anticancereux
WO2002102402A1 (fr) * 2001-06-15 2002-12-27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Agents anticancereu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369A (ko) 2011-11-03
AU2003280688A1 (en) 2005-05-19
KR101107972B1 (ko) 2012-01-30
US7718614B2 (en) 2010-05-18
US20070048336A1 (en) 2007-03-01
WO2005041981A1 (en) 2005-05-12
WO2005041982A1 (en) 200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llack et al. Surgical adjuvant active specific immunotherapy for patients with stage III melanoma: the final analysis of data from a phase III, randomized, double-blind, multicenter vaccinia melanoma oncolysate trial
van der Burg Correlates of immune and clinical activity of novel cancer vaccines
Miyazawa et al. Phase I clinical trial using peptide vaccine for huma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 2 in combination with gemcitabine for patients with advanced pancreatic cancer
Noguchi et al. Induction of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to tumor cells and peptides in HLA‐A24 positive hormone‐refractory prostate cancer patients by peptide vaccination
Belli et al. Vaccination of metastatic melanoma patients with autologous tumor-derived heat shock protein gp96-peptide complexes: clinical and immunologic findings
Kawakami et al. Cloning of the gene coding for a shared human melanoma antigen recognized by autologous T cells infiltrating into tumor.
JP6513086B2 (ja) 癌治療法の決定のための腫瘍抗原
US7368107B2 (en) Tumor antigen peptides derived from cyclophilin B
BR112012029066A2 (pt) composições e processos de identificação de neoantígenos específicos de tumor.
Molife et al. Adjuvant therapy of malignant melanoma
Mine et al. Immunological evaluation of CTL precursor‐oriented vaccines for advanced lung cancer patients
Noguchi et al. Immunological evaluation of individualized peptide vaccination with a low dose of estramustine for HLA‐A24+ HRPC patients
Hersey et al. Phase I/II study of immunotherapy with T-cell peptide epitopes in patients with stage IV melanoma
US7718614B2 (en) Combination therapy of peptide vaccination and estramustine treatment
CN109803674A (zh) Calr和jak2疫苗组合物
BRPI0713731A2 (pt) peptìdeo, agente indutor de imunidade direcionado contra cánceres, medicamento para tratar e/ou prevenir tumores, agente para induzir células, anticorpo e célula
Noguchi et al. Immunological monitoring during combination of patient‐oriented peptide vaccination and estramustine phosphat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hormone refractory prostate cancer
Kuryk et al. Novel insights into mesothelioma therapy: emerging avenues and future prospects
Sangha et al. L-BLP25: a MUC1-targeted peptide vaccine therapy in prostate cancer
Rezaei et al. Cancer vaccine in cold tumors: clinical landscap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EP1782827A1 (en) Peptide vaccine for cancer therapy
EP3640641A1 (en) Method for examining therapeutic effect on cancer and composition for inducing immune response
JP4905624B2 (ja) ペプチドワクチン投与およびエストラムスチン処置の併用療法
Saleh et al. Melanoma immunotherapy: past, present, and future
Chung et al. Current state of treatment for primary cutaneous melano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