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719A - 두 전위들의 데이터 펄스를 가진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두 전위들의 데이터 펄스를 가진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719A
KR20060095719A KR1020050016889A KR20050016889A KR20060095719A KR 20060095719 A KR20060095719 A KR 20060095719A KR 1020050016889 A KR1020050016889 A KR 1020050016889A KR 20050016889 A KR20050016889 A KR 20050016889A KR 20060095719 A KR20060095719 A KR 20060095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nes
potential
electron emission
sca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홍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6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5719A/ko
Publication of KR20060095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3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controlling the sequence of the scanning lines with respect to the patterns to be displayed, e.g. to save pow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electron beams
    • H01J2329/4695Potentials applied to the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 방출원들, 데이터 전극 라인들, 주사 전극 라인들, 형광 셀들, 및 양극판을 포함한다. 주사 전극 라인들은 데이터 전극 라인들과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양극판에는 전자 방출원들로부터의 전자들이 형광 셀들로 이동하도록 전위가 인가된다. 주사 펄스는 주사 전극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데이터 펄스들은 주사 펄스에 상응하여 데이터 전극 라인들에 인가된다. 여기에서, 데이터 펄스들 각각은 초기 전위 및 주 전위를 가진다. 주사 펄스의 전위와 상기 초기 전위 사이의 차이는 상기 주사 펄스의 전위와 상기 주 전위 사이의 차이보다 크다.

Description

두 전위들의 데이터 펄스를 가진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n emission display apparatus having data pulse of two electric potenti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게이트 전극 라인들, 포커싱 전극판, 및 캐소드 전극 라인들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들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4 및 5는 도 3의 주사 펄스들에 대한 데이터 펄스들의 일 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들이다.
도 6은 도 3의 주사 펄스들에 대한 데이터 펄스들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 2...앞쪽 패널,
21...앞쪽 기판, 22...양극판,
FR11,...,FBnm...형광 셀들, 3...뒤쪽 패널,
31...뒤쪽 기판, CR1,...,CBm...캐소드 전극 라인들,
ER11,...,EBnm...전자 방출원들, 33...제1 절연층,
G1,...,Gn...게이트 전극 라인들, 35...제2 절연층,
36...포커싱 전극판, HR11,...,HBnm...관통구들,
41,...,43...스페이스 바아들.
본 발명은,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방출원들, 데이터 전극 라인들, 주사 전극 라인들, 형광 셀들, 및 양극판을 포함한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된 선행 기술로는 2003년 미국 특허출원 공개 번호 제122,118호(명칭 : FED driving method)를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본적으로 전자 방출원들, 데이터 전극 라인들, 주사 전극 라인들, 형광 셀들, 및 양극판을 포함한다. 주사 전극 라인들은 데이터 전극 라인들과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양극판에는 전자 방출원들로부터의 전자들이 상기 형광 셀들로 이동하도록 전위가 인가된다.
주사 펄스는 주사 전극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데이터 펄스들은 상기 주사 펄스에 상응하여 데이터 전극 라인들에 인가된다. 여기에서, 상기 데이터 펄스들 각각은 단일 전위들을 가진다. 펄스 진폭 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인 경우에 상기 단일 전위들은 자신의 계조에 따라 서로 다르다. 이에 반하여,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인 경우에 상기 단일 전위들은 자신의 계조와 무관하게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구동 신호들이 각 대상에 인가되는 시점으로부터 전자들이 방출되어 빛을 발생시키기까지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즉, 통상적인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특성상 응답 속도가 비교적 늦음에 따라 잔상 현상이 비교적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잔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 방출원들, 데이터 전극 라인들, 주사 전극 라인들, 형광 셀들, 및 양극판을 포함한다. 상기 주사 전극 라인들은 상기 데이터 전극 라인들과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양극판에는 상기 전자 방출원들로부터의 전자들이 상기 형광 셀들로 이동하도록 전위가 인가된다. 주사 펄스는 상기 주사 전극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데이터 펄스들은 상기 주사 펄스에 상응하여 상기 데이터 전극 라인들에 인가된다. 여기에서, 상기 데이터 펄스들 각각은 초기 전위 및 주 전위를 가진다. 상기 주사 펄스의 전위와 상기 초기 전위 사이의 차이는 상기 주사 펄스의 전위와 상기 주 전위 사이의 차이보다 크다.
본 발명의 상기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펄스들 각각의 초기 인가 시간 즉, 상기 초기 전위의 인가 시간에서 상기 데이터 전극 라인들과 주사 대상의 주사 전극 라인 사이들의 전위차들 즉, 전압들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에 따라,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상 응답 속도가 비교적 늦은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으므로, 잔상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 및 그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의 구동 장치는 영상 제어부(4), 셋탑 박스(5), 패널 제어부(6), 주사 구동부(7), 데이터 구동부(8), 및 전원 공급부(9)를 포함한다.
영상 제어부(4)는 컴퓨터로부터의 영상 신호(SPC),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로부터의 영상 신호(SDVD), 및 셋탑 박스(5)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패널 제어부(6)에 입력시킨다. 셋탑 박스(5)는 텔레비젼으로부터의 영상 신호(STV)를 변환하여 영상 제어부(4)에 입력시킨다.
패널 제어부(6)는 영상 제어부(4)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주사-구동 제어 신호들 및 데이터-구동 제어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주사 구동부(7)는 패널 제어부(6)로부터의 주사-구동 제어 신호들에 따라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의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을 구동한다. 데이터 구동부(8)는 패널 제어부(6)로부터의 데이터-구동 제어 신호들에 따라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의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을 구동한다.
전원 공급부(9)는 영상 제어부(4), 셋탑 박스(5), 패널 제어부(6), 주사 구동부(7), 데이터 구동부(8), 및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의 양극(도 2의 22)과 포커싱 전극판(도 2의 36)에 필요한 전위들을 인가한다. 여기에서, 양극판(도 2의 22)에는 1 내지 4 킬로볼트(KV)의 높은 전위가 인가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은 앞쪽 패널(2)과 뒤쪽 패널(3)이 스페이스 바아(space bar)들(41,...,43)에 의하여 지지된다. 여기에서, 도 2에 도시된 스페이스 바아들(41,...,43) 외에도 다수의 스페이스 바아들이 포커싱 전극판(36) 위에 존재한다.
뒤쪽 패널(3)은 뒤쪽 기판(31),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 전자 방출원들(ER11,...,EBnm), 제1 절연층(33),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 제2 절연층(35), 및 포커싱 전극판(36)을 포함한다.
데이터 신호들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은 전자 방출원들(ER11,...,EBn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절연층(33),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 제2 절연층(35), 및 포커싱 전극판(36)에는 전자 방출원들(ER11,...,EBnm)에 대응하는 관통구들(HR11,...,HBnm)이 형성된다. 따라서, 주사 신호들이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에서,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 과 교차되는 영역에 관통구들(HR11,...,HBnm)이 형성된다. 포커싱 전극판(36)에는 포커싱 신호가 인가된다.
앞쪽 패널(2)은 앞쪽 투명 기판(21), 양극판(22), 및 형광 셀들(FR11,...,FBnm)을 포함한다. 형광 셀들(FR11,...,FBnm)은 포커싱 전극판(36)의 관통구들(HR11,...,HBnm)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양극판(22)에는 전자 방출원들(ER11,...,EBnm)로부터의 전자들이 형광 셀들로 이동하도록 1 내지 4 킬로볼트(KV)의 높은 정극성 전위가 인가된다.
도 3은 도 2의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 포커싱 전극판(36), 및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들을 보여준다. 도 3에서 참조 부호 SG1은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중에서 제1 게이트 전극 라인(도 2의 G1)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SG2는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중에서 제2 게이트 전극 라인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SGn은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중에서 제n 게이트 전극 라인(도 2의 Gn)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S36은 포커싱 전극판(도 2의 36)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그리고 SCR1..CBm은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들을 각각 가리킨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신호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직 구동 주기(TVDR)는 수직 디스플레이 주기(TDISP) 및 수직 동기 주기(TVSYN)를 포함한다.
수직 디스플레이 주기(TDISP)에 있어서, 설정 정극성 전위(+Vg1)와 설정 펄스 폭(THDR)을 가진 정극성 주사 펄스가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에 순차적으로 인가되고, 부극성 데이터 펄스들이 주사 펄스에 상응하여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에 인가된다.
여기에서, 데이터 펄스들 각각은 초기 전위(-VCI) 및 주 전위(-VC)를 가진다. 주사 펄스의 전위(+Vg1)와 상기 초기 전위(-VCI) 사이의 차이(Vg1 + VCI)는 상기 주사 펄스의 전위(+Vg1)와 상기 주 전위(-VC) 사이의 차이(Vg1 + VC)보다 크다. 이에 따라, 데이터 펄스들 각각의 초기 인가 시간 즉, 상기 초기 전위(-VCI)의 인가 시간에서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과 주사 대상의 주사 전극 라인 사이들의 전위차들 즉, 전압들(Vg1 + VCI)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에 따라,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상 응답 속도가 비교적 늦은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으므로, 잔상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초기 전위(-VCI)의 인가 시간은 상기 데이터 펄스들 각각의 계조에 비례한다. 이에 따라, 초기 전위(-VCI)가 계조 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펄스폭(TDPW)은 계조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최고 계조 데이터를 가진 부극성의 데이터 펄스의 폭(TDPW)은 정극성의 주사 펄스(THDR)의 폭과 동일하다. 또한, 최저 계조 데이터인 경우, 부극성의 데이터 펄스의 폭(TDPW)이 영이므로, 0 볼트(V)의 접지 전위가 인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주 전위(-VC)의 인가 시간에 대한 초기 전위(-VCI)의 인가 시간의 비율은 상기 데이터 펄스들 각각의 펄스폭에 비례한다. 이에 따라, 초기 전위(-VCI)가 계조 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포커싱 전극판(36)에는 관통구들(HR11,...,HBnm)로부터의 전자들의 포커싱을 위한 정극성 전위(+Vg2)가 인가된다.
다음에, 수직 동기 주기(TVSYN)에서 모든 전극 라인들에 0 볼트(V)의 접지 전위가 인가된다.
도 4 및 5는 도 3의 주사 펄스들에 대한 데이터 펄스들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4 및 5에서 도 3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4 및 5에서 참조 부호 SCR1은 임의의 캐소드 전극 라인으로서의 제1 캐소드 전극 라인(CR1)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가리킨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제1 수평 구동 시간(t1 ~ t4)은 제1 블랭킹 (blanking) 시간(t1 ~ t2)과 제1 수평 디스플레이 시간(t2 ~ t4)을 포함한다. 제1 수평 디스플레이 시간(t2 ~ t4)에 있어서, 정극성 주사 펄스가 제1 게이트 전극 라인(G1)에 인가되고, 서로 다른 폭들을 가진 데이터 펄스들이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에 각각 인가된다. 예를 들어, 제1 게이트 전극 라인(G1)과 제1 캐소드 전극 라인(CR1)의 교차 영역에서 규정되는 디스플레이 셀의 계조는 정극성의 주사 펄스의 폭(THDR)에 대한 부극성의 데이터 펄스의 폭(도 4의 t2 ~ t3 또는 도 5의 t2 ~ t4)의 비율에 의하여 표현된다.
여기에서, 데이터 펄스는 초기 전위(-VCI) 및 주 전위(-VC)를 가진다. 주사 펄스의 전위(+Vg1)와 상기 초기 전위(-VCI) 사이의 차이(Vg1 + VCI)는 상기 주사 펄스의 전위(+Vg1)와 상기 주 전위(-VC) 사이의 차이(Vg1 + VC)보다 크다. 이에 따라, 데이터 펄스들 각각의 초기 인가 시간 즉, 상기 초기 전위(-VCI)의 인가 시간(t2 ~ t2a)에서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과 주사 대상의 주사 전극 라인 사이들의 전위차들 즉, 전압들(Vg1 + VCI)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에 따라,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상 응답 속도가 비교적 늦은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으므로, 잔상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초기 전위(-VCI)의 인가 시간(t2 ~ t2a)은 상기 데이터 펄스들 각각의 계조에 따른 펄스폭 예를 들어, 도 4의 t2 ~ t3 또는 도 5의 t2 ~ t4에 비례한다. 이에 따라, 초기 전위(-VCI)가 계조 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6은 도 3의 주사 펄스들에 대한 데이터 펄스들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6에서 도 4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4 및 5의 구동 방식은 정극성의 주사 펄스의 상승 시점(t2 또는 t5)을 기준으로 부극성의 데이터 펄스의 폭이 설정된다. 이에 반하여, 도 6의 구동 방식은 정극성의 주사 펄스의 하강 시점(t4 또는 t7)을 기준으로 부극성의 데이터 펄스의 폭이 설정된다. 그 밖의 동작은 상기 도 4 및 5의 예와 같으므로 그 설명이 생략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데이터 펄스들 각각의 초기 인가 시간에서 데이터 전극 라인들과 주사 대상의 주사 전극 라인 사이들의 전위차들 즉, 전압들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에 따라,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상 응답 속도가 비교적 늦은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으므로, 잔상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Claims (8)

  1. 전자 방출원들, 데이터 전극 라인들, 상기 데이터 전극 라인들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주사 전극 라인들, 형광 셀들, 및 상기 전자 방출원들로부터의 전자들이 상기 형광 셀들로 이동하도록 전위가 인가되는 양극판을 포함한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주사 펄스가 상기 주사 전극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인가되고,
    데이터 펄스들이 상기 주사 펄스에 상응하여 상기 데이터 전극 라인들에 인가되되,
    상기 데이터 펄스들 각각이 초기 전위 및 주 전위를 가지며,
    상기 주사 펄스의 전위와 상기 초기 전위 사이의 차이가,
    상기 주사 펄스의 전위와 상기 주 전위 사이의 차이보다 큰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전위의 인가 시간이 상기 데이터 펄스들 각각의 계조에 비례하는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극 라인들이,
    전자 방출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소드 전극 라인들인 전자 방출 디스플 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전극 라인들이,
    상기 캐소드 전극 라인들과 교차되는 영역에 상기 전자 방출원들에 대응하는 관통구들이 형성된 게이트 전극 라인들인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셀들이,
    상기 게이트 전극 라인들의 관통구들에 대응하여 형성된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정극성의 상기 주사 펄스가 상기 게이트 전극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인가되고,
    부극성의 상기 데이터 펄스들이 상기 주사 펄스에 상응하여 상기 캐소드 전극 라인들에 인가되는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펄스들 각각의 폭이 상기 데이터 펄스들 각각의 계조에 비례하는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8. 전자 방출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소드 전극 라인들,
    상기 캐소드 전극 라인들과 교차되는 영역에 상기 전자 방출원들에 대응하는 관통구들이 형성된 게이트 전극 라인들,
    상기 게이트 전극 라인들의 관통구들에 대응하는 관통구들이 형성된 포커싱 전극판,
    상기 포커싱 전극판의 관통구들에 대응하여 형성된 형광 셀들, 및
    상기 전자 방출원들로부터의 전자들이 상기 형광 셀들로 이동하도록 정극성 전위가 인가되는 양극판을 포함한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주사 펄스가 상기 게이트 전극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인가되고,
    데이터 펄스들이 상기 주사 펄스에 상응하여 상기 캐소드 전극 라인들에 인가되되,
    상기 데이터 펄스들 각각이 초기 전위 및 주 전위를 가지며,
    상기 주사 펄스의 전위와 상기 초기 전위 사이의 차이가,
    상기 주사 펄스의 전위와 상기 주 전위 사이의 차이보다 큰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016889A 2005-02-28 2005-02-28 두 전위들의 데이터 펄스를 가진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95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889A KR20060095719A (ko) 2005-02-28 2005-02-28 두 전위들의 데이터 펄스를 가진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889A KR20060095719A (ko) 2005-02-28 2005-02-28 두 전위들의 데이터 펄스를 가진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719A true KR20060095719A (ko) 2006-09-01

Family

ID=37625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889A KR20060095719A (ko) 2005-02-28 2005-02-28 두 전위들의 데이터 펄스를 가진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57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598B1 (ko) * 2007-01-26 2008-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중 주사를 수행하는 가스 여기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598B1 (ko) * 2007-01-26 2008-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중 주사를 수행하는 가스 여기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34263A1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WO2023108612A1 (zh) 像素电路、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050104659A (ko) 가변의 계조 표현력을 가진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US20040150660A1 (en) Driv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atrix panel
US20050264223A1 (en) Method of driving electron emission device with decreased signal delay
JP2006113162A (ja) 電気光学装置、これを駆動する回路および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US20060221018A1 (en) Driv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for an electron emission display
KR20060095719A (ko) 두 전위들의 데이터 펄스를 가진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38707A (ko) 이극성 구동 신호들을 가진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97090A (ko) 정극성 이온들이 효율적으로 소거되는 전계 방출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95720A (ko)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 전위가 변하는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장치
KR100829748B1 (ko) 리셋 동작을 수행하는 가스 여기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072328A (ja) 簡素化された電子放出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022653B1 (ko) 화이트 밸런싱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는 전계 방출디스플레이 장치
KR101330737B1 (ko) 표시 장치
JP2000148074A (ja)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KR20060028919A (ko)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위한 계조 데이터를보정하는 방법
KR10096557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050078332A (ko) 전계방출 표시장치
KR20060060961A (ko) 콘트라스트가 향상된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50252A (ko) 상이한 픽셀 레이아웃을 갖는 다수의 영역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오버슈트 구동 기법
CN100371961C (zh) 电子发射显示器及其驱动方法
KR100927709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장치
JP2007041424A (ja) 表示装置
JP2007101600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