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4738A - 이중대역 알에프아이디 태그 - Google Patents

이중대역 알에프아이디 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4738A
KR20060094738A KR1020050016153A KR20050016153A KR20060094738A KR 20060094738 A KR20060094738 A KR 20060094738A KR 1020050016153 A KR1020050016153 A KR 1020050016153A KR 20050016153 A KR20050016153 A KR 20050016153A KR 20060094738 A KR20060094738 A KR 20060094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band
rfid tag
dual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6308B1 (ko
Inventor
변상기
성낙선
최원규
이경희
표철식
채종석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16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308B1/ko
Publication of KR20060094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19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setting parameters for the interrogator, e.g. programming parameters and operating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RFID 태그가 소정의 신호를 제 1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이중대역으로 선택적으로 송신하여 RFID 태그가 부착된 제품을 식별하고, 해당 제품의 위치를 정확히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안테나와, 안테나를 통해 소정 신호가 송신 및 수신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안테나 및 스위칭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신호 복조부와, 수신신호 복조부가 복조한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송신할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와, 제어부가 제공하는 송신신호를 제 1 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주파수 변조한 후 상기 스위칭부 및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이중대역 송신신호 변조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제품에 대한 식별정보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통신하고, 제품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할 경우에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통신하여 제품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RFID, 태그, 이중대역, 위치정보, 제품식별, 능동형

Description

이중대역 알에프아이디 태그{Dual b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도 1은 종래의 433.92ㅁ1㎒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단일대역의 능동형 RFID 태그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RFID 비콘 송신용 태그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중대역 RFID 태그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대역 RFID 태그의 일 실시 예에서 변조 송신부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중대역 RFID 태그를 이용한 RTLS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중대역 RFID 태그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 안테나 310, 410 : 스위칭부
320 : 수신신호 복조부 330 : 제어부
340 : 이중대역 송신신호 변조부 400 : 듀얼 PLL용 집적소자
420, 430 : 가산기 440, 450 : 제 1 및 제 2 VCO
600 : 이중대역 수신신호 복조부 FCLK1, FCLK2 : 궤환 클럭신호
본 발명은 능동형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RFID 태그의 송신신호 변조부가 소정의 신호를 제 1 주파수 대역인 중심주파수 433.92㎒에서 사용대역폭 1MHz 또는 제 2 주파수 대역인 2.40∼2.48㎓의 이중대역으로 선택적으로 송신하여 RFID 태그가 부착된 제품을 식별하고, 해당 제품의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이중대역 RFID 태그에 관한 것이다.
RFID 태그는 전자회로로 구성되어 제작된 트랜스폰더와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수동형과 능동형이 있다. 상기 수동형은 내부 전원이 없고, RFID 리더기가 전송하는 전파신호로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데 비하여 상기 능동형은 외부에서 별도의 에너지를 공급받지 않고, 스스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전지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수동형 RFID 태그는 RFID 리더기의 전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정보에 제한이 있으므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수동형 태그는 제품의 고유 코드, 제조자 ID등과 같이 제한된 정보만을 담을 수 있는 한계가 있는 반면에 능동형 RFID 태그는 제품의 가격 및 제조일 등의 정보 이외에도 제품의 원산지, 제품의 중간 이동과정, 제품의 현재 상태 및 제품 구매이력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다.
RFID 태그는 무선으로 RFID 리더기와 신호를 주고받는 비접촉 방식으로 거리의 제한이 적고, RF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신호를 자유롭게 취득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RF 신호를 인식하여 컨테이너 박스나 팔레트 단위 등으로 저장된 복수 개의 제품 정보들을 인식할 수 있다.
능동형의 RFID 태그는 현재 국제 표준규격 ISO 18000-7로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가 확정되어 중심주파수 433.92㎒의 주파수를 사용하도록 국제표준이 확정되고 사용대역폭은 국가별로 기술 기준을 정하여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예로서 미국 FCC의 경우에 중심주파수 433.92㎒에 사용주파수 대역폭은 1MHz로 규정된 능동형의 RFID 태그를 사용하는 RFID 시스템은 433.92㎒의 중심주파수에서 주파수변조 편이는 ㅁ50KHz의 RFID 태그와 RFID 리더기가 상호간에 통신하여 RFID 태그가 부착된 소정의 제품들을 관리하고 있다. 즉, RFID 시스템은 관리하고자 하는 제품에 RFID 태그를 부착하고, RFID 리더기가 상기 RFID 태그와 중심주파수 433.92㎒의 주파수로 상호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RFID 리더기가 RF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로 RFID 태그가 부착된 해당 제품을 식별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을 도 1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종래의 단일대역의 능동형 RFID 태그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00)와, 상기 안테나(100)를 통해 소정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10)와, 상기 안테나(100) 및 스위칭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중심주파수 433.92㎒의 FSK 복조신호를 복조하는 수신신호 복조부(120)와, 상기 수신신호 복조부(120)가 복조한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송신할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130)가 제공하는 송신신호를 433.92ㅁ0.5㎒의 신호로 주파수 변조한 후 상기 스위칭부(110) 및 안테 나(100)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신호 변조부(140)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능동형 RFID 태그는 RFID 시스템의 RFID 리더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가 능동형 RFID 태그가 부착된 제품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어를 비롯한 소정의 신호를 433.92ㅁ0.5㎒의 신호로 변조하여 송신하면, RFID 리더기의 송신신호를 능동형 RFID 태그의 안테나(100) 및 스위칭부(110)를 통해 수신신호 복조부(120)가 수신하여 복조하고, 복조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신호 복조부(120)가 복조한 신호 즉, 명령어를 판독하여 해당동작을 수행하고, 또한 판독한 명령어가 식별정보의 요청일 경우에 RFID 태그는 자신이 부착되어 있는 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정보를 송신신호 변조부(14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송신신호 변조부(140)는 하나의 변조용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가 포함된 PLL(Phase Locked Loop) 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130)가 제공하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VCO를 통해 433.92ㅁ0.5㎒의 신호로 주파수 변조하고, 주파수 변조한 433.92ㅁ0.5㎒ 신호는 스위칭부(110) 및 안테나(100)를 통해 송신된다.
상기 RFID 태그가 상기 안테나(100)를 통해 송신하는 433.92ㅁ0.5㎒ 신호를 RFID 리더기가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로 RFID 태그가 부착된 제품을 식별하게 된다.
이러한 RFID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433.92ㅁ0.5㎒로 식별정보 를 송신하여 자신이 부착되어 있는 제품의 정보를 RFID 리더기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RFID 태그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외부에 알릴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RFID 시스템은 RFID 태그가 송신하는 송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3개 이상 복수의 수신기를 구비하고, 그 복수의 수신기가 수신한 수신신호의 도착시간을 이용한 위치추적 알고리즘으로 RFID 태그의 위치를 계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RFID 태그가 소정의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데 사용하는 433.92ㅁ0.5㎒의 주파수는 파장이 비교적 길어 복수의 수신기기가 수신한 RFID 태그의 송신신호로 RFID 태그의 위치를 정확히 계산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위치정보를 취득하고자 하는 제품에 상기 433.92ㅁ0.5㎒의 RFID 태그와 별도로 2.40∼2.48㎓의 주파수로 소정의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2.40∼2.48㎓의 비콘 송신용 태그를 부착하여 제품의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RFID 비콘 송신용 태그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비콘 송신용 태그 시스템은 특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는 엑사이터부(200) 및 이동 가능한 제품에 설치되는 RFID 태그부(210)를 구비한다. 상기 엑사이터부(200)는, 미리 저장된 소정 ID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 1 MCU(201)와, 상기 제 1 MCU(201)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엑사이터 ID를 133㎑ 또는 13.56㎒의 저주파로 변조하여 안테나(205)를 통해 송신하는 저주파 송신기(20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RFID 태그부(210)는, 상기 엑사이터부(200)가 송신하는 엑사이 터 ID를 안테나(211)를 통해 수신하는 저주파 수신기(213)와, 상기 저주파 수신기(215)가 수신한 엑사이터 ID를 포함하는 RFID 태그부(210)의 ID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 2 MCU(215)와, 상기 제 2 MCU(215)의 제어에 따라 엑사이터 ID를 포함하는 RFID 태그부(210)의 ID를 433.92ㅁ1㎒의 주파수로 변조하여 안테나(219)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기(217)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비콘 송신용 태그 시스템은 엑사이터부(200)의 제 2 MCU(201)가 저주파 송신기(203)가 제어하여 미리 저장된 소정 엑사이터 ID를 저주파 송신기(203)가 133㎑ 또는 13.56㎒의 저주파로 변조하고, 변조한 엑사이터 ID를 안테나(205)를 통해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제품에 설치된 RFID 태그부(210)는 엑사이터부(200)가 설치된 소정의 위치를 통과할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이 엑사이터부(200)가 송신하는 엑사이터 ID를 안테나(211)를 통해 저주파 수신기(213)가 수신하여 제 2 MCU(215)에 제공하게 된다.
그러면, 제 2 MCU(215)는 상기 저주파 수신기(213)가 수신한 엑사이터 ID와 RFID 태그의 ID 정보를 합성하여 엑사이터 ID를 포함하는 태그의 ID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엑사이터 ID를 포함하는 태그의 ID 정보를 송신기(217)에 제공하여 433.92ㅁ1㎒의 주파수로 변조한 후 안테나(219)를 통해 송신하게 된다.
상기 RFID 태그부(210)가 433.92ㅁ 0.5㎒의 주파수로 송신하는 엑사이터 ID를 포함하는 태그의 ID 정보를 RFID 리더기가 수신하고, 수신한 엑사이터 ID를 포함하는 태그의 ID 정보를 이용하여 RFID 태그부(210)가 부착되어 있는 제품의 위치 를 판별하게 된다. 즉, 태그의 ID로 식별한 제품의 위치를 엑사이터 ID로 판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비콘 송신용 태그 시스템은 복수의 위치 예를 들면, 소정의 제품들이 통과하는 복수의 위치에 각기 엑사이터부(200)를 설치하고, 그 복수의 엑사이터부(200)는 각기 부여된 엑사이터 ID를 저주파로 송신하도록 설치해야 되는 것으로서 구성이 복잡하고, 또한 복수의 엑사이터부(200)가 각기 자계결합방식으로 RFID 태그를 동작(wake-up)시키고, 소정의 정보를 전달하므로 안테나의 크기가 매우 커야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국제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433.92ㅁ1㎒ 또는 2.40∼2.48㎓의 RTLS(Real Time Locating Systems)는 단일대역 엑사이터, RTLS 태그송신기, RTLS 수신기 및 RTLS 서버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엑사이터 또는 사인포스트에 의해 RTLS 송신기 태그가 동작(Wake-up)되면 RTLS 태그 송신기 또는 비콘 태그는 태그 ID를 송신하게 되고, 송신된 태그의 ID는 3개 이상의 RTLS 수신기가 수신하며, 수신한 신호는 RTLS 서버에서 분석된다.
RTLS 서버는 각각의 RTLS 수신기가 수신하는 RFID 태그의 신호 도착시간(Arrival Time)을 계산하여 거리와 방향을 도출한다. 그리고 3개 이상의 RTLS 수신기에서 계산된 RFID 태그 데이터는 다시 위치추적 알고리즘에 의해 RFID 태그의 위치를 도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상술한 바와 같이 1차원적인 특정 지점을 통과하는 제품의 RFID 태그를 추적하는 수단으로만 활용이 가능하다. 즉 상기한 종래의 방식은 2차원적 위치추적(RTLS) 방식으로는 부적합하다.
현재 국제표준이 진행되고 있는 2가지 방식 중에서 433.92ㅁ1㎒응 사용하는 방식은 기존의 능동형 RFID 태그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전파의 파장이 길기 때문에 2.40∼2.48㎓를 사용하는 RTLS시스템과 비교하여 위치정확도 성능이 미흡하다. 이러한 이유로 2.40∼2.48㎓를 사용하는 RTLS 시스템을 채택할 경우에 위치정확도의 성능은 향상되나, 기존의 433.92ㅁ1㎒ RFID 태그를 사용하는 RFID 시스템에는 별도의 2.40∼2.48㎓를 사용하는 별도의 송신용 태그가 부착되고, 이를 수신하는 2.40∼2.48㎓의 수신 단말기가 요구되어 비용투자가 중복되는 단점을 갖는다.
이와 유사한 방안으로는 엑사이터의 감지거리가 매우 짧도록 할 수 있으나, 이는 주변의 여러 태그가 동시에 동작(Wake-up)되므로 이에 대한 기술적 해결방안도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주파수 대역인 433.92ㅁ1㎒와 제 2 주파수 대역인 2.40∼2.48㎓의 이중대역으로 선택적으로 송신하여 제품을 식별하고, 해당 제품의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대역 RFID 태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이중대역 RFID 태그에 따르면, 송신신호 변조부가 제품에 대한 식별정보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조하여 송신하고, 제품에 대한 위치정보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조하여 송신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중대역 RFID 태그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소정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칭부와, 상기 안테나 및 제 1 스위칭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신호 복조부와, 상기 수신신호 복조부가 복조한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송신할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송신신호를 제 1 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주파수 변조한 후 상기 제 1 스위칭부 및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이중대역 송신신호 변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신호 변조부는 기준 클럭신호와 제 1 및 제 2 궤환 클럭신호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주파수차에 해당되는 레벨의 제 1 및 제 2 발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듀얼 PLL용 집적소자와, 송신할 신호를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칭부와, 상기 제 2 스위칭부가 스위칭한 송신신호를 상기 듀얼 PLL용 집적소자가 발생한 제 1 및 제 2 발진 제어신호를 각기 가산하는 가산기와, 상기 가산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신호를 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주파수 변조한 변조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그 변조신호를 상기 제 1 및 제 2 궤환 클럭신호로 상기 듀얼 PLL용 집적소자로 궤환시키는 제 1 및 제 2 VCO로 구성되고, 상기 수신신호 복조부는 입력되는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수신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에 입력시키는 이중대역 수신신호 복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중대역 RFID 태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중대역 RFID 태그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300)와, 상기 안테나(300)를 통해 소정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310)와, 상기 안테나(300) 및 스위칭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 즉, 433.92ㅁ1㎒의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신호 복조부(320)와, 상기 수신신호 복조부(320)가 복조한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송신할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330)와, 상기 제어부(330)가 제공하는 송신신호를 제 1 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주파수 대역 즉, 433.92ㅁ1㎒ 또는 2.40∼2.48㎓의 신호로 주파수 변조한 후 상기 스위칭부(310) 및 안테나(300)를 통해 송신하는 이중대역 송신신호 변조부(340)로 구성하였다.
상기 송신신호 변조부(3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클럭신호와 궤환 클럭신호(FCLK1)(FCLK2)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주파수차에 해당되는 레벨의 제 1 및 제 2 발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듀얼 PLL용 집적소자(400)와, 송신할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410)와, 상기 스위칭부(410)가 스위칭한 송신신호를 상기 듀얼 PLL용 집적소자(400)가 발생한 제 1 및 제 2 발진 제어신호를 각기 가산하는 가산기(420)(430)와, 상기 가산기(420)(43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신호를 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주파수 변조한 변조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그 변조신호를 상기 궤환 클럭신호(FCLK1)(FCLK2)로 상기 듀얼 PLL용 집적소자(400)로 궤환시키는 제 1 및 제 2 VCO(440)(450)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중대역 RFID 태그는 RFID 리더기가 송신하는 비콘발생 명령 동작(Wake-up)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것으로서 RFID 리더기가 소정의 명령어 등을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조하여 송신하면, RFID 리더기의 송신신호를 안테나(300) 및 스위칭부(310)를 통해 수신신호 복조부(320)가 수신하여 복조하고, 복조한 신호를 제어부(330)로 입력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복조한 신호 예를 들면, 소정의 명령어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명령어가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소정의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어일 경우에 제어부(330)는 해당 정보를 이중대역 송신신호 변조부(340)에 제공함과 아울러 이중대역 송신신호 변조부(340)의 스위칭부(410)를 제어하여 가동단자가 일측 고정단자(a)에 접속되게 한다.
그러면, 이중대역 송신신호 변조부(340)는 상기 제어부(330)가 제공하는 소정의 정보 즉, 송신신호가 스위칭부(410)를 통해 가산기(420)로 입력되고, 또한 듀얼 PLL용 집적소자(400)가 입력되는 기준 클럭신호와 제 1 VCO(440)로부터 궤환되는 궤환 클럭신호(FCLK1)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주파수차에 따른 소정 레벨의 제 1 발진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제 1 발진 제어신호는 가산기(420)로 입력된다.
상기 가산기(420)는 상기 송신신호와 제 1 발진 제어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하고, 가산기(420)의 출력신호 레벨에 따라 제 1 VCO(440)가 동작하여 상기 송신신호를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주파수 변조한 변조신호를 발생하며, 발생한 주파수 변조신호는 듀얼 PLL용 집적소자(400)에 궤환 클럭신호(FCLK1)로 궤환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칭부(310) 및 안테나(300)를 통해 송신된다.
상기 RFID 태그가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주파수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신호는 RFID 리더기가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분석하여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제품을 식별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신호 복조부(320)가 복조한 신호가 위치정보를 획득하고자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위치식별 등을 위한 소정의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어일 경우에 제어부(330)는 이중대역 RFID 태그의 식별정보 등을 송신신호로 이중대역 송신신호 변조부(340)에 제공함과 아울러 이중대역 송신신호 변조부(340)의 스위칭부(410)를 제어하여 가동단자가 타측 고정단자(b)에 접속되게 한다.
그러면, 이중대역 송신신호 변조부(340)는 상기 제어부(330)가 제공하는 소정의 정보 즉, 송신신호가 스위칭부(410)를 통해 가산기(430)로 입력되고, 또한 듀얼 PLL용 집적소자(400)가 입력되는 기준 클럭신호와 제 2 VCO(450)로부터 궤환되는 궤환 클럭신호(FCLK2)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주파수차에 따른 소정 레벨의 제 2 발진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제 2 발진 제어신호는 가산기(430)로 입력된다.
상기 가산기(430)는 상기 송신신호와 제 2 발진 제어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하고, 가산기(430)의 출력신호 레벨에 따라 제 2 VCO(450)가 동작하여 상기 송신신호를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주파수 변조한 변조신호를 발생하며, 발생한 변조신호는 듀얼 PLL용 집적소자(400)에 궤환 클럭신호(FCLK2)로 궤환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칭부(310) 및 안테나(300)를 통해 송신된다.
상기 RFID 태그가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주파수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신호는 복수의 RTLS 수신기가 수신하고, 그 송신신호가 수신된 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제품의 위치를 식별한다.
즉, 본 발명의 이중대역 RFID 태그는 RFID 리더기와 이중대역 RFID 태그가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통신을 수행하여 이중대역 RFID 태그가 부착된 제품을 식별하고, 또한 이중대역 RFID 태그가 부착된 제품의 위치를 식별할 경우에 이중대역 RFID 태그가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식별정보를 송신하여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장소에 복수의 RTLS 수신기(500)를 설치하고, RFID 리더기(510)와 소정의 제품에 부착된 이중대역 RFID 태그(520)가 상호간에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이중대역 RFID 태그(520)가 제품을 식별하고, 또한 제품의 위치를 식별할 경우에 이중대역 RFID 태그(520)가 소정의 식별정보를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송신하고, 이를 복수의 RTLS 수신기(500)가 수신하며, 소정의 식별정보가 복수의 RTLS 수신기(500)에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 및 각각의 수신시간을 이용하여 제품의 위치를 식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중대역 RFID 태그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수신신호 복조부가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 이외에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복조하는 이중대역 수신신호 복조부(600)를 사용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평상시에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RFID 리더기와 RFID 태그가 상호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RTLS의 용도 즉, 위치식별을 할 경우에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소정의 정보를 무선 통신한다. 이 경우에는 안테나(300)도 이중대역 안테나가 사용되어야 하고, 주파수 대역의 전환은 제어부(330)의 펌웨어의 수정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대역 RFID 태그는 기존의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제품의 정보를 식별할 수 있고, 또한 위치 추적이 필요할 경우에 이중대역 RFID 태그가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여 제품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나의 RFID 태그로 제품의 식별 및 위치 추적이 모두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소정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칭부;
    상기 안테나 및 제 1 스위칭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신호 복조부;
    상기 수신신호 복조부가 복조한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송신할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송신신호를 제 1 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주파수 변조한 후 상기 제 1 스위칭부 및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이중대역 송신신호 변조부로 구성된 이중대역 RFID 태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신호 변조부는;
    기준 클럭신호와 제 1 및 제 2 궤환 클럭신호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주파수차에 해당되는 레벨의 제 1 및 제 2 발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듀얼 PLL용 집적소자;
    송신할 신호를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칭부;
    상기 제 2 스위칭부가 스위칭한 송신신호를 상기 듀얼 PLL용 집적소자가 발생한 제 1 및 제 2 발진 제어신호를 각기 가산하는 가산기;
    상기 가산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신호를 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주파수 변조한 변조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그 변조신 호를 상기 제 1 및 제 2 궤환 클럭신호로 상기 듀얼 PLL용 집적소자로 궤환시키는 제 1 및 제 2 VCO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역 RFID 태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신호 복조부는;
    입력되는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수신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에 입력시키는 이중대역 수신신호 복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역 RFID 태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 각각은;
    433.92ㅁ1㎒ 및 2.40∼2.48㎓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역 RFID 태그.
KR1020050016153A 2005-02-25 2005-02-25 이중대역 알에프아이디 태그 KR100666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153A KR100666308B1 (ko) 2005-02-25 2005-02-25 이중대역 알에프아이디 태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153A KR100666308B1 (ko) 2005-02-25 2005-02-25 이중대역 알에프아이디 태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738A true KR20060094738A (ko) 2006-08-30
KR100666308B1 KR100666308B1 (ko) 2007-01-10

Family

ID=37602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153A KR100666308B1 (ko) 2005-02-25 2005-02-25 이중대역 알에프아이디 태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3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584B1 (ko) * 2008-09-24 2010-09-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상 반전 진폭 편이 방식으로 변조하는 rfid 태그 장치 및 방법
CN103593700A (zh) * 2013-09-13 2014-02-19 昆山新金福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感应式名片卡
KR101448997B1 (ko) * 2007-08-14 2014-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id 리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997B1 (ko) * 2007-08-14 2014-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id 리더
KR100980584B1 (ko) * 2008-09-24 2010-09-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상 반전 진폭 편이 방식으로 변조하는 rfid 태그 장치 및 방법
CN103593700A (zh) * 2013-09-13 2014-02-19 昆山新金福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感应式名片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308B1 (ko)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4402B2 (en) Wireless temperature sensor network
US6745008B1 (en) Multi-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8914061B2 (en) Contactless integrated circuit having NFC and UHF operating modes
EP1509871B1 (en) Transmission of information using backscatter radio-frequency transponders
US201103009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n Object Using a Mobile Device
CA2836646C (en) Location of a transponder center point
US8274372B2 (en) Apparatus for efficiently locating and communicating with a specific RFID tag among a plurality of groups of tags
AU2002303212A1 (en) Frequency-hopping rfid system
TW200632354A (en)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distance measuring method, reflector and communication system
EP1425608A1 (en) Frequency-hopping rfid system
JP2010530098A (ja) タッグデバイス、リーダーデバイス、rfidシステム
US7277681B2 (en) Interrogator of moving body identification device
EP3229167B1 (en) Wireless tag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tag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666308B1 (ko) 이중대역 알에프아이디 태그
WO1998026369A1 (fr) Systeme de communication sans contact et interrogateur utilise pour celui-ci
JP2006184253A (ja) 無線タグ通信システム
US20230385594A1 (en) System for pairing an item of data of a uwb transmitter device and a tag comprising a graphic code
JP3496383B2 (ja) データ通信装置
JP4636326B2 (ja) 情報読み取り装置
KR101809755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
JP3620783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質問器
WO2008026691A1 (fr) Porteuse de données et système de porteuse de données
JPH06103878B2 (ja) データ通信装置
JPH09138275A (ja) 移動体識別装置
KR101226916B1 (ko) 알에프아이디판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