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2528A -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및그 이동단말 - Google Patents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및그 이동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528A
KR20060092528A KR1020050013493A KR20050013493A KR20060092528A KR 20060092528 A KR20060092528 A KR 20060092528A KR 1020050013493 A KR1020050013493 A KR 1020050013493A KR 20050013493 A KR20050013493 A KR 20050013493A KR 20060092528 A KR20060092528 A KR 20060092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event
handover
mobile termin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3860B1 (ko
Inventor
곽용원
이진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3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860B1/ko
Priority to JP2007556075A priority patent/JP4875630B2/ja
Priority to PCT/KR2006/000555 priority patent/WO2006088331A1/en
Priority to CN2006800052086A priority patent/CN101120600B/zh
Priority to US11/816,619 priority patent/US8023945B2/en
Priority to EP06716005.1A priority patent/EP1849315B1/en
Priority to CA2598085A priority patent/CA2598085C/en
Publication of KR20060092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528A/ko
Priority to IL184832A priority patent/IL1848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involving radio access media independent information, e.g. MIH [Media independen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2Release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모드(예, IEEE802.16 과 IEEE802.11 인터페이스 혹은 IEEE802.16과 3GPP/3GPP2 인터페이스 또는 IEEE802.11과 3GPP/3GPP2)로 구성된 이동단말이 다른 기종망으로 핸드오버(handover) 수행시 이전에 접속해 있던 매체접근제어 계층의 링크와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은, 멀티모드(multi-mode)로 구성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링크(link)와의 연결(connection)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알리는 트리거 이벤트(trigger event)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이전 링크와의 연결 해제를 지시하는 트리거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멀티모드, 이동단말, 이종망, 핸드오버, 트리거 이벤트, 링크 해제

Description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및 그 이동단말{Method of releasing link connection after handover in multi-mod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of}
도1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멀티모드로 구성된 이동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성도를 도시한 것임.
도2는 종래기술에 있어서 MIH 기능을 포함한 이동단말과 네트워크의 기능적 엔터티와 전송 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임.
도3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트리거 모델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것임.
도4는 종래기술 있어서 이동단말이 현재 접속되어 있는 링크의 품질이 저하되어 새로운 링크를 설정할 때까지 발생되는 트리거를 나타내는 예시도임.
도5는 종래기술에 있어서 Mobile IPv4에서의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임.
도6은 IP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IP mobility management protocol)을 구비한 이동단말의 프로토콜 스택(stack)을 도시한 것임.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임.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절차가 다중모드 이동단말의 프로토콜 스택에서 두 개 이상의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이 있을 경우 트리거 이벤트가 전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임.
본 발명의 멀티모드(multi-mode)로 구성된 이동단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멀티모드(예, IEEE802.16 과 IEEE802.11 인터페이스 혹은 IEEE802.16과 3GPP/3GPP2 인터페이스 또는 IEEE802.11과 3GPP/3GPP2)로 구성된 이동단말이 다른 기종망으로 핸드오버(handover) 수행시 이전에 접속해 있던 매체접근제어 계층의 링크와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종망(heterogeneous) 간 매개체 독립 핸드오버(MIH: Media Independent Handover)에 대한 국제 표준화를 진행중인 IEEE802.21은 이종망 간에 끊김 없는 핸드오버(seamless handover)와 서비스 연속성(service continuity)을 제공하여 이동단말장치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기본적인 요구사항으로는 MIH 기능(MIH function),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 및 정보 서비스(IS: Information Service)를 정의하고 있다.
이동단말(MSS: Mobile Subscriber Station)은 둘 이상의 인터페이스 타입(interface type)을 지원하는 멀티모드 노드(multi-mode node)이다. 상기 인터페이스 타입은, IEEE802.3 기반의 이더넷(Ethernet)과 같은 유선(Wire-line) 형태의 인터페이스 타입, IEEE802.11, IEEE802.15, IEEE802.16 등과 같은 IEEE802.XX에 기 반한 무선 인터페이스 타입 또는 3GPP, 3GPP2와 같은 셀룰러(Cellular) 표준화 기구에 의해 정의된 인터페이스 타입들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1은 멀티모드로 구성된 이동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멀티모드로 구성된 이동단말은 각 모드별 물리계층(PHY: physical layer)과 매체접근제어계층(MAC: medium access control layer)을 가지며 IP 계층 아래에 MIH 계층이 위치한다.
매개체 독립 핸드오버(MIH: Media Independent Handover)는 IEEE802 계열 인터페이스 간 또는 IEEE802 계열 인터페이스와 상기의 3GPP, 3GPP2와 같은 셀룰러 표준화 기구에 의해 정의된 인터페이스 타입과 같은 비 802 계열 인터페이스 간에서 정의되어야 하며, 모바일 IP(Mobile IP) 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와 같은 상위계층의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이 핸드오버와 끊김 없는 서비스를 위해 지원되어야 한다.
MIH 기능은 IP계층 아래에 위치하며, 트리거 이벤트(trigger event)와 다른망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은 2 계층(Layer 2)으로부터의 입력값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처리 과정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MIH 기능은 핸드오버 과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용자 정책(policy)과 구성(configuration) 기반의 입력값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바일 IP(mobile IP) 또는 SIP와 같은 3 계층(Layer 3) 엔터티(entity)와 MIH 기능 간에 일반적인 인터페이스들이 정의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은 1 계층(물리계층)과 2 계층(매체접근제어계층) 및 이동성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MIH 계층은 이벤트와 정보 서비스의 도움으로 하위계층과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획득 한다.
따라서, 상위계층에 이동단말 내의 다른 링크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제어하기 위한 MIH 기능이 위치해야 한다. 도2는 MIH 기능을 포함한 이동단말과 네트워크의 기능적 엔터티와 전송 프로토콜을 나타내며, 도2에서 점선은 프리미티브(Primitive),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 등을 나타낸다.
빠른 핸드오버를 위하여, 네트워크 계층은 가능한 빨리 연결을 재설정할 수 있도록 링크 계층(link layer)으로 부터의 정보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링크 계층 이벤트는 사용자의 이동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며, 이동단말과 네트워크가 사전에 핸드오버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핸드오버를 위한 트리거는 물리계층(PHY), 매체접근제어 계층(MAC)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트리거에 대한 근원지는 로컬 스택(Local Stack) 또는 원격 스택(Remote Stack)이 될 수 있다. 도3은 트리거 모델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다.
이벤트 트리거는 현재 신호에 대한 상태와 다른 네트워크의 상태 변화, 미래의 예측되는 변화를 제공하며, 물리 계층과 매체접근제어 계층상의 변화 혹은 특정 네트워크의 속성의 변화들을 포함한다.
이벤트 타입은 물리계층 이벤트(PHY layer event), 매체접근제어 계층 이벤트(MAC layer event), 관리 이벤트(Management event), 3 계층 이벤트(L3 event), 응용 이벤트(Application event)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기본적인 트리거 이벤트는 다음과 같다.
'Link_Up'은 특정 링크 인터페이스 상에서 2 계층 연결이 설정되고 상위 계층에서 3 계층 패킷들을 전송할 수 있을 때 발생한다. 이때, 링크를 구성하는 모든 2 계층 구성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이벤트 근원지는 'Local MAC' 과 'Remote MAC'이다. 표1은 'Link_Up'의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Name Type Description
EventSource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생성된 근원지
EventDestination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전달될 목적지
MacMobileTerminal MAC Address 이동단말의 MAC 주소
MacOldAccessRouter MAC Address 이전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MacNewAccessRouter MAC Address 새로운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NetworkIdentifer Media Specific 서브넷(Subnet)의 변화를 감지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식별자
'Link_Down'은 특정 인터페이스 상에서 2 계층 연결이 해제되었고 더 이상 3 계층 패킷을 전송할 수 없을 때 발생한다. 이벤트 근원지는 'Local MAC'이다. 표2는 'Link_Down'의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Name Type Description
EventSource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생성된 근원지
EventDestination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전달될 목적지
MacMobileTerminal MAC Address 이동단말의 MAC 주소
MacOldAccessRouter MAC Address 이전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ReasonCode 링크가 해제된 이유
'Link_Going_Down'은 2 계층 연결이 특정 시간 내에 'link down'될 것으로 예측될 때 발생하며, 핸드오버 절차를 초기화하기 위한 시그널이 될 수도 있다. 이벤트 근원지는 'Local MAC'과 'Remote MAC'이다. 표3은 'Link_Going_Down'의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Name Type Description
EventSource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생성된 근원지
EventDestination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전달될 목적지
MacMobileTerminal MAC Address 이동단말의 MAC 주소
MacOldAccessRouter MAC Address 이전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MacNewAccessRouter MAC Address 새로운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TimeInterval Time in msecs 링크가 Link_Down 될 것을 예측되는 시간
ConfidenceLevel % 특정시간에 링크가 Link_Down 될 것으로 예측되는 수준
UniqueEventIdentifer 이벤트 롤백(Event Rollback)이 발생한 경우 사용
'Link_Going_Up'은 2 계층 연결이 특정 시간 내에 'Link_Up' 될 것으로 예측될 때 발생하며, 네트워크가 초기화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벤트 근원지는 'Local MAC'과 'Remote MAC'이다. 표4는 'Link_Going_Up'의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Name Type Description
EventSource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생성된 근원지
EventDestination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전달될 목적지
MacMobileTerminal MAC Address 이동단말의 MAC 주소
MacNewAccessRouter MAC Address 새로운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TimeInterval Time in msecs Link_UP이 될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ConfidenceLevel % 특정시간에 링크가 Link_Up 될 것으로 예측되는 수준
UniqueEventIdentifer 이벤트 롤백(Event Rollback)이 발생한 경우 사용
'Link_Event_Rollback'은 'Link_Going_Up', 'Link_Going_Down'과 결합하여 사용된다. 'Link_Going_Up' 또는 'Link_Going_Down'이 전송되었으나, 특정 시간 내에 더 이상 'Link_UP' 또는 'Link_Down'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될 때 발생되는 트리거이다. 이벤트 근원지는 'Local MAC'과 'Remote MAC'이다. 표5는 'Link_Event_Rollback'의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Name Type Description
EventSource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생성된 근원지
EventDestination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전달될 목적지
MacMobileTerminal MAC Address 이동단말의 MAC 주소
MacNewAccessRouter MAC Address 새로운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UniqueEventIdentifer 이벤트 롤백(Event Rollback)이 발생한 경우 사용
'Link_Available'은 새로운 특정 링크가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현재 이동단말이 접속해 있는 기지국이나 액서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 비해 새로운 기지국이나 액서스 포인트가 더 나은 링크 품질을 제공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이벤트 근원지는 'Local MAC'과 'Remote MAC'이다. 표6은 'Link_Available'의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Name Type Description
EventSource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생성된 근원지
EventDestination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전달될 목적지
MacMobileTerminal MAC Address 이동단말의 MAC 주소
MacNewAccessRouter MAC Address 이전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MacOldAccessRouter MAC Address 새로운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Link_Parameters_Change'는 링크 파라미터 값의 변화가 특정 한계 수준을 넘어섰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이다. 이것은 링크속도, QoS(Quality of Service), 암호화값 등과 같은 링크 계층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근원지는 'Local MAC' 과 'Remote MAC'이다. 표7은 'Link_Parameters_Change'의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Name Type Description
EventSource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생성된 근원지
EventDestination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전달될 목적지
MacMobileTerminal MAC Address 이동단말의 MAC 주소
MacAccessRouter MAC Address 현재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oldValueOfLinkParameter 링크 파라메터의 이전 값
newValueOfLinkParameter 링크 파라메터의 새로운 값
도4는 이동단말이 현재 접속되어 있는 링크의 품질이 저하되어 새로운 링크를 설정할 때까지 발생되는 트리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정보 서비스(Information Service)는 네트워크 발견과 선택을 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며, 어떤 네트워크로부터도 접근 가능하여야 한다. 정보 서비스는 링크 접근 파라미터(link access parameter), 보안 메커니즘(security mechanism), 네이버 맵(Neighbor Map), 위치(Location), 서비스 제공자 및 다른 액서스 정보(Provider and other Access Information), 링크 비용(Cost of link) 등과 같은 정보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Mobile IPv4'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모바일 IP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은 홈 에이전트(Home Agent)와 방문 에이전트(Foreign Agent) 및 이동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바일 IP의 동작을 위해서는 에이전트 발견(agent discovery), 등록(registration), 라우팅(routing), 임시 주소(CoA) 등과 같은 기능이 필요하다. 각각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이전트 발견은 이동단말이 현재 자신이 홈(home)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혹은 방문(foreign) 네트워크에 위치해 있는지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해 이동단말은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등록 기능은 이동단말이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했음을 탐지했을 때, 현재의 위치 정보를 홈 에이전트에게 전달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상에서도 홈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받던 서비스를 그대로 제공받을 수 있게 해주는 융통성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라우팅 기능은 이동단말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을 때,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혹은 상기 이동단말로 송수신되기 위한 데이터그램(datagram)을 적절히 라우팅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이다.
임시 주소(CoA) 기능은 이동단말이 다른 서브넷으로 이동했을 때 임시 주소를 설정하는 기능으로서, 'FA-CoA'와 'co-located CoA'의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임시 주소 가능을 제공할 수 있다. 'FA-CoA' 방법은 에이전트 광고(Agent Advertisement) 메시지를 통해 외부 에이전트(Foreign Agent)에 의해 제공되며, 외부 에이전트의 IP 주소가 임시 주소로 쓰인다. 'co-located CoA' 방법은 이동 노드가 방문 네트워크 (Foreign Network)에 위치해 있는 DHCP 서버를 통하여 임시 주소를 할당 받는 방식이다.
Mobile IPv4는 기본적으로 상위 계층에 투명한 이동성 지원을 목표로 하며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이동 호스트(Mobile Host), 홈 에이전트(Home Agent), 방문 에이전트(Foreign Agent) 기능의 추가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경로 최적화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상대 노드(Correspondent Node)의 변경은 필요하지 않다. 여기서 이동 호스트는 이동성이 지원되는 IP 호스트를 나타내며 홈 에이전트는 이동 호스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유지하며 방문 에이전트로 또는 이동 호스트에 대한 터널링(tunneling)을 수행하는 라우터이며, 방문 에이전트는 방문 망에서 이동성을 지원하는 라우터를 각각 의미한다.
도5는 Mobile IPv4에서의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의 각 단계에서의 동작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이동 호스트가 자신의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에서 방문 네트워크(Foreign Network)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호스트는 방문 네트워크에서 방송되는 광고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자신이 이동하였음을 인식하고 홈 네트워크에 있는 홈 에이전트에 자신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임시주소(CoA)를 등록한다
(2) 이때 CoA는 방문 에이전트의 IP 주소이거나(FA-CoA) 방문 네트워크에서 이동 호스트가 DHCP 등을 통해 임시로 할당받은 주소(Co-located CoA) 이다. 외부에서 이동 호스트로 보내지는 패킷들은 홈 망으로 전송되며, 이 패킷은 이동 단말의 이동을 인지하고 있는 홈 에이전트에 의해서 가로채어진다.
(3) 홈 에이전트는 이동 호스트로 전달되는 패킷을 FA의 주소를 목적지로 하여(FA-CoA가 사용되는 경우) 캡슐화(encapsulation)한 후 방문 에이전트로 전달한다.
(4) 캡슐화되어 전달된 패킷은 방문 에이전트에서 역캡슐화(de-capsulation)되어 최초 전달 패킷으로 복구된 후 이동 호스트로 최종적으로 전달된다.
(5) 이동 호스트에서 상대 호스트로 전달되는 패킷은 방문 에이전트를 통해 바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인그레스 필터링(ingress filtering)의 문제가 있는 경우 역방향 터널을 이용하여 전달될 수도 있다.
멀티모드로 구성된 이동단말의 매체접근제어계층(MAC)은 현재 연결되어 있는 링크의 신호 품질이 저하될 때 MIH에게 'Link_Going_Down' 트리거를 전송한 후 스캔닝(scanning) 과정을 실행한다. 이때, 다른 인터페이스의 매체접근제어계층에서 새로운 링크가 검색된 경우 링크 설정을 한 후, 이전에 연결되어 있던 링크와의 접속을 해제하는 과정이 필요하지만, 기존의 트리거만으로는 이 과정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모드로 구성된 이동단말에 있어서 핸드오버 수행에 의해 새로운 링크에 접속한 후 이전 링크와의 접속 및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효율적을 해제할 수 있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은, 멀티모드(multi-mode)로 구성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링크(link)와의 연결(connection)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알리는 트리거 이벤트(trigger event)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이전 링크와의 연결 해제를 지시하는 트리거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은, 핸드오버에 의해 새로운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알리는 트리거 이벤트(trigger event)를 발생시키는 상기 새로운 링크의 매체접근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 상기 새로운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알리는 트리거 이벤트를 전달받고 이전 링크와의 연결 해제를 지시하는 트리거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핸드오버 기능 엔터티와, 상기 새로운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알리는 트리거 이벤트를 전달받고 상기 이전 링크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상기 이전 링크의 매체접근제어 계층과, 상기 새로운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알리는 트리거 이벤트를 전달받고 상기 이전 링크에 대한 접속점(point of attachment) 또는 상기 새로운 링크에 대한 접속점으로 등록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네트워크(network) 계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의 세부적 특징으로서, 상기 새로운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알리는 트리거 이벤트(trigger event)를 발생된 후에 상기 이전 링크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의 다른 세부적 특징으로서, 상기 새로운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알리는 트리거 이벤트는 상기 새로운 링크의 매체접근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에서 발생되고, 상기 새로운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알리는 트리거 이벤트는 핸드오버 기능 엔터티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기능 엔터티는 매개체 독립 핸드오버(MIH: Media Independent Handover) 기능 엔터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전 링크와의 연결 해제를 지시하는 트리거 이벤트는 상기 MIH 기능 엔터티에서 발생되고, 상기 이전 링크의 매체접속제어 계층 및 네트워크(network) 계층으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으로서, 상기 이전 링크의 네트워크 계층이 상기 이전 링크 또는 상기 새로운 링크에 대한 접속점(point of attachment)으로 등록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전 링크에 대한 접속점이 홈 에이전트(home agent)로 상기 등록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6은 IP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IP mobility management protocol)을 구비한 이동단말의 프로토콜 스택(stack)을 도시한 것이다. 도6의 예에서는 상기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로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와 Mobile IPv4만을 예시하였으나, IP 모바일 관리 프로토콜이 조합으로 두 개 이상이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이다.
멀티모드(multi-mode)로 구성된 이동단말의 MIH 기능 엔터티는 현재 접속중인 인터페이스의 링크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새로운 링크의 매체접속제어 계층(LL new)로부터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링크가 이용 가능하다는 'Link_Available' 트리거 이벤트를 받고나서[S71] 새로운 링크와 연결 설정 절차를 실행한다[S72~S76].
상기 새로운 링크와의 연결 설정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새로운 인터페이스 링크의 매체접근제어 계층(LL new)은 상기 이동단말의 MIH 기능 엔터티와 상기 새로운 링크에 대한 접속점의 MIH 기능 엔터티로 링크가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Link_UP' 트리거 이벤트를 발생시켜 전달한다[S77, S78].
상기 이동단말의 MIH 기능 엔터티는 상기 새로운 링크의 매체접근제어 계층으로부터 상기 'Link_Up' 트리거 이벤트를 전달받고 나서, 상기 이전 링크와 설정되어 있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Clear_Oldlink_Connection' 및 'Clear_L3_Connection' 트리거 이벤트를 발생시켜 각각 이전 매체접근제어계층(LL old) 및 이전 네트워크 계층(HL old)에 전달한다[S79, S80].
다음의 표8 및 표9는 각각 상기 'Clear_Oldlink_Connection' 트리거 이벤트 및 'Clear_L3_Connection' 트리거 이벤트를 구성하는 파라미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Name Type Description
EventSource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생성된 근원지
EventDestination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전달될 목적지
MacMobileTerminal MAC Address 이동단말의 MAC 주소
Name Type Description
EventSource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생성된 근원지
EventDestination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전달될 목적지
Network ID IP Address 이동단말이 이전링크에서 접속해 있던 네트워크 주소
상기 이동단말의 이전 매체접근제어 계층(LL old)은 상기 'Clear_Oldlink_Connection' 트리거 이벤트를 전달받고 나서, 이전 링크의 연결을 해제한다.
상기 이동단말의 이전 네트워크 계층(HL old)은 상기 'Clear_L3_Connection' 트리거 이벤트를 전달받고 나서, 현재 접속점을 통해서 홈 에이전트에게 등록 해제 요청(MIP De-registration) 메시지를 전송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도록 한다 [S81, S82].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이다. 도8의 실시예는 단계 S85 및 S86을 제외한 나머지 단계들은 도7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도7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단말의 이전 네트워크 계층(HL old)은 상기 'Clear_L3_Connection' 트리거 이벤트를 전달받고 나서, 현재 접속점을 통해서 홈 에이전트에게 등록 해제 요청(MIP De-registration) 메시지를 전송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도록 하지만, 도8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단말의 이전 네트워크 계층(HL old)은 상기 'Clear_L3_Connection' 트리거 이벤트를 전달받고 나서, 새로운 접속점을 통해서 홈 에이전트에게 등록 해제 요청(MIP De-registration) 메시지를 전송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도록 하는 차이점이 있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절차가 다중모드 이동단말의 프로토콜 스택에서 두 개 이상의 이동성 관리(MM: Mobility Management) 프로토콜이 있을 경우 트리거 이벤트가 전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새로이 핸드오버되는 망으로의 접속이 완료된 후에 이전에 있던 망과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모든 스택과 통신할 수 있는 MIH에서 해제 트리거 이벤트를(Clear_Oldlink_Connection) 이전 링크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의 2 계층(Layer 2)로 전송한다. 그리고, 새로이 접속하는 망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이 다르다면 이전에 사용하던 MM에서 연결하였던 3 계층(Layer 3) 연결(connection)을 해제하는 트리거 이벤트를 이전 MM으로 전송하여 이전 3계층 연결을 해제하도록 한다. 새로이 핸드오버하는 망에서 사용될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이 같다면 아래 도9에서 'Clear_L3_Connection' 트리거 이벤트를 전달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및 그 이동단말에 따르면 이동단말에 있어서 핸드오버 수행에 의해 새로운 링크에 접속한 후 이전 링크와의 접속 및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효율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멀티모드(multi-mode)로 구성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링크(link)와의 연결(connection)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새로운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알리는 트리거 이벤트(trigger event)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이전 링크와의 연결 해제를 지시하는 트리거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링크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알리는 트리거 이벤트는 상기 새로운 링크의 매체접근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알리는 트리거 이벤트는 핸드오버 기능 엔터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기능 엔터티는 매개체 독립 핸드오버(MIH: Media Independent Handover) 기능 엔터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링크와의 연결 해제를 지시하는 트리거 이벤트는 상기 MIH 기능 엔터티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링크와의 연결 해제를 지시하는 트리거 이벤트는 상기 이전 링크의 매체접속제어 계층 및 네트워크(network) 계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링크의 네트워크 계층이 상기 이전 링크에 대한 접속점(point of attachment)으로 등록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전 링크에 대한 접속점이 홈 에이전트(home agent)로 상기 등록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링크의 네트워크 계층이 상기 새로운 링크에 대한 접속점(point of attachment)으로 등록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전 링크에 대한 접속점이 홈 에이전트(home agent)로 상기 등록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링크과 상기 이전 링크는 이종망(heterogeneous network) 간의 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링크의 매체접속제어 계층으로 전달되는 이벤트 트리거는 상기 이벤트 트리거가 생성된 근원지 필드와, 상기 이벤트 트리거가 전달될 목적지 필드 및 상기 이동단말의 MAC 주소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링크의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되는 이벤트 트리거는 상기 이벤트 트리거가 생성된 근원지 필드, 상기 이벤트 트리거가 전달될 목적지 필드 및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이전 링크에서 접속해 있던 네트워크 주소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13. 핸드오버에 의해 새로운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알리는 트리거 이벤트(trigger event)를 발생시키는 상기 새로운 링크의 매체접근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
    상기 새로운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알리는 트리거 이벤트를 전달받고 이전 링크와의 연결 해제를 지시하는 트리거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핸드오버 기능 엔터티;
    상기 새로운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알리는 트리거 이벤트를 전달받고 상기 이전 링크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상기 이전 링크의 매체접근제어 계층; 및
    상기 새로운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알리는 트리거 이벤트를 전달받고 상기 이전 링크에 대한 접속점(point of attachment) 또는 상기 새로운 링크에 대한 접속점으로 등록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네트워크(network) 계층을 구비한 이 동단말.
KR1020050013493A 2005-02-18 2005-02-18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및그 이동단말 KR101113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493A KR101113860B1 (ko) 2005-02-18 2005-02-18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및그 이동단말
JP2007556075A JP4875630B2 (ja) 2005-02-18 2006-02-17 マルチモード移動端末のハンドオーバー遂行後におけるリンク解除方法及び移動端末
PCT/KR2006/000555 WO2006088331A1 (en) 2005-02-18 2006-02-17 Method of releasing link connection after handover in multi-mode mobile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CN2006800052086A CN101120600B (zh) 2005-02-18 2006-02-17 在多模移动终端中切换后释放链路连接的方法以及终端
US11/816,619 US8023945B2 (en) 2005-02-18 2006-02-17 Method of releasing link connection after handover in multi-mode mobile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EP06716005.1A EP1849315B1 (en) 2005-02-18 2006-02-17 Method in a multi-mode mobile terminal for releasing a connection after handover and terminal thereof
CA2598085A CA2598085C (en) 2005-02-18 2006-02-17 Method of releasing link connection after handover in multi-mode mobile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IL184832A IL184832A (en) 2005-02-18 2007-07-25 Method of releasing link connection after handover in multi-mode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493A KR101113860B1 (ko) 2005-02-18 2005-02-18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및그 이동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528A true KR20060092528A (ko) 2006-08-23
KR101113860B1 KR101113860B1 (ko) 2012-03-02

Family

ID=36916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493A KR101113860B1 (ko) 2005-02-18 2005-02-18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및그 이동단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23945B2 (ko)
EP (1) EP1849315B1 (ko)
JP (1) JP4875630B2 (ko)
KR (1) KR101113860B1 (ko)
CN (1) CN101120600B (ko)
CA (1) CA2598085C (ko)
IL (1) IL184832A (ko)
WO (1) WO200608833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4005A3 (ko) * 2011-05-11 2013-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tc 방법 및 장치
US8774806B2 (en) 2006-10-23 2014-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register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and method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1369A1 (en) * 2005-03-24 2006-09-2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necting to network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CN101330753B (zh) 2007-06-22 2014-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创建方法、资源删除方法及网络设备
CN101365230B (zh) 2007-08-07 2010-08-11 华为技术有限公司 异构网络切换/改变时的用户分离方法、系统及装置
US20090141683A1 (en) * 2007-11-30 2009-06-04 Edward Grinshpun Method of best effort handoff to maintain radio bearer and mip session continuity for multi-mode mobile units
JP4945529B2 (ja) * 2008-08-25 2012-06-06 株式会社東芝 移動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N101754311B (zh) * 2008-12-20 2013-06-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的资源处理方法及装置
KR101094506B1 (ko) * 2009-04-21 2011-12-1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디바이스 충격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 및 응용 프로그램 제어 방법과 그 디바이스
US9952945B2 (en) 2013-03-22 2018-04-24 Toshiba Memory Corporation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storage device
WO2022099591A1 (en) * 2020-11-13 2022-05-19 Qualcomm Incorporated Smart internet pdn/pdu connection for msim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6671B (fi) * 1995-03-13 2001-03-15 Nokia Mobile Phones Ltd Matkaviestinkokonaisuus, matkaviestinpäätelaite ja menetelmä yhteyden muodostamiseksi matkaviestinpäätelaitteelta
JP3058261B2 (ja) 1997-05-28 2000-07-04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ハンドオフ方式及びそれを用いた移動通信セルラーシステムとその基地局
GB2359220A (en) * 2000-02-03 2001-08-15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Handover in accordance with a network policy
US6615044B2 (en) * 2001-06-06 2003-09-02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of WCDMA coverage based handover triggering
JP3840412B2 (ja) * 2001-12-28 2006-11-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端末装置
US7251227B2 (en) * 2002-10-04 2007-07-31 M-Stack Limited Access stratum manager
CN1521972B (zh) 2003-01-28 2010-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接入终端在不同网络间切换的实现方法
US6987985B2 (en) 2003-06-06 2006-01-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components and methods for multiple system communications
CN100512077C (zh) 2003-07-11 2009-07-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双模终端的系统间切换方法
US7710923B2 (en) * 2004-05-07 2010-05-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US7684342B2 (en) * 2004-11-03 2010-03-23 Intel Corporation Media independent trigger model for multiple network types
US7848291B2 (en) * 2004-11-05 2010-12-0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architecture for managing network resources and mobility
US7738871B2 (en) * 2004-11-05 2010-06-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between technologically diversified access networks
US7496364B2 (en) * 2004-11-05 2009-02-2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dia-independent handover (MIH) method featuring a simplified beac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4806B2 (en) 2006-10-23 2014-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register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and method using the same
WO2012154005A3 (ko) * 2011-05-11 2013-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tc 방법 및 장치
US9736619B2 (en) 2011-05-11 2017-08-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T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51405B2 (en) 2011-05-11 2018-08-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T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49315B1 (en) 2017-03-29
JP4875630B2 (ja) 2012-02-15
IL184832A (en) 2012-03-29
KR101113860B1 (ko) 2012-03-02
IL184832A0 (en) 2007-12-03
JP2008530942A (ja) 2008-08-07
CA2598085C (en) 2015-09-15
WO2006088331A1 (en) 2006-08-24
US20090017822A1 (en) 2009-01-15
CN101120600B (zh) 2011-07-06
EP1849315A1 (en) 2007-10-31
CA2598085A1 (en) 2006-08-24
US8023945B2 (en) 2011-09-20
EP1849315A4 (en) 2012-02-22
CN101120600A (zh) 200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860B1 (ko)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및그 이동단말
KR10111151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ip 주소 선 설정 방법
KR101239714B1 (ko) 기술적으로 다양한 액세스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매체 독립적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EP1869937B1 (en) A method of reconfiguring an internet protocol address in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CN101601255B (zh) 轻型移动性体系结构
KR101216081B1 (ko) 이종망 간 핸드오버 시의 ip 주소 재설정 방법
JP5102766B2 (ja) 移動通信方法及びアクセスルータ
KR101073913B1 (ko)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 그 이동단말
KR101084137B1 (ko)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KR101084138B1 (ko) Map 도메인 간 핸드오버 수행 방법
KR20060125337A (ko) Proxy MIP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의MIP 등록 방법
KR101366270B1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종망간 mih 프로토콜 메시지전송방법
KR200411873Y1 (ko) 기술적으로 다양한 액세스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미디어독립적인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446708Y1 (ko) 기술적으로 다양한 액세스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매체독립적인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