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2332A -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및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및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332A
KR20060092332A KR1020050013025A KR20050013025A KR20060092332A KR 20060092332 A KR20060092332 A KR 20060092332A KR 1020050013025 A KR1020050013025 A KR 1020050013025A KR 20050013025 A KR20050013025 A KR 20050013025A KR 20060092332 A KR20060092332 A KR 20060092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ging
charging terminal
control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실
Original Assignee
(주) 테라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라웨이브 filed Critical (주) 테라웨이브
Priority to KR1020050013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2332A/ko
Publication of KR20060092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3/0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 H01H43/02Details
    • H01H43/02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가 결합된 전자 기기와 충전 장치와의 접촉시 발생하는 순간 스파크에 의해 전자 기기의 충전 단자에 형성되는 그을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회로 및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는, 재충전가능한 배터리와 충전 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충전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 전원을 배터리에 전달하는 스위칭부, 그리고 외부 전원이 충전 단자에 인가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까지 스위칭부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스위칭부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스위칭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자기기, 무선전화기 충전회로, 배터리, 충전 단자, 순간 스파크, 그을음, 방지 회로

Description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및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Circuit to prevent soot deposits on electrical terminal and electric apparatus having same}
도 1은 종래의 배터리가 탑재된 무선 전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가 탑재된 전자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 기기에 채용가능한 충전 단자 이물 발생 방지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자기기 12, 14: 충전 단자
16: 배터리 20: 충전 장치
21: 충전 회로 22, 24: 접속 단자
30: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본 발명은 배터리가 결합된 전자 기기와 충전 장치와의 접촉시 발생하는 순간 스파크에 의해 전자 기기의 충전 단자에 형성되는 그을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회로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는 소형화 고기능화 추세에 맞추어 별도의 재충전 가능한 전원 공급 장치를 자체 내장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만들어지고 있다. 전원 공급 장치로는 예컨대 배터리 즉, 이차 전지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통상 소정 시간 사용된 후에 충전 장치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재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가 탑재된 무선 전화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무선 전화기는 전자 기기의 일례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선 전화기(10)는 충전 단자(12, 14)를 구비하며, 탑재된 배터리(16)를 충전시키기 위해 충전 단자(12, 14)를 통해 충전 회로(21)가 탑재된 별도의 충전 장치(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충전 단자(12, 14)는 충전 장치(20)의 접속 단자(22, 24)에 접촉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무선 전화기(10)가 충전 장치(20)와 결합될 때, 이들의 충전 단자(12, 14)와 접속 단자(22, 24) 사이에는 순간 스파크가 발생된다. 이런 현상이 오랜 시간 동안 반복되면 충전 단자에 이물, 예컨대, 그을음(soot)이 발생하는 데, 그것은 무선 전화기(10)가 적절하게 충전 장치(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해하여 충전 불량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종래의 전자 기기는 소정의 외부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충전 장치와 결합될 때, 접촉되는 단자들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된다. 그것은 충전 장치와 전자 기기의 접촉되는 두 단자가 완전히 접촉되기 전에, 도통하려고 하는 전기가 두 단자의 불완전한 접촉에 의해 만들어지는 저항 성분에서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전자 기기의 충전 단자에 그을음 발생시켜 원활한 충전 동작을 방해하고, 결국 전자 기기의 충전 불량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기기의 충전 단자 상에 그을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전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를 탑재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재충전가능한 배터리와 충전 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충전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 전원을 배터리에 전달하는 스위칭부, 그리고 외부 전원이 충전 단자에 인가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까지 스위칭부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스위칭부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스위칭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칭제어부는, 상기 충전 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 및 상기 캐패시터에 저장되는 전압에 상응하여 턴온 동작되어 상기 스위칭부을 제어하는 제어용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제어부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충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단자가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 및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어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스위칭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단자가 그라운드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 단자가 상기 캐패시터의 제1 단자에 접속되는 제어용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턴온 동작에 의해 턴온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어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충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배터리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 단자는 상기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제1 단자에 접속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 및 상기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제1 단자 사이에 직렬 접속되는 제1 저항; 및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 및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 단자 사이에 직렬 접속되는 제2 저항을 구비한다.
또한, 상술한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는, 상기 충전 단자와 상기 캐패시 터의 제1 단자와의 사이 및 상기 충전 단자와 상기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와의 사이에 직렬 접속되며 상기 외부 전원의 이상 전압으로부터 상기 제어용 트랜지스터를 보호하는 제3 저항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연되는 소정 시간은 상기 제3 저항 및 상기 캐패시터에 의해 조정된다.
또한, 상술한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는,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류가 상기 스위칭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오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재충전가능한 배터리와; 이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충전 단자; 그리고 배터리와 충전 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충전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 전원을 배터리에 전달하는 스위칭부와, 외부 전원이 충전 단자에 인가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까지 스위칭부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스위칭부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스위칭제어부를 구비한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를 채용한 전자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기기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결합되어 있는 무선 전화기, 휴대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기기로서, 소정의 충전 장치에 안착되어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모든 전자 기기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는 충전 단자(12, 14), 배터리(16), 본체(18) 및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30)을 포함한다. 충전 장치(20)는 충전 회로(21) 및 충전 회로(21)에 연결되어 전자 기기(10)의 충전 단자(12, 14)와 접촉하는 접속 단자(22, 2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기기(10)의 충전 단자(12, 14)는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금 재료로 만들어지며, 배터리(16) 또는 본체(1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터리(16)는 재충전 가능한 이차 전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배터리(16)는 본체(18) 내에 탑재되거나 본체(18)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체(18)는 전자 기기(10), 예컨대, 무선 전화기, 휴대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에서 배터리(16)로부터 전원을 받아 해당 전자 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주요 부분을 총칭하여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8)는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30)와 배터리(16)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대응하는 충전 장치에 안착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30)는, 배터리(16) 충전시 충전 단자(12, 14)의 표면에 그을음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 기기(10)가 충전 장치(20)에 안착될 때, 전자 기기(10)의 충전 단자(12, 14)와 충전 장치(20)의 접속 단자(22, 24) 사이에 실질적으로 순간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30)는 전자 기기(10)의 충전 단자(12)와 배터리(16) 사이에 결합된다. 그리고,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30)는 전자 기기(10)의 충전 단자(12, 14)와 충전 장치(20)의 접속 단자(22, 24) 사이에 순간 스파크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본적으로 충전 단자(12, 14)와 배터리(16)의 전기적인 접속을 차단하고 충전 단자(12, 14)와 접속 단자(22, 24)가 접촉하기 시작하는 순간을 피해서 접촉이 완료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에 충전 장치(20)로부터의 전원이 전자 기기(10) 내의 배터리(16)에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충전 단자에 그을음 등의 이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도 2의 전자 기기에 채용가능한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30)는 소정의 충전 장치를 이용한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시 순간 스파크에 의해 충전 단자에 발생하는 이물, 예컨대 그을음을 방지한다. 상세하게,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30)는, 평상시 전자 기기의 충전 단자와 배터리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배터리 충전시 전자 기기의 충전 단자가 소정 시간 지연된 후에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자 기기의 충전 단자 와 충전 장치의 접속 단자가 접촉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에 충전 장치로부터 전자 기기 내의 배터리에 전원이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30)는 스위칭제어부(32, 34)와 스위칭부(36)를 포함한다.
스위칭제어부(32, 34)는 제1 및 제2 캐패시터(C1, C2)로 이루어지는 캐패시터부(32)와 NPN-타입 트랜지스터(Q2)로 이루어지는 제어용 트랜지스터(34)를 포함한다.
캐패시터부(32)는 전자 기기가 충전 장치에 안착될 때, 충전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고 외부 전원의 초기 전압을 저장한다. 캐패시터부(32)의 각 캐패시터(C1, C2)는 배터리(16)와 병렬 접속된다. 각 캐패시터(C1, C2)는 하나의 충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단자와 그라운드(groun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를 구비한다. 물론, 캐패시터부(32)는 하나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캐패시터부(32)는 두 개를 초과하며 직렬 또는 병렬과 직렬의 조합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용 트랜지스터(34)는 캐패시터부(32)에 저장되는 전압에 상응하여 턴온 동작된다. 제어용 트랜지스터(34)는 캐패시터부(32)의 일측(P)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어 단자와, 스위칭부(36)에 접속되는 제1 단자, 및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제2 단자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어용 트랜지스터(34)는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어 단자는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에미터 및 베이스에 대응된다.
스위칭부(36)는 전자 기기의 충전 단자와 배터리(16) 사이에 직렬 접속되며, 충전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 전원을 배터리에 전달한다. 스위칭부(36)는 스위칭제어부, 특히 제어용 트랜지스터(34)의 제어에 의해 턴온 동작된다. 스위칭부(36)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을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1)는 충전 단자들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단자와, 배터리에 접속되는 제2 단자, 및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제1 단자에 접속되는 제어 단자를 구비한다. 여기서, 스위칭 트랜지스터(Q1)는 PNP-타입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며, 그것의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어 단자는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에미터 및 베이스에 대응된다.
제1 저항(R1)은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제어 단자와 제어용 트랜지스터(Q2)의 제1 단자 사이에 직렬 접속된다. 제1 저항(R1)은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적절한 동작과 보호를 위해 소정의 저항값을 갖는다.
제2 저항(R2)은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제어 단자와 제1 단자 사이에 직렬 접속된다. 제2 저항(R2)은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제어 단자와 제1 단자 사이의 전압차가 규정(Q2가 허용하는 전압차) 이상일 경우 스위칭 트랜지스터(Q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저항(R2)의 저항값은 쓸모없는 전력 소모를 발생하지 않고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또한,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30)는 충전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순간 스파크 등의 이상 전압으로부터 제어용 트랜지스터(34)를 보호하기 위하여 충전 단자와 캐패시터부(32) 및 제어용 트랜지스터(34)의 접속 노드(P)와의 사이에 직렬 접속되는 제3 저항(R3)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전자 기기의 충전 단자와 충전 장치의 접속 단자가 접촉된 후에 지연되는 일정 시간은 제3 저항(R3)의 저항값 및 캐패시터부(32)의 캐패시턴스의 조합에 의해 조정된다.
또한,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30)는 배터리(16)에 충전된 전류가 스위칭부(36)와 충전 단자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 예컨대, 다이오드(38)를 포함한다. 다이오드(38)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제2 단자와 배터리의 일단자 사이에 순방향으로 직렬 접속된다.
상술한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30)의 동작을 요약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충전 장치의 접속 단자를 통해 외부 전원이 무선 단말기의 충전 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인가되는 외부 전원의 전압은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제2 저항(R2)의 일단, 및 제3 저항(R3)의 일단에 인가된다.
그리고, 제3 저항(R3)을 통해 제1 및 제2 캐패시터(C1, C2)에 충전되고, 이때 충전되는 전압은 제어용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제어용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문턱 전압, 예컨대, 0.7V 이상이 되면, 제어용 트랜지스터(Q2)가 턴온 동작된다.
이때, 제1 및 제2 캐패시터(C1, C2)의 용량이 크면 클수록 전압 상승 시간은 지연되며 제어용 트랜지스터(Q2)의 동작 시간이 지연된다. 따라서, 제어용 트랜지스터(Q2)의 동작이 지연되는 만큼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동작도 지연된다.
다음, 제어용 트랜지스터(Q2)가 턴온 동작하면, 제어용 트랜지스터(Q2)의 컬 렉터 전압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변화되고 제1 저항(R1)을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전압에 대한 베이스 전압이 문턱 전압, 예컨대, -0.7V 이하가 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 인가된 전원이 컬렉터를 통해 다이오드(38)를 지나 배터리(16)에 충전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내의 스위칭 소자를 양극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소자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예컨대, MOSFET(Ma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등의 다른 트랜지스터 소자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소자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제3 전극을 구비하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간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제2 전극에서 제3 전극으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능동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충전 단자와 배터 리를 분리시키고, 이와 함께 충전시 충전 단자에 인가되는 외부 전원을 소정 시간 지연 후에 배터리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충전 단자에 그을음 등의 이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전자 기기의 장시간 사용시에도 원활한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시의 순간 스파크에 의한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를 이용하여 충전 단자에 그을음 등의 이물 발생이 방지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재충전가능한 배터리와 충전 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충전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전달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외부 전원이 상기 충전 단자에 인가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까지 상기 스위칭부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스위칭부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스위칭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제어부는,
    상기 충전 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 및
    상기 캐패시터에 저장되는 전압에 상응하여 턴온 동작되어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용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턴온 동작에 의해 턴온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제어부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충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단자가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 및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어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스위칭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단자가 그라운드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 단자가 상기 캐패시터의 제1 단자에 접속되는 제어용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어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충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배터리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 단자는 상기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제1 단자에 접속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 및 상기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제1 단자 사이에 직렬 접속되는 제1 저항; 및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 및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 단자 사이에 직렬 접속되는 제2 저항을 구비하는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와 상기 캐패시터의 제1 단자와의 사이 및 상기 충전 단자와 상기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와의 사이에 직렬 접속되며 상기 외부 전원의 이상 전압으로부터 상기 제어용 트랜지스터를 보호하는 제3 저항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되는 소정 시간은 상기 제3 저항 및 상기 캐패시터에 의해 조정되는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류가 상기 스위칭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오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9. 재충전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충전 단자; 및
    상기 배터리와 상기 충전 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충전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전달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외부 전원이 상기 충전 단자에 인가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까지는 상기 스위칭부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스위칭부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스 위칭제어부를 구비한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는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인 전자기기.
KR1020050013025A 2005-02-17 2005-02-17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및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 KR20060092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025A KR20060092332A (ko) 2005-02-17 2005-02-17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및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025A KR20060092332A (ko) 2005-02-17 2005-02-17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및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332A true KR20060092332A (ko) 2006-08-23

Family

ID=3759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025A KR20060092332A (ko) 2005-02-17 2005-02-17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및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23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7425A (ko) * 2012-11-26 2014-06-05 주식회사 만도 충방전 회로
CN104167622A (zh) * 2013-07-02 2014-11-26 世派电子株式会社 具有供电延时电路的充电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7425A (ko) * 2012-11-26 2014-06-05 주식회사 만도 충방전 회로
CN104167622A (zh) * 2013-07-02 2014-11-26 世派电子株式会社 具有供电延时电路的充电系统
DE102014109278A1 (de) 2013-07-02 2015-01-08 Sps Inc. Ladesystem mit einer Schaltung zum Verzögern der Leistungszufuhr
US9537334B2 (en) 2013-07-02 2017-01-03 Sps Inc. Charging system having circuit for delaying power supp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9294B2 (ja) 充電装置
EP0789947B1 (en) Protection switch for a battery powered device
JP6641862B2 (ja) 電流制限回路、直流電力供給コネクタ及び直流電源装置
US5867008A (en) Overcharge protection circuitry for rechargeable battery pack
CN100589302C (zh) 用于最小化在电连接器之间的电弧放电的装置和方法
CN101689619B (zh) 具有至少一个电池的装置
TW564588B (en) Charging apparatus having multi-stage voltage charging power source
JP7039773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電力システム
KR102246769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
JP3166921U (ja) 充電器に用いられる極性切り替え回路
JP2006149177A5 (ko)
TW201015814A (en) Charging system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TW200838088A (en) Power source protection circuit
KR20060092332A (ko) 충전단자 이물발생 방지회로 및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
TWI424168B (zh) The charging circuit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contact judgment method between the charging circuit and the charging device
CN210007371U (zh) 动力电池防打火控制电路
KR20080087010A (ko) 전하 축적 장치를 포함하는 백-업 회로
JP3574706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保護装置
CN210985708U (zh) 一种电池短路保护电路
CN117277464B (zh) 电池保护电路、电池组件、电子设备和模式控制方法
JP2004064861A (ja) 充電式電気機器及び電気掃除機
JP2004247322A (ja)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保護装置
KR200165537Y1 (ko) 일반전지와 충전용 밧데리 겸용 전원회로
JP4461067B2 (ja) 乾電池保護回路
JP2002135984A (ja) 二次電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