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552A -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552A
KR20060091552A KR1020050012495A KR20050012495A KR20060091552A KR 20060091552 A KR20060091552 A KR 20060091552A KR 1020050012495 A KR1020050012495 A KR 1020050012495A KR 20050012495 A KR20050012495 A KR 20050012495A KR 20060091552 A KR20060091552 A KR 20060091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ommunication terminal
idl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4271B1 (ko
Inventor
손대익
김원기
하호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271B1/ko
Priority to US11/353,775 priority patent/US20060187217A1/en
Publication of KR20060091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사용자의 위치 및 폴더 개폐 횟수에 상응하여 단말의 대기화면 또는 컨텐츠을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서비스 해줌으로써 고객의 특정조건에 따른 필요정보를 적시에 제시할 수 있도록 한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및 폴더 개폐 횟수에 상응하여 단말의 대기화면 또는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주는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에 있어서, A)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위치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LBS 시스템; B) 일정 시점동안 카운팅 된 폴더의 개폐횟수를 저장 및 관리하는 상기 위치정보 및 폴더상태 관리부; C) 상기 LBS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위치코드를 입력받아, 그 위치코드 및 대기화면 VM 목록 또는 컨텐츠의 인덱스를 비교하여 해당 대기화면 VM(또는 컨텐츠)을 구비하고 있는지를 검색하여 그에 해당하는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를 출력 하거나,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에 내장된 카운팅 프로그램을 통해 폴더의 개폐횟수에 따른 해당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개폐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할 경우, 그에 해당하는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VM 및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D) 해당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로 기존의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를 전환 하기 위하여, 상기 VM 및 컨텐츠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를 입력받아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대기화면 VM, 컨텐츠

Description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of Standby Screen}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 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VM 및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 자동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 자동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이동통신 단말 22 : 기지국
24 : 기지국 제어기 26 : 교환기
28 : 상호연동 기능부 30 : 단문 서비스 센터
32 : 푸시 프록시 게이트웨이 34 :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40 : IP 망 52, 54 : CP 서버
100 :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101 : LBS 시스템
102 : VM 및 컨텐츠 관리 시스템 103 :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102-1 : 통신망 인터페이스 102-2 : 제어부
102-3 : 가입자 관리부 102-4 : 대기화면 및 컨텐츠 관리부
102-5 : 위치정보 및 폴더상태 관리부
102-6 : 전환조건 관리부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대기화면 자동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위치 및 폴더 개폐 횟수에 상응하여 단말의 대기화면 또는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서비스 해줌으로써 고객의 특정조건에 따른 필요정보를 적시에 제시할 수 있도록 한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을 통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의 디스플레이 크기의 한계를 감안하여 다양한 메뉴를 트리 구조로 제공하고 있다.
즉,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무선 인터넷 서 버에 접속한 후, 이동통신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포털 페이지에 포함되는 다양한 메뉴 중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하고, 선택한 메뉴 하위에 있는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최종 접속 페이지를 선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재 이동통신 단말을 통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서는 다양한 메뉴를 트리 구조로 제작하기 때문에 메뉴의 깊이(depth)가 깊어지게 되어 원하는 메뉴를 검색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서비스 이용 요금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점을 무선 인터넷에 자주 접속하는 사용자 일수록 더욱 배가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예금, 증권 등 금융 거래, 교통 정보 등을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경우 불필요한 서비스 이용 요금 부담을 느끼면서도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주기적으로 대기화면의 컨텐츠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무선 인터넷 접속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서비스가 현재 구현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 위치하고 그 위치에 따른 특정 정보(예를 들면, 놀이공원에서의 필요정보 및 특정 지역에서의 부동산 정보)에 맞게 가상머신 기반의 대기화면을 전환하여 주는 서비스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위치 및 폴더 개폐 횟수에 상응하여 단말의 대기화면 또는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서비스 해줌으로써 고객의 특정조건에 따른 필요정보를 적시에 제시할 수 있도록 한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신의 특별한 위치 및 폴더 개폐횟수 등의 특정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필요한 대기화면 서비스로 전환하여 줌으로써, 고객의 특정조건에 따른 필요정보를 적시에 제공할 수 있어 고객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첨부 도면의 구성요소 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동일한 구성요소 들에 한해서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 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 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 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통신 단말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및 폴더 개폐 횟수에 상응하여 단말의 대기화면 또는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주는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에 있어서, A)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위치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LBS 시스템; B) 일정 시점동안 카운팅 된 폴더의 개폐횟수를 저장 및 관리하는 상기 위치정보 및 폴더상태 관리부; C) 상기 LBS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위치코드를 입력받아, 그 위치코드 및 대기화면 VM 목록 또는 컨텐츠의 인덱스를 비교하여 해당 대기화면 VM(또는 컨텐츠)을 구비하고 있는지를 검 색하여 그에 해당하는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를 출력 하거나,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에 내장된 카운팅 프로그램을 통해 폴더의 개폐횟수에 따른 해당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개폐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할 경우, 그에 해당하는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VM 및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D) 해당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로 기존의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를 전환 하기 위하여, 상기 VM 및 컨텐츠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를 입력받아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화면 자동 전환 방법은, ㄱ) 전환조건 관리부가,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에 따른 해당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것인지에 대한 조건을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 하도록 하고, 그 전환조건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ㄴ) LBS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위치코드를 생성하여 대기화면 자동전환 시스템으로 출력하고, 상기 대기화면 자동전환 시스템의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가, 상기 위치코드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대기화면 VM 목록의 인덱스를 비교하는 단계; 및 ㄷ) 상기 단계(ㄴ)의 비교 결과, 상기 위치코드에 해당하는 대기화면 VM 목록의 인덱스가 있을 경우,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가,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및 상기 단문 서비스 센터를 통해 가상 머신 기반의 대기화면을 구동시키기 위한 인보크(invoke) 파라미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대기화면 VM으로 전환하여 서비스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4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100)은 이동통신 시스템(20)을 통해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10)과 접속된다. 이동통신 시스템(20)은 IP망(40)을 통해 다수의 CP 서버(52, 54)와 접속되어 다양한 대기화면 VM 또는 콘텐츠를 수집하고,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10)로 대기화면 VM 또는 콘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100)은 다수의 CP 서버(52, 54)와 접속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 및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0)과 IP 망(40)을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위치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LBS 시스템(101)과, 상기 LBS 시스템(101)으로부터 상기 위치코드를 입력받아, 그 위치코드 및 대기화면 VM 목록(또는 컨텐츠)의 인덱스를 비교하여 해당 대기화면 VM(또는 컨텐츠)을 구비하고 있는지를 검색하는 VM 및 컨텐츠 관리 시스템(102)과, 그리고 상기 VM 및 컨텐츠 관리 시스템(102)으로부터 해당 대기화면 VM(또는 컨텐츠)을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10)로 제공하는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10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 (10)에 내장된 카운팅 프로그램을 통해 폴더(또는 플립)의 개폐횟수에 따른 해당 대기화면 VM(또는 컨텐츠)을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개폐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할 경우, 그에 해당하는 대기화면(또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VM 및 컨텐츠 관리 시스템(102)과, 그리고 상기 VM 및 컨텐츠 관리 시스템(102)으로부터 해당 대기화면 VM(또는 컨텐츠)을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10)로 제공하는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103)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10)과의 무선구간 통신을 위한 기지국(BTS, 22)과,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SC, 24)와, 하나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24)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기(MSC, 26)와, 음성 데이터와 패킷 데이터 간의 상호 포맷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상호 연동 기능부(28)와, 교환기(26)와 접속되어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단문 서비스 센터(SMSC, 30)와, 이동통신 단말(10)로의 메시지 푸시를 위한 푸시 프록시 게이트웨이(PPG, 32)와, 기지국 제어기와 접속되어 가입자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3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대기화면 또는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한 후에, 대기화면 또는 콘텐츠의 전환은 단문 서비스 센터(30)를 통해 단문으로 전송하며, 이 단문은 대기화면 또는 콘텐츠의 전환정보 외에 가상 머신 기반으로 생성된 대기화면을 구동시키기 위한 인보크(invoke)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또한, 전환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경우 대기화면 자동전환 시스템(100)에서 지정한 시간마다 갱신 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망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100)이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의 특정 서버 내에 내장되어 구동되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뿐 아니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내부 프로그램으로 내장(Embedding)되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CP 서버(52, 54)에서 제공하는 대기화면 및 컨텐츠 뿐 아니라 개인별 콘텐츠를 대기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 설치해 둔 카메라에 녹화되는 정보, 사용자가 운영하거나 가입되어 있는 클럽의 게시판 정보 등을 대기화면 및 컨텐츠로 설정하도록 하고, 이를 업데이트 한 후 상기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103)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VM 및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M 및 컨텐츠 관리 시스템(102)은 제어부(102-1), CP 서버(52, 54)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망 인터페이스(102-2), 가입자 관리부(102-3), 대기화면 및 콘텐츠 관리부(102-4), 위치정보 및 폴더 상태 관리부(102-5), 전환조건 관리부(102-6), 대기화면 및 컨텐츠 생성부(102-7) 및 데이터베이스(102-8)를 포함한다.
가입자 관리부(102-3)는 상기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대기화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2-8)에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새로운 가입자가 접속하는 경우 신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 또는 유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VM 및 컨텐츠 관리 시스템(102)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신청하고 이용하게 된다.
대기화면 및 콘텐츠 관리부(102-4)는 다수의 CP 서버(52, 54)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대기화면 VM 및 콘텐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2-8)에 저장 및 관리하며, 새로운 대기화면 VM 및 콘텐츠가 추가된 경우, 삭제되거나 변경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102-8)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및 폴더(플립)의 개폐횟수에 따라 제공되는 대기화면 및 콘텐츠는, 메일, 일정 알람, 투자운세, 금융(은행, 증권 등) 정보, 주식 정보(각종 지수, 관심종목 시세, 종목차트, 관심종목공시 알람, 추천 종목), 부동산(관심지역 뉴스, 관심지역 시세), 대출(대출 이자율, 상환금정보), 카드(승인건, 마일리지), 뉴스 등이 될 수 있다.
위치정보 및 폴더 상태 관리부(102-5)는 설정 시간동안에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파악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정보 관련 코드를 상기 LBS 시스템(101)으로부터 입력받음과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폴더(플립) 개폐횟수를 입력받아 상기 코드와 함께 상기 데이터베이스(102-8)에 저장한다.
전환조건 관리부(102-6)는 위치정보 또는 폴더(플립) 개폐횟수에 따라 대기화면 VM 또는 콘텐츠를 전환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하며, 그 설정된 조건은 데이터베이스(102-8)에 저장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 및 폴더(플립)의 개폐횟수에 따라 어느 대기화면 또는 컨텐츠를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조건을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 하도록 하고, 그 전환조건을 관리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 자동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 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위치할 경우, 상기 대기화면 자동전환 시스템(100)이 그 위치에 따른 대기화면 VM 및 컨텐츠를 자동으로 다운로드 해주는 일련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기 전에, 상기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100)으로부터 특정 지역 정보에 따른 대기화면 리스트 또는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받아 이를 사전 선택할 수도 있다.
전환조건 관리부(102-6)는,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에 따른 해당 대기화면 또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것인지에 대한 조건을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 하도록 하고(S301), 그 전환조건을 상기 데이터베이스(102-8)에 저장한다(S302).
이후, 상기 LBS 시스템(101)이,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위치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대기화면 자동전환 시스템(100)으로 출력하고, 상기 대기화면 자동전환 시스템(100)의 전환조건 관리부(102-6)는, 상기 위치코드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02-8)에 기저장된 대기화면 VM 목록의 인덱스를 비교한다(S303).
상기 단계(S303)의 비교결과, 상기 위치코드에 해당하는 대기화면 VM 목록의 인덱스가 있을 경우,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102-6)는, 상기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103) 및 상기 단문 서비스 센터(30)를 통해 가상 머신 기반의 대기화면을 구동시키기 위한 인보크(invoke) 파라미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1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대기화면 VM으로 전환하여 서비스 하게 된다(S304). 예를 들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가 놀이공원에 있을 경우 놀이공원 VM이 구동됨으로써 그 지역에 해당하는 대기화면 VM이 서비스 된다.
상기 단계(S303)의 비교결과, 상기 위치코드에 해당하는 대기화면 VM 목록의 인덱스가 없을 경우,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102-6)는, 해당 대기화면 VM을 상기 데이터베이스(102-8)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것인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질의한다(S305).
상기 단계(S305)의 질의결과, 사용자가 해당 대기화면 VM을 다운로드 받으려 하면,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102-6)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02-8)로부터 해당 대기화면 VM을 상기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103)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10)로 다운로드 한다(S306).
한편, 상기 단계(S305)의 질의결과, 사용자가 해당 대기화면 VM의 다운로드를 원하지 않을 경우, 기 설정되어 있는 대표 대기화면 VM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에 디스플레이 된다(S307).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계(S304 및 S306)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에 해당 대기화면 VM이 전송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기재 되었으나, 상기 해당 대기화면 VM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에 탑재되어 있는 대기화면 VM의 컨텐츠로 대기화면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 자동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특정 대기화면 VM 상에서, 사용자의 폴더 개폐횟수에 따라 기설정된 대기화면을 자동으로 전환하는 일련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기 전에, 상기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100)으로부터 폴더(플립) 개폐횟수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받아 이를 사전 선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102-6)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폴더(플립) 개폐횟수에 따른 콘텐츠 전환조건을 설정하며, 그 설정된 조건은 데이터베이스(102-8)에 저장된다(S401).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폴더(플립)의 소정 개폐횟수 별로 어느 컨텐츠를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조건을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 하도록 하고, 그 전환조건을 관리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의 선택없이,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102-6)의 판단에 따라 소정 개폐횟수에 따른 컨텐츠를 일방적으로 단말에 제공하여 단말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대기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전환조건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내장된 카운팅 프로그램을 수행하고(S402), 카운팅 된 폴더의 개폐횟수는 상기 위치정보 및 폴더상태 관리부(102-5)로 전송되어 관리되며, 카운팅 된 폴더의 개폐횟수 별 대기화면은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102-6)로 전송된다(S403).
일정 시점에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폴더를 열 경우 대기화면 VM 이 구동되고,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102-6)는 이전 시점까지 카운팅 된 폴더의 개폐횟수를 판단한 후, 그에 해당하는 대기화면(또는 컨텐츠)를 상기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103)으로 출력하고, 상기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103)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10)로 제공하게 된다(S404).
이때,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102-6)의 폴더 개폐횟수 판단에 의한 대기화면 전환이 아니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이 상기 카운팅 프로그램의 결과값(폴더의 개폐횟수)을 실시간으로 소정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고, 그 값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소정 제어부(미도시)가 단말의 대기화면 전환을 유도할 수도 있다.
폴더(플립)의 개폐횟수 별 단말 대기화면 자동전환의 예로는, 폴더 개폐 횟수가 1 번 일 경우 일정 대기화면, 2 번 일 경우 주식 대기화면, 3 번 일 경우 부동산 대기화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위치 및 폴더 개폐 횟수에 상응하여 단말의 대기화면 또는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서비스 해줌으로써 고객의 특정조건에 따른 필요정보를 적시에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신의 특별한 위치 및 폴더 개폐횟수 등의 특정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필요한 대기화면 서비스로 전환하여 줌으로써, 고객의 특정조건에 따른 필요정보를 적시에 제공할 수 있어 고객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사용자의 위치 및 폴더 개폐 횟수에 상응하여 단말의 대기화면 또는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주는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에 있어서,
    A)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위치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LBS 시스템;
    B) 일정 시점동안 카운팅 된 폴더의 개폐횟수를 저장 및 관리하는 상기 위치정보 및 폴더상태 관리부;
    C) 상기 LBS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위치코드를 입력받아, 그 위치코드 및 대기화면 VM 목록 또는 컨텐츠의 인덱스를 비교하여 해당 대기화면 VM(또는 컨텐츠)을 구비하고 있는지를 검색하여 그에 해당하는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를 출력 하거나,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에 내장된 카운팅 프로그램을 통해 폴더의 개폐횟수에 따른 해당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개폐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할 경우, 그에 해당하는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VM 및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D) 해당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로 기존의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를 전환 하기 위하여, 상기 VM 및 컨텐츠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를 입력받아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로의 전환은,
    단문 서비스 센터를 통해 단문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되며, 상기 단문은 대기화면 VM 또는 콘텐츠의 전환정보 외에 가상 머신 기반으로 생성된 대기화면을 구동시키기 위한 인보크 파라미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의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대기화면 자동전환 시스템에서 지정한 시간마다 갱신 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M 및 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a) 대기화면 자동전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고, 새로운 가입자가 접속하는 경우 신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가입자 관리부;
    b) 다수의 CP 서버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대기화면 VM 및 콘텐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고, 새로운 대기화면 VM 및 콘텐츠가 추가된 경우, 삭제되거나 변경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대기화면 및 콘텐츠 관리부;
    c) 설정 시간동안에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파악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관련 코드를 LBS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음과 동시에 이동통신 단말로 부터 폴더 개폐횟수를 입력받아 상기 코드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위치정보 및 폴더 상태 관리부; 및
    d)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위치정보 또는 폴더 개폐횟수에 따라 대기화면 VM 또는 콘텐츠를 전환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하며, 그 설정된 조건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전환조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및 폴더(플립)의 개폐횟수에 따라 어느 대기화면 또는 컨텐츠를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조건을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 하도록 하고, 그 전환조건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의 특정 서버 내에 내장되어 구동 되거나, 이동통신 단말의 내부 프로그램으로 내장(Embedding)되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7. ㄱ) 전환조건 관리부가,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에 따른 해당 대기화면 VM 또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것인지에 대한 조건을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 하도록 하고, 그 전환조건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ㄴ) LBS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위치코드를 생성하여 대기화면 자동전환 시스템으로 출력하고, 상기 대기화면 자동전환 시스템의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가, 상기 위치코드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대기화면 VM 목록의 인덱스를 비교하는 단계; 및
    ㄷ) 상기 단계(ㄴ)의 비교 결과, 상기 위치코드에 해당하는 대기화면 VM 목록의 인덱스가 있을 경우,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가,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및 상기 단문 서비스 센터를 통해 가상 머신 기반의 대기화면을 구동시키기 위한 인보크(invoke) 파라미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대기화면 VM으로 전환하여 서비스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자동 전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ㄷ)는,
    ㄷ-1) 상기 단계(ㄴ)의 비교 결과, 상기 위치코드에 해당하는 대기화면 VM 목록의 인덱스가 없을 경우,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가, 해당 대기화면 VM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것인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질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자동 전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ㄷ-1)는,
    ㄷ-1-1) 상기 단계(ㄷ-1)의 질의 결과, 사용자가 해당 대기화면 VM을 다운로 드 받으려 하면,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대기화면 VM을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로 다운로드 하는 단계; 및
    ㄷ-1-2) 상기 단계(ㄷ-1)의 질의 결과, 사용자가 해당 대기화면 VM의 다운로드를 원하지 않을 경우, 기 설정되어 있는 대표 대기화면 VM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자동 전환 방법.
  10. 가) 전환조건 관리부가, 이동통신 단말의 폴더 또는 플립 개폐횟수에 따른 콘텐츠 전환조건을 설정하며, 그 설정된 조건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나) 사용자가 대기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전환조건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내장된 카운팅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
    다) 위치정보 및 폴더상태 관리부가 카운팅 된 폴더의 개폐횟수를 관리하며, 상기 카운팅 된 폴더의 개폐횟수 별 대기화면을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라) 일정 시점에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폴더를 열 경우 대기화면 VM 이 구동되고,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가, 이전 시점까지 카운팅 된 폴더의 개폐횟수를 판단한 후, 그에 해당하는 대기화면 또는 컨텐츠를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으로 출력하고, 상기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이,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자동 전환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폴더 또는 플립의 소정 개폐횟수 별로 어느 컨텐츠를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조건을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 하도록 하고, 그 전환조건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자동 전환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조건은,
    사용자의 선택없이, 상기 전환조건 관리부의 판단에 따라 소정 개폐횟수에 따른 컨텐츠를 일방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제공하여 단말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자동 전환 방법.
KR1020050012495A 2005-02-15 2005-02-15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100844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495A KR100844271B1 (ko) 2005-02-15 2005-02-15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및 방법
US11/353,775 US20060187217A1 (en) 2005-02-15 2006-02-14 Automatic changing system of standby scree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495A KR100844271B1 (ko) 2005-02-15 2005-02-15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552A true KR20060091552A (ko) 2006-08-21
KR100844271B1 KR100844271B1 (ko) 2008-07-07

Family

ID=3691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495A KR100844271B1 (ko) 2005-02-15 2005-02-15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187217A1 (ko)
KR (1) KR1008442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774B1 (ko) * 2006-03-06 2006-12-1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사용자의 위치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의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KR100810200B1 (ko) 2006-11-30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109454B1 (ko) * 2010-08-27 2012-01-31 김지현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KR101315217B1 (ko) * 2007-03-05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제공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7281B2 (en) * 2007-01-04 2010-02-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of dynamically changing information provided on a display of a cellular telephone and related cellular telephones
US8045828B2 (en) * 2007-07-09 2011-10-25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cting image updates
JP4982347B2 (ja) * 2007-12-11 2012-07-25 株式会社東芝 画像情報の更新を検出する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5010492B2 (ja) * 2008-01-31 2012-08-29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477092A (en) * 2010-01-20 2011-07-27 Nec Corp Selecting virtual machine host servers based on client device location
CN103365706A (zh) * 2012-03-30 2013-10-23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及手持式电子装置
TWI502442B (zh) * 2013-10-08 2015-10-01 Wistron Corp 掀蓋式電子裝置及其校正方法
KR20200144846A (ko) * 2019-06-19 202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31477D0 (en) * 2000-12-22 2001-02-07 Symbian Ltd Mobile telephone device with idle screen
JP4123405B2 (ja) * 2001-01-16 2008-07-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及びクライアント・アプリケーションのボタン更新方法
US6798358B2 (en) * 2001-07-03 2004-09-28 Nortel Networks Limited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US7570943B2 (en) * 2002-08-29 2009-08-04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 sensitive recommendations to digital services
US7187932B1 (en) * 2003-01-16 2007-03-06 Cingular Wireless Ii, Llc Autopopulation of address book entries
KR100513895B1 (ko) * 2003-06-27 2005-09-07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바탕화면 디스플레이 변경 장치
KR20060025679A (ko) * 2004-09-17 2006-03-2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설정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774B1 (ko) * 2006-03-06 2006-12-1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사용자의 위치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의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KR100810200B1 (ko) 2006-11-30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315217B1 (ko) * 2007-03-05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109454B1 (ko) * 2010-08-27 2012-01-31 김지현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87217A1 (en) 2006-08-24
KR100844271B1 (ko) 2008-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271B1 (ko)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및 방법
US7849135B2 (en) Shar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US8130668B2 (en) Managing differences in user devices when shar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CN100403682C (zh) 管理移动网络的两层间的qos映射规则的系统和方法
US9077565B2 (en) Spam control for shar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ES2362359T3 (es) Servicio de mensajes.
US8271004B2 (en) User generated dynamic mobile service
US7506029B2 (en)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 messaging client and a remote device running a browsing application
US889203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ty-wide information exchange via individual communications terminals
CN101330636B (zh) 一种基于mms业务向移动终端推送广告的实现方法
CN101606371B (zh) 内容发布管理装置、通信终端、程序以及内容发布系统
CN104601639A (zh) 网页应用消息推送方法、客户端、服务器及系统
KR20070118309A (ko)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경유해서 액세스 가능한서비스들을 위한 단축키 발생기
US74509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warding e-mail
CN109756528A (zh) 频率控制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服务器
KR100588621B1 (ko)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25657B1 (ko) 가상 머신 기반의 이동통신 단말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20050061934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050889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service to instant messenger program install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virtual talking companions
KR10071839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바일 홈페이지 서비스 방법
US20090177746A1 (en) Terminal managing method, terminal managing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36281A (ko) 이동 통신 단말의 정보 제공 컨텐츠를 이용한 대기모드에서의 맞춤 정보 제공 방법
KR100775679B1 (ko)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KR10073824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 개인 메뉴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서버 및 방법
KR20060039551A (ko) 맞춤형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