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454B1 -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454B1
KR101109454B1 KR1020100083335A KR20100083335A KR101109454B1 KR 101109454 B1 KR101109454 B1 KR 101109454B1 KR 1020100083335 A KR1020100083335 A KR 1020100083335A KR 20100083335 A KR20100083335 A KR 20100083335A KR 101109454 B1 KR101109454 B1 KR 101109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user
work
ic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현
Original Assignee
김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현 filed Critical 김지현
Priority to KR102010008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서버에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하는 준비단계(S10); 저작권자 별로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적 설치를 제공하는 설치제공단계(S20,S30); 사용자의 결제정보 및 저작권자의 수익정보가 입력되는 결제단계(S40); 다운로드 폴더를 생성하는 폴더생성단계(S50); 서버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저작물들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고,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에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저작물을 교체하며 디스플레이하는 실행단계(S60); 해당 저작권자의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전송받아 사용자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다운로드 폴더에 디스플레이된 저작물의 선택적 저장을 제공하는 다운로드단계(S90); 및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저작물을, 서버로부터 전송받을지 또는 다운로드 폴더로부터 전송받을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설정제공단계(S95);를 포함하는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METHOD OF PROVIDING WALLPAPER CHANGING SERVICE FOR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서버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을 다양한 저작물들로 자동으로 바꿔주는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모바일단말기를 살펴보면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등장에 따라 종래의 핸드폰과 컴퓨터로 구분지어지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스마트폰 등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마치 자신의 개인용 PC와 같이 핸드폰을 구성할 수 있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이러한 핸드폰 개념의 진화에 따라 거래시장에는 스마트폰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핸드폰의 경우 제조업체에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외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없었고, 또한 변경 역시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스마트폰은 이러한 개념을 벗어나, 단순히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외에도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운영체제에서 호환되는 한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은 단말기의 바탕화면 역시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다.
즉, 종래의 휴대폰에 따르면 단말기의 바탕화면을 자신이 임의적으로 교체할 수는 있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자신이 보유한 이미지를 단순히 불러내어 일회적으로 교체하는 것만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스마트폰에 의하면, 어떠한 어플리케이션이든지 단말기의 운영체제에서 호환이 된다면, 바탕화면을 변경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바탕화면을 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최근 스마트폰의 바탕화면을 변경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일정 카테고리별로 서버에 사진을 마련하여 두고,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원하는 주제의 사진을 자신의 단말기의 바탕화면에 자동적으로 교체되며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의해 사용자는 더 이상 지겨운 한가지의 사진만을 바탕화면으로 할 필요가 없어졌으며, 바탕화면을 변경하기 위한 수고를 덜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바탕화면 변경 서비스에 의하더라도, 사용자는 원하는 분야의 사진을 찾기 위해 항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해당 카테고리에 들어가 사진을 찾아야만 하였기에 사진의 주제를 변경하기에 번거로웠다. 또한, 더욱이 새로이 업데이트 된 사진에 대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야만 얻을 수 있었으며, 특히 어플리케이션이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 대하여 특정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여러 주제의 사진을 모아놓고 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에 불과하여 특정된 주제에 관한 집중적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었으며 컨텐츠의 질과 양에 있어서도 한계가 있었다.
한편, 바탕화면으로 이용될 수 있는 사진이라는 컨텐츠에 대하여 살펴보면, 현재 국내에 활동중인 많은 사진작가들의 경우 자신의 컨텐츠를 팔거나 전시할 기회가 없어 수입원을 찾기 어려운 실정에 있으며, 이러한 양질의 무수한 사진들의 경우 인터넷을 통하여 전시 내지 유포가 가능할 뿐, 그 컨텐츠에 대한 금전적인 보상이 따르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은 단지 사진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미술작품, 만화, 플래시, 동영상, 연예인의 사진 등 많은 시각적 컨텐츠들에 있어서 공통된 문제이며, 이들 컨텐츠의 경우 하루에도 무수히 많은 수의 저작물들이 양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가치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점에서 컨텐츠 산업의 기초적인 자본 기반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과 복제기술이 발달한 상황에서 이러한 시각적 저작물들에 대하여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며, 특히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전으로 컨텐츠의 유포 범위는 매우 넓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그 수익을 보장해 줄 수 있는 기술은 여전히 매우 미흡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점에서, 컴퓨터와 인터넷 기술분야에서 컨텐츠를 생산하는 저작권자들의 수익을 보장해 줄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모바일단말기에서 자신이 관심있는 분야의 저작물을 집중적으로 제공받아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분야 내지 저작권자의 신규 저작물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이를 디스플레이 내지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신규 저작물을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나간 시점의 저작물을 재확인하여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저작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저작물을 사진작가의 사진이나 미술작가의 그림 또는 연예인의 사진을 해당 저작권자별로 분류하여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저작물을 바탕화면의 디스플레이로 이용할 경우 그 결제수익을 일정부분 상기 저작권자들에게 실시간 반영함으로써 온라인 컨텐츠 산업의 육성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버에 사용자DB, 저작권자DB, 저작물DB, 어플리케이션DB를 마련하는 준비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저작권자 별로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적 설치를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는 설치제공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될 경우 서버에 해당 사용자의 결제정보 및 해당 저작권자의 수익정보가 입력되는 결제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라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다운로드 폴더를 생성하는 폴더생성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라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저작물들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고,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에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저작물을 교체하며 디스플레이하는 실행단계; 상기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최근 일정기간 동안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전송받아 사용자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다운로드 폴더에 디스플레이된 저작물의 선택적 저장을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는 다운로드단계; 및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저작물을, 상기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전송받을지 또는 상기 다운로드 폴더로부터 전송받을지 여부를 GUI방식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설정제공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작물은 사진작가의 사진, 미술작가의 그림, 연예인의 사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행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및 설치에 따라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저작물 중 최근의 일정기간 동안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전송받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에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교체하며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제공단계는 서버의 저작물DB에 해당 저작권자의 최신 저작물이 업데이트 된 경우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상기 실행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저작물에 갱신하는 갱신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제공단계는 서버의 저작물DB에 해당 저작권자의 최신 저작물이 업데이트 된 경우 이를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GUI방식에 의해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운로드단계는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저작권자 아이콘을 제공하고, 저작권자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최근 일정기간 동안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전송받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다운로드 폴더에 디스플레이된 저작물의 선택적 저장을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고, 상기 알림단계는 서버의 저작물DB에 해당 저작권자의 최신 저작물이 업데이트 된 경우, 이를 상기 저작권자 아이콘과 함께 업데이트 된 저작물의 개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단계는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저작권자 아이콘을 제공하고, 저작권자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최근보기 아이콘, 다운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며, 최근보기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최근 일정기간 동안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전송받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다운로드 폴더에 디스플레이된 저작물의 선택적 저장을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며, 다운보기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다운로드 폴더에 저장된 저작물을 디스플레이하며 디스플레이된 저작물의 선택적 삭제를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다운로드단계는 상기 저작권자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최근보기 아이콘, 다운보기 아이콘과 함께 캘린더 아이콘, 링크 아이콘을 제공하고, 캘린더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저작물 중 특정 날짜에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전송받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다운로드 폴더에 디스플레이된 저작물의 선택적 저장을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며, 링크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하이퍼링크된 해당 저작권자의 웹페이지를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모바일단말기에 사용자가 관심있는 분야의 저작물을 집중적으로 제공하여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분야 내지 저작권자의 신규 저작물을 실시간으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디스플레이 내지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단순히 바탕화면을 새롭게 한다는 차원을 넘어 특정 작가의 저작물을 모바일 단말기에 생성된 작은 창을 통하여 전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작물의 컨텐츠가 종래의 바탕화면과 같이 배경이나 풍경 등이 아니고 일련의 주제를 갖는 특정 사진작가의 사진이나 연예인의 사진 및 미술작가의 그림으로 구성되어 모바일단말기를 통하여 자신의 문화적 코드를 드러낼 수 있고, 바탕화면을 통하여 손쉽게 문화 생활을 누릴 수 있게 된다.
또한, 해당 저작권자의 신규 저작물을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나간 시점의 저작물도 재확인하여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저작물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저작물을 사진작가의 사진이나 미술작가의 그림 또는 연예인의 사진을 해당 저작권자별로 분류하여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저작물을 바탕화면의 디스플레이로 이용할 경우 그 결제수익을 일정부분 상기 저작권자들에게 실시간 반영함으로써 온라인 컨텐츠 산업의 육성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
도 3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이 실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 도 3은 메인 아이콘을 나타낸 도면.
b) 도 4는 저작물 카테고리를 나타낸 도면.
c) 도 5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연예인 카테고리를 나타낸 도면.
d) 도 6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e) 도 7은 저작권자 아이콘을 나타낸 도면.
f) 도 8은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나타낸 도면.
g) 도 9는 최근보기 메뉴를 나타낸 도면.
h) 도 10은 다운보기 메뉴를 나타낸 도면.
i) 도 11은 캘린더 메뉴를 나타낸 도면.
j) 도 12는 캘린더 메뉴의 하위 메뉴를 나타낸 도면.
k) 도 13은 업데이트 알림 아이콘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로서, 이러한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버에 사용자DB(data base), 저작권자DB, 저작물DB, 어플리케이션DB를 마련하는 준비단계(S10);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저작권자 별로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적 설치를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는 설치제공단계(S20,S30);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될 경우 서버에 해당 사용자의 결제정보 및 해당 저작권자의 수익정보가 입력되는 결제단계(S40);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라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다운로드 폴더를 생성하는 폴더생성단계(S50);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라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저작물들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고,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에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저작물을 교체하며 디스플레이하는 실행단계(S60); 상기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최근 일정기간 동안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전송받아 사용자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다운로드 폴더에 디스플레이된 저작물의 선택적 저장을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는 다운로드단계(S90); 및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저작물을, 상기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전송받을지 또는 상기 다운로드 폴더로부터 전송받을지 여부를 GUI방식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설정제공단계(S9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작물은 이미지, 플래시, 동영상, 텍스트 등을 포함하는 시각을 통하여 인식될 수 있는 모든 컨텐츠를 의미하며, 특히 바탕화면으로써 이용되는 컨텐츠이기 때문에 사진작가의 사진, 미술작가의 그림, 연예인의 사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중 사진작가의 사진의 경우 앞서 살핀 바와 같이, 국내에 사진작가들이 저작권에 대한 정당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전무한 상태여서,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를 경우 아마추어 사진작가들의 사진을 대중에 전시할 수 있고, 홍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이들이 사용자로 하여금 반감을 불러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럽게 저작권료를 회수할 수 있게 되어 사진 문화와 인프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은 크게 준비단계(S10); 설치제공단계(S20,S30); 결제단계(S40); 폴더생성단계(S50); 실행단계(S60); 다운로드단계(S90); 및 설정제공단계(S95);로 구성된다. 준비단계(S10)에서는 모바일단말기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는 서버에 사용자DB, 저작권자DB, 저작물DB, 어플리케이션DB를 마련하는 것이다. 서버는 인터넷과 연결된 웹서버의 형태로서, 모바일단말기의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 또는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가능하며, 사용자DB에는 사용자의 회원정보와 결제정보가 저장되고, 저작권자DB에는 저작권자의 회원정보와 수익정보 및 홈페이지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DB는 회원가입된 사용자 또는 모바일단말기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단말기의 사용자에 한하여 그 정보가 저장되도록 한다. 저작권자DB의 수익정보란 해당 저작권자의 저작물이 얼마나 바탕화면으로 이용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정보로서, 해당 저작권자는 그 수익정보에 따라 저작료를 받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모바일단말기를 통하여 바탕화면을 이용할 경우 결제를 하게 되고, 그 결제비용은 일정비율에 따라 저작권자의 수익으로 재분배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보고 싶은 사진, 그림 등의 문화적 컨텐츠를 바탕화면을 통해 보게 되어 이득이고, 저작권자는 수익료를 얻게 되어 이득인바 사용자와 저작권자 모두가 만족하게 된다. 저작물DB에는 저작권자의 저작물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하에서 살펴보듯이, 이플리케이션은 저작권자별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저작물DB 역시 저작물 데이터에 저작권자별로 태그를 달아두게 된다. 어플리케이션DB는 해당 저작권자 별로 저작물을 공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이 역시 해당 저작권자마다 구별되는 프로그램의 형식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서버는 이러한 DB의 구분 또는 기능상의 구분에 따라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준비단계(S10)를 통하여 서버에 각각의 DB를 마련한 후, 서버는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저작권자 별로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적 설치를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게 된다(설치제공단계, S20,S30). 설치제공단계에서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방식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적 설치를 안내한다. 즉,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서는 서버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복수의 저작권자에 따라 구별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작가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다운로드하여 모바일단말기에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이 제공 및 설치될 경우에는 서버에 해당 사용자의 결제정보 및 해당 저작권자의 수익정보가 입력되는 결제단계(S40)가 수행된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함에 따라 바탕화면을 변경하게 되는 것이고, 그에 따라 저작권료를 결제하는 것이며 그 결제에 관한 정보는 서버의 사용자DB에 결제정보로서 저장된다. 또한 그에 따라 저작권자는 수익을 일정비율로 보상받게 되는바, 그 수익에 관한 정보가 상기 서버의 저작권자DB에 수익정보로서 저장되는 것이다. 결제와 수익배분의 경우에는 인터넷 가상포인트를 이용한 자동결제 방식 또는 실시간 결제방식 또는 정액 결제방식 등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라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다운로드 폴더를 생성하는 폴더생성단계(S50)를 수행하게 된다. 이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서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것이고, 구체적으로, 서버에서 바탕화면용으로 제공하는 이미지는 임시폴더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영구적으로 저장하고자 하는 이미지는 상기 생성된 다운로드 폴더에 저장하여 언제든지 열람 및 바탕화면으로의 설정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라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저작물들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고,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에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저작물을 교체하며 디스플레이하는 실행단계(S60)를 수행한다. 실행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의 가장 핵심적인 단계로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됨과 동시에 결제 및 다운로드 폴더가 형성되고 또한 바탕화면 역시 해당 저작권자의 저작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바탕화면의 교체를 위한 이미지는 상기 서버의 저작물DB에서 불러들이고 임시폴더에 저장한 후 일정시간마다 교체될 수 있도록 바탕화면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특정 저작권자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경우 자동으로 결제함과 동시에 곧바로 바탕화면을 해당 저작권자의 저작물로 바꿀 수 있게 된다. 즉,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저작물의 내용을 사용자가 선호하는 특정 저작권자의 저작물로 하는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의 결과,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이 편리해지고, 서비스와 저작권자에 대한 사용자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서버에는 저작권자가 계속적으로 자신의 저작물을 업데이트하게 되며, 따라서 모바일단말기에서는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저작물 중 최근의 일정기간 동안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전송받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에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교체하며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가 잦은 연예인 사진의 경우에는 1일 단위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오늘 5장의 사진이 업데이트 되었다면 5장의 사진을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여 바탕화면에 교체해가며 디스플레이하고, 다음날 6장의 사진이 업데이트 되었다면 다음날에는 6장의 사진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진작가의 경우에는 업데이트가 자주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일정기간을 1주일 단위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설정제공단계(S95)는 서버의 저작물DB에 해당 저작권자의 최신 저작물이 업데이트 된 경우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실행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저작물에 갱신하는 갱신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갱신단계가 실행될 경우에는 서버에 5장의 사진이 업데이트된 경우 모바일단말기에 그 5장의 사진을 전송하여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되던 기존의 사진을 대체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일정기간마다 최신의 신선한 저작물을 접할 수 있으며 바탕화면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연예인 소녀시대의 사진이 오늘 5장 업데이트 되었다면 소녀시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모두 그 다음날 아침에 일률적으로 바탕화면을 통해 업데이트 된 5장의 사진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하면은 대기상태에서 항상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이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하루에도 수십 번씩 그 바탕화면을 보게 되고, 따라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아무리 새로이 설정한 이미지라고 하더라도 쉽게 질려버리기 마련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신단계에 의하면, 사용자는 일정주기마다 항상 신규로 업데이트된 바탕화면을 보게 됨으로써 바탕화면에 대하여 신선하다는 감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남들보다 앞서 저작물을 접한다는 만족감을 느낄 수 있으며, 주위의 사람들에게도 자연스럽게 신규의 저작물을 노출시킬 수 있게 되어 자신만의 문화적 코드와 수준을 과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서버의 저작물DB는 해당 저작권자가 자신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물론, 운영자가 직접 이미지를 보정한 후 업데이트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저작물을 전송받아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일종의 저작물 군을 갱신하고, 특정 저작권자를 선호하는 사용자는 일정시간 동안 해당 저작권자의 저작물이 업데이트 된 경우 이를 즉각 자신의 모바일단말기에 반영하고 싶어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경우 저작권자는 자신의 컨텐츠를 빠르게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를 통하여 전파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일정 시간마다 새로운 컨텐츠를 접하게 되어 흥미를 잃지 않게 되며 어플리케이션 및 저작권자에 대한 충성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연예인의 사진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해당 연예인의 실시간 직샷(직접 찍은 사진)을 저작물DB에 업데이트할 경우 사용자인 팬들의 입장에서는 남들보다 앞서 매우 값어치가 있는 바탕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어플리테이션의 실행에 따라 모바일단말기에는 해당 저작권자의 아이콘이 형성되도록 한다(S70). 사용자는 이러한 저작권자 아이콘을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한 부가 기능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S80).
어플리케이션의 부가 기능으로는 최근보기 기능, 다운보기 기능, 캘린터 기능, 링크 기능, 설정 기능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다운로드단계(S9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운로드단계는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저작권자 아이콘을 제공하고, 저작권자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최근 일정기간 동안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전송받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다운로드 폴더에 디스플레이된 저작물의 선택적 저장을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도록 한다. 특히, 다운로드단계(S90)는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저작권자 아이콘을 제공하고, 저작권자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최근보기 아이콘, 다운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며, 최근보기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최근 일정기간 동안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전송받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다운로드 폴더에 디스플레이된 저작물의 선택적 저장을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며, 다운보기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다운로드 폴더에 저장된 저작물을 디스플레이하며 디스플레이된 저작물의 선택적 삭제를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운로드단계(S90)는 상기 저작권자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최근보기 아이콘, 다운보기 아이콘과 함께 캘린더 아이콘, 링크 아이콘을 제공하고, 캘린더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저작물 중 특정 날짜에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전송받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다운로드 폴더에 디스플레이된 저작물의 선택적 저장을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며, 링크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하이퍼링크된 해당 저작권자의 웹페이지를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운로드단계에서는 생성된 저작권자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저작권자 아이콘이 선택될 경우 그 하위 기능으로서 최근보기, 다운보기, 캘린더, 링크를 디스플레이한다. 일 예로 소녀시대 아이콘을 예로 들면, 소녀시대 아이콘을 클릭할 경우 바탕화면에는 최근보기, 다운보기, 캘린더, 링크, 설정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최근보기를 클릭하면 최근 업데이트된 소녀시대의 사진들이 서버로부터 불러들여져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이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모바일단말기의 다운로드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S91). 이러한 GUI방식에 의한 선택적 저장은 다양한 아이콘이나 그래픽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에 관하여는 하기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겠다.
최근보기를 통해 사용자는 언제든지 손쉽게 최신의 저작물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그 최신의 저작물 중 자신이 원하는 저작물을 다운로드할 수 있어 만족감이 높아진다. 또한 후술하듯이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다운로드된 저작물들을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다운보기 메뉴를 클릭할 경우에는 모바일단말기의 다운로드 폴더에 저장된 사용자의 저작물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다운로드 보기에서는 GUI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저장된 사진을 삭제할 수 있도록 한다(S92).
캘린더 기능은 지나간 저작물들을 서버로부터 불러들기이 위해 이용된다. 캘린더를 선택하면 달력이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메뉴 화면 자체에 달력을 표시함으로써 바로 캘린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GUI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달력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원하는 날짜를 클릭하고, 해당 날짜에 업데이트된 저작물들을 서버로부터 불러들여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 저작물뿐만 아니라, 지나간 저작물들을 확인하고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S93).
링크 기능을 선택할 경우에는 해당 저작권자의 홈페이지로 하이퍼링크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해당저작권자의 홈페이지는 다양한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이며, 여기에는 일반적인 WWW(world wide web)형식의 홈페이지나 블로그, 카페, 싸이월드 등 다양한 수단의 웹페이지가 포함된다. 또한 하이퍼링크되는 홈페이지의 주소들은 서버에 저작권자가 등록하는 단계에서 해당 정보의 입력을 요구토록 하여, 저작권자DB에 마련해두도록 한다(S94).
설정기능을 선택할 경우에는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저작물을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전송받을지 또는 상기 다운로드 폴더로부터 전송받을지 여부를 GUI방식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설정제공단계(S95)를 수행하게 된다. 설정제공단계에서는 GUI를 이용하여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자동모드를 선택할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서버에서 제공하는 해당 저작권자의 저작물을 바탕화면에 교체해가며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수동모드를 선택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의 다운로드 폴더에 저장된 저작물들을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96). 따라서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새로운 저작물을 보고 싶을 경우에는 자동모드를 선택하고, 원하는 저작물만을 보고 싶을 경우에는 수동모드를 선택하며, 수동모드의 기초 데이터가 되는 다운로드 폴더의 저작물들은 언제라도 추가 또는 삭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특정 저작권자에 집중된 사용자 중심의 바탕화면 운영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된 순서도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설정제공단계(S95)는 서버의 저작물DB에 해당 저작권자의 최신 저작물이 업데이트 된 경우 이를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GUI방식에 의해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알림단계는 서버의 저작물DB에 해당 저작권자의 최신 저작물이 업데이트 된 경우, 이를 상기 저작권자 아이콘과 함께 업데이트 된 저작물의 개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소녀시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는 서버의 소녀시대 저작물DB에 새로운 저작물이 업데이트되었을 경우 모바일단말기에 이를 알리게 된다. 알림의 형식을 다양한 GUI방식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나, 가장 손쉽고 효율적인 방안으로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해당하는 소녀시대 아이콘에 업로드된 저작물의 개수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쉽게 업데이트의 여부와 업데이트된 사진의 개수를 알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능은 특히 수동모드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녀시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5라는 숫자가 적혀있을 경우 사용자는 바로 해당 소녀시대 아이콘을 클릭하여 며뉴모드로 진입하고, 최근보기를 선택하여 업데이트된 5개의 사진들을 확인하며, 이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저장하여 다운로드 폴더 및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진들을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a) 도 3은 메인 아이콘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모바일단말기(10)에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는 메인 아이콘(100)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탕화면(20)의 상기 메인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구체적인 저작권자의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여 선택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메인 아이콘이 없이 저작권자의 어플리케이션을 곧바로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저작권자의 수가 많을 경우에는 메인 아이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접근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며, 저작권자의 수가 많디 않을 경우에는 메인 아이콘 없이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곧바로 제시하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b) 도 4는 저작물 카테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메인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에는 상위 개념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통해 각각의 저작권자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메인 아이콘을 선택하면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에 사진작가(110), 미술작가(130), 연예인(150), 만화작가(170) 등의 카테고리가 디스플레이된다. 이하에서는 연예인 카테고리를 일 예로서 설명한다.
c) 도 5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연예인 카테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연예인 카테고리를 선택하게 되면, 각각의 연예인 또는 그룹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하에서는 하위 그룹 중 "소녀시대"(152)를 선택한 예를 설명한다.
d) 도 6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소녀시대를 선택한 경우에는 모바일단말기에 소녀시대의 어플리케이션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설치된다. 또한 그와 동시에 사용자는 결제를 하게 되고, 저작권자인 소녀시대 또는 소속 기획사는 수익을 배분받는다.
e) 도 7은 저작권자 아이콘을 나타낸 도면이다. 소녀시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완료된 경우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20)은 소녀시대의 사진으로 변경되고, 이는 일정시간마다 새로운 사진으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시점이 5월 8일이라면 해당 날짜에 업데이트된 소녀시대의 사진 5장이 바탕화면에 자동 교체식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에 따라 바탕화면에는 어플리케이션의 메뉴에 진입할 수 있는 소녀시대 아이콘(200)이 형성된다.
f) 도 8은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나타낸 도면이다. 소녀시대 아이콘을 클릭하면, 어플리케이션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어플리케이션 메뉴는 today(220), my folder(240), calender(260), blog(280)로 구성된다. 또한 today(220), my folder(240)의 좌측에는 설정 아이콘(210,230)이 표시되고, 이를 체크/체크해제(212) 함으로써 바탕화면의 사진을 서버로부터 실시간 자동으로 받을 것인지 또는 다운로드 폴더에 저장된 사진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g) 도 9는 최근보기 메뉴를 나타낸 도면이다. 최근보기 메뉴는 도시된 바와 같이 "today"로 표시될 수 있으며, today에서는 오늘 업데이트된 소녀시대의 사진들(222)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해당 사진을 클릭하면 좌측에 선택 아이콘(224)이 표시되고 하단의 "down"(226)을 누르면 선택된 사진들이 다운로드 폴더에 저장된다.
h) 도 10은 다운보기 메뉴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운보기 메뉴는 도시된 바와 같이 "folder"로 표시될 수 있으며, folder에서는 다운로드 폴더에 저장된 소녀시대의 사진(242)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해당 사진을 클릭하면 좌측에 선택 아이콘(244)이 표시되고 하단의 "delete"(246)를 누르면 선택된 사진들이 다운로드 폴더에서 삭제된다.
i) 도 11은 캘린더 메뉴를 나타낸 도면이다. 캘린더 메뉴는 도시된 바와 같이 "calendar"로 표시될 수 있으며, calendar에서는 달력(262)을 표시한다. 달력의 특정 날짜를 클릭하면 하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j) 도 12는 캘린더 메뉴의 하위 메뉴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위 메뉴에서는 해당 날짜(262)에 업데이트된 소녀시대의 사진(264)들이 디스플레이되고 today와 마찬가지로 해당 사진을 클릭하면 좌측에 선택 아이콘(266)이 표시되고 하단의 "down"(268)을 누르면 선택된 사진들이 다운로드 폴더에 저장된다.
k) 도 13은 업데이트 알림 아이콘을 나타낸 도면이다. 알림 아이콘은 업데이트된 사진의 개수로 표시되며, 서버에 소녀시대의 사진이 업데이트된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소녀시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00)의 상단에 현재 업데이트된 소녀시대 사진의 개수를 표시(300)한다. 이를 위해 서버에서는 특정 저작권자의 저작물이 업데이트된 경우 해당 저작권자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업데이트된 저작물의 개수 데이터를 전송하고 모바일단말기에서는 이를 해당 저작권자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200)에 숫자(300)로 표시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이를 보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의 현황을 알 수 있으며, 소녀시대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도 8의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today 메뉴를 통해 해당 업데이트 사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간 업데이트 및 알림 기능에 의해 사용자는 관심 저작권자의 저작물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내지 저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연예인과 같은 경우 해당 연예인의 실시간 사진은 팬들에게 있어 매우 관심있는 분야에 해당하므로 바탕화면 변경 서비스의 큰 활성화 요소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S10 : 준비단계 S20,S30 : 설치제공단계
S40 : 결제단계 S50 : 폴더생성단계
S60 : 실행단계 S90 : 다운로드단계
S95 : 설정제공단계 10 : 모바일단말기
20 : 바탕화면 100 : 메인 아이콘
200 :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300 : 알림 아이콘

Claims (8)

  1. 서버에 사용자DB, 저작권자DB, 저작물DB, 어플리케이션DB를 마련하는 준비단계(S10);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저작권자 별로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적 설치를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는 설치제공단계(S20,S30);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될 경우 서버에 해당 사용자의 결제정보 및 해당 저작권자의 수익정보가 입력되는 결제단계(S40);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라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다운로드 폴더를 생성하는 폴더생성단계(S50);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라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저작물들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고,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에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저작물을 교체하며 디스플레이하는 실행단계(S60);
    상기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최근 일정기간 동안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전송받아 사용자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다운로드 폴더에 디스플레이된 저작물의 선택적 저장을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는 다운로드단계(S90); 및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저작물을, 상기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전송받을지 또는 상기 다운로드 폴더로부터 전송받을지 여부를 GUI방식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설정제공단계(S95);를 포함하는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은 사진작가의 사진, 미술작가의 그림, 연예인의 사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행단계(S6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및 설치에 따라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저작물 중 최근의 일정기간 동안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전송받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에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교체하며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제공단계(S95)는 서버의 저작물DB에 해당 저작권자의 최신 저작물이 업데이트 된 경우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상기 실행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저작물에 갱신하는 갱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제공단계(S95)는 서버의 저작물DB에 해당 저작권자의 최신 저작물이 업데이트 된 경우 이를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GUI방식에 의해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단계(S90)는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저작권자 아이콘을 제공하고, 저작권자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최근 일정기간 동안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전송받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다운로드 폴더에 디스플레이된 저작물의 선택적 저장을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고,
    상기 알림단계는 서버의 저작물DB에 해당 저작권자의 최신 저작물이 업데이트 된 경우, 이를 상기 저작권자 아이콘과 함께 업데이트 된 저작물의 개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단계(S90)는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저작권자 아이콘을 제공하고, 저작권자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최근보기 아이콘, 다운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며, 최근보기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최근 일정기간 동안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전송받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다운로드 폴더에 디스플레이된 저작물의 선택적 저장을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며, 다운보기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다운로드 폴더에 저장된 저작물을 디스플레이하며 디스플레이된 저작물의 선택적 삭제를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단계(S90)는 상기 저작권자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최근보기 아이콘, 다운보기 아이콘과 함께 캘린더 아이콘, 링크 아이콘을 제공하고, 캘린더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서버의 저작물DB로부터 해당 저작권자의 저작물 중 특정 날짜에 업데이트 된 저작물을 전송받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다운로드 폴더에 디스플레이된 저작물의 선택적 저장을 GUI방식에 의해 제공하며, 링크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하이퍼링크된 해당 저작권자의 웹페이지를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00083335A 2010-08-27 2010-08-27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KR101109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335A KR101109454B1 (ko) 2010-08-27 2010-08-27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335A KR101109454B1 (ko) 2010-08-27 2010-08-27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9454B1 true KR101109454B1 (ko) 2012-01-31

Family

ID=4561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335A KR101109454B1 (ko) 2010-08-27 2010-08-27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4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1552A (ko) * 2005-02-15 2006-08-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100629446B1 (ko) 2005-10-26 2006-09-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서비스 방법
KR20080044083A (ko) * 2006-11-15 2008-05-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콘텐츠 기반의 다이나믹 바탕화면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1552A (ko) * 2005-02-15 2006-08-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대기화면 자동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100629446B1 (ko) 2005-10-26 2006-09-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서비스 방법
KR20080044083A (ko) * 2006-11-15 2008-05-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콘텐츠 기반의 다이나믹 바탕화면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1[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3704B2 (en) Intelligently updating a collaboration site or template
EP3531257A1 (en) Application interfa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JP5599412B2 (ja) 捕捉時のコンテンツの構成および配信
EP3644160B1 (en) Apparatus and methods of extending application services
CN113747376A (zh) 消息扩展应用程序商店
KR20040105610A (ko) 이동 정보 서비스
KR100590982B1 (ko) 메모 및 일정관리 시스템
CN103477610A (zh) 通过匹配类似用户来推荐移动内容
JP2016501411A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自動配信
US20210019106A1 (en) Desktop Shar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10126918B2 (en) Customized guided workflow element arrangement
US20150227967A1 (en) Unified social media campaign management
US20190089581A1 (en) Iteratively updating a collaboration site or template
US20130125023A1 (en)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application information
CN111061532B (zh) 一种壁纸展示方法及终端设备
KR102353392B1 (ko)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위젯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09454B1 (ko) 모바일단말기의 바탕화면 변경서비스 제공방법
KR101488720B1 (ko) 서비스앱 사용자간 광고방법
WO2017222842A1 (en) Programming organizational links that propagate to mobile applications
JP6664590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装置、及び配信装置
KR100869781B1 (ko)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구현된 객체 콘텐츠 제공방법 및 그기록매체
Rastogi et al. Troubleshooting in macOS and Ventura OS Overview
KR20130082988A (ko) 앱 배치 공간을 활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0999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연동을 이용한 개인비서 시스템
JP2019168795A (ja) 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フィル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