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538A -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538A
KR20060091538A KR1020050012466A KR20050012466A KR20060091538A KR 20060091538 A KR20060091538 A KR 20060091538A KR 1020050012466 A KR1020050012466 A KR 1020050012466A KR 20050012466 A KR20050012466 A KR 20050012466A KR 20060091538 A KR20060091538 A KR 20060091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lan
data
function
wireless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2131B1 (ko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1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91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기능을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 송신 기능 수행 시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무선랜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저장하고,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을 탐색하는 단계와;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이 탐색되면,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랜을 통하여 송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DATA SEND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WITH WIRELESS LAN FUNCTION}
도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무선랜을 통한 데이터 전송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 순서도.
본 발명은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랜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기능을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서비스 제공중인 이동 통신망 이외에 최근 들어 특정 무선 데이터 트래픽이 많은 지역을 커버하기 위한 공중 무선랜망의 개발 및 상용화가 급속히 추진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무선랜은 컴퓨터와 컴퓨터간 또는 컴퓨터와 기타 통신 시스템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RF(Radio Frequency)나 빛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수행하는 랜을 의미하는데, 국내외에서 주로 사용되는 무선랜은 2.4[GHz]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최대 11[Mbps]의 전송률을 갖는 IEEE 802.11b표준을 위주로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사용자 인증을 위해 IEEE 802.1x가 사용되고 있으며 무선 구간의 인증 프로토콜로 EAP-MD5/TLS/TTLS 등이 사용되고 있고, 이런 무선 구간 인증 프로토콜은 사용자 이름(ID), 패스워드/인증서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동 통신망의 경우 많은 무선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하기가 힘들며 무선랜망의 경우 커버할 수 있는 지역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두 망간의 연동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무선랜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기능은 무선랜망과 연결이 가능한 지역에서만 사용 가능하였다. 즉, 무선랜망과 연결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음악, 텍스트 파일, 동영상, 그림 파일 등과 같은 데이터 를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무선랜이 불가능한 지역에 위치하고, 무선랜을 이용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가지고 무선랜과의 통신이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한 후에야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무선랜을 통한 데이터 송신 기능 수행 시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무선랜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인 경우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단위로 무선랜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무선랜 통신이 가능하면 무선랜을 통하여 데이터를 자동 송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 송신 기능 수행 시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무선랜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저장하고,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을 탐색하는 단계와;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이 탐색되면,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랜을 통하여 송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의 탐색은 기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반복 수행되거나 계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회로부(10)는 이동 통신망과 연결하고, 이동 통신망을 통한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기능, WAP browser 기능, SMS 기능 등을 수행한다.
무선랜 회로부(20)는 무선랜망과 연결하고, 무선랜망을 통한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VoIP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기능 등을 수행한다.
메모리부(4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랜망 지역이 아닌 곳에서 무선랜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 단말기의 무선랜망과의 연결 상태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확 인하고, 무선랜망과 연결된 경우 무선랜망을 통해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자동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이 무선랜과 연결 가능한 지역인지 판단하고, 불가능한 지역이면 데이터 송신 기능 사용 시 기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무선랜망과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무선랜을 통하여 데이터가 자동으로 송신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키입력부(5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비디오/오디오부(6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수신/저장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소정의 사운드를 입력(마이크)하거나 출력(스피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무선랜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일 실시예 순서도로서, 무선랜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때 무선랜 통신이 가능한지 판단하고, 무선랜 통신이 불가능하면 기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을 탐색하고,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이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 또는 선택된 데이터를 무선랜을 통해 자동으로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무선랜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거나 기 저장된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때, 입력 또는 선택된 데이터는 문자 정보, 그림 정보, 동영상 정보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문자 정보는 키입력부(50)를 통해 입력되고, 그림 정보 및 동영상 정보는 오디오/비디오부(60)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진다.
상기 전송할 데이터가 선택되고, 사용자에 의해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30)는 무선랜 회로부(20)를 통하여 단말기가 위치한 현재 지역에서 무선랜 통신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이때, 무선랜 통신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은 무선랜의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결정하게 된다.
상기 판단 결과, 무선랜 통신이 가능한 지역이면 기존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기준 수신 신호 세기 이상의 무선랜 수신 신호 세기가 측정되면, 무선랜망과 연결하고, 무선랜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 또는 선택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무선랜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이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 또는 선택된 송신할 데이터를 메모리부(40)의 소정 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기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무선랜 회로부(20)를 통하여 현재 위치가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인지 탐색한다. 즉, 무선랜 회로부(20)에서 기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수신 신호 세기를 감지한다.
상기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을 탐색 중 무선랜 통신이 가능한 수신 신호 세기가 감지되면 메모리부(40)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읽고, 무선랜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 무선랜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이고, 사용자에 의해 긴 급 전송 데이터로 설정된 경우에는 타이머 동작을 생략하고,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을 계속적으로 탐색하여 기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랜을 통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랜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데이터 송신 기능을 수행한 경우 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무선랜 통신이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 시 저장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송신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를 분실하거나 데이터 전송 자체를 망각하는 일을 없앨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랜을 통한 데이터 송신 기능 수행 시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무선랜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인 경우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단위로 무선랜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무선랜 통신이 가능하면 무선랜을 통하여 데이터를 자동 송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데이터 송신 기능 수행 시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무선랜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저장하고,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을 탐색하는 단계와;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이 탐색되면,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랜을 통하여 송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은 무선랜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가 기준 수신 신호 세기 이상인 경우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의 탐색은 기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통신 가능 지역의 탐색은 계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050012466A 2005-02-15 2005-02-15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072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466A KR101072131B1 (ko) 2005-02-15 2005-02-15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466A KR101072131B1 (ko) 2005-02-15 2005-02-15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538A true KR20060091538A (ko) 2006-08-21
KR101072131B1 KR101072131B1 (ko) 2011-10-10

Family

ID=3759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466A KR101072131B1 (ko) 2005-02-15 2005-02-15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1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2131B1 (ko)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81734A1 (en) Automatic connection of a mobile device to a wireless network
KR10196407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4889591B2 (ja) 無線通信端末およびその無線通信方法
EP198005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CN110278550B (zh) 便携式设备、便携式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US20100302002A1 (en) Method for Monitoring Main Machine, Monitoring Apparatus and Main Machine
KR20110125756A (ko)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2364049B1 (en) Reducing WLAN power consumption on a mobile device utilizing a cellular radio interface
CN111447602B (zh) 蓝牙设备及其蓝牙抢占方法和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2218522A (ja) 移動局の情報サービス方法
JP2010074782A (ja) 携帯機器および実行制御方法
US782283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exchanging signals between computer and device and computer and device used in such system
US20050107038A1 (en) Automatic connection of a mobile device to a wireless network
KR20140063334A (ko)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JP5272833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CN105307226B (zh) 信号源的选择方法、装置及系统
WO2003105355A1 (ja) 通信装置
CN108307485B (zh) 无线网络扫描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1072131B1 (ko)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JP3135319U (ja) 接触式ブルートゥース対応装置、その主装置、及びその従属装置。
JP2011254492A (ja) 携帯通信端末の情報反映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携帯通信端末
KR101387679B1 (ko)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보안장치 및 그 방법
CN104219387B (zh) 一种情景模式的自动切换方法
JP2002280955A (ja) 伝送方法及び伝送装置
CN104219386A (zh) 一种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