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639A - 단자대 장치 - Google Patents

단자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639A
KR20060090639A KR1020060067165A KR20060067165A KR20060090639A KR 20060090639 A KR20060090639 A KR 20060090639A KR 1020060067165 A KR1020060067165 A KR 1020060067165A KR 20060067165 A KR20060067165 A KR 20060067165A KR 20060090639 A KR20060090639 A KR 20060090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ata
data
terminal block
abnormal
memory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리 야마시타
히로시 하시모토
마사루 이모토
하지메 이즈타니
후미히코 오쿠무라
토모아키 요시카와
히로후미 이와나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0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1Anti-allergen; Anti-mit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161Easily exchangable rom, eprom cassette, earo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171Portable, detachable programming uni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67Log, history of key, input information before last fault occurr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363Barcod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055Trace, store a working, operation histo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의 구축이나 그 변경 또는 배선 부설이나 그 변경을 행하는 일 없이 제조 라인 등의 고장 분석을 가능하게 한 단자대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PLC(12)와 솔레노이드(31)나 밸브(32)의 외부 출력 기기를 중계하며 또한 외부 출력 기기를 제어하는 근접 센서(SW0 내지 SW2) 등인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PLC(12)가 지령한 제어 신호에 의해 외부 출력 기기를 구동하는 제어부(26)를 갖는 단자대 본체(1)를 구비하고, 제어부(26)가,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메모리 카세트(9)의 기억 매체(10)에 기억시키는 제어 수단(4)을 갖음과 함께, 메모리 카세트(9)를 단자대 본체(1)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하였다.
단자대

Description

단자대 장치{TERMINAL BLOCK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동 단자대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동 단자대 장치의 제어부의 블록도.
도 4는 동 단자대 장치의 메모리 카세트 부착부의 대략 설명도.
도 5는 메모리 카세트의 평면도.
도 6은 메모리 카세트의 배면도.
도 7은 메모리 카세트의 저면도.
도 8은 메모리 카세트의 정면도.
도 9는 제조 라인 감시 시스템의 구성 설명도.
도 10은 메모리 카세트를 툴 케이블을 사용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하는 경우의 설명도.
도 11의 (1)은 입력 데이터가 정상 데이터인 경우에 있어서의 입력 데이터의 타임 차트. (2)는 입력 데이터가 이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입력 데이터의 타임 차트.
도 12는 종래의 기술로서 제시한 리모트 감시 시스템의 구성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자대 장치 2 : 단자대부
3 : 절연 인터페이스 4 : 제어 수단
5 : 기억 수단 6 : 표시기 구동 수단
7 : 표시기 8 : 리셋 스위치
9 : 메모리 카세트 10 : 기억 매체
11 : PLC측 접속 커넥터 12 : PLC(제어 기기)
31 : 밸브(외부 출력 기기) 32 : 솔레노이드(외부 출력 기기)
CN1 : 메모리 카세트 접속용 커넥터 CN2 : 메모리 카세트측 커넥터
CN3 : 단자대측 커넥터 D0, D1, D2 : 입력 데이터
F1 : 정상 데이터 F2 : 이상 데이터
SW0, SW1, SW2 : 근접 스위치(외부 입력 기기)
기술분야
본 발명은, PLC와 같은 제어 기기와 솔레노이드와 같은 외부 출력 기기를 중계하며 또한 외부 출력 기기를 감시하는 근접 스위치와 같은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이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 기기의 지령에 의해 외부 출력 기기를 제어하는 단자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제조 라인 등에서 이상 정지한 경우에, 다운 타임(제조 라인 등이 정지하고 있는 시간)을 가능한한 단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라인 등의 이상 정지가 발생한 때의 움직임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① 현장의 보전 담당자가 이상 개소를 조사하고, 이상 개소라고 생각되는 곳을 찾아낸다.
② 이상 개소라고 생각되는 곳의 기기를 교환 또는 수리한다.
③ 이상 개소라고 생각되는 곳의 기기의 교환 또는 수리 종료 후, 제조 라인 등이 정상적으로 움직이면 완료한다.
또한, 종래 장치로서, 도 12에 도시한 리모트 감시 시스템(43)이 있다. 이 리모트 감시 시스템(43)은, 데이터 수집 유닛(40)에 의해, 설비 기기(41)로부터 출력되는 상태 검지 신호를 받아들이게 하면서, 감시 유닛(42)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때, 받아들인 상태 검지 신호를 감시 유닛(42)에 공급시켜서, 설비 기기(41)의 감시를 행하게 하고, 또한 감시 유닛(42)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때, 받아들인 상태 검지 신호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시키고, 감시 유닛(42)이 정상으로 된 시점에서, 일시적으로 기억시키고 있는 상태 검지 신호 등을 감시 유닛(42)에 공급시켜서, 설비 기기(41)의 감시를 재개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11에서, 44는 데이터 처리 장치, 45는 CRT 감시 장치, 46은 메시지 프린터 장치, 47은 게이트웨이 장치, 48은 I/O 컨트롤러, 49는 메모리이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2002-73432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상 개소라고 생각되는 곳의 기기의 교환 또는 수리 종료 후, 제조 라인 등이 정상적으로 움직이면 완료하는 것으로 한 경우, 예를 들면 이상의 진짜 원인이 아닌 기기를 교환 또는 수리하고, 우연히 제조 라인 등이 정상적으로 재가동하면, 그것으로 좋다고 하여 끝내기 쉽게 되고, 진짜 원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수가 없기 때문에, 수개월 후에 다시 이상 정지가 발생한다라는 악순환으로 되는 일이 있다.
보전의 관점에서 이상의 조짐을 포착하고 싶지만, 이상 정지의 상태를 재현시키는 것이 곤란한 것이 실정이고, 이상 정지가 되기 직전의 상태, 즉 입출력의 시퀀스 정보(타임 차트)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예방 보전 즉 직전의 상태를 분석하고, 징조를 발견하고, 대책을 강구하는 등의 처치를 할 수가 없다.
입출력의 유닛을 네트워크화하여 데이터의 교환을 하는 방법이 생각되지만,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버리면, 설비(디바이스)를 변경할 때에 네트워크의 구축 변경이나, 배선의 부설 변경이 발생하여 버려서 손실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네트워크의 구축 또는 그 변경이나 배선의 부설 변경을 행하지 않고도, 외부 입력 기기의 입력 데이터로부터 예방 보전을 위한 이상 데이터의 해석을 용이하도 록 하게 하는 단자대 장치를 제공한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는, 제어 기기와 외부 출력 기기를 중계하며 또한 외부 출력 기기를 제어하는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이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 기기가 지령한 제어 신호에 의해 외부 출력 기기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갖는 단자대 본체를 구비하고, 제어부가,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메모리 카세트의 기억 매체에 기억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면서, 메모리 카세트를 단자대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어 기기로서는 PLC가 바람직하고, 외부 출력 기기로서는 밸브, 솔레노이드 등이 있고, 외부 입력 기기로서는 근접 스위치, 광전 스위치, 이상 검출 스위치 등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입력 데이터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메모리 카세트의 기억 매체에 이상 데이터와 정상 데이터가 기억되기 때문에, 이 메모리 카세트를 떼어내어, 예를 들면 컴퓨터 등의 기기로 정상 데이터와 이상 데이터의 타임 차트를 출력할 수 있게 되고, 예방 보전을 위한 이상 데이터의 해석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예방 보전을 위한 이상 데이터의 해석을 행함에 의해, 이상 개소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이상 개소의 특정으로 제조 라인 등을 확실하게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카세트는, 단자대 본체에 마련한 메모리 카세트 접속용 커넥터를 통하여, 단자대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접속 단자대 본체의 메모리 카세트 접속용 커넥터로부터 메모리 카세트를 떼어내고, 메모리 카세트를, 예를 들면 컴퓨터 등의 기기에 접속할 수 있게 되고, 이 메모리 카세트에 기억된 정상 데이터와 이상 데이터의 타임 차트를 출력하고, 예방 보전을 위한 이상 데이터의 해석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입력 데이터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이 이상 데이터를 정상 데이터와 함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입력 데이터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이 이상 데이터를 정상 데이터와 함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카세트의 기억 매체는, 제어부에 구비한 기억 수단이 기억하고 있는 입력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기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메모리 카세트의 기억 매체는, 제어부에 구비한 기억 수단이 기억하고 있는 입력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기억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대 본체로부터 메모리 카세트를 떼어내고, 메모리 카세트를, 예를 들면 컴퓨터 등의 기기에 접속할 수 있게 되고, 이 메모리 카세트에 기억된 정상 데이터와 이상 데이터의 타임 차트를 출력하고, 예방 보전을 위한 이상 데이터의 해석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에 있어서, 제어 수단이, 입력 데이터에 이상 데이터가 검출된 경우, 이 이상 데이터를 이상 트리거로 하여, 이 이상 트리거 발생 전의 입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정 주기의 입력 데이터를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메모리 카세트의 기억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정 주기의 입력 데이터를 메모리 카세트의 기억 매체에 기억시켜 둘 수 있다.
이 결과, 소정 주기 내의 입력 데이터에 이상 트리거가 걸린 때에, 이상 트리거 발생 전의 주기에서의 입력 데이터를 포함하고, 소정 주기 내의 입력 데이터를 메모리 카세트의 기억 매체에 축적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메모리 카세트 메모리를 컴퓨터 등의 기기로 정상 데이터와 이상 데이터의 타임 차트를 출력할 수 있게 되고, 예방 보전을 위한 이상 데이터의 해석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에 있어서, 이상 트리거 발생 전후의 일정 기간의 이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는, 이상 데이터의 1주기와, 이상 데이터 전의 정상 데이터 1주기의 합계 2주기분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어 수단은, 입력 데이터를 소정 주기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고, 이상 데이터를 검출한 경우, 이 이상 데이터를 이상 트리거로 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한 입력 데이터중의 이상 트리거 발생 전후의 일정 기간의 입력 데이터, 즉, 이상 데이터의 1주기와, 이상 데이터 전에 기억한 정상 데이터 1주기의 합계 2주기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메모리 카세트의 기억 매체에 기억시키고, 기억 수단은,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입력 데이터를 기억하고, 이 기억한 이상 데이터의 1주기와, 이상 데이터 전에 기억한 정상 데이터 1주기의 합계 2주기의 데이터를 메모리 카세트의 기억 매체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에 있어서, 기억 수단은,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입력 데이터를 2주기를 단위로 하여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억 수단은,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입력 데이터를 2주기를 한 단위로 하여 기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위 PLC인 제어 기기와, 근접 스위치 또는 이상 정지 스위치 등의 스위치류인 외부 입력 기기를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상위 PLC측의 관리 센터에서, 근접 스위치, 이상 정지 스위치 등이 제조 라인의 이상을 검출하고, 적절히 정확한 처치를 적시에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가, 입력 데이터의 온 회수나 온 적산회수 시간 등의 보전 정보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입력 데이터의 온 회수나 온 적산회수 시간 등의 보전 정보를 감시할 수 있고, 제조 라인의 이상 발생을 감시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동 단자대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동 단자대 장치의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1)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대 본체(20)를 갖고 있고, 이 단자대 본체(20)의 상면부에는, 단자대부(2)와, 단자대측 커넥터(CN3)와, 메모리 카세트 접속용 커넥터(CN1)가 마련되어 있다. 단자대부(2)는, 칸막이부(21)에 의해 구획된 다수의 단자 장착부(22)가, 단자대부(2)의 긴변 방향으로 다수 형성하여 있고, 이들의 단자 장착부(22)에 플러스용 접속 단자(23)와, 신호용 접속 단자(24)와, 마이너스용 접속 단자(25)가 일렬로 나열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단자대 본체(2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기(7) 및 리셋 스위치(8)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카세트 접속용 커넥터(CN1)에는 메모리 카세트(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단자대 장치(1)는, 그 내부에 제어부(26)를 갖고 있다. 이 제어부(2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인터페이스(3), 제어 수단(4), 기억 수단(5), 표시기 구동 수단(6)을 구비하고 있다.
절연 인터페이스(3)는,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등의 전원 차단 기능, 후술하는 입력 데이터(D0, D1, D2)를 내부 버스(BU)에 태우는 인터페이스 기능으로 구성하여 있고, 받아들인 입력 데이터(D0, D1, D2)에 전기적으로 절연을 시행하고, 이들의 입력 데이터(D0, D1, D2)를 내부 버스(BU)를 통하여 제어 수단(4)에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 수단(4)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기본으로 각종 처리 기능, 비교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내부 버스(BU)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데이터(D0, D1, D2)를 소정 주기로, 예를 들면 2주기를 한 단위로 하여 기억 수단(5)에 기억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어 수단(4)은, 이상 데이터를 검출한 경우, 기억 수단(5)에 기억한 이상 데이터의 1주기와, 이상 데이터 전에 기억한 정상 데이터 1주기의 합계 2주기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메모리 카세트(9)의 기억 매체(10)에 기억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어 수단(4)은, 이상 데이터를 검출하면, 기동 신호(SK)를 표시기 구동 수단(6)에 공급하여, 표시기 구동 수단(6)의 기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어 수단(4)은, 내부 버스(BU)로부터 제공되는 2주기분의 입력 데이터(D0, D1, D2)와, 미리 기억 수단(5)에 설정한 소정 패턴의 2주기분의 기본 데이터인 입력 데이터(D0, D1, D2)를 비교하고,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입력 데이터가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양자가 불일치인 경우에는 입력 데이터가 이상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기억 수단(5)은, EEPR0M, RAM 등의 재기록 가능한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고, 제어 수단(4)의 제어에 의해, 내부 버스(BU)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데이터(D0, D1, D2)를 소정 주기로, 예를 들면 2주기를 한 단위로 하여 기억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기억 수단(5)은, 제어 수단(4)이 이상 데이터를 검출한 경우, 제어 수단(4)의 제어에 의해, 기억한 이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 1주기와 정상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입력 데이터 1주기의 2주기분을 메모리 카세트(9)의 기억 매체(10)에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표시기 구동 수단(6)은, 표시기 구동 기능이나 음성 구동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제어 수단(4)으로부터 공급되는 기동 신호(SK)에 의거하여 표시기 구동 신호(SD) 또는 음성 구동 신호(SD)를 표시기(7)에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표시기(7)는, LED(발광 다이오드)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시기 구동 수단(6)으로부터 제공되는 표시기 구동 신호(SD) 또는 음성 구동 신호(SD)에 의거하여 이상 데이터를 표시나 음성으로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리셋 스위치(8)는, 누름버튼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상 데이터의 표시나 음성을 정지하는 경우에 조작하고, 리셋 정보(JR)를 제어 수단(4)에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다.
메모리 카세트(9)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 본체(27)를 구비하고 있고, 이 카세트 본체(27)는, 메모리 카세트측 커넥터(CN2)와, 이 메모리 카세트측 커넥터(CN2)에 회로 접속된 EEPR0M과 같은 기억 매체(10)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 매체(10)는 입력 데이터(D0, D1, D2)의 이상 데이터의 1주기와, 이상 데 이터 전에 기억한 정상 데이터 1주기의 합계 2주기의 데이터를 격납하는 것이다.
메모리 카세트(9)는, 그 메모리 카세트측 커넥터(CN2)를 메모리 카세트 접속용 커넥터(CN1)로부터 떼어서 휴대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 10에 도시한 툴 케이블(28)을 사용하여 퍼스널 컴퓨터(29) 등에 접속하고, 이상 데이터와 정상 데이터의 타임 차트를 퍼스널 컴퓨터(29)의 화면상에 표시하고, 이상 데이터의 해석을 실행하는데 제공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단자대 장치(1)(1-1, 1-2, 1-3)는, 제어 기기를 구성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12)와, 외부 입력 기기를 구성하는 광전 스위치(30), 근접 스위치(SW0, SW1, SW2), 외부 출력 기기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31), 밸브(32)와 함께, 제조 라인 감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즉, PLC(12)와 단자대 장치(1)(1-1, 1-2, 1-3)는, PLC측 접속 커넥터(11)와 단자대측 커넥터(CN3)를 케이블(33)로 접속함으로써 서로 접속하여 있다.
그리고, 단자대 장치(1)(1-1)에서의 광전 스위치(30)의 접속은, 광전 스위치(30)의 접속 케이블(34)의 단말을 단자대부(2)의 플러스측 접속 단자(23), 신호측 접속 단자(24), 마이너스측 접속 단자(25)에 접속하여 행하여지고 있다.
또한, 단자대 장치(1)(1-2)에서의 근접 스위치(SW0, SW1, SW2)의 접속은, 근접 스위치(SW0, SW1, SW2)의 접속 케이블(35)의 단말을 단자대부(2)의 플러스측 접속 단자(23), 신호측 접속 단자(24), 마이너스측 접속 단자(25)에 접속하여 행하여지고 있다.
또한 단자대 장치(1)(1-3)에서의 솔레노이드(31)와 밸브(32)와의 접속은, 솔레노이드(31)와 밸브(32)의 구동용 케이블(36, 37)의 단말을 단자대부(2)의 플러스측 접속 단자(23), 신호측 접속 단자(24), 마이너스측 접속 단자(25)에 접속하여 행하여지고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단자대 장치(1)를, 제조 라인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근접 스위치(SW0, SW1, SW2)의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단자대 장치(1)는, PLC측 접속 커넥터(11)로부터, 외부 출력 기기로서의 솔레노이드(32)를 감시하는 근접 스위치(SW0, SW1, SW2)로부터의 입력 데이터(입력0, 입력1, 입력2)(입력 데이터(D0, D1, D2))를 받아들이고, 절연 인터페이스(3)가, 받아들인 입력 데이터(D0, D1, D2)에 전기적으로 절연을 시행하고, 이들의 입력 데이터(D0, D1, D2)를 내부 버스(BU)를 통하여 제어 수단(4)에 제공한다.
제어 수단(4)은, 내부 버스(BU)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데이터(D0, D1, D2)를 소정 주기로, 예를 들면 2주기를 한 단위로 하여 기억 수단(5)에 기억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기억 수단(5)은, 제어 수단(4)의 제어에 의해 내부 버스(BU)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데이터(D0, D1, D2)를 소정 주기로, 예를 들면 2주기를 한 단위로 하여 기억한다.
여기서, 입력 데이터(D0, D1, D2)가 정상 데이터(F1)인 경우, 이들의 입력 데이터(D0, D1, D2)는, 도 11의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펄스 파형을 각 주기 반복하고 있다. 또한, 입력 데이터(D0, D1, D2)중의 입력 데이터(D1)가 이상 데이터(F2)인 경우, 이 입력 데이터(D1)는, 도 11의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펄스 파형이 이상 트리거(T)의 발생 시점부터 펄스 폭이 변화한 상태로 된다.
또한, 제어 수단(4)은, 이상 데이터(F2)를 검출한 경우, 이상 데이터(F2)를 이상 트리거(T)로 하여, 기억 수단(5)에 기억한 이상 트리거(T)의 발생 전의 입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정 주기의 입력 데이터, 즉, 이상 데이터(F2)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의 1주기와, 이상 데이터(F2)가 속하는 입력 데이터의 1주기 전에 기억한 정상 데이터(F1)의 1주기의 합계 2주기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메모리 카세트(9)의 기억 매체(10)에 기억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제어 수단(4)은, 이상 데이터(F2)를 검출하면, 기동 신호(SK)를 표시기 구동 수단(6)에 공급하고, 표시기 구동 수단(6)의 기동을 제어한다.
또한, 기억 수단(5)은, 제어 수단(4)이 이상 데이터(F2)를 검출한 경우, 제어 수단(4)의 제어에 의해, 기억한 이상 데이터(F2)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 1주기와 정상적인 입력 데이터(F1)의 1주기의 2주기분을 메모리 카세트(9)의 기억 매체(10)로 전송한다.
표시기 구동 수단(6)은, 제어 수단(4)으로부터 공급되는 기동 신호(SK)에 의거하여 표시기 구동 신호(SD) 또는 음성 구동 신호(SD)를 표시기(7)에 제공한다.
표시기(7)는, 표시기 구동 수단(6)으로부터 제공되는 표시기 구동 신호(SD) 또는 음성 구동 신호(SD)에 의거하여 이상 데이터(F2)를 표시나 음성으로 통지한다. 이 통지를 기초로 제조 라인을 정지한다.
메모리 카세트(9)는, 그 기억 매체(10)에 이상 데이터(F2)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 1주기와 정상 데이터(F1)인 입력 데이터의 1주기의 2주기분을 기억하고 있고, 이 메모리 카세트(9)를, 그 메모리 카세트측 커넥터(CN2)를 메모리 카세트 접속용 커넥터(CN1)로부터 떼어서 단자대 장치(1)로부터 분리하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툴 케이블(28)을 사용하여 퍼스널 컴퓨터(29)에 접속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29)를 구동함에 의해, 메모리 카세트(9)의 기억 매체(10)가 기억하고 있는 이상 데이터(F2)와 정상 데이터(F1)의 타임 차트를 퍼스널 컴퓨터(29)의 화면상에 표시하고, 이 이상 데이터(F2)의 해석을 실행한다.
그리고, 제조 라인의 이상 개소를 특정하여 복원하고, 이 제조 라인을 재가동시킨다.
또한, 제어부(26)가, 입력 데이터(D0, D1, D2)의 온 회수나 온 적산회수 시간 등의 보전 정보를 감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입력 데이터(D0, D1, D2)의 온 회수나 온 적산회수 시간 등의 보전 정보를 감시할 수 있고, 제조 라인의 이상 발생을 감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단자대 장치(1)는, 외부 출력 기기로서의 솔레노이드(32)를 감시하는 근접 스위치(SW0, SW1, SW2)로부터의 입력 데이터(입력0, 입력1, 입력2)(입력 데이터(D0, D1, D2))를 받아들이고, 입력 데이터(D0, D1, D2)를 기억 감시하고, 입력 데이터(D0, D1, D2)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메모리 카세트(9)의 기억 매체(10)에 이상 데이터(F2)와 정상 데이터(F1)를 기억시키도록 기능한다.
그리고, 메모리 카세트(9)를 떼어내서 퍼스널 컴퓨터(29)에 접속하고, 메모 리 카세트(9)의 기억 매체(10)가 기억하고 있는 이상 데이터(F2)와 정상 데이터(F1)의 타임 차트를 퍼스널 컴퓨터(29)의 화면상에 출력함에 의해, 예방 보전을 위한 이상 데이터(F2)의 해석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제조 라인의 이상 개소를 특정하고, 이 제조 라인을 확실하게 복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어 수단(4)은, 입력 데이터(D0, D1, D2)를 소정 주기로 기억 수단(5)에 기억시키고, 이상 데이터(F2)를 검출한 경우, 이 이상 데이터(F2)를 이상 트리거(T)로 하여, 기억 수단(5)에 기억한 입력 데이터(D0, D1, D2)중의 이상 트리거(T) 발생 전후의 일정 기간의 입력 데이터, 즉, 이상 데이터(F2)의 1주기와, 이상 데이터(F2) 전에 기억한 정상 데이터(F1)의 1주기의 합계 2주기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메모리 카세트(9)의 기억 매체(10)에 기억시키고, 기억 수단(5)은, 제어 수단(4)의 제어에 의해 입력 데이터(D0, D1, D2)를 기억하고, 이 기억한 이상 데이터(F2)의 1주기와, 이상 데이터(F2) 전에 기억한 정상 데이터(F1)의 1주기의 합계 2주기의 데이터를 메모리 카세트(9)의 기억 매체(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수단(4)은, 2주기분의 입력 데이터(D0, D1, D2)와, 미리 기억 수단(5)에 설정한 소정 패턴의 2주기분의 기본 데이터인 입력 데이터(D0, D1, D2)를 비교하고,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입력 데이터(D0, D1, D2)가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양자가 불일치인 경우에는 입력 데이터(D0, D1, D2)가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입력 기기로서 근접 스위치(SW0, SW1, SW2) 의 3대로 설명하였지만, 근접 스위치의 대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또한, 광전 스위치(30)에서도, 근접 스위치(SW0, SW1, SW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작동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입력 기기는, 근접 스위치(SW0, SW1, SW2), 광전 스위치(30)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상 정지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장치에 의하면, 입력 데이터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메모리 카세트의 기억 매체에 이상 데이터와 정상 데이터가 기억되기 때문에, 이 메모리 카세트를 떼어내고, 예를 들면 컴퓨터 등의 기기로 정상 데이터와 이상 데이터의 타임 차트를 출력할 수 있게 되고, 예방 보전을 위한 이상 데이터의 해석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방 보전을 위한 이상 데이터의 해석을 행함에 의해, 이상 개소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이상 개소의 특정으로 제조 라인 등을 확실하게 복원할 수 있다

Claims (9)

  1. 제어 기기가 접속되는 커넥터와 외부 입출력 기기가 접속되는 단자대부를 상면부에 구비하며,
    상기 외부 출력 기기를 제어하는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상기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어 기기가 지령한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외부 출력 기기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갖는 단자대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메모리 카세트의 기억 매체에 기억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메모리 카세트를 상기 단자대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세트는, 상기 단자대 본체에 마련한 메모리 카세트 접속용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단자대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 데이터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상기 이상 데이터를 정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기억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세트의 기억 매체는, 상기 제어부에 구비한 기억 수단이 기억하고 있는 상기 입력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기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기 이상 데이터가 검출된 경우, 상기 이상 데이터를 이상 트리거로 하여 상기 이상 트리거 발생 전의 입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정 주기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메모리 카세트의 상기 기억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주기의 입력 데이터는, 상기 이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1주기의 입력 데이터와, 상기 이상 데이터의 발생 전 1주기의 입력 데이터로 구성되는 입력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입력 데이터를 2주기 를 단위로 하여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위 PLC인 상기 제어 기기와, 근접 스위치 또는 이상 정지 스위치 등의 스위치류인 상기 외부 입력 기기를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데이터의 온 회수나 온 적산회로 시간 등의 보전정보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장치.
KR1020060067165A 2003-03-14 2006-07-19 단자대 장치 KR200600906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69469 2003-03-14
JP2003069469A JP2004280345A (ja) 2003-03-14 2003-03-14 端子台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362A Division KR100656663B1 (ko) 2003-03-14 2004-03-11 단자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639A true KR20060090639A (ko) 2006-08-14

Family

ID=328666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362A KR100656663B1 (ko) 2003-03-14 2004-03-11 단자대 장치
KR1020060067165A KR20060090639A (ko) 2003-03-14 2006-07-19 단자대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362A KR100656663B1 (ko) 2003-03-14 2004-03-11 단자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99730B2 (ko)
EP (1) EP1467270A3 (ko)
JP (1) JP2004280345A (ko)
KR (2) KR100656663B1 (ko)
CN (1) CN128074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5949B2 (ja) * 2006-07-28 2011-08-24 株式会社ミツバ 制御機器のインターフェイスユニット及び制御機器のインターフェイスシステム
CN101802561B (zh) * 2007-09-11 2012-03-21 日本电气株式会社 数据记录器、数据保存方法和程序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5506A (ja) * 1982-09-24 1984-03-30 Sharp Corp シ−ケンスコントロ−ラ
JPS6091753A (ja) 1983-10-26 1985-05-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異常動作監視装置
US4878176A (en) * 1984-05-04 1989-10-31 Asics Corporation Production process control system
IT1266491B1 (it) * 1993-09-13 1996-12-30 Fase Spa Dispositivo perfezionato per il controllo di saldatura.
US5461570A (en) * 1994-06-10 1995-10-24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Computer system for quality control correlations
KR0156302B1 (ko) 1995-12-21 1998-12-15 김종진 압연기 직류모터 사이리스터 제어시스템의 고장 데이터 추적장치
JP4394780B2 (ja) * 1999-10-08 2010-01-06 クラリオン株式会社 移動体情報記録装置
JP4345948B2 (ja) * 2000-05-19 2009-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二輪車の事故自動通報装置
US6701259B2 (en) * 2000-10-02 2004-03-02 Applied Materials, Inc. Defect source identifier
DE10117459A1 (de) * 2001-04-06 2002-10-24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ewinnung von Diagnoseinformationen
TWI244603B (en) * 2001-07-05 2005-12-01 Dainippon Screen Mfg Substrate processing system for managing device information of substrate processing device
JP4071461B2 (ja) 2001-07-05 2008-04-02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基板処理システム、基板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99730B2 (en) 2006-08-29
CN1280744C (zh) 2006-10-18
EP1467270A2 (en) 2004-10-13
US20040233697A1 (en) 2004-11-25
KR20040081339A (ko) 2004-09-21
EP1467270A3 (en) 2007-09-05
KR100656663B1 (ko) 2006-12-11
CN1530786A (zh) 2004-09-22
JP2004280345A (ja) 200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35888A (ja) 電力供給装置
CN113376500B (zh) 汽车电机控制器的电路板的成套老化测试系统及方法
CN110174886B (zh) 核电站dcs驱动控制回路供电监视报警方法及其系统
KR20060090639A (ko) 단자대 장치
CN112180219B (zh) 一种工业用数字量输出回路的线缆电路及实现方法
CN108958206A (zh) 一种设备运行状态智能检测平台
JP4435017B2 (ja) 安全仕様の制御装置
CN2872760Y (zh) 具有故障检测及报警电路的电视机
JP2007107318A (ja) ゲート制御機側操作盤診断装置
JP2008165453A (ja) プラント故障診断装置、およびプラント試験装置
CN115217966A (zh) 差速锁控制器的异常监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5606652B2 (ja) 制御・監視信号伝送システム
KR100752594B1 (ko) 산업 플랜트현장의 이벤트 순차적 분석시스템
KR100626737B1 (ko) 디젤발전 분산제어시스템용 원격단말장치의 마이크로컨트롤러 이중화 제어장치
CN210073759U (zh) 一种基于冗余逻辑的电子枪保护装置
KR200206551Y1 (ko) 원자로 제어봉구동장치의 실시간 제어 및 감시시스템
CN219916256U (zh) 医疗系统及其安全管理装置
CN218068230U (zh) Crh3型动车组主断路器故障排查装置
JP2001209410A (ja) 故障i/oモジュールの特定方法
CN114137877A (zh) 一种地铁车辆输入输出模块测试方法
JP2001350511A (ja) 製造ラインのリモート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JPH09330118A (ja) 制御機器の予防保全装置
KR100458697B1 (ko) 무정전전원장치의 영상 원격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JPH10279210A (ja) エレベータの故障捕捉装置
JP2021127044A (ja) 遮断機駆動部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