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339A - 주문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주문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339A
KR20060090339A KR1020050011109A KR20050011109A KR20060090339A KR 20060090339 A KR20060090339 A KR 20060090339A KR 1020050011109 A KR1020050011109 A KR 1020050011109A KR 20050011109 A KR20050011109 A KR 20050011109A KR 20060090339 A KR20060090339 A KR 20060090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order
information
terminal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인
이철기
Original Assignee
김포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포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김포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11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0339A/ko
Publication of KR20060090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10D7/04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with Helmholtz resonators, e.g. ocarin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HBENDING WOOD OR SIMILAR MATERIAL; COOPERAGE; MAKING WHEELS FROM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H3/00Manufacture of constructional elements of tubes, coops, or barre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당에서 객석과 카운터 및 주방간의 주문처리를 소정 통신수단을 통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주문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문처리시스템은 객석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 단말장치와, 카운터에 설치되는 제2 단말장치 및, 주방에 설치되는 제3 단말장치로 구성되면서, 제2 단말장치는 소정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3 단말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단말장치는 주문요구 및 주문내용을 포함하는 주문관련 음성정보를 제2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이에 대해 제2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음성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단말장치는 제1 단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주문내용정보를 음성출력함과 더불어 소정 입력수단을 통해 음성출력된 주문내용을 입력하여 그 입력된 주문내용정보를 제3 단말장치로 송출하고, 주문내용에 대응되는 비용연산처리를 수행하여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단말장치는 제2 단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주문내용정보를 소정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문처리시스템{Order processing system}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문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문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제1 단말장치(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제1 무선처리부(12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포맷을 예시한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된 제2 단말장치(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6은 도1에 도시된 제3 단말장치(3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7은 도6에 도시된 제3 입력부(320)와 제3 표시부(330)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200,300 : 단말장치, 110,210 : 음성입출력부,
120,220,310 : 무선처리부, 130, 250,340 : 고유ID정보저장부,
140,230,320 : 입력부, 150,240,330 : 표시부,
160,270,350 : 데이터메모리, 170,290,360 : 제어부,
260 : ID정보저장부, 280 : 연산처리부.
본 발명은 식당에서 객석과 카운터 및 주방간의 주문처리를 소정 통신수단을 통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주문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업소에서는 손님이 들어오면 종업원이 직접 손님에게 주문을 받고, 그 주문내용을 카운터와 주방에 직접 알려주는 것으로 주문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손님이 업소에서 나가고자하는 경우 카운터의 주인은 해당 손님이 주문한 내용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비용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손님이 주문내용을 정하지 않고 들어 온 경우 종업원이 손님에게 가서 주문을 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다. 또한, 일정 규모 이상의 업소에서 소수의 종업원이 주문을 받게 되는 경우 늦게 들어온 손님은 주문내용이 확정되었음에도 종업원이 오기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에, 업소의 각 객석에는 종업원을 호출하기 위한 무선호출수단을 설치하고, 카운터에는 호출요구하는 객석의 무선호출수단, 예컨대 객석 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설치하도록 된 무선호출장치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즉, 종업원이 일일이 손님이 들어오는 것을 확인하지 않고도 표시수단으로 출력되 는 객석 번호를 확인하여 주문내용이 확정된 손님이 있는 객석으로 찾아가 주문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무선호출장치에 있어서도 손님이 주문종류를 확인하거나 또는 주문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종업원은 호출요구하는 손님이 있는 객석으로 직접 가서 주문처리를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즉, 일정 규모 이상의 업소에서는 일정 수 이상의 종업원이 요구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소정 통신수단을 통해 객석에서 발생되는 주문정보를 카운터로 직접 제공하고, 카운터는 그 주문정보를 주방으로 제공하도록 구성하여, 주문처리에 따른 인력을 감소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주문처리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주문처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문처리시스템은 객석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 단말장치와, 카운터에 설치되는 제2 단말장치 및, 주방에 설치되는 제3 단말장치로 구성되면서, 제2 단말장치는 소정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3 단말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단말장치는 주문요구 및 주문내용을 포함하는 주문관련 음성정보를 제2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이에 대해 제2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음성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단말장치는 제1 단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주문내용정보를 음성출력함과 더불어 소정 입력수단을 통해 음성출력된 주 문내용을 입력하여 그 입력된 주문내용정보를 제3 단말장치로 송출하고, 주문내용에 대응되는 비용연산처리를 수행하여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단말장치는 제2 단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주문내용정보를 소정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사용자가 종업원의 도움없이 자신이 위치한 곳에 설치된 제1 단말장치를 통해 주인과 직접 음성으로 주문내용접수처리를 수행하고, 이에 대해 주인은 제2 단말장치를 통해 주방과의 주문내용접수처리를 수행하게 됨으로써 종업원의 업무가 현저히 줄어들게 됨은 물론, 주문접수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주문한 내용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는지를 자신이 위치한 객석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문처리시스템은 객석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제1 단말장치(100: 1001~100N)와, 카운터에 설치되는 제2 단말장치(200) 및, 주방에 설치되는 제3 단말장치(300)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단말장치(200)는 상기 제1 및 제3 단말장치(300)와 소정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단말장치(100)와 제2 단말장치(200), 제2 단말장치(200)와 제3 단말장치(30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결합됨과 더불어 음성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단말장치(200)와 제3 단말장치(3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을 통해 결합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단말장치(100)와 제2 단말장치(200), 제2 단말장치(200)와 제3 단말장치(300)는 상호 주파수변조(FSK)방식를 통해 정보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으로 입력되는 주문관련정보를 제2 단말장치(200)로 무선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단말장치(200)는 제1 단말장치(100)로부터 인가되는 주문관련정보를 음성송출하고, 이에 대해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주문정보를 제3 단말장치(3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 단말장치(300)는 제2 단말장치(200)로부터 인가되는 주문정보를 표시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단말장치(300)는 표시출력되는 주문정보의 접수확인정보를 제2 단말장치(200)로 제공하고, 제2 단말장치(200)는 제3 단말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주문접수확인정보를 근거로 소정 주문접수완료정보를 주문 요청한 해당 제1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제1 단말장치(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제2 단말장치(200)로부터 인가되는 정보를 음성출력하기 위한 제1 음성입출력부(110)와, 제2 단말장치(200)와 소정 정보를 무선송수신하기 위한 제1 무선처리부(120), 본 제1 단말장치(100)에 대한 고유ID정보가 저장되는 제1 고유ID정보저장부(130), 주문요구를 행하기 위한 소정 기능키가 구비된 제1 입력부(140), 제2 단말장치(200)와의 통화상태를 표시하거나 또는 제2 단말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주문처리상태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제1 표시부(150), 이후에 설명할 제1 제어부(170)에서 처리되는 각종 정보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제1 데이터메모리(160) 및, 제1 단말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음성입출력부(1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111)와, 마이크(111)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제어부(170)로 제공하는 A/D변환부(112), 음성 출력을 위한 스피커(113) 및, 상기 제1 제어부(17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13)로 제공하는 D/A변환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무선처리부(120)는 상기 제1 제어부(170)로부터 인가되는 정보를 예컨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비트의 프리엠블정보와, 해당 제1 단말장치의 고유ID정보 및 전송할 정보내용으로 구성되는 데이터포맷으로 변환한 후 예컨대 FSK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부(121)와, 변조부(12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증폭부(122), 제1 증폭부(12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안테나(124)를 통해 무선 송출함과 더불어, 안테나(124)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제2 증폭부(126)로 제공하는 듀플렉서(123), 듀플렉서(123)로부터 인가되는 수신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처리하는 제2 증폭부(126) 및, 제2 증폭부(126)로부터 인가되는 수신신호를 복조처리하여 제1 제어부(170)로 제공하는 복조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3에서 상기 제1 표시부(150)는 제2 단말장치(200)의 통화상태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예컨대 발광표시소자로 구성되거나, 또는 주문접수완료정보를 화면 표시출력하기 위한 LCD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표시부(150)는 선택적으로 설치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발광표시소자만 구성되거나 또는 LCD소자만 구성되거나 또는 발광표시소자와 LCD소자가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70)는 상기 제1 입력부(140)로부터 주문요구버튼이 입력되면, 소정 호출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무선처리부(120)를 통해 제2 단말장치(200)로 송출하도록 함과 더불어, 이에 대해 제2 단말장치(200)로부터 호출응답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제1 음성입출력부(110)를 구동제어하여 마이크(111)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제1 무선처리부(120)를 통해 무선으로 송출하고 제2 무선장치(2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제1 음성입출력부(110)의 스피커(113)를 통해 음성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어부(170)는 제2 단말장치(200)로부터 소정 통화불가능상태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표시부(150)를 통해 통화상태를 발광표시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70)는 제2 단말장치(200)로부터 주문처리상태정보가 수신되면 제1 표시부(150)를 통해 해당 주문처리상태정보를 표시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5는 도1에 도시된 제2 단말장치(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장치(200)는 제2 음성입출력부(210)와, 제2 무선처리부(220),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입력부(230), 주문관련정보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제2 표시부(240), 제2 단말장치(200)에 등록된 고유ID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2 고유ID정보저장부(250), 모든 단말장치(100)와 제3 단말장치(300)에 대한 ID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ID정보저장부(260), 이후에 설명한 제2 제어부(290)에서 처리되는 주문관련정보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제2 데이터메모리(270), 각 객석별 주문내용에 대한 금액과, 그 누계처리 등과 같은 주문관련 금액을 연산처리하기 위한 연산처리부(280) 및, 제2 단말장치(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부(29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음성입출력부(210)는 도3에 도시된 제1 음성입출력부(110)와 그 구성이 동일하고, 제2 무선처리부(220)는 도3에 도시된 제1 무선처리부(120)와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입력부(230)는 제1 단말장치(100)와 제3 단말장치(300)로의 정보전송을 위한 전송키를 포함한 다수의 기능키와 카운터의 주인이 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키와 문자키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2 입력부(230)는 마우스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표시부(24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으로부터 정보를 선택하는 터치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표시부(240)는 소정 정보를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는 예컨대 LCD소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방식으로 정보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데이터메모리(270)는 현재 주문요구된 객석정보와, 각 객석 정보별 주문내용정보, 주문금액정보 등의 주문정보와 현재 통화중인 제1 또는 제3 단말장치의 ID정보 등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90)는 제1 단말장치(100)로부터 인가되는 주문요구메시지 수신을 근거로 해당 제1 단말장치(100)와의 통화로를 설정하여 제1 단말장치(100)와의 음성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제2 입력부(230)로부터 제1 단말장치(100)로 제공되는 주문내용정보에 대응되는 주문종류정보가 입력되면, 그 주문종류정보를 도4에 도시된 데이터포맷으로 변환하여 제3 단말장치(3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제어부(290)는 제3 단말장치(300)로부터 인가되는 주문접수확인정보를 근거로 소정 주문접수완료정보를 해당 제1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6은 도1에 도시된 제3 단말장치(3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단말장치(300)는 제3 무선처리부(310)와, 주문내용에 대한 수신확인기능키로 구성되는 제3 입력부(320), 제2 단말장치(200)로부터 인가되는 주문내용정보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예컨대 LED로 구성되는 제3 표시부(330), 제3 단말장치(300)에 등록된 고유ID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3 고유ID정보저장부(340), 이후에 설명할 제3 제어부(360)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제3 데이터메모리(350) 및, 제3 단말장치(3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3 제어부(36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 무선처리부(310)는 도3에 도시된 제1 무선처리부(120)와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3 입력부(320)는 주문내용확인정보의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로 구성되는 제3 표시부(330) 주변에 설치된다. 이때, 주문내용정보가 제3 표시부(330)로 표시되어 있음을 알리기 위해 제3 표시부(330)의 주변에 발광소자(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구동하거나 또는 스피커(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소정 음을 출력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제어부(360)는 상기 제2 단말장치(200)로부터 인가되는 주문내용정보를 제3 데이터메모리(350)에 저장함과 더불어 제3 표시부(330)로 표시출력하고, 이에 대해 제3 입력부(320)로부터 주문확인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제3 데이터메모리(350)에서 해당 주문요청한 제1 단말장치(100)의 ID정보를 독출하여 주문접수확인정보와 함께 제2 단말장치(200)로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3 제어부(360)는 주문접수확인정보의 송출과 더불어 제3 데이터메모리(350)에서 해당 정보를 클리어시키고, 제2 단말장치(200)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있는 경우 그 정보를 제3 표시부(330)를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주문처리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다수의 제1 단말장치(100)를 객석에 설치하고, 제2 단말장치(200)는 카운터에 설치하며, 제3 단말장치(300)는 주방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단말장치(200)는 본 식당에서 제공되는 각종 주문종류에 대한 정보를 미리 등록하여 둔다.
상기한 상태에서, 손님으로 들어온 사용자가 자신이 자리잡은 객석에 설치된 제1 단말장치(100)의 제1 입력부(140)의 주문요구버튼의 누르게 되면 제1 단말장치(100)는 제1 무선처리부(120)를 통해 소정 주문요구메시지를 카운터의 제2 단말장치(200)로 무선송출하게 된다.
이때, 제2 단말장치(200)가 다른 제1 단말장치(100)나 또는 제3 단말장치(300)와 정보전송을 하고 있는 상태이면, 수신된 주문요구정보를 제2 데이터메모리(270)에 저장하고, 해당 제1 단말장치(100)로 소정 통화불가능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제1 단말장치(100)는 제1 표시부(150)를 통해 제2 단말장치(200)의 통화상태를 발광표시하게 된다. 이후 제2 단말장치(200)는 현재 통화로 설정된 타 제1 단말장치(100)나 제3 단말장치(300)와의 정보전송이 종료되면 제2 데이터메모리(270)에 통화대기중인 제1 또는 제3 단말장치(100,300)가 있는지 확인하여 통화대기중인 ID정보를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정보전송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즉, 제2 단말장치(200)로부터 소정 통화가능정보가 제1 단말장치(100)로 인가되면, 제1 단말장치(100)는 제1 표시부(150)를 통해 통화가능상태를 발광표시함과 더불어 제1 음성입출력부(110)를 동작상태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1 단말장치(100)는 스피커(113)를 통해 통화가능상태를 음성출력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단말장치(200)로부터 인가되는 주인의 음성, "말씀하세요"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1 단말장치(100)의 마이크(111)를 통해 주문관련정보, 예컨대 "된장찌개 2개 주세요"를 음성으로 입력하게 된다. 마이크(111)를 통해 입력된 주문내용정보는 A/D변환부(112)를 통해 디지탈신호로 변환되고 제1 제어부(170)를 통해 변조부(121)로 제공된다. 변조부(121)는 수신된 주문내용정보를 주파 수변환하여 제2 단말장치(200)로 무선 송출한다.
이후, 주인은 제2 단말장치(200)의 제2 음성처리부(210)을 통해 주문내용을 확인하는 음성정보 예컨대, "된장찌개 2개 주문하셨습니다"를 제2 무선처리부(220)를 통해 제1 단말장치(100)로 제공하고, 이에 대해 제1 단말장치(100)로부터 주문확인이 결정되는 음성정보, 예컨대 "네, 맞습니다"가 인가되는 경우 제1 단말장치(100)와의 통화로를 종료하게 된다.
이어, 주인은 제2 단말장치(200)의 제2 입력부(230)를 통해 주문확정된 주문내용정보를 선택 입력하게 되고, 제2 제어부(290)는 제2 입력부(230)로부터 입력된 주문내용정보, 예컨대 "된장찌개 2개"와 제2 데이터메모리(270)에 저장된 해당 제1 단말장치(100)의 ID정보를 제2 무선처리부(220)로 제공하여 도4에 도시된 데이터포맷으로 변환한 후 주방에 설치된 제3 단말장치(300)로 송출하게 된다.
제3 단말장치(300)는 제2 단말장치(200)로부터 인가되는 주문내용정보를 제3 데이터메모리(350)에 저장함과 더불어 제3 표시부(330)를 통해 표시 출력하게 된다. 이때, 먼저 수신된 주문내용정보가 제3 표시부(330)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 현재 수신된 주문내용정보는 제3 데이터메모리(350)에 순차 저장된다. 그리고, 주방장이 제3 표시부(330)에 표시된 주문내용을 확인하고, 주문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제3 입력부(320), 즉 주문확인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3 제어부(360)는 이를 근거로 제3 데이터메모리(350)에 저장된 해당 ID를 독출하여 이 ID정보와 주문확인정보로 구성되는 소정 주문접수완료메시지를 제2 단말장치(200)로 송출하게 된다. 이때, 제3 제어부(360)는 제3 데이터메모리(350)에서 주문 접수완료메시지 송출한 제1 단말장치(100)의 ID정보와 주문내용정보를 클리어시키고 다음으로 수신된 주문내용정보를 제3 표시부(330)를 통해 표시출력하게 된다.
한편, 제2 단말장치(200)는 제3 단말장치(300)로부터 인가되는 주문접수완료메시지를 해당 제1 단말장치(100)로 무선송출하게 된다. 또한, 제2 단말장치(200)는 연산처리부(280)를 통해 주문접수완료된 제1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객석의 주문내용에 대한 금액을 연산하여 제2 데이터메모리(260)에 저장하여 두게 된다.
그리고, 제1 단말장치(100)는 제2 단말장치(200)로부터 인가되는 주문접수완료메시지를 근거로 주문접수완료정보를 제1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출력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앉은 객석에 설치된 제1 단말장치(100)를 통해 음성으로 주문처리를 수행하고, 제1 단말장치(100)를 통해 현재 정상적으로 주문이 접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인은 주문요청한 사용자가 예컨대 음식을 다 먹고 계산을 하고자 하는 경우 제2 단말장치(200)의 제2 입력부(230)를 통해 객석정보를 입력하여 그 금액을 확인하게 된다. 또한 제2 단말장치(200)는 제2 입력부(230)를 통해 인가되는 누계요구정보를 근거로 연산처리부(280)를 통해 일별, 주별, 월별 등 일정 주기 단위로 누계정보를 산출하여 제2 표시부(240)로 표시출력하도록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제1 단말장치(100)가 각 객석에 설치되고 제2 단말장치(200)가 카운터에 설치되며, 제3 단말장치(300)가 주방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단말장치(100)와 제2 단말장치(200)를 통한 음성통신을 통해 사용자와 주인간의 주문내용접수처리를 수행하고, 이에 대해 제2 단말장치 (200)는 주문내용정보를 제3 단말장치(300)로 제공하여 주방으로 주문접수를 수행하며, 제3 단말장치(300)로부터 주문접수확인정보가 제2 단말장치(200)로 인가되는 경우 해당 제1 단말장치(100)로 주문접수완료정보를 제공하여 제1 단말장치(100)로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종업원의 도움없이 자신이 위치한 곳에 설치된 제1 단말장치를 통해 주인과 직접 음성으로 주문내용접수처리를 수행하고, 이에 대해 주인은 제2 단말장치를 통해 주방과의 주문내용접수처리를 수행하게 됨으로써 종업원의 업무가 현저히 줄어들게 됨은 물론, 주문접수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주문한 내용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는지를 자신이 위치한 객석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종업원의 도움없이 자신이 위치한 곳에 설치된 제1 단말장치를 통해 주인과 직접 음성으로 주문내용접수처리를 수행하고, 이에 대해 주인은 제2 단말장치를 통해 주방과의 주문내용접수처리를 수행하게 됨으로써 종업원의 업무가 현저히 줄어들게 됨은 물론, 주문접수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주문한 내용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는지를 자신이 위치한 객석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객석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 단말장치와, 카운터에 설치되는 제2 단말장치 및, 주방에 설치되는 제3 단말장치로 구성되면서, 제2 단말장치는 소정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3 단말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단말장치는 주문요구 및 주문내용을 포함하는 주문관련 음성정보를 제2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이에 대해 제2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음성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단말장치는 제1 단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주문내용정보를 음성출력함과 더불어 소정 입력수단을 통해 음성출력된 주문내용을 입력하여 그 입력된 주문내용정보를 제3 단말장치로 송출하고, 주문내용에 대응되는 비용연산처리를 수행하여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단말장치는 제2 단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주문내용정보를 소정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말장치는 표시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주문내용 확인을 위한 입력수단이 구비되어, 입력수단을 통해 소정 주문내용확인정보가 인가되면 제2 단말장치로 소정 주문접수확인정보를 송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단말장치는 제3 단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주문접수확인정보를 근거 로 소정 주문접수완료정보를 상기 제1 단말장치로 송출하며,
    상기 제1 단말장치는 소정 표시수단을 구비하여 제2 단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주문접수완료정보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처리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 제2 단말장치와 제3 단말장치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처리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고, 제2 단말장치와 제3 단말장치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처리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단말장치는 각각 고유ID정보가 등록저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 단말장치는 제1 및 제3 단말장치의 고유ID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 제2 단말장치와 제3 단말장치간의 정보전송시에는 고유ID정보와 전송내용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포맷으로 변환하여 송수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처리시스템.
KR1020050011109A 2005-02-07 2005-02-07 주문처리시스템 KR20060090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109A KR20060090339A (ko) 2005-02-07 2005-02-07 주문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109A KR20060090339A (ko) 2005-02-07 2005-02-07 주문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339A true KR20060090339A (ko) 2006-08-10

Family

ID=3757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109A KR20060090339A (ko) 2005-02-07 2005-02-07 주문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03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349B1 (ko) * 2016-08-08 2016-10-28 신동건 클립부착 무선 진동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349B1 (ko) * 2016-08-08 2016-10-28 신동건 클립부착 무선 진동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17104A1 (en) Mobile terminal and remote control device therefor
US20100285779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atch service
KR20060090339A (ko) 주문처리시스템
JP5317217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転送方法
US2022029293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f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WO2016153348A1 (en) Alert system, delivery system and method and door bell system
KR20140038479A (ko) 정보 분배 시스템 및 이의 방법
JP2003303378A (ja) 注文管理システム
JP2010061582A (ja) タクシー呼出し装置、基地局装置、タクシー呼出しシステム、タクシー呼出し方法、及びタクシー配車方法
KR100341566B1 (ko) 상품 주문 시스템
KR20070033663A (ko) 휴대단말기에서 호 수신 방법
KR1005939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그룹 스케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방법
JP5759517B2 (ja) 特定エリアでサービスメッセージや現在地情報をユーザの携帯デバイスに通知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そのための方法
JP6318989B2 (ja) カラオケ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カラオケサービス装置
JP4468764B2 (ja) 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およびスケジュール情報管理装置及び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
KR10068951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정보제공 장치 및 방법
JPH0646113A (ja) 無線電話装置
JP2003271857A (ja) 注文管理装置
JP6924049B2 (ja) 注文システム、注文入力装置、注文管理装置、および注文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1155262A (ja) ワイヤレス受信器
NL2015224B1 (en) Alert system, delivery system and method and door bell system.
KR1007133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케줄 관리 방법
JP2017016197A (ja) 管理プログラム、管理方法および管理システム
JP3356404B2 (ja) 画像通信装置
JP5862316B2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