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374A - 이동단말기의 다자 통화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다자 통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374A
KR20060088374A KR1020050009248A KR20050009248A KR20060088374A KR 20060088374 A KR20060088374 A KR 20060088374A KR 1020050009248 A KR1020050009248 A KR 1020050009248A KR 20050009248 A KR20050009248 A KR 20050009248A KR 20060088374 A KR20060088374 A KR 20060088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microphone
signal
voic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9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8374A/ko
Priority to CNA2005101055905A priority patent/CN1816069A/zh
Publication of KR20060088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a plurality of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end-to-end dat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04M3/561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by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다자 통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단말기에 유,무선 방식으로 헤드셋(head set) 및/또는 이어-마이크(ear-mic)를 결합하고 이들 결합을 이용하여 다자간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내장 마이크(111)와, 내장 스피커(112)와,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전송신호를 변조하는 MSM(Mobile Station Modem chip)(120)과, 이 MSM(120)에서 복조된 신호를 분배하는 신호 분배부(130)와, 블루투스 헤드셋(230)과의 음성 송수신을 위한 블루투스 송수신부(150)와, 이어-마이크(220)의 연결을 제공하고 그 이어-마이크(220)와의 음성 송수신을 위한 이어잭 단자(160)와,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할 상기 내장 마이크(111)에 입력된 음성신호, 블루투스 송수신부(150)에 수신된 음성신호 및 상기 이어잭 단자(160)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MSM(120)에 전달하는 신호 합성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다자 통화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CONFERENCE CALL IN MOBILE TERMINAL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다자 통화를 위한 기기 결합을 보인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 통화 장치의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휴대폰 111,221,231 : 마이크
112,222,232 : 스피커 120 : MSM
130 : 신호 분배부 140 : 신호 합성부
150 : 블루투스 송수신부 160 : 이어잭 단자
220 : 이어-마이크 230 : 블루투스 헤더셋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자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기(이하 "휴대폰"이라 약칭함)은 무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된 것으로서, 현재 세계적으로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휴대폰은 통화 기능(다자간 통화 기능 포함) 이외에도 컴퓨터에서 수행 할 수 있었던 다양한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는데, 최근에는 디지털 음악(MP3) 감상,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웹사이트 검색도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다자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데, 각각의 통화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통화하는 방식임으로 다자간 통화가 번거롭고 또한, 통화 발신자에게 수신자 수만큼의 통화료가 부과되어 비용 부담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동단말기에 유,무선 방식으로 헤드셋(head set) 및/또는 이어-마이크(ear-mic)를 결합하고 이들 결합을 이용하여 다자간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창안한 이동단말기의 다자 통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와, 통화 상대자의 음성 출력을 위한 스피커와, 유선 이어-마이크(또는 헤드셋) 결합을 위한 이어잭 단자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외부의 무선 이어-마이크(또는 헤드셋)과 무선방식으로 음성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모듈과, 통화 상대자의 음성을 상기 내장 스피커, 유선 및 무선 이어-마이크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신호 분배 모듈과, 상기 내장 마이크, 유선 및 무선의 이어-마이크로 입력된 다수의 음성을 합성하는 신호 합성 모듈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모듈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1대의 이동단말기에 이어-마이크 또는/ 및 블루투스 헤드셋을 유,무선 방식으로 결합하여 그 이어-마이크 또는/및 블루투스 헤드셋을 통해 다자간 통화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 이어-마이크,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하여 원격의 상대방과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동단말기는 "휴대폰"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다자 통화를 위한 기기 결합을 보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방식의 공중 통신망을 통해 임의의 상대방 전화기(210)와 통화를 연결하고 내장된 마이크(111)와 스피커(112)를 통해 통화상대방과의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폰(100)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휴대폰(100)에 연결되어 상기 통화상대방과의 통화를 수행하는 블루투스 헤드셋(230)과, 상기 휴대폰(100)에 이어잭으로 연결되어 상기 통화상대방과의 통화를 수행하는 이어-마이크(22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전화기(210)는 도1에 유선 전화기로 도시되어 있으나, 휴대폰인 경우에도 무방하다.
상기 휴대폰(100)은 도2의 블록 구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장 마이크(111)와, 내장 스피커(112)와,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전송신호를 변조하는 MSM(Mobile Station Modem chip)(120)과, 이 MSM(120)에서 복조된 신호를 분배하는 신호 분배부(130)와, 블루투스 헤드셋(230)과의 음성 송수신을 위한 블루투스 송수신부(150)와, 이어-마이크(220)의 연결을 제공하고 그 이어-마이크(220)와의 음성 송수신을 위한 이어잭 단자(160)와,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할 상기 내장 마이크(111)에 입력된 음성신호, 블루투스 송수신부(150)에 수신된 음성신호 및 상기 이어잭 단자(160)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MSM(120)에 전달하는 신호 합성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30)은 휴대폰(100)에 구비된 블루투스 송수신부(150)과 동일한 모듈을 내장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통화의 경우 사용자는 휴대폰(110)에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 버튼을 눌러 통화를 연결한다.
이때, 휴대폰(100)은 기본적으로 신호 분배부(130)와 신호 합성부(140)가 내장 마이크(111)와 내장 스피커(112)와의 음성 경로를 형성하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내장 마이크(111)로 음성을 입력시킴과 아울러 내장 스피커(112)로 상대방 음성을 들으면서 통화를 진행시키게 된다.
또한, 이어잭 단자(160)에 이어-마이크(220)가 연결된 경우 마이크(221)를 통해 음성 입력, 이어-스피커(222)로 상대방 음성 출력이 되도록 휴대폰(100)의 모드를 전환시키게 된다.
이때, 휴대폰(100)은 신호 분배부(130)와 신호 합성부(140)가 이어잭 단자(160)와의 통화 경로를 형성하도록 설정하게 된다. 이는 휴대폰(100)에 구비된 메뉴를 이용하거나 이어-마이크(220)에 구비된 모드 전환키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어-마이크(220)가 휴대폰(100)에 연결된 경우 사용자는 그 이어-마이크(220)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헤드셋(230)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폰(100)에서 블루투스 통화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휴대폰(100)은 블루투스 송수신부(15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신호 분배부(130)와 신호 합성부(140)가 상기 블루투스 송신부(150)와의 통화 경로를 형성하도록 설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폰을 휴대함이 없이도 원거리에서 블루투스 헤드셋(230)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다자 통화를 설정하는 경우 휴대폰(100)은 신호 분배부(130)가 내장 스피커(112), 이어잭 단자(160) 및 블루투스 송수신부(150)로 수신 음성신호를 분배하도록 설정되고, 신호 합성부(140)가 내장 마이크(111), 이어잭 단자(160) 및 블루투스 송수신부(150)에서의 음성을 합성하도록 설정된다.
이는 휴대폰(100)의 메뉴에서 다자 통화 모드가 선택된 경우이다.
이에 따라, 휴대폰(100)과 전화기(210)간에 통화가 설정되면 상대방 음성을 MSM(120)에서 복조된 후 신호 분배부(130)를 거쳐 내장 스피커(112), 이어폰 단자(160) 및 블루투스 송수신부(150)에 동시에 전달된다.
이때, 이어잭 단자(160)에 전달된 상대방 음성은 이어-마이크(220)에 전달되어 이어폰 잭(223)을 통해 이어-스피커(222)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블루투스 송수신부(150)에 전달된 음성을 블루투스 통신포맷으로 변환된 후 블루투스 헤드셋(230)에 전달되어 스피커(232)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내장 마이크(111), 이어-마이크(220)의 마이크(221) 및 블루투스 헤드셋(230)의 마이크(231)에 입력된 음성은 직접, 이어잭 단자(160) 또는 블루투스 송수신부(150)를 통해 신호 합성부(14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신호 합성부(140)가 3개의 음성신호를 합성하면 MSM(120)이 변조한 후 전화기(210)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과정과 같이 다자간의 음성을 분배함과 아울러 합성하여 전송함으로써 다자간 통화를 달성하게 된다.
상기 다자간 통화는 통화 초기 또는 통화 도중이라도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1대의 휴대폰(100), 블루투스 헤드셋(230) 및 이어-마이크(220)을 이용하여 동일 공간에 있는 다수 사람과 임의의 공간에 있는 적어도 한명 이상의 상대방간에 다자 통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와 블루투스 헤드셋 및/또는 이어-마이크 사이에 통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업자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도 다자 통화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무선방식으로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이어-마이크(또는 헤드셋)과,
    유선방식으로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한 유선 이어-마이크(또는 헤드셋)과,
    임의의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내장 마이크 및 내장 스피커, 무선 이어-마이크 및/또는 유선 이어-마이크와의 음성 송수신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이동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다자 통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단말기는
    외부의 무선 이어-마이크(또는 헤드셋)와 무선방식으로 음성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모듈과,
    통화 상대자의 음성을 상기 내장 스피커, 유선 및 무선 이어-마이크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신호 분배 모듈과,
    상기 내장 마이크, 유선 및 무선의 이어-마이크로 입력된 다수의 음성을 합성하는 신호 합성 모듈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다자 통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무선모듈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다자 통화 장치.
KR1020050009248A 2005-02-01 2005-02-01 이동단말기의 다자 통화 장치 KR20060088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248A KR20060088374A (ko) 2005-02-01 2005-02-01 이동단말기의 다자 통화 장치
CNA2005101055905A CN1816069A (zh) 2005-02-01 2005-09-27 移动通信终端的多方通话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248A KR20060088374A (ko) 2005-02-01 2005-02-01 이동단말기의 다자 통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374A true KR20060088374A (ko) 2006-08-04

Family

ID=3690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248A KR20060088374A (ko) 2005-02-01 2005-02-01 이동단말기의 다자 통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88374A (ko)
CN (1) CN18160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4093B2 (en) 2007-05-04 2019-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KR20210074795A (ko) * 2019-12-12 2021-06-22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음성 단말 연동형 디지털 원격 서비스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6897A1 (en) * 2007-07-09 2009-01-15 Gn Netcom A/S Headset system comprising a noise dosimete
CN102075218A (zh) * 2010-12-29 2011-05-25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近距离手机多方通话的方法
CN109144362A (zh) * 2013-10-17 2019-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内容共享方法和终端设备
CN105872942A (zh) * 2015-01-22 2016-08-1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蓝牙的多方通话方法及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4093B2 (en) 2007-05-04 2019-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US10674002B2 (en) 2007-05-04 2020-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US11233894B2 (en) 2007-05-04 2022-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KR20210074795A (ko) * 2019-12-12 2021-06-22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음성 단말 연동형 디지털 원격 서비스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16069A (zh)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59551B (zh) 用于利用lte进行音频通信的系统与方法
US8121547B2 (en) In-headset conference calling
US7925296B2 (en) Intergrated communication apparatus
JP3475809B2 (ja) 携帯型テレビ無線電話
AU2008250885B2 (en) Intergrated communication device
US20070042762A1 (en) Mobile conferencing and audio sharing technology
EP2755368B1 (en) Teleconferencing system comprising Master Communication Device for mixing audio and connecting to neighbouring devices
EP1990982B1 (en) Integrated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Bluetooth headset
KR20060088374A (ko) 이동단말기의 다자 통화 장치
CN114422984A (zh) 车载通话方法和车载设备
KR20090092946A (ko) Ip셋톱박스와 음성 송수신 리모콘을 이용한 멀티미디어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제공방법
US6937852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04410932A (zh) 一种基于VoWLAN的无线对讲系统及对讲机
JPH1032893A (ja) 通訳システム並びに通訳システムに利用することができる携帯電話用のフォンマイク
JP4198946B2 (ja) 携帯電話機
RU151378U1 (ru) Гарнитура для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с функцией шифрования связи
KR20070080011A (ko)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스테레오 이어폰의 이어 마이크 폰구현 방법 및 회로
JP2006270352A (ja) 電話会議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並びにそのための近距離無線通信機能付き携帯通信端末装置
JP2002344635A (ja) 音声会議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ワイヤレス伝送方式
KR100820549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화 장치
TWI565295B (zh) 可進行三方通話的行動裝置及其方法
JPH10210162A (ja) 音声会議装置
KR20050063220A (ko) 휴대폰 겸용 dmb 수신기
JP2000004182A (ja) 分離型携帯電話
KR19990068659A (ko) 휴대용전화기의송수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