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753A -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753A
KR20060087753A KR1020050008572A KR20050008572A KR20060087753A KR 20060087753 A KR20060087753 A KR 20060087753A KR 1020050008572 A KR1020050008572 A KR 1020050008572A KR 20050008572 A KR20050008572 A KR 20050008572A KR 20060087753 A KR20060087753 A KR 20060087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wborn
rfid
rfid tag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철
이정태
박찬국
김형진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050008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7753A/ko
Publication of KR20060087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7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 G07G1/009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the reader being an RFID r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은 DB서버와, 전문가시스템,신생아 및 보호자에게 고유 ID가 부여되는 RFID 태그, RFID 리더가 내장된 휴대용기기, RFID 리더, 신생아 관리를 위한 각종 서비스가 프로그램화된 신생아 관리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고, DB서버와 연계되어 RFID 리더로부터 전달된 RFID 태그를 식별하여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신생아 임상기록을 조회하고, 신생아의 위치를 추적하며, 퇴원시 신원확인을 통해 퇴원 확인서를 작성하고, 신생아의 면회시간을 관리하며, 상기 전문가 시스템과 연계되어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원격으로 관리하고, 건강에 이상발생시 원인을 추적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신생아별 건강상태에 따라 수유조건을 변동하도록 지시하는 신생아 관리컴퓨터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모든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RFID 시스템을 신생아 관리시스템에 구현함으로써 신생아실에서 출산 후 퇴원하기까지의 모든 관리 업무를 자동화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RFID, 병원, 태그, 신생아, 산모, 관리시스템, 위치추적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For new born infant general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and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신생아실 종합관리시스템의 안테나를 신생아실에 설치한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신생아실 종합관리시스템의 메인 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능 중 신생아 임상기록 조회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기능 중 신생아 위치추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기능 중 신생아 퇴원확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기능 중 신생아 건강상태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기능 중 신생아의 문제발생시 원인 추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RFID 태그 20;RFID 리더
30; 신생아관리PC 40;신생아관리 휴대용기기
60;DB서버 70;데이터베이스
72;신생아 임상기록정보 74;RFID 기본정보
76;신생아실 History 80;전문가 관리프로그램
90;네트워크망 1;신생아실
2;수유실 3;기타 룸
4;신생아 21,22,23,24,25;RFID 리더
본 발명은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모든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RFID 시스템을 신생아 관리시스템에 적용하여 신생아실에서 출산 후 퇴원하기까지의 모든 관리 업무를 자동화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신생아의 안전을 도모하고, 신생아의 분실 및 뒤바뀜 등의 폐단으로부터 산모에게 신뢰성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된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신생아 관리 시스템은 물리적인 방법으로 산모에 대한 기록 서류를 산부인과 병원에서 자체적으로 작성함과 더불어 신생아에게 부착하는 발찌와 팔찌에 신생아의 산모 이름을 직접 기록하도록 하고, 병원내에 구축된 전산관리시스템에 임상기록을 입력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신생아 관리 시스템은 기록 작성 및 신원확인에 있어 간호사 또는 담당자들의 오류, 분실, 혼란, 망각 등의 이유로 신생아의 임상 기록의 정확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병원내의 혼잡으로 인해 신생아가 뒤바뀌거나 더욱 심하게는 잃어버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산모나 산모 친지가 신생아의 상태를 확인하려면 직접 신생아실에 면회를 요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요즈음에는 신생아실에는 다수의 카메라를 설치하고 산모 병실에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신생아의 영상 뿐만 아니라 신생아 수유법, 목욕법, 산후 관리법 등의 영상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나아가, 친지들이 직접 산부인과 병원을 오지 않고서도 인터넷망을 통한 핸드폰이나 PDA등의 무선휴대폰을 이용하여 신생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 또한 신생아의 상태를 보여주기만 하는 단편적인 구성에 불과할 뿐, 임상 기록의 정확도나 신생아의 안전 도모를 위한 대책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신생아의 특성상 출생 후 초기의 관리가 매우 중요시되는 시점에서, 신생아를 실질적으로 관리하는 간호사에게 신생아에 대한 임상기록정보의 제공이 미비하고, 이로 인해 신생아에게 잘못된 처방을 내릴 가능성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신생아실내 및 신생아가 이동 가능한 경로에 다수의 RFID 리더를 설치하고 RFID 태그가 부착된 팔찌와 발찌를 이용하여 식별함으로써 신생아의 위치와 임상기록을 실시간으로 조회하여 신생아의 안전을 도모함과 아울러 퇴원하는 순간까지 산모와 신생아간의 신원확인을 정확하게 함으로써 신뢰성을 극대화시킨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종합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신생아 임상기록 조회기능과, 신생아 위치추적 기능, 신생아 퇴원 관리기능, 신생아 면회 관리기능, 신생아의 건강상태 관리기능, 신생아의 문제발생 원인 추적기능, 신생아의 건강상태별 수유조건 관리기능 등 출산 후부터 퇴원하기까지 신생아에 대한 종합 관리 및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한 병원내 산부인과의 신생아 관리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RFID 태그에 대한 ID정보와, 상기 RFID 태그가 부여된 신생아의 보호자 및 출생시기를 포함한 기본 임상 정보, 신생아실의 환경조건이나 면회자, 예방접종 등의 치료내역, 수유횟수, 목욕물온도, 우유상태, 기타 바이러스 정보를 포함한 신생아 히스토리(History)로 구축된 DB서버; 신생아별 건강상태에 따라 최적의 수유량과 각종 질병을 예측 및 조회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화된 전문가 시스템; 상기 신생아에게 고유 ID가 부여되는 RFID 태그; 상기 RFID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읽기 위한 RFID 리더; 상기 신생아 관리를 위한 각종 서비스가 프로그램화된 신생아 관리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고, 상기 DB서버와 연계되어 상기 RFID 리더로부터 전달된 RFID 태그를 식별하여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신생아 임상기록을 조회하고, 신생아의 위치를 추적하며, 퇴원시 신원확인을 통해 퇴원 확인서를 작성하고, 신생아의 면회시간을 관리하며, 상기 전문가 시스템과 연계되어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원격으로 관리하고, 건강에 이상발생시 원인을 추적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신생아별 건강상태에 따라 수유조건을 변동하도록 지시하는 신생아 관리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신생아실 종합관리시스템의 RFID 리더를 신생아실에 설치한 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신생아실 종합관리시스템의 메인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은 객체를 식별하기 위해 부여되는 ID중 대표적인 RFID를 신생아의 관리 시스템에 적용하여 구현된 것으로, 산부인과 병원 근무자들의 업무를 자동화하고 환자들에 대한 서비스 수준을 한층 향상시킴과 더불어 신생아의 안전을 도모하고, 신생아의 뒤바뀜 또는 분실 등으로 인한 산모의 불안감을 해소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이라 함은 무선 주파수 즉, RF신호를 이용하여 객체들을 비접촉으로 액세스(읽기)가 가능하도록 구현된 기술로서 인간의 개입없이 원거리 모니터링 및 트랜잭션(transaction) 처리를 지원해 주는 식별기술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RFID 시스템은 모든 객체에 객체 식별을 위한 코드로서 RFID 태그가 부여되고, 이러한 RFID 태그를 RF신호에 의해 읽는 RFID 리더기가 별도로 구비됨과 더불어, RFID 리더기로부터 읽어온 RFID 태그를 판독하여 이미 저장되어 있는 식별코드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RFID 태그를 식별하는 호스트 컴퓨터로 구비되는 것이 통상이다. 또는, 전술한 호스트 컴퓨터 기능까지 통합된 RFID 리더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RFID 시스템을 신생아 관리 업무에 적용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생아에게 식별코드로서의 고유 ID가 각각 부여되는 RFID 태그(10)와, RFID 태그를 스캔하기 위한 RFID 리더(20), 신생아를 대상으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각종 프로세스가 프로그램화된 신생아 관리프로그램이 탑재되어 RFID 리더(20)로부터 읽은 정보를 이용하여 신생아를 관리하기 위한 신생아 관리PC(30), RFID 태그(10)에 내장된 ID를 읽어 판독하는 RFID 리더가 내장된 휴대용기기(30)와, 신생아에 대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 DB서버(60), 최적의 수유량과 각종 질병을 예측 및 조회하여 처리하는 전문가 시스템(80), 및 상기 신생아 관리PC(30)와 DB서버(60), 전문가 시스템(80)을 연결하기 위한 인트라넷인 네트워크(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FID 태그(10)는 내부에 식별코드가 저장된 IC칩과, RFID 태그(10)와 RFID 리더(20)와 통신이 가능한 안테나가 내장되어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RFID 태그(10)는 출산된 신생아 및 산모의 신체에 항상 착용이 가능하도록 팔찌 또는 발찌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FID 리더(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RFID 태그(10)를 읽기 위한 장치로서 신생아실에 다수개 설치되고, RFID 리더(20)는 스캔한 데이터를 신생아 관리용PC(30)로 전달한다. 이러한 RFID 리더(21~2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생아실(1)의 출입 여부를 인지하도록 신생아실 출입구에 위치에 설치되고, 신생아실(1) 내부에 서도 수유실(2)이나 기타 룸(3)에 대한 출입 여부를 인지하도록 각 출입구에 설치되며, 그 외의 다수의 신생아(4)들이 위치된 내부 공간에 RFID 태그(10)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해당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여러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신생아관리PC(30)는 출산 후 퇴원하기 전까지 신생아들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으로,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신생아들의 수유나 목욕, 예방접종, 자리봐주기, 신생아실의 실내온도 확인 등에 관한 신생아 관리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고, RFID리더(20)로부터 전달된 RFID 태그(10)를 식별하여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신생아 임상기록을 조회하고 신생아의 위치를 추적하며, 퇴원시 신원확인을 통해 퇴원 확인서를 작성하고, 신생아의 면회시간을 관리하는 한편, 전문가 시스템(80)의 정보를 토대로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관리하고, 건강에 이상발생시 원인을 추적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지시하며, 신생아별 건강상태에 따라 수유조건을 변동하도록 지시하는 기능을 한다.
휴대용기기(40)는 RFID 태그(10)에 내장된 식별코드를 읽을 수 있는 RFID 리더가 탑재된 PDA 또는 웹 패드(WebPad) 등 휴대가 용이한 컴퓨터이다. 이러한 휴대용기기(40)는 내장된 RFID 리더로 RFID 태그(10)를 읽어 판독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판독된 RFID 태그(10)에 대한 모니터링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RFID 태그(10)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 모두 포함된다.
DB서버(60)는 각종 정보와 파라메터들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DB;70)로 이루어지는데, 각 신생아들에 대한 보호자와 출생일, 수유시간, 목욕시간, 면회시간 등 에 대한 기본 정보가 포함된 신생아 임상 기록 정보(72)와, 각 신생아들에게 부여된 RFID 기본 정보(74), 및 해당 신생아가 위치하고 있는 신생아실의 실내온도 또는 습도와 같은 환경조건, 수유횟수, 목욕물온도, 우유상태, 치료내역(예방접종, 약물투여 등)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신생아실 History(76)로 구축된다.
전문가 시스템(80)은 각 신생아의 건강상태에 따라 최적의 수유량 및 각종 질병을 자동화로 예측하여 산출하는 관리프로그램으로서, 신생아별 건강상태에 따라 최적의 수유량을 측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신생아가 건강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관리하고, 신생아의 건강에 이상이 발생되면 발생 원인을 조회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은 신생아에게 부착된 RFID 태그(10)를 RFID 리더(20)나 RFID 리더가 내장된 휴대용기기(40)를 통해 원격으로 인지함으로써 각 신생아에 대한 임상 정보와 현재 위치 등의 각종 정보를 모니터링 및 직접 조회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망(90)과 연결된 PC(40)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이러한 신생아들의 각종 정보는 네트워크망(90)과 연계된 신생아 관리PC(30)와 DB서버(60) 및 전문가 시스템(8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므로써 퇴원하기까지의 산모와 신생아에 대한 신원확인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생아의 건강에 이상 발생시 그 원인을 조회할 수 있는 근거 자료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생아 임상기록 조회기능(100), 신생아 위치추적 기능(200), 신생아 퇴원 관리기능(300), 신생아 면회 관리기능(400), 신생아의 건강상태 관리기능(500), 신생아의 문제발생 원인 추적기능(600), 신생아의 건강상태별 수유조건 관리기능(700)을 제공한다.
즉, 신생아 임상기록 조회기능(100)은 각 신생아에게 부착된 RFID 태그(10)를 통해 신생아의 보호자나 출생일, 수유시간, 목욕시간, 면회시간 등의 임상기록을 조회하는 것으로서, 담당자나 산모가 휴대용기기(40)를 이용하여 신생아의 RFID 태그(10)를 스캔하면 DB서버(60)의 신생아 임상기록 정보DB(72)로부터 해당 정보를 불러와 휴대용기기(40)나 PC(30)로 제공해 준다.
신생아 위치추적 기능(200)는 신생아의 현재 위치 및 활동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RFID 리더기(20) 또는 RFID 리더가 탑재된 휴대용기기(30)를 통하여 해당 신생아의 RFID 태그(10)를 입력하여 조회하면 RFID 리더(20)를 통해 입력된 RFID 태그(10)의 위치를 추적한 후 신생아의 현재 위치 및 하고 있는 일을 휴대용기기(40)나 PC(30)로 제공해 준다.
신생아 퇴원 관리기능(300)은 통상 아이를 출산한 후 신생아실에서 보호받고 있다가 일정 기간이 지나면 보호자와 아이가 퇴원을 하게 되는데, 이때 신생아의 배치 및 기록의 오류 등으로 인하여 신생아가 서로 뒤바뀌게 되거나 또는 신생아를 잃어버리게 되는 우려를 해결하여 보호자를 확인한 후에 퇴원을 시키는 기능으로서, 보호자와 신생아의 RFID 태그(10)를 스캔하여 두 정보를 비교 확인한 후에 일치하면 퇴원확인서를 발급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조치를 취하도록 제공 한다.
신생아 면회 관리기능(400)은 방문자나 보호자가 신생아를 면회하고자 할 경우 먼저 면회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으로, 면회신청자나 담당자가 휴대용기기(40)를 통해 접속하여 신생아의 위치를 추적한 다음 현재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와 면회가 가능한지 여부를 동시에 조회하여 조회 결과 정보를 제공해준다.
신생아의 건강상태 관리기능(500)은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된 각 신생아의 수유시간, 목욕시간, 면회시간 등의 임상 기록 정보를 토대로 실시간으로 신생아의 RFID 태그(10)를 조회함으로써 수유할 시간, 목욕시간, 약 투여시간, 자리 봐주기 등의 각종 상황 파라메터들이 발생되면 자동으로 담당 간호사에게 메세지(또는 알람 등)를 전송하여 처리하도록 제공해준다.
신생아의 문제발생 원인 추적기능(600)은 구토, 감기, 감염 등으로 신생아가 우는 문제 발생을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신생아가 갑자기 많이 운다거나 수유를 하지 않을 경우 신생아의 RFID 태그(10)를 스캔하여 전문가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조회함으로써 신생아의 문제발생 원인을 추정한 후 이에 따라 담당 간호사가 대처할 수 있도록 제공해준다.
신생아의 건강상태별 수유조건 관리기능(700)은 신생아별 건강상태에 따라 수유 양과 청결 수준을 판단하여 관리하는 기능으로서, 정기적으로 신생아의 RFID 태그(10)를 스캔하여 임상 기록 정보DB(72)를 조회함과 아울러 최종적으로 조회된 임상 기록을 토대로 전문가 관리프로그램(80)에 조회함으로써 최적의 수유량을 결정하여 제공해준다.
이와 같은 메인 기능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관리가 이루어진다.
참고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능 중 신생아 임상기록 조회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기능 중 신생아 위치추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기능 중 신생아 퇴원확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기능 중 신생아 건강상태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기능 중 신생아의 문제발생시 원인 추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생아 임상기록 관리 프로세스는 기본적으로 출산된 신생아에게 고유 ID가 내장된 RFID 태그(10)를 팔찌 또는 발찌 형태로 착용시키고, DB서버(60)의 데이터베이스(70)에는 신생아에게 부여된 RFID 태그(10)의 정보와 신생아에 대한 보호자, 출산시기 등에 대한 기본적인 임상 기록을 저장함과 더불어, 실시간으로 신생아에게 제공되는 관리프로그램에 대한 결과를 저장하여 갱신한다. 그리고, 부가로 담당 간호사나 산모(또는 보호자)에게 조회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인증 번호를 부여한다.
이후, 담당 간호사나 산모가 조회를 원하면 먼저 휴대용기기(30)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단계를 거친다(S101). 즉, 사용자 인증 단계를 통해 인증이 이루어지면 조회란이 화면에 출력되어 조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인증이 이루 어지지 않으면 사용을 종료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단계는 조회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직위별에 따라 레벨을 달리하여 출입 가능지역과 검색 가능 정보가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인증을 거친 사용자가 해당 신생아의 RFID 태그(10)를 입력하여 임상 기록를 조회하면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한 DB서버(60)의 신생아 임상기록 정보DB(72)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검색한다(S103).
검색 결과, 해당 신생아에 대한 친부모 관련 정보와, 수유시간, 목욕시간, 면회 가능한 시간 등의 각종 정보를 휴대용기기(40)로 전송하여 화면에 출력한다(S105,S107). 또는 네트워크망을 통한 PC(30)로 전송하여 모니터링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신생아 임상기록 관리 프로세스는 담당 간호사 및 산모가 사용자 인증을 통해 실시간으로 신생아에 대한 관리 현황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신생아에 대한 산모의 궁금증과 신생아가 서로 뒤바뀌는 사고에 따른 불안감을 해소하고, 담당 간호사가 모든 신생아들에게 일괄적으로 실수 및 오류없이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생아 위치 추적 관리 프로세스는 기본적으로 출산된 신생아에게 고유 ID가 내장된 RFID 태그(10)를 팔찌 또는 발찌 형태로 착용시키고, RFID 태그(10)를 인지할 수 있는 RFID 리더(20)를 신생아실(1)에 다수개 설치함과 더불어, 담당 간호사나 산모(또는 보호자)에게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인증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에 보호자 및 담당 간호사가 휴대용기기(40)에 접속하면 신생아 위치 추적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단계를 거치게 된다(S201,S203).
이는 조회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사용자의 직위에 따라 레벨을 달리하여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보호자 및 담당 간호사가 휴대용기기(40)에 사용자의 인증 번호를 입력하면 비교 검색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친 후 레벨 단계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테면, 레벨 단계가 최상위인 경우 신생아 RFID 태그(10)에 대한 조회 및 기록이 가능하도록 하고, 레벨 단계가 최하위인 경우에는 단순히 신생아 RFID 태그(10)에 대한 조회 또는 검색 가능한 정보를 한정하여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서비스 사용을 종료시킨다.
이러한 인증단계를 거친 다음, 휴대용기기(40)에 해당 신생아에 대한 RFID 태그(10)를 입력하고 위치 추적을 실행하면 신생아실에 다수개 설치된 RFID 리더(20)를 통해 입력된 RFID 태그(10)를 검색하여 해당 위치를 인지하게 된다(S205~S209). 이때, RFID 태그(10)의 위치는 입력된 RFID 태그(10)가 인지된 RFID 리더(20)의 위치로부터 추적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해당 위치 정보를 휴대용기기(30)에 전송하여 해당 신생아가 어디에 위치해 있고, 무슨 동작을 하고 있는지 전송하여 출력한다(S211). 예컨대, 목욕 후 건조테이블에 있다면 "목욕 후 Dry중" 이라는 메세지를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신생아 위치 추적 관리 프로세스는 담당 간호사 및 산모가 사용자 인증을 통해 실시간으로 신생아의 현 위치 및 활동 상황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신생아에 대한 산모의 궁금증과 도난 사고에 따른 불안감을 해소하도록 제공한다. 더욱이, 신생아의 현재 위치에 따라 면회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조회하여 제공함으로써 신생아의 면회 확인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생아 퇴원 관리 프로세스는 기존에 신생아실에서의 배치 및 기록의 오류 등으로 인하여 신생아가 서로 뒤바뀐 채로 퇴원을 하게 되거나 산모(또는 보호자)가 아닌 다른 외부인이 신생아를 데리고 퇴원을 하게 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퇴원시 산모(또는 보호자)를 확인한 후에 퇴원을 시키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한 신생아 퇴원 관리는 기본적으로, 출산된 신생아에게 고유 ID가 내장된 RFID 태그(10)를 팔찌 또는 발찌 형태로 착용시키고, 보호자에게도 RFID 태그를 부여하며, 출산 직전 신생아 및 보호자에게 부여된 RFID 태그 정보와 해당 신생아의 보호자 및 출생시기에 대한 임상 기록 정보를 DB서버(60)의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퇴원시 보호자가 신생아실의 출입구로 접근하면 담당 간호사는 출입구의 안테나를 통해 보호자의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출입문을 개방함과 동시에 알람을 발생시킨다(S301~S305).
이와 동시에, 인식된 RFID 태그(10)에 대한 보호자의 정보를 DB서버(60)의 데이터베이스(70)로부터 검색하여 확인한 후, 해당 보호자의 신생아 RFID 태그(10)를 스캔하여 보호자의 RFID 태그와 신생아의 RFID 태그(10)에 대한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비교 판단한다(S307~S311).
판단결과, 일치하면 퇴원확인서를 작성한 후 보호자 및 신생아의 RFID 태그를 반납하여 퇴원 조치를 수행하고(S315~S319), 역으로 일치하지 않으면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휴대용기기(40) 또는 PC(30)를 통해 담당 간호사에게 알려 퇴원 수속을 중지하도록 해당 조치를 취한다(S313).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생아의 건강상태 관리 프로세스는 먼저, 담당 간호사측의 휴대용 기기(40) 및 PC(30)를 통해 신생아 관리프로그램에 따라 실시간으로 신생아의 RFID 태그(10)를 조회하도록 설정한다(S501,S503).
그러면, 휴대용기기(40) 및 PC(30)는 활성화된 신생아 관리프로그램에 따라 시스템 동작이 이루어지며, DB서버(60)의 신생아 임상 기록 정보DB(72)로부터 신생아에 대한 각종 임상 기록 정보를 불러와 신생아의 관리상태를 항시 모니터링할 수 있다(S505).
소정 시간 경과 후, 활성화된 신생아 관리프로그램으로부터 신생아에게 수유할 시간, 목욕시간, 약 투여시간, 자리 봐주기 등의 각종 상황 파라메터들이 발생되면 신생아의 이벤트(EVENT)가 발생됨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휴대용기기(40) 및 PC(30)를 통해 담당간호사에게 메시지 또는 알람을 송출하여 이를 알린다(S507,S509).
만약, 활성화된 신생아 관리프로그램으로부터 전술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 으면 신생아의 RFID 태그(10)를 통해 계속 관리상태를 모니터링한다(S505).
전단계에서 메시지를 받은 담당 간호사는 해당 신생아에게 이벤트 발생에 대해 조치를 취한 후, 처리 결과를 입력하여 완료한다(S511,S513). 즉, 신생아에게 목욕할 시간이라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담당 간호사는 이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 후 해당 신생아를 목욕시킨 후에 목욕 완료라는 처리 결과를 입력함으로써 신생아의 관리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신생아의 RFID 태그(10)를 조회하고 관리하는 휴대용기기(40) 또는 PC(30)는 사용자의 직위에 따른 권한 레벨에 따라 검색 가능 정보가 한정되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도 4 및 도 5에서의 사용자 인증 단계(S101,S203)를 거침으로써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생아의 문제발생에 대한 원인 추적 관리 프로세스는 먼저, 휴대용 기기(40) 및 PC(30)로 전문가 관리시스템(80)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신생아의 RFID 태그(10)를 조회하여 항시 신생아의 관리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설정한다(S601).
이때, 신생아의 건강상태가 양호하게 지속되면 전단계의 모니터링 단계를 계속 수행하고, 구토, 감기, 감염 등으로 인해 신생아가 갑자기 울거나 수유를 하지 않는 등 건강에 이상이 발생되면 RFID 리더(20) 또는 휴대용기기(40)로 신생아의 RFID 태그(10)를 스캔하여 전문가 시스템(80)을 조회하도록 지시한다(S603~S607).
지시를 받은 전문가 시스템(80)은 DB서버(60)의 신생아 History DB(76)에 저장된 신생아실의 실내온도, 습도, 면회자, 예방접종이나 약물투여 등과 같은 치료 내역, 수유횟수, 목욕물 온도, 우유상태, 기타 바이러스 등에 대한 정보와 연동되어 신생아의 문제발생 원인을 추정한다(S609).
추정 결과, 결과 정보를 담당간호사에게 송출하여 출력하면, 담당 간호사는 이에 해당되는 조치를 수행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S611~S615).
이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신생아의 문제발생 원인 추적 관리는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함과 더불어, 구토, 감기, 감염 등으로 인한 문제 발생을 신속하게 대처함으로써 신생아의 고통을 덜어주고 추후에 병이 악화되는 우려를 초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신생아의 특히 조치사항이 정확하게 전달이 됨으로써 효과적인 신생아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신생아 종합 관리시스템 및 이의 방법에 대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모든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RFID 시스템을 신생아 관리시스템에 구현함으로써 신생아실에서 출산 후 퇴원하기까지의 모든 관리 업무를 자동화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즉, 신생아의 임상기록을 실시간으로 조회하여 신생아의 수유시간, 목욕시간, 면회시간 등을 알려주고, 위치 추적으로 신생아의 현재 위치 및 활동 상황을 알려주므로써 신생아의 안전을 도모하고 산모에게 신생아에 대한 궁금증 또는 불안감을 해소해 줄 수 있으며, 출산 후 퇴원하는 순간까지 산모와 신생아간의 신원확인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같은 정보가 담겨져 있는 RFID 태그를 신생아와 보호자에게 부여하여 이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퇴원 조치를 함으로써 신생아가 서로 뒤바뀌게 되거나 잃어버리게 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생아의 건강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 발생시 그 원인을 추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신생아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고, 추후에 신생아의 건강 상태가 악화되는 우려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효과적인 신생아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컴퓨터를 이용한 병원내 산부인과의 신생아 관리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RFID 태그에 대한 ID정보와, 상기 RFID 태그가 부여된 신생아의 보호자 및 출생시기를 포함한 기본 임상 정보, 신생아실의 환경조건이나 면회자, 예방접종 등의 치료내역, 수유횟수, 목욕물온도, 우유상태, 기타 바이러스 정보를 포함한 신생아 히스토리(History)로 구축된 DB서버;
    신생아별 건강상태에 따라 최적의 수유량과 각종 질병을 예측 및 조회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화된 전문가 시스템;
    상기 신생아에게 고유 ID가 부여되는 RFID 태그;
    상기 RFID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읽기 위한 RFID 리더;
    상기 신생아 관리를 위한 각종 서비스가 프로그램화된 신생아 관리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고, 상기 DB서버와 연계되어 상기 RFID 리더로부터 전달된 RFID 태그를 식별하여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신생아 임상기록을 조회하고, 신생아의 위치를 추적하며, 퇴원시 신원확인을 통해 퇴원 확인서를 작성하고, 신생아의 면회시간을 관리하며, 상기 전문가 시스템과 연계되어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원격으로 관리하고, 건강에 이상발생시 원인을 추적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신생아별 건강상태에 따라 수유조건을 변동하도록 지시하는 신생아 관리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생아 관리컴퓨터는
    상기 RFID 태그를 읽어 판독하는 RFID 리더기가 내장된 PDA나 웹패드와 같은 휴대용기기나 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
  3. 컴퓨터를 이용하여 신생아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각 신생아에게 RFID 태그를 부여함과 더불어 상기 신생아의 보호자 또는 담당간호사에게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사용 인증 번호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자 및 담당 간호사가 RFID 리더가 포함된 휴대용기기 또는 PC를 통해 접속하여 상기 인증번호로 사용자 인증을 받는 단계;
    상기 인증단계에서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해당 신생아의 RFID 태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사용자가 조회기능을 요구하면, 입력된 RFID 태그를 DB서버에 저장된 신생아 임상기록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임상 기록을 조회하고, 상기 조회 결과인 해당 신생아의 수유시간, 목욕시간, 면회시간, 보호자 관련 정보를 불러와 상기 휴대용 기기 또는 PC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사용자가 위치추적기능을 요구하면, 상기 RFID 리더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분석한 후 해당 RFID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여 신생아의 위치 알려주는 단계;
    상기 인증된 사용자가 건강관리기능을 요구하면, 상기 전문가 시스템의 정보를 토대로 해당 RFID 태그의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원격으로 관리하고, 건강에 이 상발생시 원인을 추적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신생아별 건강상태에 따라 수유조건을 변동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 관리 방법.
KR1020050008572A 2005-01-31 2005-01-31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877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572A KR20060087753A (ko) 2005-01-31 2005-01-31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572A KR20060087753A (ko) 2005-01-31 2005-01-31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753A true KR20060087753A (ko) 2006-08-03

Family

ID=3717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572A KR20060087753A (ko) 2005-01-31 2005-01-31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775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796A (ko) * 2013-09-12 2015-03-23 주식회사 제론헬스케어 지능형 신생아바구니
KR20150119167A (ko) * 2013-03-13 2015-10-23 메델라 홀딩 아게 모유의 공급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80462B1 (ko) 2015-11-06 2015-12-28 주식회사 와이케이동그라미 신생아실 최적화 자동 관리 시스템
KR20180056197A (ko) 2016-11-18 2018-05-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생아 무호흡 측정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신생아 무호흡 측정 시스템
CN116092637A (zh) * 2023-03-06 2023-05-09 深圳市奥极医疗科技有限公司 婴幼儿哺乳期间哺乳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9167A (ko) * 2013-03-13 2015-10-23 메델라 홀딩 아게 모유의 공급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699195B1 (ko) 2013-03-13 2017-01-23 메델라 홀딩 아게 모유의 공급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844616B2 (en) 2013-03-13 2017-12-19 Medela Holding Ag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supply of breast milk
KR20150030796A (ko) * 2013-09-12 2015-03-23 주식회사 제론헬스케어 지능형 신생아바구니
KR101580462B1 (ko) 2015-11-06 2015-12-28 주식회사 와이케이동그라미 신생아실 최적화 자동 관리 시스템
KR20180056197A (ko) 2016-11-18 2018-05-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생아 무호흡 측정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신생아 무호흡 측정 시스템
CN116092637A (zh) * 2023-03-06 2023-05-09 深圳市奥极医疗科技有限公司 婴幼儿哺乳期间哺乳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41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monitoring activities in a tracking environment
AU20022577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ariances in a tracking environment
JP5727791B2 (ja) 活動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892311B2 (en) Detecting unauthorized visitors
JP5635416B2 (ja) 位置追跡システムを使用し相互作用時間に基づいて対象の関連付けを実施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90177641A1 (en) Patient monitoring network and method of using the patient monitoring network
AU20022577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ariances in a tracking environment
CN103186712A (zh) 一种自动识别病人的病人监护系统及方法
JP2002520718A (ja) データ収集及び患者看護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7520792A (ja) 薬物治療データを解析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14269240A (zh) 护理人员辅助系统
KR100996721B1 (ko) 알 에프 아이디 태그와 휴대용 정보 수신장치를 이용한건강 검진 운영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방법
KR20060087753A (ko) Rfid를 이용한 신생아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45261B2 (en) Hospital healthcare provider monitoring and verifying device and system for patient care condition
JP2005165513A (ja) 病院情報システム
US20210065856A1 (en) Patient management based on sensed inputs
CN113096820A (zh) 一种流行病与急诊一体化管理方法及装置
CN114903472A (zh) 基于物联网定位的医院管理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EP38399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interactions being human beings and/or inanimate beings
KR20130019527A (ko) 유아 주민등록증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정보 관리방법
Anus et al. Selected applications of IT technologies supporting nursing and medical care
US202101340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dentity Information
CN111584047A (zh) 医疗机构患者就医信息管理方法及系统
Barbosa-Ávila et al. Expert system for adopting wireless identification technologies (WIT) in healthcare;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KR20160061015A (ko)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