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228A -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 - Google Patents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228A
KR20060087228A KR1020050008161A KR20050008161A KR20060087228A KR 20060087228 A KR20060087228 A KR 20060087228A KR 1020050008161 A KR1020050008161 A KR 1020050008161A KR 20050008161 A KR20050008161 A KR 20050008161A KR 20060087228 A KR20060087228 A KR 20060087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silencer
refrigerant
indoor unit
di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5812B1 (ko
Inventor
윤기웅
최규상
이남수
홍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8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81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7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or impeding fall or injuries of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인 실내기에 사용되는 다발관형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소음기의 내부에 냉매가 분할되어 흐를 수 있도록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분할수단에 의해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를 잘게 분쇄된 형태로 흐를 수 있게 하여 냉매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실내기의 팽창장치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에 구비되어 이상 유동에 의한 유동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의 유입구와 몸체 및 배출구는 동일 지경을 가지는 메인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유로 내에는 그 메인유로를 통하여 흐르는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가 분할되어 흐를 수 있도록 냉매유동 방향과 같은 방향의 소정 길이를 갖는 분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A noise suppresser of a room cooler with a bunch fluid tube}
도 1은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계통도.
도 2는 종래 실내기에 사용되는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에 사용되는 다발관형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음기
12 : 유입구 15 : 몸체
16 : 배출구 18 : 메인유로
20 : 분할수단
22 : 분할유로 22a : 소분할유로
22b : 소다발관 25 : 다발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인 실내기에 사용되는 다발관형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소음기의 내부에 냉매가 분할되어 흐를 수 있도록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분할수단에 의해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를 잘게 분쇄된 형태로 흐를 수 있게 하여 냉매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실외기(100)와 실내기(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외기(100)에는 압축기(110), 사방밸브(120), 실외열교환기(130) 및 어큐뮤레이터(140)가 구비되며, 상기 실내기(200)에는 팽창장치(210)와 실내열교환기(220) 및 소음기(3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실내열교환기(220) 일측에는 실외팬(132) 및 실내팬(222)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실내기의 팽창장치(210)와 연결된 냉매배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소음기(300)가 설치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실내기(200)의 팽창장치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에 설치되는 소음기(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의 실내열교환기(220)에 냉매가 유출입되도록 유입구(302)와 배출구(304)가 작은 직경을 가지고, 그 사이에 냉매 유로가 형성된 몸체(305)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에는 냉매배관에서 그 냉매배관의 직경과 같은 직경으로 큰 기포를 가진 슬러그류가, 즉 기체와 액체상태가 공존하는 이상 유동의 형태로 흐르면서 발생되는 유동소음을 저감시키고자 메쉬(mesh) 형태나 코일 덩어리와 같은 비교적 면적이 큰 부착물(400)을 상기 냉매의 유동방향과 직교되도록 여러 겹으로 구비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경우에는 몸체 내부의 추가적인 부착물이 냉매의 유동 방향과 직교되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관계로, 압력 강하를 유발하는 문제를 일으켜 소음기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은 물론 그로 인해 실내기의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사용되는 소음기의 내부에 냉매가 분할되어 흐를 수 있도록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분할수단에 의해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를 잘게 분쇄된 형태로 흐를 수 있게 하여 냉매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할수단이 냉매와 내부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않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가 잘게 분쇄된 후 재차 합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를 더욱더 잘게 분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기의 팽창장치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에 구비되어 이상 유동에 의한 유동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의 유입구와 몸체 및 배출구는 동일 지경을 가지는 메인유로를 형 성하고, 상기 메인유로 내에는 그 메인유로를 통하여 흐르는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가 분할되어 흐를 수 있도록 냉매유동 방향과 같은 방향의 소정 길이를 갖는 분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수단은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다수의 분할유로가 형성된 다발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유로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유로의 다각형은 허니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유로는 각 선단과 끝단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유로는 그 내부로 다수의 소분할유로가 형성된 소다발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분할유로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분할유로의 다각형은 허니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에 사용되는 다발관형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인 실내기의 팽창장치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에 구비되어 그 냉매배관의 직경과 같은 직경의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가 흐르면서 발 생되는 이상 유동에 의한 냉매소음을 저감시키고자 몸체의 선단 및 끝단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소음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가 분할되어 잘게 분쇄된 형태로 흘러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소음기(10)의 유입구(12)와 몸체(15) 및 배출구(16)는 동일 지경을 가지는 메인유로(18)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유로(18) 내에는 그 메인유로를 통하여 흐르는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가 분할되어 흐를 수 있도록 냉매유동 방향과 같은 방향의 소정 길이를 갖는 분할수단(20)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분할수단(20)은 냉매 유동에 따른 압력 강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큰 기포가 분할되어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분할유로(22)가 형성된 다발관(25)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소음기의 유입구를 거쳐 유입되는 냉매 및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는 그 분할수단의 다발관에 형성된 다수의 분할유로에 의해 선단에서 잘게 분쇄되는 형태로 유입된 후 끝단에서 그 잘게 분쇄된 상태로 배출되어 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음기는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를 잘게 분쇄된 형태로 흐를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그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로 인해 발생되는 냉매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할수단의 다발관은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냉매의 유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소정을 길이를 갖는 관계로, 냉매가 흐를 수 있는 최대한의 면적을 확보함에 따라 압력 강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할수단에 형성되는 분할유로(22)는 그 소음기 내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도 변형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각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할유로(22)의 다각형은 통상의 허니컴 구조를 갖는, 즉 메인유로를 통하여 분할유로로 유입되는 냉매와 그 소음기 내부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도 변형됨이 가장 적은 구조를 갖는 허니컴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분할수단의 분할유로로 큰 기포의 유입시 보다 효율적인 분할이 이루어짐은 물론 배출시에도 분할된 작은 기포가 서로 합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분할수단(20)의 분할유로(22)는 각 선단과 끝단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메인유로를 통하여 흐르던 냉매 및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가 서로 위치가 다른 분할유로의 선단에서, 즉 전방으로 돌출된 선단에서 1차적인 분쇄가 이루어진 후 그 후방 측으로 위치한 선단에서 재차 2차적인 분쇄가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잘게 분쇄되어 원활하게 분할되어 유입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짐은 물론 분할유로의 끝단 또한 서로 다른 위치로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잘게 분할된 기포가 메인유로에서 재차 합쳐질 수 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분할수단에 의해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를 더욱더 미세한 상태로 분할시켜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분할유로(22)는 그 내부로 다수의 소분할유로(22a)가 형성된 소다발관(22b)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분할유로 만을 통하여 분할된 크기 보다 그 분할유로 내의 소분할유로에 의하여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를 아주 미세한 크기까지 잘게 분쇄된 형태로 흐를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됨으로써,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로 인해 발생되는 냉매소음을 극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할유로의 소다발관(22b)에 형성되는 소분할유로(22a)는 그 소음기 내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하여 변형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각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분할유로(22a)의 다각형은 통상의 허니컴 구조를 갖는, 즉 메인유로를 통하여 소분할유로로 유입되는 냉매와 그 소음기 내부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도 변형됨이 가장 적은 구조를 갖는 허니컴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사용되는 소음기의 내부에 냉매가 분할되어 흐를 수 있도록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분할수단에 의해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를 잘게 분쇄된 형태로 흐를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냉매가 통과할 수 있는 최대한의 면적을 확보하므로서,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로 인한 냉매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압력 강하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분할수단을 다각형의 허니컴 구조를 갖도록 하므로서, 분할수단이 소음기의 내부에서 흐르는 냉매 및 내부 압력에 의해서도 변형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또, 분할수단의 분할유로 선단과 끝단을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하므로서,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가 잘게 분쇄된 후 재차 합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가 통과하는 분할유로 내에 보다 작은 소분할유로를 형성하므로서,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를 더욱더 작은 크기를 갖도록 잘게 분쇄시켜 흐를 수 있도록 하여 냉매소음을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8)

  1. 실내기의 팽창장치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에 구비되어 이상 유동에 의한 유동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의 유입구와 몸체 및 배출구는 동일 지경을 가지는 메인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유로 내에는 그 메인유로를 통하여 흐르는 냉매유동 내의 큰 기포가 분할되어 흐를 수 있도록 냉매유동 방향과 같은 방향의 소정 길이를 갖는 분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수단은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다수의 분할유로가 형성된 다발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유로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유로의 다각형은 허니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유로는 각 선단과 끝단 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유로는 그 내부로 다수의 소분할유로가 형성된 소다발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분할유로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분할유로의 다각형은 허니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
KR1020050008161A 2005-01-28 2005-01-28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 KR100645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161A KR100645812B1 (ko) 2005-01-28 2005-01-28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161A KR100645812B1 (ko) 2005-01-28 2005-01-28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228A true KR20060087228A (ko) 2006-08-02
KR100645812B1 KR100645812B1 (ko) 2006-11-23

Family

ID=3717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161A KR100645812B1 (ko) 2005-01-28 2005-01-28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81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756B1 (ko) * 2007-09-10 2009-03-17 삼일공업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소음기 제조방법
KR200448763Y1 (ko) * 2008-06-24 2010-05-18 주식회사 바이롬 건물의 공기 조화 덕트용 소음기
CN103868221A (zh) * 2012-12-07 2014-06-18 汉拿伟世通空调有限公司 用于空气调节回路的通用衰减装置
KR20190083590A (ko) * 2018-01-04 2019-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관 소음 저감 장치
EP3537064A1 (en) 2018-03-09 2019-09-11 LG Electronics Inc. Indoor appartus of air-conditioning system with reduced refrigerant noi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US10739040B2 (en) 2016-08-31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tioner
CN112178893A (zh) * 2020-09-22 2021-01-05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677856A4 (en) * 2017-08-29 2021-05-19 Toshiba Carrier Corporation MULTI-TYPE AIR CONDITIONING AND INDOOR UNIT
CN114562830A (zh) * 2022-02-17 2022-05-31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空调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5274B2 (en) 2019-10-04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5711A (ja) 1983-09-30 1985-04-30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エンジンのアフタバ−ン防止装置
KR19990011107A (ko) * 1997-07-21 1999-02-18 박병재 자동차의 엘리먼트 구조
KR100321361B1 (ko) * 1999-11-06 2002-01-24 박이식 자동차의 배기음 저감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756B1 (ko) * 2007-09-10 2009-03-17 삼일공업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소음기 제조방법
KR200448763Y1 (ko) * 2008-06-24 2010-05-18 주식회사 바이롬 건물의 공기 조화 덕트용 소음기
CN103868221A (zh) * 2012-12-07 2014-06-18 汉拿伟世通空调有限公司 用于空气调节回路的通用衰减装置
US10739040B2 (en) 2016-08-31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tioner
EP3677856A4 (en) * 2017-08-29 2021-05-19 Toshiba Carrier Corporation MULTI-TYPE AIR CONDITIONING AND INDOOR UNIT
KR20190083590A (ko) * 2018-01-04 2019-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관 소음 저감 장치
EP3537064A1 (en) 2018-03-09 2019-09-11 LG Electronics Inc. Indoor appartus of air-conditioning system with reduced refrigerant noi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CN112178893A (zh) * 2020-09-22 2021-01-05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562830A (zh) * 2022-02-17 2022-05-31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空调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812B1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812B1 (ko)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
KR100645811B1 (ko) 실내기용 다유로형 소음기
JP5142109B2 (ja) エバポレータ
US7398820B2 (en) Evaporator
KR101352273B1 (ko) 열교환기 및 그것을 구비한 실내기
US6148631A (en) Silencer and air conditioner
ES2447776T3 (es) Intercambiador de calor y acondicionador de aire refrigerante
AU2002238890B2 (en) Layered heat exchanger, layered evaporator for motor vehicle air conditioners and refrigeration system
EP205551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20110056667A1 (en) Integrated multi-circuit microchannel heat exchanger
CN104807087A (zh) 空调
CN102066853B (zh) 用于具有微通道冷凝器和再热循环的制冷系统的启动程序
JP4659779B2 (ja) 熱交換器及びこの熱交換器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13002774A (ja) パラレルフロー型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JP5716496B2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JP4667134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4179092B2 (ja) 熱交換器
JP2006097911A (ja) 熱交換器
JP6650335B2 (ja) 冷媒分流器結合型膨張弁及びこ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JP2005037054A (ja) 冷媒サイクル装置用熱交換器
JP6631489B2 (ja) 熱交換器
KR100657526B1 (ko) 실내기용 소음기
EP3336452B1 (e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device
JP2010223464A (ja) エバポレータ
JP5202291B2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