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526B1 - 실내기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실내기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526B1
KR100657526B1 KR1020040058909A KR20040058909A KR100657526B1 KR 100657526 B1 KR100657526 B1 KR 100657526B1 KR 1020040058909 A KR1020040058909 A KR 1020040058909A KR 20040058909 A KR20040058909 A KR 20040058909A KR 100657526 B1 KR100657526 B1 KR 100657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encer
flow
indoor unit
abnormal flow
convers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0278A (ko
Inventor
윤기웅
이남수
최규상
홍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8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526B1/ko
Publication of KR20060010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소음기의 내부에 간단한 구조로서 내부에서 흐르는 유동 패턴을 바꾸어 냉매유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실내기의 팽창장치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에 구비되어 이상 유동에 의한 유동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의 몸체 내주면에 그 내부에서 흐르는 슬러그류에 의한 이상 유동의 패턴을 변화시키는 변환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변환수단은 몸체의 내주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이상 유동을 나선형 형태로 흐르도록 안내하여 잘게 파쇄하는 파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기용 소음기{A noise suppresser of a room cooler}
도 1은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계통도.
도 2는 종래 실내기에 사용되는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실내기에 사용되는 또 다른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에 사용되는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6은 도 4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에 사용되는 또 다른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환수단
10 : 교란부
12 : 링턱
20 : 파쇄부
22 : 나선턱
300 : 소음기
302 : 유입구 304 : 배출구
305 : 몸체
본 발명은 실내기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소음기의 내부에 간단한 구조로서 내부에서 흐르는 유동 패턴을 바꾸어 냉매유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실내기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실외기(100)와 실내기(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외기(100)에는 압축기(110), 사방밸브(120), 실외열교환기(130) 및 어큐뮤레이터(140)가 구비되며, 상기 실내기(200)에는 팽창장치(210)와 실내열교환기(220) 및 소음기(3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외열교환기(130)와 실내열교환기(220) 일측에는 실외팬(132) 및 실내팬(222)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실내기의 팽창장치(210)와 연결된 냉매배관 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소음기(300)가 설치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실내기(200)의 팽창장치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에 설치되는 소음기(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의 실내열교환기(220)에 냉매가 유출입되도록 유입구(302)와 배출구(304)가 좁고, 그 사이에 냉매 유로가 형성된 몸체(305)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에는 냉매배관에서 그 냉매배관의 직경과 같은 직경으로 큰 기포를 가진 슬러그류가 흐르면서 발생되는 이상 유동에 의한 유동소음을 저감시키고자 코일 덩어리와 같은 비교적 면적의 큰 부착물(400)을 상기 냉매의 유동방향과 직교되도록 여러 겹으로 구비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경우에는 몸체 내부의 추가적인 부착물에 의한 압력 강하를 유발하는 문제를 일으켜 소음기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도 3에서와 같이 소음기(300)의 몸체(305) 내부에 서로 다른 위치에 유로(412)가 형성된 다수의 격판(410)을 냉매의 유동방향과 직교되도록 설치하여 소음기 내부에서 유로를 바꾸어 주는 방식도 있었으나, 이같은 경우에도 이상 유동의 패턴을 충분히 바꾸지 못하여 소음 저감의 효율성을 높이지 못함은 물론 이도 몸체 내로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격판에 의해 압력이 강하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소음기 내부에 간단한 구조로서 흐르는 냉매의 압력강하가 이루어지 지 않으면서 이상 유동의 패턴이 바뀌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음기 내부에서 이상 유동을 교란시켜 그 이상 유동의 패턴이 바뀔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음기 내부에서 이상 유동을 잘개 쪼개에 그 이상 유동의 패턴이 바뀔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기 내부의 공간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기의 팽창장치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에 구비되어 이상 유동에 의한 유동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의 몸체 내주면에 그 내부에서 흐르는 슬러그류에 의한 이상 유동의 패턴을 변화시키는 변환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변환수단은 몸체의 내주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이상 유동을 나선형 형태로 흐르도록 안내하여 잘게 파쇄하는 파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파쇄부는 그 몸체의 내주면에 일정 구간의 나선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음기의 유입구와 배출구 및 몸체는 상기 냉매배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에 사용되는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팽창장치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에 구비되어 그 냉매배관의 직경과 같은 직경으로 큰 기포를 가진 슬러그류가 흐르면서 발생되는 이상 유동에 의한 유동소음을 저감시키고자 몸체(305)에 그 몸체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유입구(302)와 배출구(304)가 형성된 소음기(300)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소음기(300)의 몸체(305) 내주면에 그 내부에서 흐르는 큰 기포를 가진 슬러그류에 의한 이상 유동의 패턴을 변화시키는 변환수단(1)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변환수단(1)은 그 소음기 몸체(305)의 내주면에 높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낮은 형태인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이상 유동이 그대로 흐르지 않도록 교란시키는 교란부(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란부(10)는 그 몸체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태의 링턱(12)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링턱은 몸체의 내주면에 별도로 형성되어 통상의 용접 등과 같은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 를 성형시 그 몸체의 외부를 압입하여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소음기의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큰 기포를 가진 슬러그류는 몸체의 내부를 흐르면서 그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변환수단인 교란부의 링턱에 의해 흐르는 방향에서 교란되어져, 즉 큰 기포를 가진 슬러그류가 상기 링턱과 반복되게 간섭되어 교란됨으로써, 그 몸체 내부에서 흐르는 이상 유동의 패턴이 바뀌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이상 유동의 패턴을 바꾸어 줌에 따라 오일회수 및 제상운전 시에 발생하는 냉매유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링턱은 그 몸체의 내측면에서 높게 돌출된 것이 아니라 낮은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이상 유동이 전체적으로 흐르는 냉매의 유동성에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그 이상 유동의 외부를 간섭에 의한 교란작용하여 패턴 만을 바꾸어 줌에 따라 압력강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소음기는 몸체가 유입부와 배출구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고 있는 관계로, 실내기에 상기 소음기의 몸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소음기(300)의 유입구(302)와 배출구(304) 및 몸체(305)는 냉매가 흐르는 상기 냉매배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소음기를 냉매배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상기 몸체(305)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변환수단(1)인 교란부(10)의 링턱(12)이 그 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높게 돌출되는 것이 아니 아주 낮은 높이인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소음기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됨에 따라 실내기에서의 최소한의 점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실내기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부수적인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에 사용되는 또 다른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소음기의 몸체 내주면에 형성된 변환수단을 교란방식에서 큰 기포를 가진 슬러그류가 흐르면서 작게 파쇄되어 유동 패턴이 바꿔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변환수단(1)을 소음기 몸체(305)의 내주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이상 유동을 나선형 형태로 흐르도록 안내하여 큰 기포를 가진 슬러그류를 잘게 파쇄하는 파쇄부(20)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파쇄부(20)는 그 몸체(305)의 내주면에 일정 구간의 나선턱(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변환수단인 파쇄부 또한 별도로 제작하여 몸체의 내주면에 용접 등을 통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도 상기 몸체를 외측에서 압입하여 나선턱이 형성되는 파쇄부를 일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냉매의 이상 유동은 몸체 내에서 흐름과 동시에 그 내주면으로 형성된 변환수단인 파쇄부의 나선턱에 의해 냉매가 와류와 같이 나산방향으로 안내되면서 흐름과 동시에 잘게 파쇄되어져 기포류와 같은 유동 패턴으로 바꾸게 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오일회수 및 제상 운전 시에 발생하는 냉매 유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나선턱은 그 몸체의 내측면에서 높게 돌출된 것이 아니라 낮은 높이로 돌출됨게 형성됨에 따라 이 또한 상기 이상 유동이 전체적으로 흐르는 냉매의 유동성에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그 이상 유동을 나선형으로 흐르게 하여 큰 기포를 작게 파쇄하여 기포류와 같은 유동 패턴으로 바꾸어 줌에 따라 압력강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도 8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소음기의 몸체 내측면에 형성된 변환수단인 파쇄부의 나선턱을 구비한 소음기의 부피 또한 최고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소음기(300)의 유입구(302)와 배출구(304) 및 몸체(305)는 냉매가 흐르는 상기 냉매배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소음기를 냉매배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변환수단(1)인 파쇄부(20)의 나선턱(22)이 그 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높게 돌출되는 것이 아니 아주 낮은 높이인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소음기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됨에 따라 실내기에서의 최소한의 점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실내기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부수적인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음기 내부에서 흐르는 냉매의 압력강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이상 유동의 패턴이 바뀌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오일회수 및 제상 운전 시에 발생하는 냉매유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소음기의 몸체 내주면에 낮은 높이를 가지는 링턱에 의해 이상 유동을 교란시켜 이상 유동의 패턴이 바뀔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이상 유동의 패턴을 바꿀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소음기의 몸체 내주면에 낮은 높이를 가지는 나선턱에 의해 이상 유동을 잘개 쪼개에 이상 유동의 패턴이 바뀔 수 있도록 하므로서, 더욱더 효율적으로 이상 유동의 패턴을 바꿀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소음기의 몸체와 유입구 및 배출구를 냉매배관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하므로서, 실내기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갖는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실내기의 팽창장치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에 구비되어 이상 유동에 의한 유동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의 몸체 내주면에 그 내부에서 흐르는 슬러그류에 의한 이상 유동의 패턴을 변화시키는 변환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변환수단은 몸체의 내주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이상 유동을 나선형 형태로 흐르도록 안내하여 잘게 파쇄하는 파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용 소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그 몸체의 내주면에 일정 구간의 나선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용 소음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의 유입구와 배출구 및 몸체는 상기 냉매배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용 소음기.
KR1020040058909A 2004-07-27 2004-07-27 실내기용 소음기 KR100657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909A KR100657526B1 (ko) 2004-07-27 2004-07-27 실내기용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909A KR100657526B1 (ko) 2004-07-27 2004-07-27 실내기용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278A KR20060010278A (ko) 2006-02-02
KR100657526B1 true KR100657526B1 (ko) 2006-12-14

Family

ID=3712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909A KR100657526B1 (ko) 2004-07-27 2004-07-27 실내기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5274B2 (en) 2019-10-04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502B1 (ko) * 2008-01-03 2015-01-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맥동 저감장치를 구비한 냉동사이클
KR100955413B1 (ko) * 2008-05-07 2010-05-04 이방수 에어컨 컴프레서용 머플러
KR102620362B1 (ko) 2016-08-31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5274B2 (en) 2019-10-04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278A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273B1 (ko) 열교환기 및 그것을 구비한 실내기
KR100645812B1 (ko) 실내기용 다발관형 소음기
KR100645811B1 (ko) 실내기용 다유로형 소음기
JP4776438B2 (ja) 冷凍サイクル
US6698235B2 (en) Refrigerant cycle system having discharge function of gas refrigerant in receiver
EP2264384A1 (en) A refrigerant distribution device for refrigeration system
KR20070004340A (ko) 배관 내장형 필터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JP2009121654A (ja) 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空気調和機
JP2008039276A (ja) 冷媒流路切換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20160103507A (ko) 쿨링모듈
KR100657526B1 (ko) 실내기용 소음기
JP4179092B2 (ja) 熱交換器
KR102620362B1 (ko) 공기조화기
JP2010139196A (ja) 熱交換器
KR200259605Y1 (ko) 수액기일체형응축기
JP6631489B2 (ja) 熱交換器
KR20060033282A (ko) 실내기용 소음기
JP2008175433A (ja) 空気調和機用気液分離器及び空気調和機
KR101510121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1899824B1 (ko) 실외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JP2010175223A (ja) ヒートポンプ給湯機
EP2908062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10688801U (zh) 空调系统
KR100585687B1 (ko) 유니터리형 에어컨
JP581898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