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259A -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 Google Patents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6259A
KR20060086259A KR1020057020750A KR20057020750A KR20060086259A KR 20060086259 A KR20060086259 A KR 20060086259A KR 1020057020750 A KR1020057020750 A KR 1020057020750A KR 20057020750 A KR20057020750 A KR 20057020750A KR 20060086259 A KR20060086259 A KR 20060086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oil
drive shaft
flow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환
김종봉
배지영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7020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6259A/ko
Publication of KR20060086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3Lubricant distribution through a hollow driving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5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using a lubrican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8Means for improving or restricting lubricant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의 압축용량을 갖는 압축기를 위한 윤활 메커니즘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축내에서 연장되며, 오일을 펌핑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유로; 및 실린더를 밀폐하고 상기 구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들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및 상기 구동축사이에 상기 펌프된 오일을 균일하게 유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유로로 이루어지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OIL PATH FOR DUAL CAPACITY COMPRESSOR}
본 발명은 이중용량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윤활유를 압축기의 각 구동부에 공급하는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작동유체의 압축이 필요한 여러 장치, 특히 냉장고등과 같은 냉동사이클을 이용하는 가전기기에 있어서, 부하의 크기는 실제로 수시로 변화하며 작동효율의 향상으로 위해서는 상기 부하 크기변화에 따라 압축기의 압축용량의 변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용량변화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다양한 기술적 시도들이 수행되어 왔으며, 이러한 예로써 회전속도 가변 압축기 및 다중 실린더 압축기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비용상승 및 압축기 크기증가로 인해 실제 적용하기에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이들을 대신하여 단순한 기계적 구조를 이용함으로서 이중의 압축용량을 갖는 로터리 압축기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이중용량 압축기에 있어서, 모터 및 구동축등과 같은 구동부품들은 고속으로 운동하므로 통상적인 압축기와 마찬가지로 적절한 윤활이 중요하다. 더욱이, 압축용량 변화를 위해 이러한 구동부품들에는 부가적인 운동이 요구되므로 상기 구동부품들은 보다 가혹한 작동환경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가변 용량 메커니즘에 부가적으로 이에 적절한 윤활 메커니즘도 함께 개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용량 압축기의 용량 가변 메커니즘에 적합한 윤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축내에서 연장되며, 오일을 펌핑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유로; 및 실린더를 밀폐하고 상기 구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들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및 상기 구동축사이에 상기 펌프된 오일을 균일하게 유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유로로 이루어지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 2 유로는 바람직하게는 시계 및 반시계방향 회전 둘 다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들 및 상기 구동축 사이에 오일을 유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베어링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들에 상관없이 오일을 유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홈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베어링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의 해당 회전방향에서 오일을 유동시키도록 각각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나선 홈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및 제 2 나선 홈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교차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2 유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축의 편심이 적게 발생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유로는 실제적으로 상기 베인으로부터 상기 구동축의 중심축에 대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이격되게 상기 베어링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직선홈은 상기 베인으로부터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70°-210°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인으로부터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90°로 이격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나선홈들은 각각 상기 베인으로부터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30°-190° 및 190°-250°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유로는 적어도 상기 상부 베어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베어링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제 1 유로로부터 오일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로와 제 2 유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부로 오일을 비산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구동축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을 이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오일 유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축의 저널들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보조유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저널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보조유로는 바람직하게는 시계 및 반시계방향 회전 둘 다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들 및 상기 구동축 사이에 오일을 유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들에 상관없이 오일을 유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 홈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구동축의 해당 회전방향에서 오일을 유동시키도록 각각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나선 홈들로 이루어진다.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해 이중용량을 갖는 압축기에서 해당 구동부는 작동하는 동안 적절하게 윤활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뒤따르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들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유로가 적용된 이중용량 압축기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얻어진 실린더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량 압축기의 오일유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A는 제 2 유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3의 II-II선을 따라 얻어지는 단면도;
도 4B는 제 2 유로의 제 1 실시예를 포함하는 베어링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4C는 제 2 유로의 제 1 실시예의 최적 형성(setting) 각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A는 제 2 유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3의 I-I선을 따라 얻어지는 단면도;
도 5B는 제 2 유로의 제 2 실시예를 포함하는 베어링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5C는 제 2 유로의 제 2 실시예의 최적 형성(setting) 각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보조유로를 나타내는 구동축의 부분 정면도들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또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유로가 적용된 이중용량 로터리 압축기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얻어진 실린더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위치하는 동력발생부(10), 압축부(20) 및 용량가변부(30)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상기 동력발생부(10)는 압축기의 상부에 상기 압축부(20)는 압축기의 하부에 위치하나 필요에 따라 이들의 위치들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상기 케이스(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캡(3)과 하부캡(5)이 설치되어,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작업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관(7)은 상기 케이스(1)의 일측에 설치되고, 또한 냉매로부터 윤활유를 분리하는 어큐물레이터(8)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3)의 중심에는 압축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관(9)이 설치 된다. 또한 상기 하부캡(5)에는 마찰운동하는 부재의 윤활 및 냉각을 위해 일정량의 윤활유(O)가 채워진다. 이때, 상기 구동축(13)의 단부는 상기 윤활유(O)에 잠겨져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10)는 상기 케이스(1)에 고정되는 스테이터(11)와, 상기 스테이터(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로터(12)와, 상기 로터(12)에 압입되는 구동축(13)을 포함한다. 상기 로터(12)는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구동축(13)은 로터(12)의 회전력을 상기 압축부(20)에 전달한다. 상기 스테이터(2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상부캡(3)에 터미널(4)이 설치된다. 상기 로터(12)는 역방향으로(reversibly)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로터(12)는 시계 및 반시계방향 둘 다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축(13)도 이러한 로터(12)와 같이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20)는 크게 상기 케이스(1)에 고정되는 실린더(21), 상기 실린더(21)내부에 위치되는 롤러(22)(도 2 참조), 및 상기 실린더(21)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베어링(24,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21)는 소정 크기의 내부체적을 가지며 압축되는 유체의 압력을 견딜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상기 실린더(21)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체적내에 상기 구동축(13)에 형성되는 편심부(13a)를 수용한다. 상기 편심부(13a)는 일종의 편심된 캠으로서, 상기 구동축(1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중심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21)에는 이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연장되는 홈(21a)이 형성된다. 상기 홈(21a)에는 후술되는 베 인(23)이 설치된다. 상기 홈(21b)은 상기 베인(23)을 완전히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상기 롤러(22)는 실린더(2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링부재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22)는 상기 실린더(21)의 내주면에 접하며 상기 편심부(13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22)는 구동축(13)이 회전할 때 상기 편심부(13a)의 외주면상에서 자전하면서 상기 실린더(21)의 내주면상에서 구름운동한다. 또한 상기 구름운동동안 상기 롤러(22)는 동시에 상기 회전중심에 대해 상기 편심부(13a)에 의해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공전한다. 이와 같은 롤러(22)의 외주면은 상기 편심부(13a)에 의해 항상 실린더 내주면과 접하고 있으므로 롤러(22)의 외주면 및 실린더 내주면은 상기 내부체적내에 별도의 유체챔버(29)를 형성한다. 이 유체챔버(29)는 로터리 압축기에서 유체의 흡입 및 압축에 이용된다.
상기 베인(23)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21)의 홈(21a)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홈(21a)내에는 상기 베인(2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탄성부재(23a)가 설치되며, 상기 베인(23)은 상기 롤러(22)와 계속적으로 접촉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23a)의 일단은 상기 실린더(2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베인(23)에 결합되어, 상기 베인(23)을 롤러(22) 측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상기 베인(2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챔버(29)를 2개의 독립적인 공간들(29a,29b)로 분할한다. 상기 구동축(13)의 회전 즉, 상기 롤러(22)의 공전 동안 상기 공간들(29a,29b)의 크기는 변화하나 상보적(complementary)이다. 예를 들어, 상기 롤러(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공간(29a)은 점점 축소하는 반면 상기 다른 하나의 공간(29b)은 상대적으로 점점 증가된다. 그러나 상기 공간들(29a,29b)의 합은 항상 일정하며 상기 소정의 유체챔버(29)의 크기와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이와 같은 공간들(29a,29b)은 구동축의 회전방향중 어느 하나(즉,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에서 각각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실과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실로 상대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공간들(29a,29b)중 압축실은 이전에 흡입된 유체를 압축하도록 점점 축소되며 흡입실은 상대적으로 유체를 새롭게 흡입하도록 점차적으로 확장된다. 만일 롤러(22)의 회전방향이 역전되면 이와 같은 각 공간들(29a,29b)의 기능도 서로 바뀐다. 즉, 상기 롤러(22)가 반시계 방향으로 공전하면 상기 롤러(22)의 우측 공간(29b)이 압축실이 되고, 상기 롤러(22)가 시계방향으로 공전하면 좌측 공간(29a)이 압축실가 된다.
상기 상부 베어링(24)과 하부 베어링(2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21)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1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실린더(21) 및 상하부베어링(24,25)은 상기 실린너 내부체적 특히, 상기 유체챔버(29)가 밀폐되도록 서로 견고하게 체결된다.
상기 용량가변부(30)는 비록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동축(13)의 회전방향 둘 다에서 유체를 상기 실린더(21)내부로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는 토출 및 흡입 포트들과 상기 흡입포트들을 제어하는 밸브 어셈블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포트들은 상기 상부 베어링(24)에 상기 베인(23)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각각 상기 구동축(13)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회전에 대응한다. 상기 흡입포트들도 유사하게 상기 하부 베어링(24)에 시계 및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되나 서로 소정 각도로 이격된다. 또한,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하부 베어링(25)과 실린더(21)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흡입포트들중 어느 하나를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따라서, 공지된 바와 같이 로터리 압축기에서는 압축이 상기 흡입포트 및 해당 토출포트사이에서 이루어지므로, 서로 이격된 흡입포트들로 인해 상기 유체챔버중 압축에 사용되는 공간들이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서로 달라지며 서로 다른 두개의 압축용량이 얻어진다. 상기 용량가변부(30)는 본 발명과 동일한 출원인을 갖는 국제출원번호(international application No.) PCT/KR2004/000998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랑가변부(30)는 일예에 불과하며, 회전방향에 따라 용량을 변화시키는 어떠한 변형된 구성도 본 발명의 압축기에 용량가변부로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압축기의 작동중, 모터(11,12), 구동축(13), 및 롤러(22)와 같은 기계요소들(elements)은 고속으로 운동한다. 특히,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13)은 시계 및 반시계 방향 회전들을 번갈아가면서 반복하므로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에서 보다 가혹한 작동 환경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윤활 및 이를 위한 윤활 메커니즘이 상기 압축기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윤활 메커니즘으로서 상술된 각 구동요소들에 오일, 즉 윤활유(O)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오일 유로를 제공하며 이러한 오일유로가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유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A-도 4C는 상기 오일유로에 포함된 제 2 유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며, 도 5A-도 5C는 상기 제 2 유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윤활 메커니즘, 즉 오일유로(100)는 구동축(13) 및 베어링들(24,25)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13)의 저널들(13b,13c)은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베어링(24,25)에 의해 감싸지며,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레이디얼(radial) 베어링을 실질적으로 형성한다. 또한 칼라들(13d,13e)은 상기 베어링들(24,25)과 함께 작동중 축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스러스트(thrust) 베어링을 형성한다. 상기 오일유로(100)는 이와 같은 구동축(13)내에 형성되는 축유로(110)(이하 제 1 유로 )로 주로(mainly)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유로(110)는 상기 구동축(13)의 하부끝단으로부터 상부끝단까지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구동축(13)을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한다. 또한 상기 제 1 유로(110)의 하단부에는 오일펌프(111)가 장착된다. 이러한 오일 펌프(110)는 일종의 원심펌프이며, 오일 픽업(pick up)(111a)과 상기 픽업(111a)내부에 삽입되는 프로펠러(111b)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 펌프(111)는 압축기 저면에 수용되는 윤활유, 즉 오일(0)내로 잠기며(도 1 참조) 이에 따라 오일은 오일펌프(111)를 거쳐 상기 제 1 유로(110)에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 후, 상기 오일은 상기 제 1 유로(110)를 따라 펌핑되어 상기 구동축(13)의 상부끝단에서 각 구동부로 공급되도록 비산된다. 또한, 상기 제 1 유로(110)는 상기 편심부(13a)의 상 부 및 하부에 상기 제 1 유로(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홀들(112a,112b)을 더 포함한다. 상기 오일은 상기 롤러(22) 및 편심부(13a)를 윤활하도록 상기 홀들(112a,112b)을 통해 먼저 실린더(21)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홀들(112a,112b)은 또한 상기 상하부 베어링들(24,25) 및 상기 구동축, 정확하게는 저널들(13b,13c)사이에 오일이 공급되게 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널들(13b,13c) 및 베어링들(24,25)은 상당히 큰 마찰면들을 형성하므로, 상기 오일은 상기 홀들(112a,112b)을 통한 공급만으로는 상기 마찰면들의 끝단들까지 도달하지 못한다. 즉, 상기 오일은 상기 마찰면들상에 균일하게 퍼지지(spread) 못하며, 마모방지를 위한 유막을 전체적으로 형성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유로(100)는 도 3, 도 4A-4B 및 도 5A-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베어링들(24,25)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베어링 유로(120)(이하 제 2 유로 )를 갖는다. 상기 제 2 유로(120)는 실제적으로 상기 베어링들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홈으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유로(120)는 상기 구동축(13), 정확하게는 상기 제 1 유로(110)로부터 오일을 공급받도록 인접하는 홀들(112a,112b)중 어느 하나와 연통한다. 또한 상기 제 2 유로(12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주면의 상단 및 하단사이에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오일은 상기 홀들(112a,112b)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제 2 유로(120)로 공급되며, 상기 제 2 유로(120)를 따라 상기 내주면의 양 끝단부 사이를 유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 유로(120)로 인해, 상기 오일유로(100)는 상기 베어링들(24,25) 및 상기 구동축(13) 사이에 오일을 균 일하게 유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일은 이 후 상기 제 2 유로(120)로부터 상기 마찰면들상에 균일하게 퍼져나가 마모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유막을 전체적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제 2 유로(120)는 적어도 상기 상부 베어링(24)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하부 베어링(24)에서는 상기 오일이 중력에 의해 상기 홀(112b)로부터 어느 정도까지 아래로 유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다 안정적인 윤활을 위해서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베어링(24,25) 둘 다에 상기 제 2 유로들(120)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13)은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특히 상기 제 2 유로(120)는 구동축(13)의 두 회전방향 모두에 있어서 오일을 유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제 2 유로(120)는 나선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나선 홈은 유동경로를 확장시켜 충분한 오일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 나선 홈은 자신의 기하학적 특성상 상기 구동축(13)의 어느 한 회전방향에 대해서만 오일을 유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나선 홈은 상기 구동축(13)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때에만 그 내부에 오일을 유동 및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12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직선 홈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나선 홈과는 달리 상기 직선 홈은 기하학적 특성에 영향받지 않으며, 회전방향에 상관없이 구동축(13)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오일을 유동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제 2 실시예로서, 상기 제 2 유로(12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 1 및 제 2 나선 홈(120a,12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나 선 홈은 상기 구동축(13)의 어느 한방향 회전에 대해서만 오일을 유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별도 2개의 나선오일 홈이 본 발명에 적용되며, 이들은 서로 반대방향(시계 및 반시계 방향들)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나선 홈들(120a,120b)이 상기 베어링들(24,25)의 내주면들에서 서로 교차되는 경우, 오일이 어느 하나의 나선 홈으로 유동하는 도중 다른 나선 홈으로 유출된다. 이러한 유출은 상기 베어링들(24,25) 및 저널들(13b,13c)이 전체적으로 윤활되지 않게 하므로 상기 나선 홈들(120a,120b)이 서로 교차되지 않는 것이 최적의 윤활에 있어 중요하다.
한편, 도 4A 및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베어링들(24,25)과 구동축(13), 정확하게는 상기 저널들(13b,13c) 사이에는 소정크기의 간극(C)이 형성되며, 상기 오일은 상기 제 2 유로(120)를 이용하여 상기 간극(C)사이에 유막을 형성하도록 채워진다. 압축기의 작동중 상기 구동축(13)은 압축된 작동유체로부터 압력을 받게되며, 상기 베어링들(24,25)의 중심(O)으로부터 소정거리로 편심(eccentric)되면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 2 유로(120)는 상기 베어링들(24,25)의 내주면들을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파손시키므로, 상기 간극(C)은 상기 제 2 유로(120)에서 증가되며 이러한 증가된 간극(C)으로 인해 상기 제 2 유로주변에는 충분한 유막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 2 유로(120)가 상기 구동축(13)의 편심이 크게 발생하는 곳에 위치되면, 상기 구동측(13)은 상기 베어링들(24,25)의 내주면들과 접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베어링(24,25) 및 구동축(13)의 마모가 발생되며 동시에 압축기의 작동중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초과적인 마찰로 인해 구동 축(13)의 동력 손실도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유로(120)는 상기 구동축(13)의 편심이 적게 발생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유로(120)는 상기 구동축(13)의 편심이 적게 발생되는 위치와 마주하는 상기 베어링들(24,25)의 내주면들의 일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120)의 최적위치는 실험을 통해 결정되었으며, 도 4C 및 도 5C는 각각 상기 제 2 유로(120)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대한 최적위치를 위해 고려된 실험결과들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4C 및 5C는 베인으로부터의 각도에 대한 편심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먼저 상기 각도는 상기 베어링들(24,25) 밑에(beneath) 있는 베인(23)의 위치에서 0°로 설정되었으며, 최대 압축용량을 생성하는 회전방향으로 증가된다. 상기 실험에서는 압축기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서 최대 압축용량이 발생되도록 설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각도도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그리고, 상기 편심율(eccentricity ratio)은 상기 간극(C)에 대한 구동축의 편심거리(즉, 베어링 중심(O)로부터 상기 구동축 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로서 정의된다. 이러한 편심율은 실질적으로 회전중 상기 구동축(13)이 상기 베어링들(24,25) 내주면들에 얼마나 근접하는지를 나타내는 무차원값이 된다. 즉, 상기 간극(C)은 일정한 값을 가지므로 상기 큰 편심율은 상기 구동축(13)이 큰 편심량을 가져 상기 베어링들(24,25) 내주면들에 근접함을 의미한다. 상기 편심율들은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압축용량 및 최소 압축용량 둘 다에 대해서 측정되었다. 최대용량의 편심율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구동축(13)의 반시계 방향회전에서 측정되었으며, 최소용량의 편심율은 구동축(13)의 시계방향회전에서 측정되었다. 압축용량의 차이 및 회전방향에 따른 압축용량의 차이 및 여러 가지 작동조건의 차이로 인해 최대용량 및 최소용량의 편심율들은 서로다른 위상(phase)들을 갖는다. 실험결과, 이러한 편심율은 압축기의 사양(specification)에 따라 크게 변화되지는 않았으며, 거의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먼저, 도 4C 및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체는 상기 베인(23) 근처에서 최대로 압축되기 때문에 상기 편심율들은 최대압축용량 및 최소압축용량 둘다에 있어서, 0°(360°), 즉 상기 베인(23)에서 비교적 높은 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 2유로(120)가 상기 베인(23)바로 위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베인(23)부근에서 최고의 압력을 갖는 작동유체가 상기 제 2 유로(120)로 누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건들을 고려할 때, 상기 제 2 유로(120)는 기본적으로 상기 중심(O)에 대해 상기 베인(23)으로부터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유로(120)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대 및 최소용량들의 편심율들은 170°-210°에서 비교적 적은 값은 갖는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일 직선 홈은 상기 베인(23)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170°-210°범위를 갖는 각도(A)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축기는 필요에 따라 시계방향에서 최대압축용량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반시계방향에서 최소압축용량) 이와 같은 경우에도 도 4A와 반대되게 상기 각도가 최대압축용량의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증가하도록 설정되면 도 4C와 동일 한 실험결과가 얻어진다는 사실을 이해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단일 직선 홈은 상기 베인(23)으로부터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70°-210°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심율들은 190°에서 서로 동일한 낮은 값을 가지게 된다. 즉, 상기 시계 및 반시계 방향회전 둘 다에서 접촉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A)가 19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 2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 2 유로(120)는 제 1 및 제 2 나선홈(120a,120b)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들 나선홈들(120a,120b)을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비교적 낮은 편심율들을 갖는 각도 범위들내에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190°의 주변의 각도범위들에서 상기 편심율들을 비교적 낮은 값들을 갖는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나선홈들(120a,120b)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베인(23)으로부터 각각 각도(B1) 및 각도(B2)로 이격되며, 상기 각도(B1,B2)들은 각각 130°-190° 및 190°-250°의 범위들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 2 유로(120)는 유막형성을 방해하는 베어링 내주면 파손을 감소시키면서 동시에 충분한 량의 오일을 유동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폭(w) 및 깊이(d)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폭(w) 및 깊이(d)는 압축기의 사양에 따라 조금 변할 수 있지만 각각 3.8mm 및 1.67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어링들(24,25) 및 구동축 사이에 보다 충분하게 오일을 유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오일유로는(100)은 도 4A, 5A 및 도 6A-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유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유로(13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저널들(13b,13c)을 따라 형성되는 홈들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널들(13b,13c)의 길이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보조유로(130)도 상기 구동축(13)의 모든 방향의 회전에 있어서 오일을 유동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A 및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유로(130)는 단일 직선홈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5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나선홈들(130a,13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범위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된 윤활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구동축 및 베어링에는 균일한 유막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혹한 작동환경하에서도 상기 구동축의 마모는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이러한 윤활 메커니즘은 상기 구동축의 모든 회전방향에서 오일을 유동시키며, 구동축의 편심이 적게 발생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 마모방지를 위한 윤활은 안정적이고 보다 효율적이 된다.

Claims (28)

  1.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축내에서 연장되며, 오일을 펌핑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유로; 및
    실린더를 밀폐하고 상기 구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들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및 상기 구동축사이에 상기 펌프된 오일을 균일하게 유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유로로 이루어지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는 시계 및 반시계방향 회전 둘 다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들 및 상기 구동축 사이에 오일을 유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들에 상관없이 오일을 유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구동축의 해당 회전방향에서 오일을 유동시키도록 각각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나선 홈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나선 홈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나선 홈들은 서로 교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구동축의 편심이 적게 발생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구동축이 가까이 접근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실린더 내부의 베인으로부터 상기 구동축의 중심축에 대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이격되게 상기 베어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홈은 상기 실린더 내부의 베인으로부터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70°-210°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홈은 상기 베인으로부터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90°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나선홈들은 각각 상기 실린더 내부의 베인으로부터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30°-190° 및 190°-250°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의 폭은 3.8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 일유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의 깊이는 1.67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는 적어도 상기 실린더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베어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베어링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베어링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제 1 유로부터 오일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로와 제 2 유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부을 향해 오일을 비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구동축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구동축을 이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저널들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보조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저널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로는 시계 및 반시계방향 회전 둘 다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들 및 상기 구동축 사이에 오일을 유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들에 상관없이 오일을 유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로는 상기 구동축의 해당 회전방향에서 오일을 유동시키도록 각각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나선 홈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KR1020057020750A 2005-11-01 2004-12-15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KR20060086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0750A KR20060086259A (ko) 2005-11-01 2004-12-15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0750A KR20060086259A (ko) 2005-11-01 2004-12-15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259A true KR20060086259A (ko) 2006-07-31

Family

ID=3717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750A KR20060086259A (ko) 2005-11-01 2004-12-15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62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02B1 (ko) * 2006-12-21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1510697B1 (ko) * 2008-09-29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축 및 이를 적용한 밀폐형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02B1 (ko) * 2006-12-21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1510697B1 (ko) * 2008-09-29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축 및 이를 적용한 밀폐형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2170A (ko) 스크롤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US5667372A (en) Rolling piston rotary compressor formed with lubrication grooves
KR100835187B1 (ko) 로터리 압축기
KR20100036130A (ko) 크랭크축 및 이를 적용한 밀폐형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KR910008210B1 (ko) 모우터 구동식 압축기
KR20010051341A (ko) 스크롤기계용 원뿔형 허브 베어링
KR20060086259A (ko) 이중용량 압축기용 오일유로
JP4288741B2 (ja) ロータリ圧縮機
KR100556404B1 (ko) 이중용량 로터리 압축기
EP1805419B1 (en) Rotary compressor
WO2020157902A1 (ja) すべり軸受構造及びスクロール圧縮機
WO2006064987A1 (en) Oil path for dual capacity compressor
KR20060086260A (ko) 로터리 압축기
KR100531271B1 (ko) 이중용량 로터리 압축기
WO2006064988A1 (en) Oil path for rotary compressor
KR20050098612A (ko) 이중용량 로터리 압축기
KR100234769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오일토출량 저감 및 윤활구조
JP2001153079A (ja) 密閉型多気筒回転式圧縮機
KR100628181B1 (ko) 로터리 압축기의 로울러 구조
KR100493316B1 (ko) 로터리 압축기
KR0118462B1 (ko) 로타리 압축기
KR100558814B1 (ko) 오일 배출 기능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의 편심부시
KR100299589B1 (ko) 유체기계
KR100332788B1 (ko) 압축기의 윤활 급유 구조
KR200148583Y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크랭크축 마모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