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5954A - 멸균용 수납 케이스 및 내시경 시스템 - Google Patents

멸균용 수납 케이스 및 내시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5954A
KR20060085954A KR1020067009138A KR20067009138A KR20060085954A KR 20060085954 A KR20060085954 A KR 20060085954A KR 1020067009138 A KR1020067009138 A KR 1020067009138A KR 20067009138 A KR20067009138 A KR 20067009138A KR 20060085954 A KR20060085954 A KR 20060085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sterilization
opening
storage case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2489B1 (ko
Inventor
히로끼 모리야마
다께히로 니시이에
아쯔시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5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 A61B1/12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using wash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 A61B1/12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using fluid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 A61L2202/182Rigid packag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doscop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내시경 시스템은 관로 개구부(23 내지 26)[관로 선단부(40a, 43a, 45a)]와 증기 진입구인 통기부(37)를 갖는 내시경(2)과, 이 내시경(2)을 소정 상태로 수납하는 트레이(35)를 갖는 수납 케이스(34)를 갖고 있다. 이 트레이(35)에는 내시경(2)을 오목부 내에 수납 규제하는 규제부(49)가 형성된다. 이 규제부(49)는 관로 개구부(23 내지 26)(40a, 43a, 45a) 및 상기 통기부(37)의 각각의 개구부에 대응한 제1 내지 제4 규제 영역부(49a 내지 49d)를 갖고 있다. 이들 제1 내지 제4 규제 영역부(49a 내지 49d)는 상기 개구부의 단면적보다 넓은 영역의 클리어런스(공극 부분)(49A 내지 49D)를 갖고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시경, 트레이, 관로 개구부, 통기부, 규제부

Description

멸균용 수납 케이스 및 내시경 시스템{STORAGE CASE FOR STERILIZATION AND ENDOSCOPE SYSTEM}
본 발명은 내시경을 고온 고압 증기로 멸균 처리할 때에 내시경을 수납하는 멸균용 수납 케이스 및 멸균용 수납 케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은 체강 내 등에 삽입함으로써 체강 내의 심부(深部) 등을 관찰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처치구를 이용함으로써 치료 처치 등을 행할 수 있으므로 의료 분야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의료용 내시경의 경우, 사용한 내시경을 확실하게 소독 멸균하는 것이 감염증 등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 불가결해진다.
최근에는, 소독 멸균을 행하는 경우 번잡한 작업을 수반하지 않아 멸균 후에 바로 사용할 수 있고, 게다가 운전 비용의 면에서도 유리해지는 오토클레이브 멸균(고온 고압 증기 멸균)이 내시경 기기의 멸균 방법으로서 주류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51323호 공보의 종래예에서는, 내시경을 고온 고압 증기 멸균할 때에 내시경 내외의 압력차에 따른 내시경의 외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멸균 처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0-51323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서는 내시경에 내장되고 단부가 내시경 외부에 개방되어 있는 가늘고 긴 관로 내의 멸균을 빠르고 또한 확실하게 행하는 것에 관해서는 특별히 서술되어 있지 않다. 또한, 종래예에서는 내시경의 상기 관로의 중간부는 오토클레이브 멸균에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상기 내시경에 관로와 연통되는 증기 진입 구멍을 마련하여 오토클레이브 멸균을 행하고 있는 동안, 상기 증기 진입 구멍으로부터 증기를 내시경 내부로 진입시키는 동시에 관로 외부로부터 가열하여 관로 전체를 따뜻하게 함으로써 멸균 효율을 향상시키는 등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 내시경은 트레이에 수납되어 있고, 그 수납 상태에 따라서는 내시경의 관로 개구부나 상기 증기 진입 구멍이 트레이의 일부에서 폐색되어 관로 내의 멸균을 빠르게 행할 수 없게 되는 등의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관로 개구부나 증기 진입 구멍에 의한 내시경 내부로의 증기 진입이 저해되지 않아 내시경에 내장된 관로 내의 멸균을 종래보다 빠르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멸균용 수납 케이스 및 멸균용 수납 케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멸균용 수납 케이스는, 오토클레이브 멸균시에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와 연통된 내부 영역을 구비한 내시경을 수납하는 멸균용 수납 케이스이며, 수납하였을 때에 상기 개구부가 개구하는 위치에 소정의 용적을 갖는 공극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공극 부분과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의 외부 공간 사이를 연통하고, 멸균시에 상기 외부 공간으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상기 공극 부분 및 상기 개구부를 경유하여 상기 내시경의 내부 영역에 도입하는 증기 진입 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멸균용 수납 케이스는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을 수납하였을 때에 상기 개구부가 상기 공극 부분에 대해 개구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멸균용 수납 케이스는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극 부분 및 상기 증기 진입 경로는 증기 침입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의 면적이 상기 개구부의 개구 면적 이상의 값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멸균용 수납 케이스는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멸균 대상인 상기 내시경은, 상기 개구부로서 내부에 형성된 소정 관로와 연통된 관로 개구부와, 상기 관로의 외표면을 상기 내시경의 외부 공간과 연통시키기 위한 통기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극 부분 및 상기 증기 진입 경로는 상기 관로 개구부 및 상기 통기 개구부와 대응하여 각각 복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내시경 시스템은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와 연통된 내부 영역을 구비한 내시경과, 상기 내시경을 오토클레이브 멸균시에 수납하는 멸균용 수납 케이스를 구비한 내시경 시스템이며,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는 수납하였을 때에 상기 개구부가 개구하는 위치에 소정의 용적을 갖는 공극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공극 부분과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의 외부 공간 사이를 연통하고, 멸균시에 상기 외부 공간으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상기 공극 부분 및 상기 개구부를 경유하여 상기 내시경의 내부 영역으로 침입시키는 증기 진입 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내시경 시스템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은 상기 개구부로서 내부에 형성된 소정 관로와 연통된 관로 개구부와, 상기 관로의 외표면을 상기 내시경의 외부 공간과 연통시키기 위한 통기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극 부분 및 상기 증기 진입 경로는 상기 관로 개구부 및 상기 통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각각 복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내시경 시스템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기 개구부는 내부의 전기 회로를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부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내시경 시스템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은 사용시에 피검체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사용시에 피검체 밖에 위치하여 상기 내시경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개구부는 상기 조작부의 일부 영역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내시경 시스템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은 사용시에 피검체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사용시에 피검체 밖에 위치하여 상기 내시경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로 개구부는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 및 상기 조작부의 일부 영역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내시경 시스템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오토클레이브 멸균시에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를 내부에 수용하는 기능을 갖고, 적어도 외주 부분의 일부가 증기 투과성 필터 및 광투과성 필름에 의해 형성된 멸균용 팩을 더 구비하고,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는 상기 멸균용 팩에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외주 부분과 비접촉이 되는 영역에서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의 외부 공간과 연통되는 통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된 내시경 시스템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는 측면에서 상기 통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2에 기재된 내시경 시스템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오토클레이브 멸균시에 연직 상방측에 상기 광투과성 필름이 위치하는 동시에 연직 하방측에 상기 증기 투과성 필터가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멸균용 팩을 수용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있어서 오토클레이브 멸균시에 상기 멸균용 팩의 연직 하방측과 접촉한 상태로 상기 멸균용 팩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멸균용 팩을 형성하는 상기 증기 투과성 필터와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 사이의 통기 상태를 확보하는 통기 수단을 갖는 오토클레이브 멸균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는 수납한 상기 내시경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시인 수단을 연직 상방측에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시인 수단 및 상기 멸균용 팩의 연직 상방측에 배치된 상기 광투과성 필름을 거쳐서 오토클레이브 멸균시에 외부로부터 상기 내시경을 시인 가능해지도록 상기 멸균용 팩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3에 기재된 내시경 시스템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기 수단은 상기 멸균용 팩의 하면과 접촉한 상태로 배치된 그물형 부재와, 상기 그물형 부재와 상기 챔버의 바닥부 사이에 공극을 확보하는 다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4에 기재된 내시경 시스템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인 수단은 소정의 개구 또는 상기 개구에 투명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된 내시경 시스템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은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에 수납되었을 때에 상기 시인 수단을 거쳐서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위치에, 오토클레이브 멸균에 의한 멸균 효과를 표시하는 화학적 인디케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멸균용 수납 케이스 및 내시경 시스템은, 오토클레이브 멸균시에 관로 개구부나 증기 진입 구멍에 의한 내시경 내부로의 증기 진입이 저해되지 않아 내시경에 내장된 관로 내의 멸균을 종래보다 빠르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내시경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내시경의 관로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내시경을 트레이에 수납한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한 내시경의 주요 구성부를 트레이의 규제부에 수납한 상태 를 도시하는 확대 상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내시경 시스템에 이용된 멸균 수용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한 멸균 수용 케이스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내시경 시스템에 이용된 멸균 수용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8은 도7에 도시한 멸균용 수납 케이스를 멸균용 팩에 수납한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9는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8의 멸균 팩을 챔버 내에 넣은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0은 도9의 받침 부재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내시경 장치
2 : 내시경
3 : 광원 장치
4 : 신호 케이블
5 : 프로세서
6 : 모니터
7 : 삽입부
8 : 조작부
9 : 연결 코드
10 : 커넥터부
11 : 전기 커넥터부
17 : 선단부
21 : 기체 공급 캡
23 : 송수 탱크 가압 캡
24 : 액체 공급 캡
25 : 흡인 캡
26 : 주입 캡
32 : 처치구 삽입구
33 : 방수 캡
34 : 멸균용 수납 케이스
35 : 트레이
36b : 확인 표시부
37 : 통기 개구부
40 내지 45 : 관로
47 : 공간부
49 : 규제부
49a 내지 49d : 규제 영역부
49A 내지 49D : 클리어런스
50, 50a : 통기구
50A : 오목부
51 : 멸균용 팩
51A : 필름면
51B : 필터면
52 : 챔버
53 : 받침 부재
53a : 다리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내시경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1은 내시경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내시경의 관로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내시경을 트레이에 수납한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4는 도3에 도시한 내시경의 주요 구성부를 트레이의 규제부에 수납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상면도이고, 도4의 (a)는 삽입부의 선단부 근방의 규제부를 도시하고, 도4의 (b)는 커넥터부 근방의 규제부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검사를 행하는 내시경 장치(1)는 촬상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2)과, 내시경(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내시경(2)에 설치된 라이트 가이드에 조명광을 공급하는 광원 장치(3)와, 내시경(2)과 신호 케이블(4) 을 거쳐서 접속되어 내시경(2)의 촬상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촬상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신호를 처리하는 비디오 프로세서(5)와, 비디오 프로세서(5)로부터 출력되는 피사체상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6)를 갖고 있다.
상기 내시경(2)은, 관찰이나 처치 등의 내시경 검사에 사용된 후에는 세정된 후에 고온 고압 증기에 의해 멸균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고온 고압 증기에 대한 내성을 구비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내시경(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시경(2)의 삽입부(7)나 조작부(8) 등의 외장 부재(외피부)의 내측의 영역인 공간부(47)(도2 참조)에도 적극적(강제적)으로 고온 고압 증기를 유입시켜 멸균 처리를 행하는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내부의 신호선 등도 고온 고압 증기에 대한 내성을 구비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시경(2)은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삽입부(7)와, 삽입부(7)의 기단부측에 접속된 조작부(8)와, 조작부(8)의 측부로부터 연장된 가요성을 갖는 연결 코드(유니버설 코드)(9)와, 이 연결 코드(9)의 단부에 설치되고 광원 장치(3)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커넥터부(10)와, 이 커넥터부(10)의 측부에 설치되고 비디오 프로세서(5)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신호 케이블(4)에 있어서의 그 단부의 커넥터(4a)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 가능한 전기 커넥터부(11)를 갖고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부(11)에는 내시경(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도2에 도시한 통기 개구부(37)가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기 개구부(37)는 후술하는 관로(40 내지 45)의 외표면과 내시경(2)의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삽입부(7)와 상기 조작부(8)의 접속부에는 접속부의 급격한 구부러짐을 방지하는 탄성 부재를 갖는 삽입부측 꺾임 방지 부재(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8)와 상기 연결 코드(9)의 접속부에는 동일한 조작부측 꺾임 방지 부재(13), 상기 연결 코드(9)와 상기 커넥터부(10)의 접속부에는 동일한 커넥터부측 꺾임 방지 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7)는 가요성을 갖는 유연한 가요관부(15)와, 이 가요관부(15)의 선단부측에 설치되고 조작부(8)의 조작에 의해 만곡 가능한 만곡부(16)와, 선단부에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관찰 광학계, 조명 광학계 등이 설치된 선단부(17)를 갖고 있다.
상기 선단부(17)에는 송기 조작, 송수 조작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관찰 광학계의 외표면의 광학 부재를 향해 세척 액체나 기체를 분출하기 위한 송기 송수 노즐(18)과, 상기 삽입부(7)에 배치된 처치구를 삽입 관통하거나 체강 내의 액체를 흡인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처치구 채널의 선단부측의 개구인 흡인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선단부(17)에는 관찰 대상물을 향해 개구한 액체를 분출하기 위한 송액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부(10)에는 상기 광원 장치(3)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기체 공급원과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기체 공급 캡(21)과, 액체 공급원인 송수 탱크(22)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송수 탱크 가압 캡(23) 및 기체 공급 캡(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송수 탱크 가압 캡(23) 및 기체 공급 캡(24)의 배면측에는 흡인구로부터 흡인을 행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흡인원과 접속되는 흡인 캡(2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인 캡(25)의 근방에는 송액구로부터 송수를 행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송수 수단과 접속되는 주입 캡(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10)의 측면에는 고주파 처치 등을 행하였을 때에 내시경에 고주파 누설 전류가 발생한 경우에 누설 전류를 고주파 처치 장치에 귀환시키기 위한 어스 단자 캡(2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8)에는 송기 조작, 송수 조작을 조작하는 송기 송수 조작 버튼(28)과 흡인 조작을 조작하기 위한 흡인 조작 버튼(29)과, 상기 만곡부의 만곡 조작을 행하기 위한 만곡 조작 노브(30)와,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를 원격 조작하는 복수의 리모트 스위치(31), 상기 처치구 채널 연통한 개구인 처치구 삽입구(3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내시경(2)의 전기 커넥터부(11)에 방수 캡(33)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 가능하다. 이 방수 캡(33)에는 도시하지 않은 압력 조정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내시경(2)은 고압 증기 멸균시에는 멸균용 수납 케이스(34)가 이용된다.
멸균용 수납 케이스(34)는 멸균 처리하는 내시경(2)을 수납하는 내시경용 트레이로서의 트레이(35)와, 이 트레이(35)의 상부측을 덮는 덮개 부재(36)를 갖고 있다. 상기 트레이(35)와 상기 덮개 부재(36)에는 복수의 도시하지 않은 통기구가 마련되어 있고, 그 구멍을 통해 수증기가 투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멸균용 수납 케이스(34)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4의 (a) 및 도4의 (b)는 내시경(2)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다양한 관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의 (a) 및 도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내시경(2)의 커넥터부(10)에는 상기 내시경(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구멍 혹은 개구로서의 통기 개구부(37)가 마련되어 있다. 이 통기 개구부(37)에 의해, 내시경(2)의 외부와 내시경(2)의 외피부에 의해 밀폐된 내부의 공간부(47)를 연통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이 통기 개구부(37)의 일부에 증기는 통과시키지만 증기보다도 큰 물체는 통과시키지 않는 소공(小孔)을 다수 마련한 필터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10)에는 상기 내시경(2)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다양한 관로와 연통되는 구멍 혹은 개구로서 공유의 송수 탱크 가압 캡(23), 기체 공급 캡(24), 흡인 캡(25) 및 주입 캡(26)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개구에 의해, 내시경(2) 내의 각종 관로와 내시경(2)의 외부를 연통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온 고압 증기로 멸균 처리할 때에 이 통기 개구부(37)로부터 공간부(47) 내로 고온 고압 증기를 유입시켜, 이 공간부(47)에 연통되는 송기 송수용 관로 등의 관로의 외측을 고온 고압 증기로 단시간에 멸균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송수 탱크 가압 캡(23), 기체 공급 캡(24), 흡인 캡(25) 및 주입 캡(26)의 각 개구로부터 내시경(2) 내의 각 관로 내에 고온 고압 증기를 유입시켜, 이들 개구에 연통하는 각 관로의 내측을 고온 고압 증기로 단시간에 멸균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각 관로는, 도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관로(40)는 주로 삽입부(7) 내에 있고, 그 관로 선단부(40a)는 선단부(17)에 있어서 외부에 대 해 개구되어 있고, 관로 후단부(40b)는 조작부(8)에 있어서 외부에 대해 개구되어 있다. 상기 관로(40)는 예를 들어 처치구 삽입 관통용 혹은 흡인용 관로이다.
관로(41)는 주로 연결 코드(9) 내에 있고, 그 관로 선단부(41a)는 조작부(8)에 있어서 외부에 대해 개구되어 있고, 관로 후단부(41b)는 흡인 캡(25)에 의해 커넥터부(10)에 있어서 외부에 대해 개구되어 있다. 상기 관로(41)는 예를 들어 흡인용 관로이다.
관로(42)는 주로 조작부(8) 내에 있고, 그 관로 선단부는 관로 후단부(40b)와 공통으로 조작부(8)에 있어서 외부에 대해 개구되어 있고, 관로 후단부는 관로 선단부(41a)와 공통으로 조작부(8)에 있어서 외부에 대해 개구되어 있다. 상기 관로(42)는 예를 들어 흡인용 관로이다.
그리고, 관로 후단부(41b)[흡인 캡(25)]에 도시하지 않은 흡인기로부터의 관로를 접속하여 흡인기로 흡인 조작하고, 관로 선단부(41a), 관로 후단부(40b)를 폐색해 두면 관로(41), 관로(42), 관로(40)라 하는 경로로 관로 선단부(40a)로부터 흡인을 행할 수 있다.
관로(43)는 주로 삽입부(7) 내에 있고, 그 관로 선단부(43a)는 선단부(17)에 있어서 외부에 대해 개구되어 있고, 관로 후단부(43b)는 조작부(8)에 있어서 외부에 대해 개구되어 있다. 상기 관로(43)는 예를 들어 선단부(17)의 렌즈면의 세정으로 송기나 송수를 행하는 송기 송수용 관로이다.
관로(44)는 주로 연결 코드(9) 내에 있고, 그 관로 선단부는 관로 후단부(43b)와 공통으로 조작부(8)에 있어서 외부에 대해 개구되어 있고, 관로 후단 부(44b)는 송수 탱크 가압 캡(23), 기체 공급 캡(24)에 의해 커넥터부(10)에 있어서 외부에 대해 개구되어 있다. 관로 후단부(43b)를 폐색하여, 관로 후단부(44b)[송수 탱크 가압 캡(23), 기체 공급 캡(24)]로부터 송기 또는 송수를 행하면, 관로 선단부(43a)로부터 송기 또는 송수를 할 수 있다.
관로(45)는 주로 삽입부(7) 및 연결 코드(9) 내에 있고, 그 관로 선단부(45a)는 선단부(17)에 있어서 외부에 대해 개구되어 있고, 관로 후단부(45b)는 주입 캡(26)에 의해 커넥터부(10)에 있어서 외부에 대해 개구되어 있다. 관로(45)는 예를 들어 관찰 대상물에 송액하는 전방 송수용 관로이다.
이와 같이, 내시경(2) 내에는 양단부가 외부에 대해 개구되고, 내측에 유체 등을 삽입 관통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관로가 내장되어 있다. 이들 관로(40 내지 45)는 각각이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관로의 일예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관로(40 내지 45)의 각각의 양단부인 관로 선단부(40a 내지 45a) 및 관로 후단부(40b 내지 45b)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관로 개구부의 일예로서 기능한다. 또한, 삽입부(7)와 연결 코드(9)는 모두 유연한 부재로 형성되고, 중실(中實)이 아닌 중공(中空) 형상이다. 또한, 삽입부(7)와 연결 코드(9) 중 관로의 대부분은 유연한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중공 부분에 비고정 상태로 배치되고, 관로 주위는 다른 내장물은 있지만 거의 공간으로 되어 있다.
이들 관로의 중간 부분(여기서는 단부로부터 떨어진 위치라는 의미로, 어느 정도 넓은 범위를 가리킴)에 있어서의 관로의 외측[이며 내시경(2)의 외피 내측]은 주위의 공간부(47)와 연통되고, 이 공간부(47)는 통기 개구부(37)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즉, 관로 외측은 공간부(47)와 연통하는(연통 수단이 됨) 통기 개구부(37)를 거쳐서 외부와 연통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통기 개구부(37)에 의한 연통 상태는 도시하지 않은 방수 캡의 장착/미장착(해제)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어떤 관로의 개구부와 개구부를 연결하는 경로의 정중앙 부분 주변에는 충전제나 고형물에 의해 내시경(2)의 외피 내측을 충전하는 일 없이, 상기 공간부(47)가 형성되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그 공간부(47)와 통기 개구부(37)의 경로의 도중에도 다양한 내장물이나 부품이 존재하지만, 그것들은 증기의 통로를 차단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로에 의해 증기는 저해되는 일 없이 통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내시경(2)에서는, 통기 개구부(37)를 설치함으로써 멸균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내시경(2)의 내부에 설치된 각 관로에 있어서의 그 주위의 공간부(47)와 연통시킬 수 있어, 프리 버큠시에 공간부(47)도 프리 버큠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송수 탱크 가압 캡(23), 기체 공급 캡(24), 흡인 캡(25) 및 주입 캡(26) 등의 관로 개구를 마련함으로써 멸균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내시경(2)의 내부에 설치된 각 관로와 연통시킬 수 있어, 프리 버큠시에 각 관로 내도 프리 버큠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시경(2)은 그 후의 고온 고압 증기 멸균하는 공정에 있어서, 관로의 내측은 물론, 관로의 외측의 공간부(47)에도 고온 고압 증기를 빠르게 공급하여 충만 가능하게 하여 고온 고압 증기 멸균 처리를 단시간에 종료할 수 있도록 되 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내시경 시스템은 상기 내시경(2)을 멸균용 수납 케이스(34)의 트레이(35)에 수납한 경우라도 상기 관로의 개구부나 증기 진입 구멍인 통기 개구부(37)에 의한 내시경 내부로의 증기 진입이 저해되지 않아 내시경(2)에 내장된 관로 내의 멸균을 보다 빠르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3의 (a)는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34)의 트레이(35)에 내시경(2)을 수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35)는 내시경(2)의 형상에 대응하여, 이 내시경(2)을 오목부 내에 수납 규제하는 오목부 형상이 형성된 규제부(49)를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3의 (a)에 있어서의 A-A 단면은 도3의 (b)와 같이 되어 있다. 이 규제부(49)는 내시경(2)의 각각의 부분이 소정의 위치에 수납되도록 각각의 부분보다 약간 큰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규제부(49)는 상기 관로 개구부로서의 상기 송수 탱크 가압 캡(23), 기체 공급 캡(24), 흡인 캡(25) 및 주입 캡(26) 등의 개구부[관로 후단부(44b, 41b, 45b)], 삽입부(7)의 선단부(17)의 관로 선단부(40a, 43a, 45a) 및 상기 증기 진입 구멍으로서의 통기 개구부(37)의 각각의 개구부에 대응한 제1 내지 제4 규제 영역부(49a 내지 49d)를 갖고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규제 영역부(49a 내지 49d)는 상기 개구부의 단면적보다 넓은 영역의 클리어런스(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공극 부분의 일예로서 기능함)(49A 내지 49D)를 갖고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상기 개구부의 단면적보다 넓은 영역」이라 함은, 예를 들어 클리어런스(49A 내지 49D)의 각각에 있어서 오토클레이브 멸균시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증기의 침입 방향과 수직이 되는 면의 면적이 개구부의 단면적보다도 넓은 상태인 것을 말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클리어런스(49A 내지 49D) 이외에 있어서의 규제부(49)의 내면과 내시경(2) 사이의 공극 부분을 증기 진입 경로로서 기능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증기 진입 경로라 함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공극 부분으로서 기능하는 클리어런스(49A 내지 49D)와, 멸균용 수납 케이스(34)의 외부 공간 사이를 연통시키기 위한 것이며, 오토클레이브 멸균을 행할 때에 멸균용 수납 케이스(34)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클리어런스(49A 내지 49D) 및 대응하는 내시경(2)의 개구부[후술하는 관로 선단부(40a) 및 통기 개구부(37) 등]를 경유하여 내시경(2)의 내부 영역에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증기 진입 경로를 규제부(49)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규제부(49)와 별개 독립으로 형성한 관로 등을 이용하여 증기 진입 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즉, 클리어런스(49A 내지 49D)와 멸균용 수납 케이스(34)의 외부 공간 사이를 연통 가능한 구조이면, 임의의 구조를 이용하여 증기 진입 경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증기 진입 경로의 단면적(증기 침입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의 면적)은, 각각 대응하는 내시경(2)의 개구부의 단면적 이상의 값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증기 진입 경로에 의해 단일의 클리어런스와 멸균용 수납 케이스(34)의 외부 공간이 연통되는 구조인 경우에는, 각각의 증기 진입 경로의 단면적 의 합이,클리어런스에 대해 개구되는 개구부의 단면적 이상의 값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규제부(49)의 구성에 관하여 도3에 도시한 것에 한정하여 해석할 필요는 없다. 즉, 규제부(49)의 최저한의 기능으로서는, 클리어런스(49A 내지 49D)에 대해 개구부[후술하는 관로 선단부(40a) 등]가 개구되는 위치가 되도록 내시경(2)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면 좋고, 이러한 최저한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구조에 의해 규제부(49)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규제부(49)는 클리어런스(49A 내지 49D)와 별개 독립으로 형성해도 좋다.
도4의 (a)는 삽입부의 선단부 근방의 규제부를 도시하고, 도4의 (b)는 커넥터부 근방의 규제부를 도시한다. 도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규제 영역부(49a)는 상기 클리어런스(49A)를 가진 상태로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17)를 수납 규제한다. 이 선단부(17)의 관로 선단부(40a, 43a, 45a)(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관로 개구부의 일예로서 기능함)는 상기 클리어런스(49A)가 전방에 배치되고 또한 트레이(35)의 외측에 대해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증기가 진입하기 쉬운 위치에 수납되게 된다.
도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규제 영역부(49b)는 상기 클리어런스(49B)를 가진 상태로 전기 커넥터부(11)의 상기 통기 개구부(37)를 수납 규제한다. 이 통기 개구부(37)는 상기 클리어런스(49B)가 전방에 배치되고 또한 트레이(35)의 외측에 대해 노출되어 있으므로 증기가 진입하기 쉬운 위치에 수납되게 된다.
상기 제3 규제 영역부(49c)는 상기 클리어런스(49C)를 가진 상태로 상기 흡인 캡(25) 및 주입 캡(26)의 개구부[관로 후단부(41b, 45b)]를 수납 규제한다. 이들 개구부[관로 후단부(41b, 45b)]는 상기 클리어런스(49C)가 전방에 배치되고 또한 트레이(35)의 외측에 대해 노출되어 있으므로 증기가 진입하기 쉬운 위치에 수납되게 된다.
상기 제4 규제 영역부(49d)는 상기 클리어런스(49D)를 가진 상태로 상기 송수 탱크 가압 캡(23), 기체 공급 캡(24)의 개구부[관로 후단부(44b)]를 수납 규제한다. 이들 개구부[관로 후단부(44b)]는 상기 클리어런스(49D)가 전방에 배치되고 또한 트레이(35)의 외측에 대해 노출되어 있으므로 증기가 진입하기 쉬운 위치에 수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규제 영역부(49a 내지 49d)는 상기 트레이(35)에 수납하는 내시경(2)에 대응하여 설치하도록 구성하면 좋고, 또한 상기 클리어런스(49A 내지 49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내시경(2)의 각 개구에 따라서 이 개구의 단면적보다 넓은 영역이 되도록 구성하면 좋다.
본 실시예의 제1 내지 제4 규제 영역부(49a 내지 49d)를 마련함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35)에서는, 상기 내시경(2) 내의 관로의 개구부[관로 후단부(44b, 41b, 45b)] 및 상기 통기 개구부(37)를 각각 규제하는 제1 내지 제4 규제 영역부(49a 내지 40d)를 마련하고, 또한 이들 제1 내지 제4 규제 영역부(49a 내지 49d)에 각 개구부의 단면적보다도 넓은 영역의 클리어런스(49A 내지 49D)를 마련함으로써, 이들 클리어런스(49A 내지 49D) 및 증기 진입 경로가 상기 트레이(35)의 외측에 대해 마련된 구성이 된다. 이에 의해, 멸균 처리시의 관로의 내측과 관로의 외측의 공간부(47)에 대해 고온 고압 증기 멸균 장치 고압 증기의 진입을 하기 쉬워져 클리어런스가 없는 트레이보다도 침투성이 향상되게 된다.
즉, 고온 고압 증기가 관로 내 및 공간부(47) 내에 빠르게 충전됨으로써 관로 내 및 공간부(47)의 압력이 높아져 온도가 상승한다. 또한, 고온 고압 증기가 관로 내의 중간부에도 빠르게 충전됨으로써 이 관로 내의 중간부의 압력이 높아져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온도가 빠르게 상승함으로써 고온 고압 증기 멸균을 단시간에, 또한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내시경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트레이(35)에 마련된 상기 클리어런스(49A 내지 49D)를 갖는 제1 내지 제4 규제 영역부(49a 내지 49d)에 의해, 상기 내시경(2)을 상기 트레이(35)에 수납한 경우라도 상기 관로의 개구부[관로 후단부(44b, 41b, 45b)]나 증기 진입 구멍인 통기 개구부(37)에 의한 내시경 내부로의 증기 진입이 저해되지 않아 내시경(2)에 내장된 관로 내의 멸균을 보다 빠르고, 또한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예)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내시경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5는 내시경 시스템에 이용된 멸균 수용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6은 도5에 도시한 멸균 수용 케이스의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내시경(2)을 멸균용 수납 케이스(34)에 수납하여 고온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하는 경우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를 멸균용 팩(필팩 등)에 수 납[곤포(梱包)]한 상태로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34)의 트레이(35) 및 덮개 부재(36)에는 수증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도시하지 않은 통기구(증기 진입 구멍)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멸균용 팩은 통상 수증기를 통과시키지 않는 필름면과 수증기를 통과시키는 필터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상기 필름면이 상기 트레이(35) 혹은 덮개 부재(36)의 통기구(증기 진입 구멍)에 밀착하면 이 필름면에 의해 통기구를 폐색하여 수증기가 멸균용 수납 케이스 내에 들어가지 않게 되어 멸균 효과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시경(2)을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34)에 수납하고, 이 수납한 멸균용 수납 케이스(34)를 멸균용 팩에 수납(곤포)하여 밀봉한 상태라도 멸균용 수납 케이스(34) 내로의 증기 진입이 저해되지 않아 멸균을 빠르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를 도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내시경 시스템은 상기 내시경(2)을 멸균용 수납 케이스(34)에 수납하고, 이 멸균용 수납 케이스(34)를 멸균용 팩(51)에 수납하여 밀봉한 상태로, 이 멸균용 팩(51)을 고온 고압 증기 멸균 장치 내의 챔버에 넣어 고온 고압 증기 멸균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멸균용 팩(51)은 수증기를 통과시키지 않는 특성을 갖는 투명한 필름면(51A)(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광투과성 필름의 일예로서 기능함)과, 수증기를 통과시키는 특성을 갖는 필터면(종이 필터 등)(51B)(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의 증기 투과성 필터의 일예로서 기능함)을 갖고, 상기 필름면(51A)과 상기 필터면(51B)의 양 측단부가 접속부(51C)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34)를 밀봉한 상태로 수납 가능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5에서는 필름면(51A) 및 필터면(51B)에 의해서만 멸균용 팩(51)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지만, 이러한 구조에 한정하여 해석할 필요는 없으며 멸균용 팩(51)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필름면(51A) 및 필터면(51B)을 구비하고 있으면, 멸균용 팩으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34)의 트레이(35) 및 덮개 부재(36)는 상기 멸균용 팩(51)에 수납한 경우에 상기 필터면(51B)이 외압에 의해 접촉하는 일이 없는 위치에 복수의 통기구(50)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즉, 상기 트레이(35)는 적어도 그 측면의 일부, 혹은 모든 측면에 상기 통기구(50)를 복수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덮개 부재(36)는 상기 트레이(35)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그 측면의 일부, 혹은 모든 측면에 상기 통기구(50)를 복수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통기구(50)는 상기 트레이(35) 및 덮개 부재(36)의 측면뿐만 아니라, 또한 덮개 부재(36)의 상면, 혹은 트레이(35)의 바닥면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이제, 본 실시예의 내시경(2)을 멸균용 수납 케이스(34)에 수납하고, 이 멸균용 수납 케이스(34)를 멸균용 팩(51)에 수납하여 챔버 내에 넣고 고온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하는 것으로 하자. 이 경 우, 상기 멸균용 팩(51)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의 바닥면(52A) 상에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에 의해 고온 고압 증기 멸균 처리가 행해지면 수증기는 상기 멸균용 팩(51)의 필터면(51B)을 투과하여 이 멸균용 팩(51) 내에 들어간다. 그 후, 이 수증기는 상기 덮개 부재(36) 및 상기 트레이(35) 상에 마련된 복수의 통기구(50)를 거쳐서 멸균용 수납 케이스(34) 내에 진입한다. 그 후에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용함으로써 상기 내시경(2) 내의 관로의 내측 및 외측에는 수증기가 충전되어 빠르게 고온 고압 증기 멸균 처리가 행해진다.
이 때, 상기 멸균용 팩(51)은 예를 들어 멸균 처리에 수반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필름면(51A)이 덮개 부재(36)의 상면에 밀착하였다고 해도,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 부재(36)의 측면에 통기구(5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들 통기구(50)는 폐색되는 일은 없으며, 수증기를 멸균용 팩(51) 내에 진입시킬 수 있다. 그 밖의 효과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시경(2)을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34)에 수납하고, 이 수납한 멸균용 수납 케이스(34)를 멸균용 팩에 수납(곤포)하여 밀봉한 상태라도 멸균용 수납 케이스(34) 내로의 증기 진입이 저해되지 않고 멸균을 빠르고 또한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6은 상기 복수의 통기구(50)를 마련한 덮개 부재(36)의 측면에 필름면(51A)이 밀착한 경우라도 수증기를 충분히 멸균용 팩(51) 내에 진입시키는 것이 가능한 상기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의 멸균용 수납 케이스(34)는 덮개 부재(36)의 측면에 복수의 오목부(50A)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들 오목부(50A)에 각각 통기구(50a)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필름면(51A)이 덮개 부재(36)의 측면에 밀착한 경우라도 필름면(51A)과 오목부(50A)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생기게 되므로, 통기구(50a)는 폐색될 일은 없으며 수증기를 충분히 멸균용 팩(51) 내에 진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예에서는 상기 덮개 부재(36)의 측면에 통기구(50a)를 갖는 복수의 오목부(50A)를 설치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또한 트레이(35)의 바닥면에 대해서도 동일한 통기구(50a)를 갖는 복수의 오목부를 설치하여 구성해도 좋다. 이에 의해, 필터면(51B)에 있어서의 필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도 얻는다.
(제3 실시예)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내시경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7은 내시경 시스템에 이용된 멸균 수용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8은 도7에 도시한 멸균용 수납 케이스를 멸균용 팩에 수납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또한, 도9 및 도10은 상기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도9는 도8의 멸균 팩을 챔버 내에 넣은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10은 도9의 받침 부재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내시경 시스템에서는 상기 멸균용 수 납 케이스(34)의 덮개 부재(36)에, 트레이(35)에 수납된 내시경(2)을 눈으로 볼 수 있는 확인 표시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확인 표시부(36b)는 트레이(35)에 수납된 내시경(2)의 주요 부분의 배치 위치에 따라서 설치된 덮개 부재(36)의 개구부(36a)에, 예를 들어 고온 고압 증기에 견디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 투명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확인 표시부(36b)는 상기 투명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해도 좋고, 혹은 이 투명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단순히 개구부(36a)만의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덮개 부재(36) 전체를 투명 부재로 구성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34) 내에 수용된 내시경(2)의 고온 고압 증기 멸균에 의한 멸균 효과의 확인을 위해 상기 트레이(35)에 수용하는 내시경(2)에는 상기 확인 표시부(36b)의 배치 위치에 맞추어, 고온 고압 증기 멸균에 의한 멸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시트 형상의 화학적 인디케이터(혹은 생물학적 인디케이터)(2a)가 점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35)의 측면에는 상기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통기구(50)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상기 트레이(35)의 바닥면에 대해서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통기구(5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온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하는 경우 상기 구성의 멸균용 수납 케이스(34)에 상기 내시경(2)을 수납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멸균용 수납 케이스(34)를 멸균용 팩(51)에 수납한 후에 챔버 내에 넣고 고온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한다. 또한,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상기 확인 표시부(36b)를 설치함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34)는 멸균용 팩(51)에 수납된 상태로 챔버 내에 수용하여 고온 고압 증기 멸균이 행해진다. 그 후, 고온 고압 증기 멸균이 완료된 후, 고온 고압 증기 멸균이 이루어진 멸균용 팩(51)을 챔버로부터 취출한다.
이 경우, 상기 멸균용 팩(51)의 필름면(51A)은 투명이며, 또한 내부에 수용된 멸균용 수납 케이스(34)의 덮개 부재(36)에는 투명한 확인 표시부(36b)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멸균용 팩(51) 및 덮개 부재(36)를 개방하지 않고 내시경(2)을 취출하지 않고도 트레이(35) 내에 수용된 내시경(2)의 상태를 시인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상기 내시경(2)에 점착된 화학적 인디케이터(2a)를 시인할 수 있으므로, 이 화학적 인디케이터(2a)를 보고 고온 고압 증기 멸균에 의한 상기 내시경(2)의 멸균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 외에, 고온 고압 증기 멸균 완료 후에 멸균용 팩(51)이나 멸균용 수납 케이스(34)를 개방하지 않아도 수납된 내시경(2)의 상태를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내시경(2)에 화학적 인디케이터를 점착하면 내시경(2)의 멸균 효과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9 및 도10은, 상기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고온 고압 증기 멸균은 상기 내시경(2)을 수납한 멸균용 수납 케이스(34), 혹 은 이 멸균용 수납 케이스(34)를 수납한 멸균용 팩(51)을 챔버에 넣어 행해지고 있지만, 보다 빠르게 고온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하기 위해서는 이 챔버의 크기 형상을 멸균용 수납 케이스(34), 혹은 멸균용 팩(51)의 크기 형상에 가능한 한 맞추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챔버를 구성하면, 트레이(35)의 바닥면에 상기 멸균용 팩(51)의 필터면(51B)이 밀착되어 이 바닥면에 마련된 통기구(50)를 폐색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게 하면, 수증기의 트레이(35)에의 진입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멸균용 팩(51)을 얹는 받침 부재(53)(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통기 수단의 일예로서 기능함)를 상기 챔버(52)의 바닥면에 설치하였다. 이 받침 부재(53)는, 예를 들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코 형상의 플레이트이며, 이 플레이트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다리부(53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받침 부재(53)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트레이(35)의 바닥면에 상기 필터면(51)이 밀착되고, 상기 바닥면의 통기구(50)를 폐색한 경우라도 상기 받침 부재(53)의 다리부(53a)에 의해 상기 트레이(35)의 바닥면과 챔버(52)의 바닥면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발생시키고, 또한 이 받침 부재(53)는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증기를 트레이(35)의 바닥면(통기구)을 거쳐서 트레이(35) 내에 진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상기 챔버(52)를, 쓸데없는 공간이 없도록 수용하는 멸균용 팩(51) 및 멸균용 수납 케이스(34)의 크기 형상에 맞추어 구성할 수 있으므로, 고 온 고압 증기 멸균을 보다 빠르고, 또한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서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내시경 시스템은, 내시경에 내장된 관로 내의 멸균을 종래보다 빠르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내시경에 의한 내시경 검사가 복수예 행해지고, 최초의 검사에서 사용한 내시경을 리프로세스하여 같은 날에 몇번이나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유효하다.

Claims (15)

  1. 오토클레이브 멸균시에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와 연통된 내부 영역을 구비한 내시경을 수납하는 멸균용 수납 케이스이며,
    수납하였을 때에 상기 개구부가 개구하는 위치에 소정의 용적을 갖는 공극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공극 부분과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의 외부 공간 사이를 연통하고, 멸균시에 상기 외부 공간으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상기 공극 부분 및 상기 개구부를 경유하여 상기 내시경의 내부 영역에 도입하는 증기 진입 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수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을 수납하였을 때에 상기 개구부가 상기 공극 부분에 대해 개구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수납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 부분 및 상기 증기 진입 경로는 증기 침입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의 면적이 상기 개구부의 개구 면적 이상의 값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수납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멸균 대상인 상기 내시경은 상기 개구부로서 내부에 형성된 소정 관로와 연통된 관로 개구부와, 상기 관로의 외표면을 상기 내시경의 외부 공 간과 연통시키기 위한 통기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극 부분 및 상기 증기 진입 경로는 상기 관로 개구부 및 상기 통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각각 복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수납 케이스.
  5.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와 연통된 내부 영역을 구비한 내시경과, 상기 내시경을 오토클레이브 멸균시에 수납하는 멸균용 수납 케이스를 구비한 내시경 시스템이며,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는,
    수납하였을 때에 상기 개구부가 개구하는 위치에 소정의 용적을 갖는 공극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공극 부분과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의 외부 공간 사이를 연통하고, 멸균시에 상기 외부 공간으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상기 공극 부분 및 상기 개구부를 경유하여 상기 내시경의 내부 영역에 침입시키는 증기 진입 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은 상기 개구부로서 내부에 형성된 소정 관로와 연통된 관로 개구부와, 상기 관로의 외표면을 상기 내시경의 외부 공간과 연통시키기 위한 통기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극 부분 및 상기 증기 진입 경로는 상기 관로 개구부 및 상기 통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각각 복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개구부는 내부의 전기 회로를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부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은 사용시에 피검체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사용시에 피검체 밖에 위치하여 상기 내시경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개구부는 상기 조작부의 일부 영역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은 사용시에 피검체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사용시에 피검체 밖에 위치하여 상기 내시경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이용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로 개구부는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 및 상기 조작부의 일부 영역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오토클레이브 멸균시에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를 내부에 수용하는 기능을 갖고,
    적어도 외주 부분의 일부가 증기 투과성 필터 및 광투과성 필름에 의해 형성된 멸균용 팩을 더 구비하고,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는 상기 멸균용 팩에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외주 부 분과 비접촉이 되는 영역에서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의 외부 공간과 연통되는 통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는 측면에서 상기 통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오토클레이브 멸균시에 연직 상방측에 상기 광투과성 필름이 위치하는 동시에 연직 하방측에 상기 증기 투과성 필터가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멸균용 팩을 수용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있어서 오토클레이브 멸균시에 상기 멸균용 팩의 연직 하방측과 접촉한 상태로 상기 멸균용 팩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멸균용 팩을 형성하는 상기 증기 투과성 필터와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 사이의 통기 상태를 확보하는 통기 수단을 갖는 오토클레이브 멸균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는 수납한 상기 내시경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시인 수단을 연직 상방측에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시인 수단 및 상기 멸균용 팩의 연직 상방측에 배치된 상기 광투과성 필름을 거쳐서 오토클레이브 멸균시에 외부로부터 상기 내시경을 시인 가능해지도록 상기 멸균용 팩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수단은,
    멸균용 팩의 하면과 접촉한 상태로 배치된 그물형 부재와,
    상기 그물형 부재와 상기 챔버의 바닥부 사이에 공극을 확보하는 다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 수단은 소정의 개구 또는 상기 개구에 투명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은 상기 멸균용 수납 케이스에 수납되었을 때에 상기 시인 수단을 거쳐서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위치에 오토클레이브 멸균에 의한 멸균 효과를 표시하는 화학적 인디케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KR1020067009138A 2003-11-12 2004-11-12 멸균용 수납 케이스 및 내시경 시스템 KR100752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82964 2003-11-12
JP2003382964A JP4414734B2 (ja) 2003-11-12 2003-11-12 内視鏡システム
PCT/JP2004/016876 WO2005046427A2 (ja) 2003-11-12 2004-11-12 滅菌用収納ケース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954A true KR20060085954A (ko) 2006-07-28
KR100752489B1 KR100752489B1 (ko) 2007-08-27

Family

ID=3458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138A KR100752489B1 (ko) 2003-11-12 2004-11-12 멸균용 수납 케이스 및 내시경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93602B2 (ko)
EP (1) EP1683469B1 (ko)
JP (1) JP4414734B2 (ko)
KR (1) KR100752489B1 (ko)
CN (1) CN100438816C (ko)
AU (1) AU2004289131B2 (ko)
CA (1) CA2545691C (ko)
WO (1) WO200504642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0141B2 (ja) * 2003-12-22 2010-08-0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4648773B2 (ja) * 2005-06-23 2011-03-09 Hoya株式会社 内視鏡滅菌用トレイ
JP2007054343A (ja) * 2005-08-25 2007-03-08 Pentax Corp 内視鏡蒸気滅菌用トレイ
US20090286030A1 (en) * 2008-05-16 2009-11-19 Steris Inc. Instrument holder and connector
WO2010093265A2 (en) * 2009-02-13 2010-08-19 Mercer Technologies Limited A sterilisation bag
WO2011047127A1 (en) 2009-10-15 2011-04-21 Minntech Corporation Room fogging disinfection system
EP2586465B1 (en) * 2009-12-03 2014-04-23 Minntech Corporation System for decontaminating a medical device with a fog
WO2012068240A2 (en) * 2010-11-16 2012-05-24 Symmetry Medical Manufacturing,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biological content within a container
EP2714101B1 (en) 2011-05-27 2016-05-18 Mar Cor Purification, Inc. Decontamination system and method
US8845962B2 (en) 2011-06-07 2014-09-30 Actitech, L.P. Apparatus and method for steam disinfection of a powder
JP5289525B2 (ja) * 2011-08-23 2013-09-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及び内視鏡の滅菌方法
US9414893B2 (en) * 2013-05-24 2016-08-16 Daniel R. Jacobson Protective box for surgery
JP6886300B2 (ja) * 2017-01-25 2021-06-16 Hoya株式会社 内視鏡ケース
US10668176B2 (en) 2017-12-01 2020-06-02 Asp Global Manufacturing Gmbh Sterilization tray
US10814027B2 (en) 2017-12-07 2020-10-27 Asp Global Manufacturing Gmbh Sterilization-assistance device
US10967084B2 (en) 2017-12-15 2021-04-06 Asp Global Manufacturing Gmbh Flow restrictor
US11191859B2 (en) 2017-12-29 2021-12-07 Asp Global Manufacturing Gmbh Sterilization tray
US20190201568A1 (en) * 2017-12-29 2019-07-04 Ethicon, Inc. Sterilization tra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1943A (en) * 1984-04-30 1987-06-09 Kimberly-Clark Corporation Sterilization and storage container
US4783321A (en) * 1984-12-18 1988-11-08 Instrumed, Inc. Sterlization container system
US5590777A (en) * 1993-03-01 1997-01-07 Ongard Systems, Inc. Sterilizable flexible pouch package
US5424048A (en) * 1994-03-15 1995-06-13 Riley Medical Inc. Modular sterilization tray system for medical instruments
US5792422A (en) * 1996-12-20 1998-08-11 Ethicon, Inc. Liquid/vapor sterilization container systems
JP3615059B2 (ja) * 1998-08-07 2005-01-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オートクレーブ滅菌処理方法
DE69938259T2 (de) * 1998-12-30 2009-02-26 Ethicon Inc. Sterile verpackung für flexible endoskope
JP3833879B2 (ja) * 2000-08-04 2006-10-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US7122150B2 (en) * 2002-01-11 2006-10-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nic reader for sterilization mon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38816C (zh) 2008-12-03
US20060193761A1 (en) 2006-08-31
US7993602B2 (en) 2011-08-09
EP1683469A4 (en) 2008-03-26
EP1683469B1 (en) 2012-06-13
JP4414734B2 (ja) 2010-02-10
KR100752489B1 (ko) 2007-08-27
AU2004289131B2 (en) 2008-07-31
WO2005046427A2 (ja) 2005-05-26
JP2005143669A (ja) 2005-06-09
WO2005046427A3 (ja) 2005-07-07
CN1878496A (zh) 2006-12-13
CA2545691C (en) 2009-03-24
EP1683469A2 (en) 2006-07-26
CA2545691A1 (en) 2005-05-26
AU2004289131A1 (en) 200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489B1 (ko) 멸균용 수납 케이스 및 내시경 시스템
JP3905320B2 (ja) 内視鏡用高温高圧蒸気滅菌容器及び内視鏡洗滌滅菌システム
JP3691764B2 (ja) オートクレーブ装置
EP1707104B1 (en) Endoscope, endoscope system, and filter unit
JP3833879B2 (ja) 内視鏡装置
KR100845079B1 (ko) 내시경의 고온 고압 증기 멸균 처리 방법 및 내시경
EP3484405B1 (en) A pressure test port contained within a body of surgical instrument
JP2002017824A (ja) 高温高圧蒸気滅菌容器
US7850603B2 (en) Endoscope for sterilizing built-in elongated channel with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vapor
EP1574223B1 (en) Autoclave sterilization treatment method and autoclave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this treatment method
JP4678980B2 (ja) 内視鏡冷却装置
JP4472280B2 (ja) 内視鏡の高温高圧蒸気滅菌処理方法
KR100822543B1 (ko) 내시경, 내시경 시스템 및 필터 유닛
JP4520141B2 (ja) 内視鏡装置
JP2002330921A (ja) 内視鏡装置
JP3831276B2 (ja) 内視鏡用オートクレーブ装置
JP5000081B2 (ja) 内視鏡
JP2010201052A (ja) 内視鏡
JPH06319683A (ja) 内視鏡カバー方式の内視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