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5451A -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5451A
KR20060085451A KR1020050006322A KR20050006322A KR20060085451A KR 20060085451 A KR20060085451 A KR 20060085451A KR 1020050006322 A KR1020050006322 A KR 1020050006322A KR 20050006322 A KR20050006322 A KR 20050006322A KR 20060085451 A KR20060085451 A KR 20060085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phone
call
message
mod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8001B1 (ko
Inventor
황정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6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001B1/ko
Priority to US11/337,627 priority patent/US20060166652A1/en
Priority to EP06001459A priority patent/EP1684493A2/en
Publication of KR20060085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9/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ight reciprocating saw blades, e.g. hacksaws
    • B23D49/10Hand-held or hand-operated sawing devices with straight saw blades
    • B23D49/12Hacksa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1/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 B23D51/08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devices for mounting straight saw blades or other tools
    • B23D51/1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devices for mounting straight saw blades or other tools for use with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e.g. bows adjustable in length or height
    • B23D51/125Blade tension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 통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화개시가 감지될 경우, 통화모드로 진입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모드로 진입후, 스피커폰 통화모드가 설정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 설정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안내메시지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안내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통화중 스피커폰 통화모드로 전환시 자동으로 미리 지정된 안내메시지를 상대방에 전송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고 효율적으로 사생활 침해를 방지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스피커폰 통화, 사생활 보호, 오디오 데이터

Description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 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SPEAKER-PHONE MODE TO THE CALLING PARTNER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폰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 통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모드를 상대방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화중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시 스피커폰 통화를 안내하는 음성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 통신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어가 고 있으며, 반면에 점차 소형 경박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단순한 통화기능 이외에, 음악 파일을 다운받아서 청취를 하고, VOD(Video On Demand) 파일을 받아서 동영상을 감상하거나,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앨범 등으로 저장하는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함께,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단말기에 부착 또는 부가하여 사용되고 있는 주변기기 역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착탈이 가능하거나(attachable) 내장형(built-in)으로 구성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공중파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TV수신 모듈, MP3 파일 재생이 가능한 MP3 플레이어 모듈, 고성능 스피커 모듈 등이 대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재의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통화'라는 본연의 기능 이외에 멀티미디어 기능이 점점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면서 개인의 사생활과 정보유출 등이 커다란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일 예로, 카메라폰의 경우 가장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는데, 근래에는 제도적으로 플래시와 셔터 음 장치를 의무적으로 갖추게 해 몰래 사진 찍는 것을 막고, 특정 지역에서는 휴대를 금지하도록 하는 등 많은 해결책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문제가 되는 것이 스피커폰 기능이다. 현재는 스피커폰 기능을 가진 단말기 사용자가 스피커폰 모드를 사용해서 통화를 해도, 상대방이 상기 사용자가 일반통화를 하는지 스피커폰 통화를 하는지 알 수가 없다. 즉, 전화를 건 상대방이 지극히 사적인 대화를 하고 싶은데, 스피커폰 기능을 가진 단말기 사용자의 악의적인 의도로 인해서 전화를 건 상대방의 사생활이 침해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는 상기 카메라폰과 달리 스피커폰 기능에 대해서 개인의 사생활 침해와 관련하여 아무런 해결책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시 미리 설정된 음성메시지를 현재 개통되어 있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중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 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 통보하기 위한 방법은, 스피커폰 통화모드 수행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안내메시지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안내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안내메시지는 오디오 파일 포맷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안내메시지는 AAC(Advanced Audio Codec)데이터, PCM(Pulse Coed Modulation)데이터, AMR(Adaptive Multi Ratio)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안내메시지는 현재 개통되어 있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통해 상기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 해제시,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해제 안내메시지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해제 안내메시지를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 통보하기 위한 장치는, 스피커폰 통화를 위한 고성능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구비하는 스피커폰 모듈과, 상기 스피커폰 통화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스피커폰 통화 수행시,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독출하여 송신부로 제공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메시지를 현재 개통되어 있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상기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 통보하 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다시말해, 통화중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시 미리 설정된 음성메시지를 현재 개통되어 있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메시지는 AAC(Advanced Audio Codec), PCM(Pulse Coed Modulation), AMR(Adaptive Multi Ratio) 등의 오디오 파일 포맷의 데이터로, 상기 음성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상대방 음성을 재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음성메시지를 코덱을 통해 디코딩한후 스피커를 통해 재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폰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4G(OFDM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스피커폰 통화시 메모리(10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성메시지를 독출해서 현재 개통된 트래픽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102)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및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시스템 파라미터(system parameter) 및 기타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SMS 메시지 등)를 저장한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모리(102)는 본 발명에 따라 스피커폰 모드 설정을 안내하는 메시지 및 스피커폰 모드 해제를 안내하는 메시지가 저장된다. 상기 안내메시지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AC(Advanced Audio Codec), PCM(Pulse Coed Modulation), AMR(Adaptive Multi Ratio) 등의 오디오 파일 포맷의 데이터이다.
키패드(key pad)(104)는 0 ∼ 9의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TALK), 종료키(END), 인터넷 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들(상/하/좌/우)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표시부(106)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또는 인디케이터),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06)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RF부(Radio Frequency module)(108)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래디오 주파수(RF : Radio Frequency)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모뎀부(110)로 제공하고, 상기 모뎀부(110)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모뎀부(110)는 상기 RF부(108)와 상기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해당 무선 접속 규격에 따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할수 있다.
코덱(112)은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데이터(예 : PCM, AMR, AAC 등)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칭부(114)로 출력하고, 상기 스위칭부(114)를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코딩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스위칭부(114)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일반 통화모드이면 상기 코덱(112)과 음성 입출력 블록(116) 사이에 음성경로를 형성하고, 스피커폰 통화모드이면 상기 코덱(112)과 스피커폰 모듈(118) 사이에 음성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음성 입출력 블록(116)은 사용자가 일반 통화를 할때 음성을 입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마이크가 구비된다. 상기 스피커폰 모듈(118)은 사용자가 스피커폰 통화를 할때 음성을 입출력하기 위한 고성능의 스피커와 마이크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폰 모듈(118)은 단말기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른 예로 착탈 가능한 외장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 통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는 201단계에서 통화로 연결에 따른 통화개시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통화개시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225단계로 진행하여 해당모드(예 :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통화개시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통화모드로 진입한후, 상기 제어부(100)는 205단계에서 스피커폰 모드가 설정되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폰 모드는 통화모드 개시시 디폴트(default)로 설정될 수 있고, 일반통화중 모드전화 버튼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기타 단말기의 이벤트(폴더 동작, 외장 스피커폰 모듈의 장착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스피커폰 모드가 설정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231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로 해제에 따른 통화종료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통화종료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상기 205단계로 되돌아가고, 상기 통화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19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상기 스피커폰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스피커폰 모드 설정을 안내하는 음성메시지(예 : 스피커폰 통화를 수행합니다)를 메모리(102)로부터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209단계에서 상기 독출된 음성메시지를 현재 개통된 트래픽 채널(TX PATH)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한 다. 여기서, 상기 음성메시지는 AAC(Advanced Audio Codec), PCM(Pulse Coed Modulation), AMR(Adaptive Multi Ratio) 등의 오디오 파일 포맷의 데이터로, 상대방 단말기는 상기 음성메시지를 코덱을 통해 디코딩한후 스피커를 통해 재생한다.
상기 스피커폰 통화를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전송한후, 상기 제어부(100)는 211단계에서 스피커폰 모드가 해제되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스피커폰 모드는 스피커폰 통화중 모드전화 버튼에 의해 해제될 수 있고, 기타 단말기의 이벤트(폴더 동작, 외장 스피커폰 모듈의 탈착 등)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스피커폰 모드가 해제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223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로 해제에 따른 통화종료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통화종료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11단계로 되돌아가고, 상기 통화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19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상기 스피커폰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스피커폰 모드 해제를 안내하는 음성메시지(예 : 스피커폰 통화를 해제합니다)를 메모리(102)로부터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215단계에서 상기 독출된 음성메시지를 현재 개통된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음성메시지를 AAC(Advanced Audio Codec), PCM(Pulse Coed Modulation), AMR(Adaptive Multi Ratio) 등의 오디오 파일 포맷의 데이터로, 상대방 단말기는 상기 음성메시지를 코덱을 통해 디코딩한후 스피커를 통해 재생한다.
상기 스피커폰 통화를 해제하는 음성메시지를 전송한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17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로 해제에 따른 통화종료를 검사한다. 이때, 통화종 료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05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고, 상기 통화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19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모드를 해제한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폰 통화를 알리는 메시지를 오디오 파일 포맷의 데이터로 상대방에게 전송하여 상대방 단말기의 스피커로 재생하지만, 다른 실시예로 단문메시지(short message)를 상대방에게 전송하여 상대방 단말기에 안내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단문메시지를 이용해 상대방 단말기를 제어할수 있는 코드를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기에서 상기 코드를 수신하여 소정의 동작(예 : 비프음 발생)을 수행하도록 할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중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시 자동으로 미리 지정된 안내메시지를 상대방에 전송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고 효율적으로 사생활 침해를 방지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0)

  1.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 통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스피커폰 통화모드 수행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안내메시지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안내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메시지는 오디오 파일 포맷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메시지는 AAC(Advanced Audio Codec)데이터, PCM(Pulse Coed Modulation)데이터, AMR(Adaptive Multi Ratio)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메시지는 현재 개통되어 있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통해 상기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는 통화모드 개시시 디폴트(default)로 수행되거나, 일반 통화중 모드전환 버튼에 의해 수행되거나, 폴더 동작 및 외장 스피커폰 모듈의 장착과 같은 소정 이벤트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 해제시,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해제 안내메시지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해제 안내메시지를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는 스피커폰 통화중 모드전환 버튼에 의해 해제되거 나, 폴더 동작 및 외장 스피커폰 모듈의 탈착과 같은 소정 이벤트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스피커폰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 통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통화개시가 감지될 경우, 통화모드로 진입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모드로 진입후, 스피커폰 통화모드가 설정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 설정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안내메시지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안내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메시지는 오디오 파일 포맷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메시지는 AAC(Advanced Audio Codec)데이터, PCM(Pulse Coed Modulation)데이터, AMR(Adaptive Multi Ratio)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메시지는 현재 개통되어 있는 트래픽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는 통화모드 개시시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거나, 일반 통화중 모드전환 버튼에 의해 설정되거나, 폴더 동작 및 외장 스피커폰 모듈의 장착과 같은 소정 이벤트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 해제시,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해제 안내메시지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해제 안내메시지를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는 스피커폰 통화중 모드전환 버튼에 의해 해제되거나, 폴더 동작 및 외장 스피커폰 모듈의 탈착과 같은 소정 이벤트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 통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스피커폰 통화를 위한 고성능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구비하는 스피커폰 모듈과,
    상기 스피커폰 통화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스피커폰 통화 수행시,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독출하여 송신부로 제공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메시지를 현재 개통되어 있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상기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오디오 파일 포맷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AAC(Advanced Audio Codec)데이터, PCM(Pulse Coed Modulation)데이터, AMR(Adaptive Multi Ratio)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폰 통화는 통화모드 개시시 디폴트(default)로 수행되거나, 일반 통화중 모드전환 버튼에 의해 수행되거나, 폴더 동작 및 외장 스피커폰 모듈의 장착과 같은 소정 이벤트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폰 통화 해제시,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해제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송신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폰 통화는 스피커폰 통화중 모드전환 버튼에 의해 해제되거나, 폴더 동작 및 외장 스피커폰 모듈의 탈착과 같은 소정 이벤트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50006322A 2005-01-24 2005-01-24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58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322A KR100658001B1 (ko) 2005-01-24 2005-01-24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337,627 US20060166652A1 (en) 2005-01-24 2006-01-23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porting a speakerphone call mod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to a calling partner
EP06001459A EP1684493A2 (en) 2005-01-24 2006-01-24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porting a speakerphone call mod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to a calling part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322A KR100658001B1 (ko) 2005-01-24 2005-01-24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451A true KR20060085451A (ko) 2006-07-27
KR100658001B1 KR100658001B1 (ko) 2006-12-15

Family

ID=3620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322A KR100658001B1 (ko) 2005-01-24 2005-01-24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166652A1 (ko)
EP (1) EP1684493A2 (ko)
KR (1) KR100658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263B1 (ko) * 2005-10-19 2012-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폰 기능 사용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법
CN101855318B (zh) * 2007-09-07 2013-07-17 佩拉化学有限公司 方法和组合物
CN102111513A (zh) * 2010-11-22 2011-06-29 上海南华机电有限公司 基于ofdm技术的交直流电源线工业现场电话网络和通讯方法
US8848934B2 (en) * 2010-12-08 2014-09-30 Skype Controlling audio signals
US9553973B2 (en) 2011-09-22 2017-01-24 Blackberr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losing privacy conditions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US9204263B2 (en) 2012-05-23 2015-12-01 Mark A. Lindner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group communication based on motion of a mobile device
US9674694B2 (en) * 2012-05-23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group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device with mode transition based on motion
US9392421B2 (en) 2012-05-23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group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device with mode depending on user proximity or device position
US10015310B2 (en) 2016-06-07 2018-07-03 I.M.N.A. Solutions Ltd Detection of privacy breach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US10455078B1 (en) 2018-07-11 2019-10-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ing privacy in mobile phone calls by caller controlled audio delivering mod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1873B1 (en) * 2000-07-05 2004-05-25 Motorola, Inc. Background noise adaptable speaker phone for use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6795544B1 (en) * 2000-11-08 2004-09-21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for public conversation indication in a telephony exchange
JP3843768B2 (ja) * 2001-06-22 2006-11-08 ソニー株式会社 通話制御方法と通話制御システム及び無線電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84493A2 (en) 2006-07-26
KR100658001B1 (ko) 2006-12-15
US20060166652A1 (en) 200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00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70178934A1 (en) Mobile phone with automatic recording function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JP2002223279A (ja) 通信端末装置
KR20050067865A (ko) 통화와 함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이 가능한 이동 통신단말기
CN101399889A (zh) 一种对发声设备进行消音处理的方法及装置
KR100790099B1 (ko) 휴대 단말기의 배경음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KR100685279B1 (ko) 예약 통화를 이용한 알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이동통신 단말기
JP2006005617A (ja) マルチメディアシステム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651402B1 (ko) 착신 차단방법
KR100713474B1 (ko) 휴대단말기와 헤드셋간에 정보 송수신 방법
KR10072621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CN116708654A (zh) 音频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8120217A (zh) 音频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1069764B1 (ko) 이동 단말기의 도청 모드 구현 방법
KR101033927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특정모듈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KR100713548B1 (ko) 영상신호 송수신 장치
KR1005918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 유지 방법
JP2002223280A (ja) 通信端末装置及び基地局装置
KR10079014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10076793A (ko)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거부 방법
KR100629078B1 (ko) 요청받은 전화 번호로의 통화 요청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52505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인식기능을 이용한 배경을자동설정하기 위한 방법
KR2006013314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알림메시지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