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4724A -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724A
KR20060084724A KR1020050005516A KR20050005516A KR20060084724A KR 20060084724 A KR20060084724 A KR 20060084724A KR 1020050005516 A KR1020050005516 A KR 1020050005516A KR 20050005516 A KR20050005516 A KR 20050005516A KR 20060084724 A KR20060084724 A KR 20060084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teel wire
material removal
foreign material
horizontal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단국대학
김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단국대학, 김기석 filed Critical 학교법인단국대학
Priority to KR1020050005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4724A/ko
Publication of KR20060084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7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3Drive units for endoscopic tools inserted through or with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in-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거울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치과용 거울의 사용을 편리하게 함은 물론 거울을 통하여 치아, 치주 등의 상태를 상세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치과용 거울에 설치된 버튼을 누르게 되면 거울 주연부에 설치된 이물질 제거구가 거울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계속적인 치료 행위를 할 수 있음은 물론 치료 부위를 상세하게 살피면서 치료를 하도록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손잡이의 일측 선단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거울을 구비한 치과용 거울에 있어서, 승강 수단에 일측이 연결되어 승강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타측은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여 손잡이의 가이드공에 설치되는 강선과, 상기 강선의 절곡부 끝단에 연결되는 수평강선과, 거울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승강되게 거울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수평강선이 가이드 되도록 수평강선의 양단에 형성된 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수평강선에 결합된 제거구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되게 거울의 주연부에 다수개 형성되는 배출공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거울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구강 내에서 치과용 거울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치료 도중에도 치료 행위의 중단 없이 신속하게 치료를 할 수 있게 되며, 치과용 거울을 통하여 치료 부위를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치료를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치과용 거울, 슬라이드 버튼, 강선, 이물질 제거구

Description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Dental Mirror having Alien Substance Cleaning Function}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거울의 제1실시예를 보인 일부 절결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거울의 제2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이물질 제거구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이물질 제거구 작동 중간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이물질 제거구 작동 후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이물질 제거구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이물질 제거구 작동 중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이물질 제거구 작동 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10은 도4의 A-A선 단면도
도11은 도5의 B-B선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 이물질 제거구의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 치과용 거울의 제3실시예에 의한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14는 본 발명 이물질 제거구의 제3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위치 2: 모터
3: 제1웜축 4: 제2웜축
5: 웜휠
10: 손잡이 11: 삽입공
12: 돌기 13: 강선
14: 가이드공 15: 고정 걸림턱
16: 리턴 스프링 17: 이동 걸림턱
20: 이물질 제거구 20a: 제거구
21: 슬라이드 버튼 22: 거울
23: 거울받침대 24: 가이드홈
25: 홈
31: 누름버튼 32: 고정턱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 하게는 치과용 거울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치과용 거울의 사용을 편리하게 함은 물론 거울을 통하여 치아, 치주 등의 상태를 상세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치과용 거울은 가느다랗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손잡이의 선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고, 이 선단에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치과용 거울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치과용 거울은 치과의사가 진찰이나 치료를 하기 위하여 환자의 구강 내에 넣고서 치료하고자 하는 부위를 살펴보고 치료 부위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치과용 거울은 구강 내에 위치하는 치아, 치주 등의 상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강 내에 넣게 되면 거울의 표면에 김이 서리게 되어 치아, 치주 등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게 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아의 일부분을 절삭하는 절삭 작업시 절삭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치과용 거울을 다른 공구와 같이 사용하게 되는데 치아로부터 삭제된 파편 및 치아 가공시에 투입되는 물이 튀어 거울 표면에 다량의 이물질이 묻게 되어 거울 표면을 가리게 되어 치료 행위를 계속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용 거울에 설치된 버튼을 누르게 되면 거울 주연부에 설치된 이물질 제거구가 거울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계속적인 치료 행위를 할 수 있음은 물론 치료 부 위를 상세하게 살피면서 치료를 하게 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손잡이의 일측 선단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거울을 구비한 치과용 거울에 있어서, 승강 수단에 일측이 연결되어 승강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타측은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여 손잡이의 가이드공에 설치되는 강선과, 상기 강선의 절곡부 끝단에 연결되는 수평강선과, 상기 수평강선에 결합되어 거울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구와, 거울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승강되게 거울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수평강선이 가이드 되도록 수평강선의 양단에 형성된 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수평강선에 결합된 제거구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되게 거울의 주연부에 다수개 형성된 배출공으로 이루어진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치과용 거울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구강 내에서 치과용 거울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치료 도중에도 치료 행위의 중단 없이 신속하게 치료를 할 수 있게 되며, 치과용 거울을 통하여 치료 부위를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치료를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잡이(10)의 소정 위치에 스위치(1)를 설치하 고, 이에 연결된 모터(2)를 손잡이(10) 내부에 견고하게 설치하며, 모터(2)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a)를 내장하며, 모터(2)의 정역 회전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1웜축(3)을 웜휠(5)의 상부에 설치하고, 이 제1웜축(3)에 의하여 회전되는 웜휠(5)을 결합하고, 웜휠(5)의 하부에 제2웜축(4)을 결합한다.
아울러 제2웜축(4)에 일체로 연장되는 강선(13)을 손잡이(10)에 형성된 가이드공(1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강선(13)의 타측에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13b)를 형성하며, 이 강선(13)의 끝단에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수평강선(13a)을 고정하고, 이 수평강선(13a)의 양 끝단에는 가이드 홈(24)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돌기(13c)를 형성한다.
더불어 커버(18)는 수평강선(13)의 절곡부(13b)가 위치하는 상면에 절곡부(13b)의 이동 상태를 보이지 않도록 절곡부(13b)와 유사한 원호상으로 손잡이(10)에 일체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수평강선(13b)에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이물질 제거구(20)를 결합하고, 이물질 제거구(20)의 하부를 소정의 각도로 돌출시킨 제거구(20a)를 형성한다.
더불어 거울(22)이 삽입된 거울받침대(23)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가이드 홈(24)을 형성하며, 이 가이드 홈(24)에 수평강선(13a)의 양단에 형성된 돌기(13c)을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고, 거울(22)의 주연부에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공(25)을 다수개 형성한다.
또한, 거울(22)의 상부에 위치 감지센서(6)를 설치하고, 이 위치 감지센서 (6)에 수평강선(13)이 도달하게 되면 모터(2)의 회전을 전환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손잡이(10)에 설치된 스위치(1)를 누르게 되면 배터리(2a)로부터 모터(2)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2)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에 따라 모터(2)에 연결된 제1웜축(3)이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제1웜축(3)의 회전에 의하여 웜휠(5)이 회전하게 되며, 제2웜축(4)이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2웜축(4)의 이동에 따라 강선(13)이 거울(22)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강선(13)의 이동에 따라 수평강선(13a)에 결합된 이물질 제거구(20)가 거울(22)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며, 수평강선(13a)은 거울받침대(23)에 형성된 가이드 홈(2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더불어 수평강선(13a)은 거울(2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과 동일한 길이로 펼쳐지면서 제2웜축(4)이 강선(13)을 더욱 밀게 되면 수평강선(13a)은 상부로 밀리게 되며, 수평강선(13a)이 거울(22)의 상부에까지 밀리게 되면 제거구(20a)을 따라 밀린 이물질은 거울(22)의 주연부에 형성된 배출공(25)을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강선(13)의 절곡부(13b)는 이물질 제거구(20)가 거울(22)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가압력을 부여하여 제거구(20a)가 거울(22)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물질의 배출이 완료되면 모터(2)는 위치 감지센서(6)의 센싱에 의하여 역회전하게 되고, 모터(2)의 회전에 따라 제1웜축(3)과 웜휠(5) 및 제2웜축(4)이 회전하면서 강선(13)을 당기게 되고, 이러한 강선(13)의 당김 상태에 따라 이물질 제거구(20)는 거울(22)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하부에 형성된 배출공(25) 을 통해 거울(22)의 주연부로 배출하게 되어 거울(22) 표면을 깨끗하게 닦아주게 된다.
이와 같은 모터(2)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는 수평강선(13a)이 거울(22)의 상부의 위치 감지센서(6)에 도달하게 되면 모터(2)의 회전을 멈추게 되어 수평강선(13)의 이동을 멈추게 되고, 다시 스위치(1)를 조작하게 되면 모터(2)가 역회전하면서 수평강선(13a)을 하부측으로 당긴 후 그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3 내지 도12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한 명칭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손잡이(10)의 소정 위치에 슬라이드 홈(21a)이 형성된 슬라이드 버튼(21)이 삽입되는 삽입공(11)을 형성하고, 이 삽입공(11)의 양측에 돌출된 돌기(12)를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10)의 내부에 강선(12)이 설치되는 소정 직경의 가이드공(14)을 형성한다.
아울러 가이드공(14)의 내부 소정 위치에 고정걸림턱(15)을 형성하고, 이 고정걸림턱(15)에 탄성력을 가진 리턴 스프링(16)을 설치하며, 상기 리턴 스프링(16)의 하부에 이동 걸림턱(17)을 강선(13)에 고정한다.
더불어 커버(18)는 수평강선(13)의 절곡부(13b)가 위치하는 상면에 절곡부(13b)의 이동 상태를 보이지 않도록 절곡부(13b)와 유사한 원호상으로 손잡이(10)에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거울(22)이 삽입된 거울 받침대(23)의 주연부에 소정 깊이의 가이드 홈(24)을 형성하고, 거울 받침대(23)의 주연부에는 거울(22)의 표면에서 닦인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공(25)을 다수개 형성한다.
더불어 이물질 제거구(20)는 수평강선(13a)의 외부에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거구(20a)를 결합하고, 이러한 제거구(20a)는 거울(22)의 표면과 양호한 밀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거울(22)과 접하는 부분을 역삼각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한다.
이와 같은 이물질 제거구(20)와 슬라이드 버튼(21)을 강선(13)으로 연결시키되, 손잡이(10)와 거울(22) 구간에는 강선(13)을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13b)를 형성시켜 수평강선(13a)의 이동시에 수평강선(13a)이 거울(22)의 표면에 밀착되게 가압력을 부여하고, 이러한 절곡부(13b)의 길이를 10~20㎜ 정도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 내에 치과용 거울을 넣어 사용하게 되면 구강 내의 온도, 습도에 의하여 거울(22)의 표면에 김이 서리게 되거나, 핸드피스 등으로 치아를 삭제하다가 거울(21)의 표면에 이물질이 다량으로 묻게 되면 손잡이(10)의 일단에 결합된 슬라이드 버튼(21))을 일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이에 연결되어 있는 강선(13)이 거울(2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강선(13)은 이동 걸림턱(17)이 리턴 스프링(16)을 가압하여 고정 걸림턱(15)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물질 제거구(20)를 거울(21)의 상부 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수평 강선(13a)이 상부로 진행하면서 수평 강선(13a)에 결합된 제거구(20a)가 거울(22)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밀리게 된다.
이렇게 밀린 수평 강선(13a)은 거울(22)의 주연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24)을 따라 밀리면서 거울(22)과 동일한 직경으로 펼쳐지게 되고, 이후 강선(13)이 더욱 밀리게 되면 수평 강선(13a)은 거울(22)의 상부로 밀리게 되고 제거구(20a)을 따라 이송된 이물질은 배출공(25)을 통해 배출된다.
이렇게 슬라이드 버튼(21)의 슬라이딩이 완료되어 이를 놓게 되면 강선(13)은 리턴 스프링(16)에 의하여 이동 걸림턱(17)이 복귀되어지고, 이에 따라 이물질 제거구(20)의 수평 강선(13a)도 원상 복귀 되어지며, 수평 강선(13a)의 제거구(20a)에 묻은 이물질은 배출공(25)을 통해 배출된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도13 내지 도14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명칭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손잡이(10)의 일단에 누름버튼(31)을 결합하고, 손잡이(10)의 타단에 삽입된 거울(22)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구(2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손잡이(10)는 그 내부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가이드공(14)을 형성하되, 이 가이드공(14)의 끝단에 누름버튼(31)이 이탈되지 않게 고정턱(32)을 형성하고, 이 누름버튼(31)에 강선(13)의 일측을 연결하며, 강선(13)의 타측에 이물질 제거구(20)을 연결한다.
아울러 가이드공(14)의 소정 위치에 고정걸림턱(15)을 형성하고, 이 고정걸림턱(15)의 하부에 이물질 제거구(30)를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16)을 설치하며, 강선(13)에 고정되어 리턴스프링(16)의 탄성력을 받는 이동걸림턱(17)을 결합한다.
더불어 강선(13)은 고정걸림턱(15)에서부터 거울(22) 도달 부분까지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13b)를 형성하며, 연장된 강선(13)의 끝단에 거울(22)의 직경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수평 강선(13a)을 연결하되, 이 수평강선(13a)은 탄성을 가지도록 하여 이물질 제거구(20)가 휘어지게 한다.
이와 같은 이물질 제거구(20)는 거울(22)의 직경과 동일한 수평강선(13a)의 외측에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제거구(20a)를 결합하고, 이러한 이물질 제거구(20)는 거울(22)의 주연부에 수평강선(13a)의 양단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24)을 형성하며, 상기 수평강선(13a)을 가이드 홈(24)에 삽입시켜 이탈되지 않게 돌기(13c)을 형성하며, 이와 함께 거울받침대(23)의 상부와 하부에 거울(22)의 표면에서 밀린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공(24)을 형성한다.
아울러 제거구(20a)는 그 일측에 끝이 뾰족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 내에 치과용 거울을 넣어 사용하게 되면 구강 내의 온도, 습도에 의하여 거울의 표면에 김이 서리게 되거나, 핸드피스 등으로 치아를 삭제하다가 거울(22)의 표면에 이물질이 다량으로 묻게 되면 손잡이(10)의 일단에 결합된 누름버튼(31)을 누르게 되면 이에 연결되어 있는 강선(13)이 거울(2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강선(13)의 이동에 의하여 이동걸림턱(17)이 리턴스프링(16)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강선(13)의 끝단에 연결된 수평강선(13a)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평강선(13a)에 결합된 제거구(20a)가 거울(22)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이동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때 수평강선(13a)은 거울(22)의 외측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24)을 따라 이동하면서 거울(22)의 최대 직경에 도달하게 되면 일직선으로 펼쳐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강선(13)이 수평강선(13a)을 상부 방향으로 더욱 밀게 되면 수평강선(13a)은 상부측으로 휘어지면서 배출공(25)으로 밀리게 된다.
아울러 절곡부(13b)는 손잡이(10)로부터 거울(22)이 경사진 각도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강선(13)이 거울(21)의 표면에 밀착되어 밀리면서 수평강선(13a)이 거울(22)의 표면에 접하도록 압축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거구(20a)는 거울(22)의 표면에 계속 밀착된 상태로 밀리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물질 제거구(20)는 거울(22)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닦으면서 모여진 이물질을 배출공(25)을 통하여 배출되고, 누름버튼(31)의 가압이 완료되어 이를 놓게 되면 고정 걸림턱(15)과 이동 걸림턱(17) 사이에 설치된 리턴 스프링(16)에 의하여 이동걸림턱(17)에 탄성력이 부여되어 강선(13)이 원위치로 복귀되어진다.
이와 같이 강선(13)이 복귀되면서 수평강선(13a)은 가이드 홈(24)을 따라 하강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치과용 거울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구강 내에서 치과용 거울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치료 도중에도 치료 행위의 중단 없이 신속하게 치료를 할 수 있게 되며, 치과용 거울을 통하여 치료 부위를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치료를 할 수 있게 되고, 더불어 거울의 표 면을 깨끗이 청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손잡이(10)의 일측 선단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거울(22)을 구비한 치과용 거울에 있어서,
    승강 수단에 일측이 연결되어 승강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타측은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13b)를 형성하여 손잡이(10)의 가이드공(14)에 설치되는 강선(13)과,
    상기 강선(13)의 절곡부(13b) 끝단에 연결되는 수평강선(13a)과,
    상기 수평강선(13a)에 결합되어 거울(22)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구(20)와,
    거울(22)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승강되게 거울(22)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수평강선(13a)이 가이드 되도록 수평강선(13a)의 양단에 형성된 돌기(13c)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홈(24)과,
    상기 수평강선(13a)에 결합된 제거구(20a)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되게 거울(22)의 주연부에 다수개 형성된 배출공(2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승강수단은 손잡이(1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 상태에 따라 모터(2)에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1)와,
    상기 스위치(1)에 연결되어 인가받은 전원에 의하여 정역 회전되는 모터(2)와,
    상기 모터(2)에 결합되어 정역 회전하는 제1,2웜축(3,4) 및 웜휠(5)과
    상기 제2웜축(4)에 강선(13)의 일측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승강수단은 손잡이(1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삽입공(11)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버튼(21)과,
    일측은 슬라이드 버튼(21)에 연결되고, 타측은 수평강선(13a)에 연결되어 슬라이드 버튼(21)의 가압 상태에 따라 이물질 제거구(20)를 동작시키는 강선(13)과,
    상기 강선(13)에 연결되어 거울(22)의 주연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24)을 따라 거울(22)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되는 이물질 제거구(20)와,
    상기 손잡이(10) 내부에 강선(13)이 지나도록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된 가이드공(14)과,
    상기 강선(13)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강선(13)을 리턴시키는 리턴 스프링(1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
  4. 제3항에 있어서,
    전기 이물질 제거구(20)는 수평 강선(13a)의 외측에 고무, 연질의 합성수지 로 이루어진 제거구(30a)의 일측을 역삼각형이나 다수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의 선단에 형성된 가이드공(14)에 이탈되지 않게 결합되는 누름 버튼(3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
KR1020050005516A 2005-01-20 2005-01-20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 KR20060084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516A KR20060084724A (ko) 2005-01-20 2005-01-20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516A KR20060084724A (ko) 2005-01-20 2005-01-20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724A true KR20060084724A (ko) 2006-07-25

Family

ID=3717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516A KR20060084724A (ko) 2005-01-20 2005-01-20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47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9428A (zh) * 2017-12-31 2018-07-24 重庆迪赛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骨科用的钢丝引导器装置
CN109106328A (zh) * 2018-07-06 2019-01-01 李允允 一种牙科医疗用口腔镜及其使用方法
CN109512374A (zh) * 2019-01-11 2019-03-26 中南大学 一种可去除镜面水雾的口镜
CN109512374B (zh) * 2019-01-11 2024-06-04 中南大学 一种可去除镜面水雾的口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9428A (zh) * 2017-12-31 2018-07-24 重庆迪赛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骨科用的钢丝引导器装置
CN109106328A (zh) * 2018-07-06 2019-01-01 李允允 一种牙科医疗用口腔镜及其使用方法
CN109512374A (zh) * 2019-01-11 2019-03-26 中南大学 一种可去除镜面水雾的口镜
CN109512374B (zh) * 2019-01-11 2024-06-04 中南大学 一种可去除镜面水雾的口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5894B1 (ko) 내부 잇몸 홈 스크레이핑 털들을 구비한 칫솔
JP3198295B2 (ja) クレンジング部材及び歯の電動クレンジング装置
US20070178419A1 (en) Apparatus for cleaning orthodontic and dental appliances
US20120080049A1 (en) Dental Floss Pick
KR20060084724A (ko)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
US5704379A (en) Disposable flossing and debrider device
FR2856914A3 (fr) Goupillon destine a un dispositif de nettoyage des interstices dentaires
KR101026009B1 (ko) 회전 칫솔
US6164294A (en) Movable dental floss
US4367759A (en) Flexible teeth-cleaning device
KR100668254B1 (ko)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치과용 거울
KR100683814B1 (ko) 전동칫솔
KR101586283B1 (ko) 잇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전동칫솔
KR100509324B1 (ko) 치간 청소구
KR200470176Y1 (ko) 칫솔
KR20120026696A (ko) 충전식 각질제거기
KR200369271Y1 (ko) 일회용 이쑤시개
KR900006609Y1 (ko) 칫솔
KR200300684Y1 (ko)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
KR101861186B1 (ko) 치간칫솔
KR100753008B1 (ko) 양치습관 교정용 칫솔
KR20070007580A (ko) 전동칫솔
JPH0593253U (ja) 電動回転式歯ブラシ
KR100270765B1 (ko) 치아청결용기구
KR200173499Y1 (ko) 보호덮게를 구비한 전동회전치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