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4Y1 -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 - Google Patents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4Y1
KR200300684Y1 KR20-2002-0027555U KR20020027555U KR200300684Y1 KR 200300684 Y1 KR200300684 Y1 KR 200300684Y1 KR 20020027555 U KR20020027555 U KR 20020027555U KR 200300684 Y1 KR200300684 Y1 KR 200300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drive shaft
sole member
shoes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애
Original Assignee
이순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애 filed Critical 이순애
Priority to KR20-2002-0027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4Hand implements for shoe-cleaning,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47L23/05Hand implements for shoe-cleaning,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with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4Hand implements for shoe-cleaning,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47L23/06Hand implements for shoe-cleaning,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with electr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4Hand implements for shoe-cleaning,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47L23/08Special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and recolouring footwear, e.g. powder pad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두를 손질하는 기구에 관련되며, 몸통(12)의 하측으로 손잡이(14)가 연장되는 본체(10)를 기본으로 모터(20)와 솔 부재(30)가 구비된다. 스위치(24)를 개재하여 전원소켓(18)에 전선으로 연결되는 모터(20)는 구동축(25)을 노출한 상태로 몸통(12) 내부에 장착된다. 구두에 접촉시 탄성 변형되는 솔 부재(30)는 상기 구동축(25)에 연결대(35)를 개재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솔 부재(30)의 일예로서 원형의 지지대(32) 상에 플라스틱 모를 식재한 제1솔(34)로 구성하되, 전면이 오목한 구면(R)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솔 부재(30)의 다른 예로서 스펀지를 원형으로 성형한 제2솔(36)로 구성하되, 전면이 오목한 구면(R)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구두를 항상 양호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보존하여도 손상이 크지 않아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 {Electrical shoe brushing device}
본 고안은 구두 손질을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장소에구애되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구두를 항상 양호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보존하여도 손상이 크지 않아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는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는 착용 상태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자주 솔질을 하고 일주일에 한 번 정도는 크림(구두약)을 바르는 것이 좋다. 일반인들이 가장 흔히 신고 있는 가죽 구두는 외부에 묻어있는 먼지나 흙을 깨끗이 제거한 다음, 헝겊에 크림을 묻혀 광택을 내면서 가죽에 묻어있는 오염을 닦아내는 손질법이 상식화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손질법이 일반화되고 있어도 직장에서 본인이 직접 구두를 손질하는 것은 여러모로 곤란하므로 일정비용을 지불하고 맡기는 경우도 있고, 또 약간 부지런하다면 자신의 가정에서 헝겊이나 구두솔, 크림 등의 도구를 준비하여 적절한 때에 손질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도 구두를 손질하는 것이 습관화되기 전에는 무척 번거롭고 불편하기 짝이 없는데다가 구두를 닦는다는 자체가 일종의 노동으로 인식되어 점차 손질하는 횟수가 줄어들고 닦는 시간도 점차 짧아진다. 더욱이 스스로 구두손질을 한다고 하여도 먼지를 제대로 털지 않고 크림을 바르기도 하므로 오물이 쌓여 광택이 나지 않을 뿐 아니라 가죽에 악영향을 주는 폐단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구두를 항상 양호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보존하여도 손상이 크지 않아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는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를 일부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구에 적용되는 제1솔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구에 적용되는 제2솔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솔의 연결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본체 12: 몸통
14: 손잡이 16: 볼트
18: 전원소켓 20: 모터
24: 스위치 25: 구동축
30: 솔 부재 32: 지지대
34: 제1솔 35: 연결대
36: 제2솔 45: 피팅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구두를 손질하는 기구에 있어서: 몸통(12)의 하측으로 손잡이(14)가 연장되는 본체(10); 구동축(25)을 노출한 상태로 몸통(12) 내부에 장착되고, 스위치(24)를 개재하여 전원소켓(18)에 전선으로 연결되는 모터(20); 및 상기 구동축(25)에 연결대(35)를 개재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두에 접촉시 탄성 변형되는 솔 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예로, 상기 솔 부재(30)는 원형의 지지대(32) 상에 플라스틱 모를 식재한 제1솔(34)로 구성하되, 전면이 오목한 구면(R)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예로, 상기 솔 부재(30)는 스펀지를 원형으로 성형한 제2솔(36)로 구성하되, 전면이 오목한 구면(R)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솔 부재(30)와 구동축(25)의 사이에는 연결을 매개하기 위한 피팅(45)을 더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를 일부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구두를 손질하는 전체적인 기구에서 솔 부재(30)와 전원 연결잭(28)이 분리된 상태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본체(10)는 몸통(12)의 하측으로 손잡이(14)가 연장되는 구조이다. 본체(10)를 종단하는 방향으로 위치한 절개선(10a)은 몸통(12)과 손잡이(14)가 일체이면서 2분할로 성형되는 것을 나타낸다. 후술하는 주요 부품을 장착한 다음에 볼트(16)를 체결하면 본체(10)의 조립이 완료된다. 볼트(16)는 손잡이(14)의 표면에서 함몰되도록 수용한다. 손잡이(14)는 하단에서 약간 굵어지게 하여 손으로 쥐기 편하고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스위치(24)를 개재하여 전원소켓(18)에 전선으로 연결되는 모터(20)가 구동축(25)을 노출한 상태로 몸통(12) 내부에 장착된다. 모터(20)는 DC 전원으로 구동되는 방식을 택하고, 스위치(24)는 누르는 동안만 회로가 연결되는 푸시버튼(push button) 방식을 택한다. 물론 누를 때마다 온/오프가 반복되는 토글(toggle) 방식을 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터(20)의 구동축(25)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전방으로 노출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14)의 하단에 전원 연결잭(28)과 맞물리는 전원소켓(18)이 구비된다. 전원연결잭(28)은 정류장치(도시 생략)의 출력단자로서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구두에 접촉시 탄성 변형되는 솔 부재(30)가 상기 구동축(25)에 연결대(35)를 개재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솔 부재(30)는 구두에 접촉하여 세척하는 기능과, 모터(20)의 구동축(2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능을 지닌다. 본 고안에서 솔 부재(30)의 실시예로서 후술하는 도 2 및 도 3의 2가지가 제안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기구에 적용되는 제1솔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 2에서 본 고안의 솔 부재(30)는 원형의 지지대(32) 상에 플라스틱 모를 식재한 제1솔(34)로 구성하되, 전면이 오목한 구면(R)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원형의 지지대(32)는 전방으로 평면이고 후방으로 원추면이면서 연결대(35)가 연장되는 구조이다. 플라스틱 모는 부드럽고 고탄성을 지닌 소재를 택하며 마치 칫솔모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대(32)에 식재한다. 플라스틱 모의 끝부분에 오목한 구면(R)을 형성하는 것은 구두에 접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연결대(35)는 후방으로 구동축(25)과 결합되는 홈을 구비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기구에 적용되는 제2솔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 3에서 본 고안의 솔 부재(30)는 스펀지를 원형으로 성형한 제2솔(36)로 구성하되, 전면이 오목한 구면(R)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도 3a처럼 중앙으로 평면부(36a)를 두고 그 원주상으로 꽃잎 모양의 요철부(36b)가 연장되도록 일체로 성형한다. 도 3b처럼 제2솔(36)의 전면은 전체적으로 구면(R)으로 형성되어 구두에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킨다. 제2솔(36)의 후방으로 도 2와 동일한 구조의 지지대(32)와 연결대(35)가 연장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솔의 연결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상기 솔 부재(30)와 구동축(25)의 사이에는 연결을 매개하기 위한 피팅(45)을 더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피팅(45)은 각형(예를 들어 육각형)의소재에 홈(45a)을 형성한 구조이다. 피팅(45)을 결합하기 위해 솔 부재(30)의 후방으로 부호 35'와 같이 각형홈(35a)이 형성되어야 한다. 피팅(45)은 본 고안의 기구를 오랜 기간동안 사용할 때 수지제의 솔 부재(30)가 금속제의 구동축(25)에 마모되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기구를 사용하여 가죽 구두를 손질하기 위해 먼저 제1솔(34)을 본체(10)의 구동축(25)에 끼우고 스위치(24)를 눌러 가죽 표면의 먼지를 잘 닦아낸다. 이어서 제1솔(34) 또는 별도의 부드러운 천에 크림을 묻힌 다음 구두에 도포하고, 마지막으로 제2솔(36)을 구동축(25)에 끼우고 스위치(24)를 눌러 구두에 광택이 나도록 한다. 종래와 같이 크림을 바르고 다시 솔질을 한 다음 천의 양쪽 끝을 잡고 왕복하면서 광택을 내는 번거로움이 없다.
한편, 상기한 가죽 구두외에 스웨이드 구두 또는 에나멜 구두에도 적용할 수 있다. 통상 먼지와 수분에 약한 스웨이드 구두는 방수 스프레이를 뿌리고, 에나멜 구두는 색상변화를 방지하도록 전용의 크림을 도포하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에나멜 구두는 오염이 덜한 편이지만 약하기 때문에 더욱 부드러운 손질이 필요하다. 상기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솔질은 가장 우선적이고 기본적인 사항이고 이때 본 고안의 제1솔(34)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제2솔(36)의 재질을 선택함에 따라 더욱 부드러운 마무리 처리도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구두를 항상 양호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보존하여도 손상이 크지 않아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는,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구두를 손질하는 기구에 있어서:
    몸통(12)의 하측으로 손잡이(14)가 연장되는 본체(10);
    구동축(25)을 노출한 상태로 몸통(12) 내부에 장착되고, 스위치(24)를 개재하여 전원소켓(18)에 전선으로 연결되는 모터(20); 및
    상기 구동축(25)에 연결대(35)를 개재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두에 접촉시 탄성 변형되는 솔 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 부재(30)는 원형의 지지대(32) 상에 플라스틱 모를 식재한 제1솔(34)로 구성하되, 전면이 오목한 구면(R)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 부재(30)는 스펀지를 원형으로 성형한 제2솔(36)로 구성하되, 전면이 오목한 구면(R)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 부재(30)와 구동축(25)의 사이에는 연결을 매개하기 위한 피팅(45)을 더 구비할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
KR20-2002-0027555U 2002-09-13 2002-09-13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 KR200300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555U KR200300684Y1 (ko) 2002-09-13 2002-09-13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555U KR200300684Y1 (ko) 2002-09-13 2002-09-13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4Y1 true KR200300684Y1 (ko) 2003-01-14

Family

ID=49398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555U KR200300684Y1 (ko) 2002-09-13 2002-09-13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101B1 (ko) * 2017-04-07 2018-07-27 박용전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101B1 (ko) * 2017-04-07 2018-07-27 박용전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02696B (zh) 口腔护理器具
US7073225B1 (en) Plaque eradicating system utilizing a plurality of double-sided toothbrushes or toothbrush heads
US4783869A (en) Rotative toothbrush
US9433274B1 (en) Finger scrubber
CN205410228U (zh) 一种毛发清理刷
US20030041401A1 (en) Bath brush
WO2000053054A1 (en) Toothbrush
KR200300684Y1 (ko)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
KR100413209B1 (ko)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전동칫솔
KR200484576Y1 (ko) 칫솔
KR101586283B1 (ko) 잇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전동칫솔
KR970001402Y1 (ko) 구두약이 내장된 전동 구두솔
KR200446359Y1 (ko) 네일 브러시
KR200210916Y1 (ko) 반자동 구두 닦는 기계
KR101007577B1 (ko) 기능성 칫솔
JPH0531939Y2 (ko)
US20050034254A1 (en) Mini mighty machine, for easy shine and clean
EP1013238A2 (en) Toothbrush with means for correct oral hygiene
KR200243226Y1 (ko) 이물질 제거기를 부착한 신발
KR200298194Y1 (ko) 혀클리너를 구비한 칫솔
CN205994582U (zh) 一种电滚动牙刷
JPH08140920A (ja) 電動ハンドクリーナー
EP0468912B1 (en) Tool in the form of a brush for cleaning leather
KR20090012859U (ko) 네일 관리수단 및 이를 구비한 네일링 세트
KR200276519Y1 (ko) 구두닦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