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101B1 -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101B1
KR101883101B1 KR1020170045209A KR20170045209A KR101883101B1 KR 101883101 B1 KR101883101 B1 KR 101883101B1 KR 1020170045209 A KR1020170045209 A KR 1020170045209A KR 20170045209 A KR20170045209 A KR 20170045209A KR 101883101 B1 KR101883101 B1 KR 101883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ight
disposed
insertion hol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전
Original Assignee
박용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전 filed Critical 박용전
Priority to KR1020170045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4Hand implements for shoe-cleaning,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47L23/06Hand implements for shoe-cleaning,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with electr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08Disc-shaped brush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6Shoe cleaning or polishing brush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부(111)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손잡이(112)가 하향 연장된 몸체부(110); 구동축(121)이 몸체부(110)의 전단을 향하도록 공간부(111)에 수평배치되며 입력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120); 상기 구동모터(12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30); 상기 몸체부(110)의 전단에 배치되고 후단이 구동축(121)에 축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며, 전단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부(141) 및 전방으로 연장되어 둘레에 가압면(146)이 형성된 회전가압부(142)가 각각 배치된 헤드결합부(140); 및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부(141)에 지지되어 전후방으로 고정력을 제공하는 걸림홈(151) 및 상기 가압면(146)과 접촉되어 가압되면서 회전력을 제공받는 회전지지면(152)이 각각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솔(153), 스펀지(154) 또는 융(155) 중 어느 하나가 고정장착된 헤드부(150);를 포함하는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PORTABLE SHOES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하며 구두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표면에 광택을 내는 헤드부를 몸체부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축연결되도록 결합함에 있어 한 번의 동작으로 원터치 결합시킬 수 있는 체결구조로 이루어진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를 닦을 때에는 먼저 구두솔이나 걸레로 표면을 문질러 먼지나 오염물질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구두약을 바른 후 깨끗한 구두솔이나 걸레로 표면을 빠르게 문질러 광택을 내는 과정을 거친다. 그러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구두약을 바르거나 광택을 내는 중에 이물질이나 구두약이 손에 묻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동모터로 솔이 부착된 헤드를 회전시켜 구두의 표면에 브러시를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구두약을 바르거나 광택을 낼 수 있는 자동 구두닦이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구두닦이는 구동모터에 축연결되어 회전하는 헤드에 솔이 고정되게 부착되어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구두약을 바른 후 광택을 내는데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물질이나 구두약에 오염된 솔을 세척하거나 세척용 및 광택용으로 각각 전용으로 사용할 여러 대의 자동구두닦이를 마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헤드에 커버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커버에는 솔이나 스펀지가 고정장착되어 각 용도별로 커버를 교체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구두를 닦을 수 있었다. 그러나 커버와 헤드 사이에는 벨크로테잎이 배치되어 마찰력에 의한 고정력이 제공되나 헤드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솔이나 스펀지를 구두에 세게 문지르게 되면 가압력에 위해 커버가 쉽게 벗겨져 커버를 헤드에 재차 씌우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실용신안공보 실1986-0002393호(1986.07.12), 자동 구두닦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헤드부에는 솔, 스펀지 또는 융이 각각 구분되어 고정장착되어 회전하면서 구두의 표면을 세게 문지르더라도 솔, 스펀지나 융이 벗겨지지 않으며, 헤드부와 몸체부가 전후방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면서도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그대로 전달될 수 있어 구두닦이 공정을 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하며 구두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표면에 광택을 내는 헤드부를 몸체부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축연결되도록 결합함에 있어 한 번의 동작으로 원터치 결합시킬 수 있는 체결구조로 이루어져 헤드부의 교체가 용이한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는, 내부에 공간부(111)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손잡이(112)가 하향 연장된 몸체부(110); 구동축(121)이 몸체부(110)의 전단을 향하도록 공간부(111)에 수평배치되며 입력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120); 상기 구동모터(12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30); 상기 몸체부(110)의 전단에 배치되고 후단이 구동축(121)에 축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며, 전단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부(141) 및 전방으로 연장되어 둘레에 가압면(146)이 형성된 회전가압부(142)가 각각 배치된 헤드결합부(140); 및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부(141)에 지지되어 전후방으로 고정력을 제공하는 걸림홈(151) 및 상기 가압면(146)과 접촉되어 가압되면서 회전력을 제공받는 회전지지면(152)이 각각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솔(153), 스펀지(154) 또는 융(155) 중 어느 하나가 고정장착된 헤드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141)는 중앙에 전방으로 개구된 절개홈(144)이 형성되어 탄발동작하고, 상기 헤드부(150)의 일측면에는 헤드결합부(140)가 삽입되는 삽입공(156)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151)은 삽입공(156) 내에서 걸림부(141)와 대응되는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141)가 걸림홈(151)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발동작하여 상기 헤드부(150)와 헤드결합부(140)를 전후방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며, 상기 회전가압부(142)는 둘레에 하나 이상의 모서리(145)가 형성되면서 상기 모서리(145)의 양측에 각각 가압면(146)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지지면(152)은 삽입공(156) 내에서 상기 가압면(146)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가압면(146)과 접촉되면서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141)는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결합부(140)에 일부가 내삽되어 장착되고 헤드결합부(140)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부(141)를 외측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147)이 내장되며, 상기 헤드부(150)에는 헤드결합부(140)가 삽입되는 삽입공(156)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51)은 삽입공(156) 내에서 상기 걸림부(141)와 대응되는 반구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141)가 걸림홈(151)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발동작하여 상기 헤드부(150)와 헤드결합부(140)를 전후방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며, 상기 회전가압부(142)는 둘레에 하나 이상의 모서리(145)가 형성되면서 상기 모서리(145)의 양측에 각각 가압면(146)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면(152)은 삽입공(156) 내에서 상기 가압면(146)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가압면(146)과 접촉되면서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141)는 회전가압부(142)의 전단에 외향 확장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50)의 일측면에는 걸림부(141)가 삽입되는 삽입공(156)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151)은 삽입공(156)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걸림부(141)를 지지하면서 상기 헤드부(150)와 헤드결합부(140)를 전후방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걸림홈(151)의 연장된 단부에는 회전지지면(15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가압부(142)는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홈(15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지지면(152)과 접촉되면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의 후단에 배치되어 내부에 세척제 또는 광택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세광제(163)를 수용하는 세광제통(160); 및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전단과 세광제통(160) 사이에 수평배치되고 후단에는 상기 세광제통(160)과 연통되는 결합구(171)가 배치되며 내부에는 결합구(171)를 통해 공급되는 세광제(163)를 이송하기 위한 중공(172)이 형성되고 전단에는 몸체부(110)의 전단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어 이송된 세광제(163)를 전방으로 분사하는 분사공(173)이 형성된 세광제분사관(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광제분사관(170)은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세광제분사관(170) 내에는 중공(17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연장되어 내부벽에 고정장착되는 스크류(174)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121)의 일측 둘레에는 구동기어(122)가 고정장착되고 상기 세광제분사관(170) 상에서 상기 구동기어(12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구동기어(122)와 치합되어 세광제분사관(170)을 회전시키는 종동기어(175)가 고정장착되어, 상기 구동축(121)과 함께 스크류(174)가 회전하면서 세광제(163)를 분사공(173)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압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에 장착되어 헤드부(150)의 전방에 위치하는 구두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80); 및 상기 근접센서(180)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두가 근접되면 상기 구동축(121)이 회전하도록 구동모터(120)를 구동제어하여 세광제분사관(170)과 헤드부(150)를 회전시키는 제어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광제통(160)의 내부의 후방측에는 플렉시블한 방수재질로 이루어져 세광제분사관(170)으로 세광제(163)가 배출되면서 세광제통(160)에 수용된 세광제(163)의 부피가 줄어들면 찌그러지면서 내부의 세광제(163)를 전방측으로 가압하는 플렉시블막(162)이 구비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에 의하면,
첫째, 복수 개의 헤드결합부(140)에는 솔(153), 스펀지(154) 또는 융(155) 중 어느 하나가 고정되게 장착되어 회전하면서 구두의 표면을 세게 문지르더라도 솔(153), 스펀지(154)나 융(155)이 벗겨지지 않으며, 헤드결합부(140)와 몸체부(110)가 전후방으로 착탈가능하게 견고하게 고정되면서도 구동모터(120)의 회전력이 그대로 전달될 수 있는 체결구조로 이루어져 구두닦이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두 세척을 위한 세척제나 광택을 위한 광택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세광제(163)가 자동으로 토출되므로 구두에 세광제(163)를 별도로 바르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위생적인 구두손질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회전하며 구두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표면에 광택을 내는 헤드부(150)를 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120)와 축연결되도록 결합함에 있어 한 번의 동작으로 원터치 결합시킬 수 있는 체결구조로 이루어져 헤드부(150)의 교체가 매우 간편하다.
셋째, 상기 몸체부(110)의 후단에는 내부에 세척제 또는 광택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세광제(163)를 수용하는 세광제통(160)이 배치되고,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전단과 세광제통(160) 사이에는 후단에 상기 세광제통(160)과 연통되는 결합구(171)가 배치되며 내부에는 결합구(171)를 통해 공급되는 세광제(163)를 이송하기 위한 중공(172)이 형성되고 전단에는 몸체부(110)의 전단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어 이송된 세광제(163)를 전방으로 분사하는 분사공(173)이 형성된 세광제분사관(170)이 수평배치되어, 구두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세척하는데 이용되는 세척제나 구두 표면에 광택을 내는데 이용되는 광택제를 사용자가 일일이 구두에 바를 필요없이 세광제분사관(170)을 통해 분사하는 방식으로 구두에 도포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세광제분사관(170)은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분사공(173)을 통해 분사되는 세광제(163)의 분사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넷째, 상기 세광제분사관(170) 내에는 중공(17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연장되어 내부벽에 고정장착되는 스크류(174)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121)의 일측 둘레에는 구동기어(122)가 고정장착되고 상기 세광제분사관(170) 상에서 상기 구동기어(12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구동기어(122)와 치합되어 세광제분사관(170)을 회전시키는 종동기어(175)가 고정장착되어, 상기 구동축(121)과 함께 스크류(174)가 회전하면서 세광제(163)를 분사공(173)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압력을 증대시켜 세광제(163)의 분사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몸체부(110)에는 헤드부(150)의 전방에 위치하는 구두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80)가 장착되고, 상기 근접센서(180)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두가 근접되면 상기 구동축(121)이 회전하도록 구동모터(120)를 구동제어하여 세광제분사관(170)과 헤드부(150)가 자동으로 회전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세광제통(160)의 내부의 후방측에는 플렉시블한 방수재질로 이루어져 세광제분사관(170)으로 세광제(163)가 배출되면서 세광제통(160)에 수용된 세광제(163)의 부피가 줄어들면 찌그러지면서 내부의 세광제(163)를 전방측으로 가압하는 플렉시블막(162)이 구비되어, 세광제통(160) 내부에 주입된 세광제(163)의 수위가 줄어들거나 미량의 세광제(163)만 남더라도 몸체부(110)를 기울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몸체부(110)에는 입력신호에 따라 전방을 향해 UV광을 발산하는 UV램프(113)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114)가 구비되어, 구두를 닦는 중에 또는 구두닦이가 완료된 후에 스위치(114)를 눌러 구두에 UV광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구두에 발생된 세균이나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와 헤드결합부간의 다양한 체결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광제분사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막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100)는 몸체부(110), 구동모터(120), 배터리(130), 헤드결합부(140) 및 헤드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몸체부(110)는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부재로서, 내부에는 구동모터(120)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부(111)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12)가 하향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120)는 헤드부(150)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으로서 구동축(121)이 몸체부(110)의 전단을 향하도록 공간부(111)에 수평배치되며 입력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동작스위치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이거나 상기 동작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20)로 출력되는 제어부(190)의 입력신호이거나 후술되는 근접센서(180)으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130)는 구동모터(120)가 구동하는데 필요한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로서 상기 공간부(111)에 배치되어 구동모터(120)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몸체부(110) 상에서 배터리(130)와 근접된 위치에는 내장된 배터리(130)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단자가 마련되며, 이 충전단자에 전원케이블이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상기 구동모터(120)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이 직접제공될 수 있다.
상기 헤드결합부(140)는 구동모터(120)의 회전력을 헤드부(150)에 전달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에 배치되고 후단이 구동축(121)에 축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며, 전단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부(141) 및 전방으로 연장되어 둘레에 가압면(146)이 형성된 회전가압부(142)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헤드부(150)는 헤드결합부(140)를 통해 구동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구두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광택을 내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헤드결합부(140)의 전방에 배치되고 일측면에는 걸림부(141)에 지지되어 전후방으로 고정력을 제공하는 걸림홈(151) 및 상기 가압면(146)과 접촉되어 가압되면서 회전력을 제공받는 회전지지면(152)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50)의 타측면에는 솔(153), 스펀지(154) 또는 융(155) 중 어느 하나가 고정장착되며 구두닦이 순서나 방식에 따라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두닦이 초반에는 구두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므로 솔(153)이나 스펀지(154)가 장착된 헤드부(150)를 이용하고,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후에는 스펀지(154)나 융(155)이 장착된 헤드부(150)를 이용하여 구두표면에 구두약을 바르며 이후에는 솔(153)이나 융(155)이 장착된 헤드부(150)를 이용하여 구두 표면에 광택을 내는데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헤드부(150)가 헤드결합부(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면서 동시에 헤드결합부(140)를 통해 헤드부(150)에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는 다양한 체결구조를 제시한다.
먼저,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41)는 중앙에 전방으로 개구된 절개홈(144)이 형성되어 탄발동작하고, 상기 헤드부(150)의 일측면에는 헤드결합부(140)가 삽입되는 삽입공(156)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151)은 삽입공(156) 내에서 걸림부(141)와 대응되는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141)가 걸림홈(151)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발동작하여 상기 헤드부(150)와 헤드결합부(140)를 전후방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가압부(142)는 도 3 (a)의 확대도에서와 마찬가지로 둘레에 하나 이상의 모서리(145)가 형성되면서 상기 모서리(145)의 양측에 각각 가압면(146)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지지면(152)은 삽입공(156) 내에서 상기 가압면(146)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가압면(146)과 접촉되면서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체결시 헤드부(150)의 삽입공(156)을 지향하여 헤드결합부(14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걸림부(141)가 걸림홈(151)의 입구둘레에 가압되어 절개홈(144) 측으로 오무려지면서 걸림홈(151)의 내부로 삽입되고 삽입된 이후에는 탄성에 의해 오무려진 상태가 펼쳐지면서 외부가 걸림홈(151)의 내부에 지지되어 전후방으로 지지되는 고정력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141)가 걸림홈(151)에 삽입되면서 걸림부(141)의 후단에 배치된 회전가압부(142)의 가압면(146)은 회전지지면(152)과 면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헤드부(150)가 회전되도록 한다.
반면에 분리시 상기 걸림부(141)와 걸림홈(151)에 의한 고정력보다 강한 힘으로 헤드부(150)를 몸체부(110)로부터 잡아당기게 되면 걸림부(141)가 절개홈(144) 측으로 오무려지면서 걸림홈(151)으로부터 분리되고 동시에 가압면(146)과 회전지지면(152)간의 접촉도 이격되면서 헤드부(150)가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체결구조로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41)는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결합부(140)에 일부가 내삽되어 장착되고 헤드결합부(140)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부(141)를 외측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147)이 내장되며, 상기 헤드부(150)에는 헤드결합부(140)가 삽입되는 삽입공(156)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51)은 삽입공(156) 내에서 상기 걸림부(141)와 대응되는 반구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141)가 걸림홈(151)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발동작하여 상기 헤드부(150)와 헤드결합부(140)를 전후방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가압부(142)는 둘레에 하나 이상의 모서리(145)가 형성되면서 상기 모서리(145)의 양측에 각각 가압면(146)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면(152)은 삽입공(156) 내에서 상기 가압면(146)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가압면(146)과 접촉되면서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공(156)의 단부에는 영구자석(157)이 고정장착되고 상기 회전가압부(142)는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그 단부에 상기 영구자석(157)과 반대극성을 갖는 영구자석(미도시)이 장착되어 헤드결합부(140)가 삽입공(156)에 삽입되면서 상기 영구자석(157)의 자성에 의해 헤드부(150)와 헤드결합부(14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시 헤드부(150)의 삽입공(156)을 지향하여 헤드결합부(14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걸림부(141)가 삽입공(156)의 둘레에 가압되어 내부로 삽입되고 걸림홈(151)에 이르러서는 스프링(147)의 탄성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어 걸림홈(151)에 걸리면서 전후방으로 지지되는 고정력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141)가 걸림홈(151)에 삽입되면서 걸림부(141)의 전단에 배치된 회전가압부(142)의 가압면(146)은 회전지지면(152)과 면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헤드부(150)가 회전되도록 한다.
반면에 분리시 상기 걸림부(141)와 걸림홈(151)에 의한 고정력보다 강한 힘으로 헤드부(150)를 몸체부(110)로부터 잡아당기게 되면 스프링(147)이 탄성가압되면서 걸림부(141)가 걸림홈(151)으로부터 분리되고 동시에 회전가압부(142)와 회전지지면(152) 간의 접촉도 이격되면서 헤드부(150)가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확대도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가압부(142)는 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걸림홈(151)간의 치합되는 삽입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슬립됨이 없이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등 다양한 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체결구조로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41)는 회전가압부(142)의 전단에 외향 확장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50)의 일측면에는 걸림부(141)가 삽입되는 삽입공(156)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151)은 삽입공(156)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걸림부(141)를 지지하면서 상기 헤드부(150)와 헤드결합부(140)를 전후방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151)의 연장된 단부에는 회전지지면(15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가압부(142)는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홈(15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지지면(152)과 접촉되면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141)는 걸림홈(151)보다 크고 삽입공(156)보다 작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홈(151)은 삽입공(156)을 중심으로 구동축(121)의 회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체결시 헤드결합부(140)를 헤드부(150)의 삽입공(156)을 지향하여 가압하고 반시계 방향(도면기준)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부(141)는 걸림홈(151)과의 크기 차에 의해 둘레가 걸림홈(151)의 내면에 지지되어 전후방으로 지지되는 고정력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141)가 걸림홈(151)의 끝단까지 회전되면서 걸림홈(151)의 단부에 형성된 회전지지면(152)은 걸림부(141)의 후단에 배치된 회전가압부(142)와 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헤드부(150)가 회전되도록 한다.
반면에 분리시 시계반향(도면기준)으로 회전시키고 헤드부(150)를 잡아당기게 되면 회전가압부(142)와 회전지지면(152)의 접촉이 이격되고 삽입공(156)으로부터 걸림부(141)가 이탈되어 헤드부(150)가 분리될 수 있다.
또 다른 체결구조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결합부(140)의 전단에는 전방으로 연장되고 둘레에 하나 이상의 모서리(145)가 형성되면서 상기 모서리(145)의 양측에 각각 가압면(146)이 형성된 회전가압부(142)가 구비되며, 상기 헤드부(150)는 일측면에 상기 헤드결합부(140)가 삽입되는 삽입공(156)이 후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56)의 내부에는 영구자석(157)이 고정장착되고 삽입공(156)의 둘레면에는 상기 가압면(146)과 접촉되어 가압되면서 회전력을 제공받는 회전지지면(15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결합부(140)는 상기 영구자석(157)에 부착되는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전단에 상기 영구자석(157)와 반대극성의 영구자석이 고정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시 헤드결합부(140)를 헤드부(150)의 삽입공(156)을 지향하여 가압하게 되면 삽입공(156)의 단부에 부착되어 전후방으로 지지되는 고정력이 제공되며, 상기 회전지지면(152)과 가압면(146)이 면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헤드부(150)가 회전하도록 한다.
반면에 분리시 상기 영구자석(157)의 흡착력보다 강한 힘으로 헤드부(150)를 몸체부(110)로부터 잡아당기게 되면 영구자석(157)과 헤드결합부(140)의 전단이 분리되면서 삽입공(156)으로부터 분리되고 동시에 가압면(146)과 회전지지면(152)간의 접촉도 이격되면서 헤드부(150)가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100)는 구두를 세척하거나 광택낼 때 사용되는 세광제(163)가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110)의 후단에 배치되어 내부에 세척제 또는 광택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세광제(163)를 수용하는 세광제통(160) 및,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전단과 세광제통(160) 사이에 수평배치되고 후단에는 상기 세광제통(160)과 연통되는 결합구(171)가 배치되며 내부에는 결합구(171)를 통해 공급되는 세광제(163)를 이송하기 위한 중공(172)이 형성되고 전단에는 몸체부(110)의 전단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어 이송된 세광제(163)를 전방으로 분사하는 분사공(173)이 형성된 세광제분사관(17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제는 구두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액상제이고 광택제는 이물질 제거후 구도표면에 광택을 낼 때 사용되는 액상제이며, 상기 세광제(163)는 세척제와 광택제를 아우르는 액상제로서, 구두닦이 순서에 따라 세척제와 광택제 중 어느 하나만 주입되어 세광제(163)로 이용되거나 세척제와 광택제가 혼합된 형태로 주입되어 세광제(163)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구(171)는 세광제통(160)의 주입공(161)에 끼임결합으로 착탈 가능하면서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세광제통(160) 내부의 세광제(163)가 누수가 방지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공(161)의 재질은 결합구(171)의 기움결합에 대응하는 탄성을 유지하고 세광제통(160)의 세광제(163)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재질로 한다.
더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후방 측에는 세광제통(160)이 장착되기 위한 공간부(116)가 마련되어 상기 세광제통(160)은 공간부(116)에 삽입되면서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세광제통(160) 및 세광제분사관(170)을 통해 구두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세척하는데 이용되는 세척제나 구두 표면에 광택을 내는데 이용되는 광택제를 사용자가 일일이 구두에 바를 필요없이 세광제분사관(170)을 통해 분사하는 방식으로 구두에 도포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광제분사관(170)은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단의 분사공(173)을 통해 세광제(163)가 보다 강한 분사압력으로 분사될 수 있으며, 양단의 직경차로 인해서 세광제(163)가 중공(172) 내부에 임시 저장되되어 세광제(163)가 공급되는 중에 중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광제분사관(170) 내에는 중공(17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연장되어 내부벽에 고정장착되는 스크류(174)가 배치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121)의 일측 둘레에는 구동기어(122)가 고정장착되고 상기 세광제분사관(170) 상에서 상기 구동기어(12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구동기어(122)와 치합되어 세광제분사관(170)을 회전시키는 종동기어(175)가 고정장착되어, 상기 구동축(121)과 함께 스크류(174)가 회전하면서 세광제(163)를 분사공(173)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압력을 증대시켜 세광제(163)의 분사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에는 헤드부(150)의 전방에 위치하는 구두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80)가 장착되고, 상기 근접센서(180)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두가 근접되면 제어부(190)가 상기 구동축(121)이 회전하도록 구동모터(120)를 구동제어하여 세광제분사관(170)과 헤드부(150)가 자동으로 회전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몸체부(110)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신호를 제어부(190)로 전송하는 별도의 동작스위치가 구비되고 제어부(190)는 입력신호의 입력시마다 구동모터(120)가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헤드부(150)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동작스위치를 누르는 것으로 수동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광제통(160)의 일위치에 세광제분사관(170)의 결합구(171)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경우 내부의 세광제(163)가 분사되면서 세광제통(160)에 수용된 세광제(163)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몸체부(110)가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세광제분사관(170)의 결합구(171)가 세광제(163)에 담겨지지 못하고 빈 공간으로 노출되어 세광제(163)의 분사가 제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광제통(160)의 내부의 후방측에는 플렉시블한 방수재질로 이루어져 세광제분사관(170)으로 세광제(163)가 배출되면서 세광제통(160)에 수용된 세광제(163)의 부피가 줄어들면 찌그러지면서 내부의 세광제(163)를 전방측으로 가압하는 플렉시블막(16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플렉시블막(162)은 세광제통(160)의 내부면 중앙위치에서 둘레를 따라 테두리가 수밀하게 고정장착되어 세광제통(160)의 내부면 전방측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내부로 주입된 세광제(163)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세광제(163)가 충만한 경우 팽창되어 후방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취하게 되고, 세광제분사관(170)을 통해 세광제(163)가 배출되면서 세광제(163)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광제통(160) 내에서 세광제(163)가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드는 만큼 팽창된 상태가 찌그러지면서 세광제통(160)의 전방측과 플렉시블막(162) 사이에 빈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세광제통(160) 내부에 미량의 세광제(163)만 남더라도 몸체부(110)를 기울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에는 입력신호에 따라 전방을 향해 UV광을 발산하는 UV램프(113)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114)가 구비되어, 구두를 닦는 중에 또는 구두닦이가 완료된 후에 스위치(114)를 눌러 구두에 UV광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세균이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11) 내에서 상기 구동축(121)의 일위치에는 구동축(121)과 함께 회전하며 전방으로 송풍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팬(122)이 장착되며, 몸체부(110)의 전단면에는 송풍팬(122)에 의해 발생된 송풍기류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다수 개의 송풍공(115)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결합부(140)로부터 헤드부(150)를 분리한 상태에서 구두를 향해송풍공(115)을 지향시키면 구두에 묻은 세광제(163)나 수분 등을 손쉽게 말릴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로부터 세광제통(160)을 분리하거나 세광제분사관(170)으로부터 세광제(163)가 분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복수 개의 헤드결합부(140)에는 솔(153), 스펀지(154) 또는 융(155)이 각각 구분되어 고정장착되어 회전하면서 구두의 표면을 세게 문지르더라도 솔(153), 스펀지(154)나 융(155)이 벗겨지지 않으며, 헤드결합부(140)와 몸체부(110)가 전후방으로 착탈가능하게 견고하게 고정되면서도 구동모터(120)의 회전력이 그대로 전달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구두닦이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하며 구두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표면에 광택을 내는 헤드부(150)를 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120)와 축연결되도록 결합함에 있어 한 번의 동작으로 원터치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헤드부(150)의 교체가 매우 간편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휴대용 구두닦이 장치 110...몸체부
120...구동모터 130...배터리
140...헤드결합부 150...헤드부
160...세광제통 170...세광제분사관
180...근접센서 190...제어부

Claims (9)

  1. 내부에 공간부(111)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손잡이(112)가 하향 연장된 몸체부(110);
    구동축(121)이 몸체부(110)의 전단을 향하도록 공간부(111)에 수평배치되며 입력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120);
    상기 구동모터(12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30);
    상기 몸체부(110)의 전단에 배치되고 후단이 구동축(121)에 축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며, 전단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부(141) 및 전방으로 연장되어 둘레에 가압면(146)이 형성된 회전가압부(142)가 각각 배치된 헤드결합부(140); 및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부(141)에 지지되어 전후방으로 고정력을 제공하는 걸림홈(151) 및 상기 가압면(146)과 접촉되어 가압되면서 회전력을 제공받는 회전지지면(152)이 각각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솔(153), 스펀지(154) 또는 융(155) 중 어느 하나가 고정장착된 헤드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10)의 후단에 배치되어 내부에 세척제 또는 광택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세광제(163)를 수용하는 세광제통(160); 및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전단과 세광제통(160) 사이에 수평배치되고 후단에는 상기 세광제통(160)과 연통되는 결합구(171)가 배치되며 내부에는 결합구(171)를 통해 공급되는 세광제(163)를 이송하기 위한 중공(172)이 형성되고 전단에는 몸체부(110)의 전단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어 이송된 세광제(163)를 전방으로 분사하는 분사공(173)이 형성된 세광제분사관(1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광제분사관(170)은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세광제분사관(170) 내에는 중공(17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연장되어 내부벽에 고정장착되는 스크류(174)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121)의 일측 둘레에는 구동기어(122)가 고정장착되고 상기 세광제분사관(170) 상에서 상기 구동기어(12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구동기어(122)와 치합되어 세광제분사관(170)을 회전시키는 종동기어(175)가 고정장착되어, 상기 구동축(121)과 함께 스크류(174)가 회전하면서 세광제(163)를 분사공(173)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압력이 증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110)에 장착되어 헤드부(150)의 전방에 위치하는 구두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80); 및 상기 근접센서(180)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두가 근접되면 상기 구동축(121)이 회전하도록 구동모터(120)를 구동제어하여 세광제분사관(170)과 헤드부(150)를 회전시키는 제어부(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41)는 중앙에 전방으로 개구된 절개홈(144)이 형성되어 탄발동작하고, 상기 헤드부(150)의 일측면에는 헤드결합부(140)가 삽입되는 삽입공(156)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151)은 삽입공(156) 내에서 걸림부(141)와 대응되는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141)가 걸림홈(151)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발동작하여 상기 헤드부(150)와 헤드결합부(140)를 전후방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며,
    상기 회전가압부(142)는 둘레에 하나 이상의 모서리(145)가 형성되면서 상기 모서리(145)의 양측에 각각 가압면(146)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지지면(152)은 삽입공(156) 내에서 상기 가압면(146)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가압면(146)과 접촉되면서 회전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41)는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결합부(140)에 일부가 내삽되어 장착되고 헤드결합부(140)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부(141)를 외측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147)이 내장되며, 상기 헤드부(150)에는 헤드결합부(140)가 삽입되는 삽입공(156)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51)은 삽입공(156) 내에서 상기 걸림부(141)와 대응되는 반구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141)가 걸림홈(151)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발동작하여 상기 헤드부(150)와 헤드결합부(140)를 전후방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며,
    상기 회전가압부(142)는 둘레에 하나 이상의 모서리(145)가 형성되면서 상기 모서리(145)의 양측에 각각 가압면(146)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면(152)은 삽입공(156) 내에서 상기 가압면(146)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가압면(146)과 접촉되면서 회전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41)는 회전가압부(142)의 전단에 외향 확장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50)의 일측면에는 걸림부(141)가 삽입되는 삽입공(156)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151)은 삽입공(156)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걸림부(141)를 지지하면서 상기 헤드부(150)와 헤드결합부(140)를 전후방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걸림홈(151)의 연장된 단부에는 회전지지면(15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가압부(142)는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홈(15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지지면(152)과 접촉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045209A 2017-04-07 2017-04-07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 KR101883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209A KR101883101B1 (ko) 2017-04-07 2017-04-07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209A KR101883101B1 (ko) 2017-04-07 2017-04-07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101B1 true KR101883101B1 (ko) 2018-07-27

Family

ID=6307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209A KR101883101B1 (ko) 2017-04-07 2017-04-07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2489A (zh) * 2020-05-13 2021-11-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智能鞋刷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393A (ko) 1984-09-10 1986-04-24 세이노스께 마끼 비수밀형 폰투운(pontoon)에 있어서 강제(鋼製)해치커버의 격납 스페이스 구조 및 강제 해치커버의 격납방법
KR900007538Y1 (ko) * 1988-07-04 1990-08-20 홍영돈 자동구두닦기
KR970001402Y1 (ko) * 1995-02-09 1997-03-06 방진남 구두약이 내장된 전동 구두솔
KR200295229Y1 (ko) * 2002-08-03 2002-11-18 김정민 치약내장칫솔
KR200300684Y1 (ko) * 2002-09-13 2003-01-14 이순애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
KR20050076196A (ko) * 2004-01-20 2005-07-26 장해상 전동식 구두닦기 장치
KR20090002196U (ko) * 2007-08-31 2009-03-04 주식회사 이레 살충기능이 구비된 가축용 브러싱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393A (ko) 1984-09-10 1986-04-24 세이노스께 마끼 비수밀형 폰투운(pontoon)에 있어서 강제(鋼製)해치커버의 격납 스페이스 구조 및 강제 해치커버의 격납방법
KR900007538Y1 (ko) * 1988-07-04 1990-08-20 홍영돈 자동구두닦기
KR970001402Y1 (ko) * 1995-02-09 1997-03-06 방진남 구두약이 내장된 전동 구두솔
KR200295229Y1 (ko) * 2002-08-03 2002-11-18 김정민 치약내장칫솔
KR200300684Y1 (ko) * 2002-09-13 2003-01-14 이순애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
KR20050076196A (ko) * 2004-01-20 2005-07-26 장해상 전동식 구두닦기 장치
KR20090002196U (ko) * 2007-08-31 2009-03-04 주식회사 이레 살충기능이 구비된 가축용 브러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2489A (zh) * 2020-05-13 2021-11-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智能鞋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1418A (en) Hollow ware washing device
MXPA06002705A (es) Cepillos de dientes electricos y componentes reemplazables.
US3188669A (en) Rug cleaning attachment for polishers
JP2009525078A (ja) 手動案内される器具およびそれと結合可能な工具
KR101883101B1 (ko) 휴대용 구두닦이 장치
KR100672948B1 (ko) 다기능 샤워기
KR20080108671A (ko) 휴대용 세차장치
CN108542096A (zh) 一种用于夹持刷子的刷柄端的保持器及套件和电动设备
KR101718799B1 (ko) 신발용 탈취장치와 탈취장치를 위한 충전시스템
KR101434917B1 (ko) 매니큐어 클렌저기기
KR102542222B1 (ko) 메이크업 브러시 세척장치
JPH0838385A (ja) 洗浄ブラッシング装置
KR100749234B1 (ko) 전동 청소기
US20040172779A1 (en) Rotatable washing device and attachments provided therefor
KR101492517B1 (ko) 변기세척용 전동브러쉬장치
JPH10262881A (ja) 掃除用ボール
WO2008007876A1 (en) A method and a multipurpose electic brush with a built-in cleanser or wax tube
KR20210061267A (ko) 메이크업 브러쉬 자동 세척장치
KR970001402Y1 (ko) 구두약이 내장된 전동 구두솔
KR200276519Y1 (ko) 구두닦기
KR200322641Y1 (ko) 자동 때밀이기
KR200298841Y1 (ko) 전동 브러쉬
KR200356007Y1 (ko) 전동 구두솔
KR20170099265A (ko)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
KR20090012859U (ko) 네일 관리수단 및 이를 구비한 네일링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