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265A -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 - Google Patents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265A
KR20170099265A KR1020160021428A KR20160021428A KR20170099265A KR 20170099265 A KR20170099265 A KR 20170099265A KR 1020160021428 A KR1020160021428 A KR 1020160021428A KR 20160021428 A KR20160021428 A KR 20160021428A KR 20170099265 A KR20170099265 A KR 20170099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ct portion
electric
cleanser
brus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102B1 (ko
Inventor
명준오
곽택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02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1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1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46B13/023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with means for inducing vibration to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lighting means, e.g. laser, bulb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3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 A46B15/004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light signa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3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 A46B15/004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vibrating signa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Brush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skin or scal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은 운동 가능한 다수개의 브러시가 구비되어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와 사용자가 손에 쥐고 조작 및 사용하도록 손잡이 겸용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동 클렌저에서 상기 접촉부에 장착되어 상기 접촉부를 살균하기 위한 것으로, 일면은 개구되고, 타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상기 브러시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에 끼워져 상기 접촉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타측 내면과 외측면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는 작동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ANTIBACTERIAL UNIT FOR ELECTRIC MOTOR CLEANSER}
본 발명은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 클렌저를 사용 후,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접촉부에 장착하여 접촉부를 살균하도록 하는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자신의 외모나 피부 관리에 대한 지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 관리는 미용실이나, 피부 관리실 혹은 화장품 가게 등과 같은 미용과 관련된 업소에서 피부 미용 전문가로부터 직접 메이크업이나 마사지 등을 받아서 행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나 미용에 관심이 있는 사람일지라도 계속적으로 피부 관리실 등에 직접 방문하여 피부를 관리 받는 것은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일반인들에게는 용이하지 않다.
또한 여성의 경우에는 화장을 자주하기 때문에 클렌징 크림 등을 이용하여 화장을 지우는 일이 매일매일 반복적으로 행해지고 있으나, 주로 얼굴에 클렌징 크림을 도포한 후에 계속해서 손으로 문지르는 단순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해야 하므로, 피부 관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피부 세정하거나 마사지를 할 수 있는 기기나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이른바 전동 클렌저가 제안 및 개발되고 있었다.
전동 클렌저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 10-1056507호(양방향 진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 세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회전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원통캠, 진동축 및 다수개의 솔로 구성된 접촉부를 포함하여, 진동이 안정적으로 발생해서 피부 마사지 및 세정 능력이 향상되고, 적은 힘으로도 장시간 피부를 마사지하거나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동 클렌저는 피부를 마사지하거나 세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후, 피부와 접촉된 접촉부의 세정 없이 그대로 방치하거나 장시간 보관할 경우에는 솔 또는 브러시로 구성된 접촉부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위생문제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위생문제가 발생된 접촉부를 사용하여 피부 마사지를 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피부에 트러블을 유발시키게 되는 바, 접촉부의 보관 시에 항균관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동 클렌저를 사용 후,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접촉부에 장착하여 전동 클렌저를 보관하는 동안에 접촉부를 살균하도록 함으로써, 접촉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 위생문제 해결이 가능해지고,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은 운동 가능한 다수개의 브러시가 구비되어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와 사용자가 손에 쥐고 조작 및 사용하도록 손잡이 겸용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동 클렌저에서 상기 접촉부에 장착되어 상기 접촉부를 살균하기 위한 것으로, 하면은 개구되고, 상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상기 브러시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에 끼워져 상기 접촉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 겸용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구비되는 작동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단 내측면에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스위치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하우징이 결합될 경우, 상기 접촉부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자외선 램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전동 모터에 의해 진동 또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겸용 하우징은 사용자가 손에 쥐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전체 형태가 핸드 피스(hand-piece) 형태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손에 쥔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에 의하면, 전동 클렌저를 사용 후,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접촉부에 장착하여 전동 클렌저를 보관하는 동안에 접촉부를 살균하도록 함으로써, 접촉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 위생문제를 해결하고, 피부의 세정 및 마사지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여 전동 클렌저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접촉부에 항균유닛을 장착하면 자동으로 살균이 시작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이 적용되는 전동 클렌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의 확대 투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의 확대 투영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이 적용되는 전동 클렌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의 확대 투영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100)이 적용되는 전동 클렌저(10)는 손잡이 겸용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겸용 하우징(12)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손에 쥐고 조작 및 사용하도록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 겸용 하우징(12)은 예를 들면, 땅콩 껍질 형상이나 혹은 호리병 형상을 가지며, 전체적인 형태가 핸드 피스(hand-piece)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후술될 접촉부(18)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버튼(1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 겸용 하우징(12)의 일단부에는 운동 가능한 다수개의 브러시(16)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부(18)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러시(16)는 상기 접촉부(18)의 원주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촘촘하게 배치된 다수개의 브러시 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겸용 하우징(12)의 내부에는 기히 공지된 바와 같이 전동 모터가 내장될 수 있고,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브러시(16)가 포함된 접촉부(18)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겸용 하우징(12)의 내부에는 기히 공지된 바와 같이 전동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진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기구가 내장될 수 있고, 이 운동변환기구를 통해 상기 브러시(16)를 포함하는 상기 접촉부(18)를 전후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18)는 피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브러시(16)를 이용해 사용자의 피부를 세정하거나 마사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 겸용 하우징(12)의 내부에는 전술한 전동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B)는 교체 가능하며, 충전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 겸용 하우징(12)에는 상기 배터리(B)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단자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배터리(B)가 방전되거나 잔량이 얼마 남지 않았을 경우, 충전단자에 전원 커넥터를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B)를 충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100)은 상기 브러시(16)가 구비된 상기 접촉부(18)를 살균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자외선 램프(120), 및 작동 스위치(1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일면은 개구되고, 타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상기 브러시(14)가 삽입되는 공간(S)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상기 브러시(16)가 상기 공간(S)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구된 하단이 상기 접촉부(18)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접촉부(18)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램프(120 : ultraviolet rays lamp)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기 공간(S)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 겸용 하우징(12)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배터리(B)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해 자외선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자외선 램프(120)에서 발생된 자외선은 상기 브러시(16)와 접촉부(18)를 살균하여 항균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세균번식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램프(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하로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2 개가 등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램프(1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스위치(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자외선 램프(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미도시된 제어부를 통해 상기 자외선 램프(120)를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 작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동 스위치(130)는 상기 접촉부(18)와 상기 하우징(110)이 결합될 경우, 상기 접촉부(18)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자외선 램프(1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은 자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상기 접촉부(18)와 안정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부(18)는 상기 하우징(110)과 결합 시, 스위치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 겸용 하우징(12)의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B)로부터 상기 하우징(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100)은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접촉부(18)에 결합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상기 자외선 램프(12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자외선 램프(120)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이용해 브러시(16)와 접촉부(18)를 살균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100)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의 사용 상태도이다.
사용자는 전동 클렌저(10)를 사용한 후, 상기 항균유닛(100)을 상기 접촉부(18)에 결합시키게 된다.
그러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공간(S)에 상기 전동 클렌저(10)의 브러시(14)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된 하단에 상기 접촉부(18)가 삽입되어 결합이 완료된다.
이 때, 상기 작동 스위치(130)는 상기 접촉부(18)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자외선 램프(120)를 자동으로 온(On)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배터리(B)가 완전히 소모될 때까지 상기 브러시(16)와 접촉부(18)는 자외선 램프(120)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을 통해 살균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의 확대 투영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 항균유닛(200)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브러시(16)가 구비된 상기 접촉부(18)를 살균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210), 자외선 램프(220), 및 작동 스위치(2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일면은 개구되고, 타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상기 브러시(14)가 삽입되는 공간(S)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210)은 상기 브러시(16)가 상기 공간(S)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구된 하단이 상기 접촉부(18)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접촉부(18)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램프(220 : ultraviolet rays lamp)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상기 공간(S)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 겸용 하우징(12)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배터리(B)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해 자외선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자외선 램프(220)에서 발생된 자외선은 상기 브러시(16)와 접촉부(18)를 살균하여 항균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세균번식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램프(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상단 내측면에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내측면 상에서 원주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각각 7개가 이격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 스위치(230)는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자외선 램프(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미도시된 제어부를 통해 상기 자외선 램프(220)를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 작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동 스위치(230)는 상기 접촉부(18)와 상기 하우징(210)이 결합될 경우, 상기 접촉부(18)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자외선 램프(2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은 자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상기 접촉부(18)와 안정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부(18)는 상기 하우징(210)과 결합 시, 스위치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 겸용 하우징(12)의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B)로부터 상기 하우징(2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200)은 상기 하우징(210)이 상기 접촉부(18)에 결합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상기 자외선 램프(220)들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자외선 램프(220)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이용해 브러시(16)와 접촉부(18)를 살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100, 200)을 설명함에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브러시(16)와 접촉부(18)를 살균하여 항균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자외선 램프를 대신하여 하우징(110, 210)의 내부에 열풍이 공급되도록 열풍 공급기를 구비하여 살균을 수행할 수 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100, 200)을 적용하면, 전동 클렌저(10)를 사용 후,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접촉부에 장착하여 전동 클렌저(10)를 보관하는 동안에 접촉부를 살균하도록 함으로써, 접촉부(18)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 위생문제를 해결하고, 피부의 세정 및 마사지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여 전동 클렌저(10)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접촉부(18)에 항균유닛(100)을 장착하면 내부에 구비된 자외선 램프(120, 220)가 자동으로 발광되면서 살균이 시작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200 :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
110, 210 : 하우징
120, 220 : 자외선 램프
130, 230 : 작동 스위치
B : 배터리

Claims (8)

  1. 운동 가능한 다수개의 브러시가 구비되어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와 사용자가 손에 쥐고 조작 및 사용하도록 손잡이 겸용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동 클렌저에서 상기 접촉부에 장착되어 상기 접촉부를 살균하기 위한 것으로,
    하면은 개구되고, 상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상기 브러시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에 끼워져 상기 접촉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 겸용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구비되는 작동 스위치;
    를 포함하는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단 내측면에 복수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스위치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하우징이 결합될 경우, 상기 접촉부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자외선 램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전동 모터에 의해 진동 또는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겸용 하우징은 사용자가 손에 쥐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전체 형태가 핸드 피스(hand-piece) 형태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손에 쥔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
KR1020160021428A 2016-02-23 2016-02-23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 Active KR102412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428A KR102412102B1 (ko) 2016-02-23 2016-02-23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428A KR102412102B1 (ko) 2016-02-23 2016-02-23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265A true KR20170099265A (ko) 2017-08-31
KR102412102B1 KR102412102B1 (ko) 2022-06-21

Family

ID=5976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428A Active KR102412102B1 (ko) 2016-02-23 2016-02-23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1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483B1 (ko) * 2020-04-03 2020-07-14 주식회사 하우이즈 피부 상태 측정이 가능한 클렌징 디바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6002A (ko) * 2010-05-14 2011-11-22 전자부품연구원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전기면도기
KR20150059361A (ko) * 2013-11-22 2015-06-0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가 구비된 진동 퍼프
KR20150062368A (ko) * 2013-11-29 2015-06-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가 구비된 화장용 브러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6002A (ko) * 2010-05-14 2011-11-22 전자부품연구원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전기면도기
KR20150059361A (ko) * 2013-11-22 2015-06-0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가 구비된 진동 퍼프
KR20150062368A (ko) * 2013-11-29 2015-06-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가 구비된 화장용 브러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483B1 (ko) * 2020-04-03 2020-07-14 주식회사 하우이즈 피부 상태 측정이 가능한 클렌징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102B1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34745B (zh) 口腔护理系统
JP6663152B2 (ja) フェーシャルまたはボディ洗浄ブラシ・システム
CN104918593A (zh) 光疗皮肤装置
US10143296B2 (en) Mouthpiece type of electric toothbrush
US8668397B2 (en) Portable toothbrush for delivering and removing fluid
CN107019454B (zh) 美容装置
MXPA06002705A (es) Cepillos de dientes electricos y componentes reemplazables.
US20160120375A1 (en) Dual-Function Skin Cleansing Apparatus
US20120151697A1 (en) Personal Care Products And Methods
CN206910530U (zh) 一种多功能牙刷消毒器
KR20120013369A (ko) 개인 케어 시스템, 제품 및 방법
US20050138740A1 (en) Therapeutic body brush
US5699575A (en) Flexible rotary toothbrush
JP5946154B2 (ja) ブラシ及びブラシ体
KR20170099518A (ko) 피부용 클렌저
KR20110054730A (ko) 자외선 살균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128806B1 (ko) 전동 칫솔
KR200401027Y1 (ko) 치아 세정 세트
KR101700274B1 (ko) 치아세정 겸용 잇몸 마사지 기구
KR20170099265A (ko) 전동 클렌저용 항균유닛
CN109907478A (zh) 一种可杀菌洁面仪
CN212755966U (zh) 多功能清洁仪
US11266229B2 (en) Sterilizable facial cleaning instrument
US6386211B1 (en) Oral hygiene maintenance system
CN215778829U (zh) 一种带支架电动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