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752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성공률 향상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성공률 향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752A
KR20060083752A KR1020050004679A KR20050004679A KR20060083752A KR 20060083752 A KR20060083752 A KR 20060083752A KR 1020050004679 A KR1020050004679 A KR 1020050004679A KR 20050004679 A KR20050004679 A KR 20050004679A KR 20060083752 A KR20060083752 A KR 20060083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call
network
message
reque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0843B1 (ko
Inventor
박종만
김경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4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843B1/ko
Priority to US11/334,785 priority patent/US7450938B2/en
Publication of KR20060083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Arrangements for recalling a calling subscriber when the wanted subscriber ceases to be bus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59Making use of the calling party ident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102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6Registration at serving network Location Register, VLR or user mobility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 성공률 향상 방법으로서, 제 2가입자 네트워크가, 제 1가입자 네트워크로부터 제 1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발신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는 상기 제 2가입자가 상기 제 1가입자로의 착신을 요청하였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가 상기 제 1가입자로의 착신을 요청하였다면, 상기 제 2가입자에게 중지(Abort)메시지를 보내고, 상기 제 2가입자에게 해제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제 2가입자의 호 시도를 중단하는 과정과, 상기 호 시도를 중단시킨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가 상기 제 2 가입자 단말로 페이징을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의 페이징에 성공한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와 상기 제 1가입자 네트워크와 상기 제1가입자와 상기 제2가입자 사이에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통하여, 가입자들이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를 하였을 경우에도 통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MSC, VLR, HLR, SRI, PRN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 성공률 향상 방법 {METHOD FOR IMPROVING CALL SUCESS RATIO WHEN EACH OTHER USER EQUIPMENT CALL TRIAL HAPPENS AT THE SAME TIM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서로간 동시통화를 시도하는 경우들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서로간 동시통화를 시도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서로 간 동시통화 시도 시 통화 가능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서로간 동시통화를 시도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서로 간 동시통화 시도 시 통화 가능절차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 성공률 향상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신을 위해서는 간단히 기지국과 교환기, 유선 케이블과 전파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은 전파를 통해 기지국과 연락하며 기지국과 기지국은 서로 간에 연결된 광케이블이나 위성 등을 통해 연결한다. 또한 기지국과 기지국 사이에는 교환기가 개입하여 무선통화에 따른 여러가지 기능을 맡는다. 이동통신 단말은 수시로 해당 기지국 교환기에게 자신의 위치를 등록하게 되고, 이를 토대로 전화가 오는 경우 해당 위치 기지국에게 연락하여 전화를 연결한다
이동통신 단말의 구동을 위한 핵심 네트워크는 이동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라 칭함)와 홈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이하 "VLR"이라 칭함), 서비스 제어 포인트(Service Control Point), 지능망(Intelligent Network, 이하 "IN"이라 칭함) 장비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MSC는 각 이동전화 기지국에서 발신이나 착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이동전화 기지국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중앙통제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MSC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소재를 관리하고 HLR에 사용자의 위치등록정보를 문의한다. 상기 HLR은 가입자의 발신, 착신상태, 부가서비스 등 각종 정보와 가입자 위치를 알려준다. 위치정보를 알려주면 MSC는 해당 지역에 있는 모든 기지국을 통해 일제히 사용자의 이동전화단말기를 호출한다.
상기 SCP는 가입자의 서비스를 제어하는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타 베이스로 SCP의 대표적인 예가 'HLR'이다. 상기 SCP는 대표번호(ex:800) 서비스나 발신자 번호 표시, 단문 서비스 등과 관계되어있다,
상기 HLR은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서비스의 종류와 홈 교환국 아이디 정보를 가지고 있다. 홈 위치란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찾을 때 먼저 검색하는 위치로서, 일반적으로 가입한 곳에서 제일 가까운 기지국이 홈 위치로 등록된다. 사용자가 맨 처음 전화를 걸게 되면 HLR에 등록된 홈 교환국 아이디를 추적해 해당 교환국 관할 기지국 내에 MSC는 착신 단말이 위치해 있는지를 찾게 된다. 만일 해당 착신 단말이 없다는 결과가 나오면 VLR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상기 VLR은 홈 교환국을 벗어난 단말의 위치를 등록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단말은 수시로 제일 가까운 기지국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알리게 되고, 상기 VLR 에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가장 가까운 기지국 아이디가 등록된다. 사용자가 전화를 걸어 홈 위치에서 착신 단말을 찾지 못하면, MSC는 VLR 에 등록된 기지국 아이디를 찾게 되며 상기 찾아낸 기지국으로 신호를 보내 착신단말과 연결된다.
여기서 라우팅 정보전송(Send Routing Information,이하 "SRI"라 칭함) 메시지는 MSC가, 착신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착신 네트워크의 VLR주소를 알고자 하기 위해 HLR로 전송하는 메시지이며, HLR은 SRI를 수신한 후 로밍넘버 제공(Provide Roaming Number, 이하 "PRN"이라 칭함)메시지를 착신 가입자의 네트워크로 보낸다. 상기 PRN은 착신 VLR의 로밍넘버 즉, 주소값을 요청하는 메시지이다.
시작 주소 메시지(Initial Address Message, 이하 "IAM"이라 칭함) 는 종합정보 통신망(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의 국간 시그널링 메시지의 표준으로 발신(Originating) MSC에서 착신(Terminating) MSC로 처음 시그널링을 시도할 때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착신 MSC는 시작 MSC에게 어드레스 완성(address complete message, 이하 "ACM"라 칭함)메시지를 전송한다. IAM메시지를 통해 착신 MSC는 발신자의 착신자 전화전호, 즉 이동국 국제 가입자 디렉토리 번호(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 이하 "MS-ISDN"라 칭함)를 확인하여, 발신자의 부가서비스 정보들을 파악 할 수 있다. 또한, IAM메시지를 통해 필요한 리소스(Resource) 할당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가입자 A와 B가 동시에 B와 A에게 음성 호 시도를 하는 경우에는 양측 모두가 통화 중으로 처리된다. 이는 서로가 상대방과 통화를 하기 위해 시그널링(signaling)을 시작하여 착신호를 처리할 수 없는 상황이 되기 때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서로 간 동시에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A가입자와 B가입자의 MSC/VLR(100, 150)이 각각 상대방 가입자 VLR 의 로밍넘버(Romaing Number)를 찾기 위해 라우팅(Routing)을 동시에 시도하는 경우로서, 서로의 메시지 충돌로 통화중(busy) 상태로 빠지고 통화중 신호음(busy tone)을 듣게 된다.
도 1b는 A가입자의 MSC/VLR(100)은 상대방 B가입자의 MSC/VLR(150)의 로밍넘버를 찾기 위해 라우팅하는 경우이다. B가입자의 MSC/VLR(100)은 이미 A가입자의 MSC/VLR(100)과 라우팅하여 IAM 메시지를 전송하여 출중계 호가 진행되고 있다.
도 1c는 A가입자의 MSC/VLR(100)은 이미 라우팅을 하고 있는 과정이거나 출중계 호를 진행하는 중이고, B가입자M의 SC/VLR(150)는 이제 막 발신 호 시그널링을 진행 중에 있는 상황이다.
상기 도 1a 내지 도 1c와 같은 경우, 호(call) 시도는 모두 실패(fail)(reason : busy_subscriber) 로 처리되어 양측 가입자는 통화중 신호음을 듣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가입자들이 동시에 상대방에게 통화를 시도하면 실패하게 되어 통화중 신호음을 듣게 된다. 상기 동시 통화시도는 근본적으로 통화를 하려고 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통화 중 신호음을 듣게 되는 것이 당연하지만, 가입자들은 연결하려는 상대방이 다른 상대방과 통화를 할 것이라 인식하고, 잠시 후 다시 걸거나 통화를 포기하여 서로 간에 연결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핵심망의 처리로 서로간 동시 통화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방에게 동시에 통화를 시도하는 두 가입자 모두에게 통화 중으로 처리하지 않고, 어느 한쪽을 착신으로 바꾸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방에게 동시에 통화를 시도할시, B가입자네트워크는 B가입자의 VLR 상태를 확인하고, 서로간의 통화시도임을 확인하여, B가입자 단말의 통화 시도를 해제한 후, 착신상태로 바꾸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 성공률 향상 방법에 있어서, 제 1가입자가 제 2가입자로 통화를 시도함에 따라, 제 2가입자 네트워크가 제 1가입자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1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시작주소 메시지(IAM)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IAM을 수신한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는 상기 제 2가입자가 상기 제 1가입자로의 착신을 요청하였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가 상기 제 1가입자로의 착신을 요청하였다면, 상기 제 2가입자의 발신 호 시도를 중단시키는 과정과, 상기 발신 호 시도를 중단시킨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가 상기 제 2 가입자로 페이징을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의 페이징에 성공한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와 상기 제 1가입자 네트워크가 상기 제1가입자와 상기 제2가입자 사이에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 성공률 향상 방법에 있어서, 제 1가입자가 제 2가입자로의 통화를 시도함에 따라, 제 2가입자 네트워크가 홈위치등록기(HLR)로부터 상기 제 1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로밍넘버 제공(PRN)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PRN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는 상기 제 2가입자가 상기 제 1가입자로의 착신을 요청하였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가 상기 제 1가입자로의 착신을 요청하였다면, 상기 제 2가입자의 발신 호 시도를 중단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는 상기 HLR로 PRN 확인(ack)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2가입자로 페이징을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의 페이징에 성공하고,상기 제 1가입자 네트워크로부터 시작주소 메시지(IAM)를 수신한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가 상기 제 1가입자 네트워크가 상기 제 2가입자와 상기 제 1가입자 사이에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 성공률 향상 방법에 있어서, 제 1가입자가 제 2가입자로 통화를 시도함에 따라 제 2가입자 네트워크가, 제 1가입자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1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는 상기 제 2가입자가 상기 제 1가입자로의 착신을 요청하였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가 상기 제 1가입자로의 착신을 요청하였다면, 상 기 제 2가입자의 발신 호 시도를 중단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호 시도를 중단시킨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가 상기 제 2 가입자로 페이징을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의 페이징에 성공한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와 상기 제 1가입자 네트워크가 상기 제1가입자와 상기 제2가입자 사이에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발신과 착신으로 가입자를 구분하지 않으며, 두명의 발신 가입자가 서로에게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A 가입자의 VLR과 B 가입자의 VLR은 가입자의 상태를 관리하며, 상기 가입자 상태는 다음과 같이 관리된다.
1) Idle : 가입자가 power-on을 한 후 위치 등록을 한 상태이다.
2) P-Busy : 가입자가 Idle 상태에서 시그널링을 시도하여 VLR에서 서비스를 처리하고 있는 상태이다.
3) Busy : 가입자가 통화 중인 상태 즉, 자원을 할당받고 상대방과 통화 서비스(telecommunication service)를 수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은 가입자의 상태관리 시 동시 통화 시도에 따른 처리를 위해 하기와 같이 상기 P-Busy 상태에 대해 추가적인 가입자 네트워크의 서브 상태를 정의한다.
P-Busy_only는 MSC에서 VLR로 프로세스 접근제어 요청(PROCESS ACCESS REQUEST, 이하 "PAR"이라 칭함)메시지가 처음으로 전송된 상태이다.
여기서 PAR메시지는, MSC가 VLR로 발신호나 착신호의 처리를 위해 현재 가입자에 대해 시그널링 처리 가능 여부를 묻긴 위한 메시지로서, 상기 VLR이 상기 가입자에 대해 처리를 진행해도 된다면, PAR Ack메시지를 MSC에게 전송한다. 이때 VLR은 가입자의 착신 번호를 아직 알지 못하는 상태이다.
P-Busy_SIFOC에 대해 설명하면, MSC가 상기 PAR Ack를 받고 단말로부터 착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설정(SETUP)메시지를 받으면, 발신 호 처리를 위해, 즉 착신 가입자로의 외부호출(outgoing call) 시그널링을진행하기 위하여 외부 호출 메시지를 위한 정보 전송(SEND INFORMATION For OUTGOING CALL, 이하 "SIFOC"라 칭함)메시지를 VLR로 다시 보내어 VLR에게 외부 호출을 진행할 수 있는 정보를 알려준다.
이와 같이 단말로부터 착신번호가 담긴 설정 메시지를 상기 MSC가 수신하여 SIFOC 메시지를 MSC가 VLR로 전송한 상태를 P-Busy_SIFOC라 칭함다. 이때부터 VLR은 발신가입자의 착신번호를 알 수 있다
P-Busy_SRI_Sent는 착신가입자의 위치를 알기 위해 MSC에서 HLR로 라우팅 정보 전송(SEND ROUTING INFORMATION:SRI)메시지를 보내고 HLR이 PRN 메시지를 착신 VLR로 보내어 착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와 호 진행이 유효한지를 판단하는 상태이다.
P-Busy_IAM_Sent는 MSC가 착신 가입자의 MSC로 라우팅을 하기 위해 IAM 메시지를 착신측 네트워크의 MSC로 전송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VLR상태정보에서 A 가입자와 B 가입자의 시그널링 진행 상태 정보를 통하여 동시 통화시 통화 가능상태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통화 성공 시도 가능 상태 1은 A 가입자가 P-Busy_SIFOC 상태이고 B 가입자가P-Busy_IAM_Sent인 상태이다. 또한 통화 성공 시도 가능 상태 2는 A가입자가 P-Busy_SRI_Sent 인 상태이고 B 가입자가 P-Busy_SIFOC 상태 이다.
통화 성공 시도 불가능 상태는 A 가입자와 B 가입자 모두 P-Busy_SRI_Sent상태이거나 P-Busy_IAM_Sent 상태이거나, 어느 한 가입자가 P-Busy_only 상태인 경우로 통화가 불가능하다.
종래의 이동통신에서는 상대방 가입자가 P-Busy 상태이면 통화 중 상태로 간주하고 통화 중 신호음이 들리거나 통화가 연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VLR 상태가 상기 통화 성공시도 가능상태 1또는 상태 2일 때 상대방으로부터 PRN 메시지나IAM 메시지가 오면 동시통화시도 일치 (Simultaneous Call Trial Match, 이하 "SCTM"라 칭함) 체크 알고리즘을 통해 동시 통화 시도 상태임을 체크하고 일치하는 경우 호 프로세싱을 중단하고 상대방 호 요구를 수용하여 진행한다.
사업자의 정책에 따라 VLR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시그널링을 중지(Abort)시키고 현재 요청되는 입중계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기존의 진행중인 시그널링을 처리하기 위해 PRN 부정응답(Negative Response)을 전송하여 실패 처리를 하거나, 추후 IAM 메시지에 대해 통화 중으로 처리하고 통화중 신호음을 들려주어 가입자에게 알린다.
여기서 SCTM 알고리즘은 PRN 메시지의 발신 MS-ISDN정보와 상대방의 착신측 번호 정보(called party number)를 서로 비교하여 단말기국가번호(MCC : Mobile Country Code)와 이동망번호(MNC : Mobile Network Code), 단말기 식별번호(MSIN : Mobile Subscriber Identity Number)들이 서로 같은지 체크하는 알고리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서로간 동시통화를 시도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통화 성공시도 가능 상태 1의 예를 나타내었다. A가입자 네트워크(200)가 호 프로세싱 시그널링(call processing signaling) 진행에 따라 B가입자 네트워크(250)의 MSC에 IAM 메시지를 전달한 상태이다. 즉, A가입자 네트워크는 P-Busy_IAM_Sent상태이다. 또한, 상기 B가입자의 네트워크(250)는 이제 막 시그널링이 진행되어 P-Busy_SIFOC인 상태인 경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서로 간 동시통화 시도 시 통화 가능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와 같은 상태로서, 상기 도 3은 308단계에서 A가입자 네트워크(300)에서 IAM 메시지를 B가입자 네트워크(304)로 전송한다. 상기 IAM메시지는 A가입자의 발신측 전화번호, 즉 MS-ISDN을 포함하므로 310단계에서 상기 B가입자 네트워크(304)는 B가입자에 대한 VLR상태를 확인하고 312단계에서 A가입자의 MS-ISDN을 SCTM 알고리즘을 가지고 단말기국가번호와 이동망번호, 단말기 식별번호의 일치 여부를 체크한다. 즉, A가입자로부터의 착신측 번호와 B가입자의 번호를 비교하고, B가입자로부터의 착신측 번호와 A가입자의 번호를 비교한다.
이때, 상기 A가입자가 호 설정시 전송한 발신측 전화번호가 MS-ISDN 타입인 점을 응용하여 VLR에서 A가입자가 B가입자로 통화를 시도하고 상기 B가입자도 상기 A가입자로 통화 시도하고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한다.
만약 일치하지 않는다면, 314단계에서 일반 호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즉, 현재 B가입자(304)는 다른 가입자와 통화를 시도하고 있으므로 통화중으로 처리하고, 316단계의 REL(Release)메시지와 318단계의 통화중 신호음을 상기 A가입자 네트워크(300)로 전송하여 해제한다.
반면 일치한다면, A가입자가 통화를 시도한 착신자 전화번호가 B가입자이고 상기 B가입자가 통화를 시도한 착신자 전화번호가 A가입자인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320단계에서 B가입자 네트워크(304)는 상기 B가입자 단말(306)에게 중지(Abort)메시지를 보내고, A가입자의 착신 호 처리를 진행하기 위하여 322단계에서 상기 B가입자 단말(306)과 해제 메시지를 교환하여 현재의 호 시도를 중단한다.
상기322단계는 발신을 하는 도중에 착신이 되는 경우이기 때문에 가입자에게 이유(Reason) 정보를 알려줄 필요가 있다. B가입자 네트워크는 부가서비스 메시지 중 통지(NotifySS) 타입을 이용하거나 설비(FACILITY) 정보를 상기 해제메시지에 실어서 B가입자에게 해제 이유를 알려준다. 이때 이미 B가입자단말의 발신 호 시도에 따라 현재의 위치가 파악되었고 호 처리가 가능한 점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324단계에서 B가입자 네트워크는 바로 페이징(Paging)을 시도한다.
상기 B가입자의 페이징에 성공한 후, 326단계 내지 336단계는 A가입자와 B가입자의 착신 호 처리 절차(350)로서 326단계에서 B가입자 네트워크(304)는 상기 B가입자 단말(306)에게 설정메시지를 전송한다.
328단계에서 상기 B가입자 단말(306)은 호 확인메시지를 B가입자 네트워크(304)로 전송하여, 330단계에서 상기 B가입자 네트워크(304)는 상기 A가입자 네트워크(500)로 ACM메시지를 전송한다. 332단계에서 전화벨을 울리고, 334단계에서 B가입자 단말(306)은 호 연결메시지를 B가입자 네트워크(304)로 전송하고, 336단계에서 상기 B가입자 네트워크(304)는 상기 A가입자 네트워크(300)로 연결 메시지인 ANM(Answer Message)를 전송하여 B가입자가 A가입자와 통화(360)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서로간 동시통화를 시도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통화성공 시도 가능상태 2의 예를 나타내었다.
가입자 A네트워크(200)의 호 프로세싱 시그널링 진행이 HLR(230)을 거쳐서 현재 가입자 B네트워크(250)의 VLR에 PRN 메시지가 전달되어있다. 즉, 가입자 A네트워크(200)는 P-Busy_SRI_SENT 상태이다. 또한, 상기 가입자 B네트워크(250)는 이제 막 시그널링이 진행되어 P-Busy_SIFOC인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서로 간 동시통화 시도 시 통화 가능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의 실시예에서는 통화 성공율을 높이기 위해 현재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제시된 메시지들에 추가적인 파라미터(parameter) 정보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 SRI메시지와 PRN메시지는 발신 가입자의 MS-ISDN 파라미터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A가입자 네트워크(500)는 508단계에서 HLR(502)로 A가입자의 MS-ISDN정보가 포함된 SRI메시지를 HLR(502)로 전송하고, 510단계에서 상기 HLR(502)은 B가입자 네트워크(504)로 A가입자의 MS-ISDN정보가 포함된 PRN메시지를 전송한다.
512단계에서 상기 B가입자 네트워크(504)는 MS-ISDN을 SCTM알고리즘으로 체크한다.
즉, A가입자로부터의 착신측 번호와, B가입자의 번호를 비교하고, B가입자로 부터의 착신측 번호와, A가입자의 번호를 비교하여, 만약 일치하지 않는다면, 514단계에서 일반 호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즉, 현재 B가입자(504)는 다른 가입자와 통화를 시도하고 있으므로 통화 중으로 처리하고, 516단계의 REL(Release)메시지와 518단계의 통화 중 신호음을 상기 A가입자 네트워크(500)로 전송하여 해제한다.
반면, 일치한다면, A가입자가 통화를 시도한 착신자 전화번호가 B가입자이고 상기 B가입자가 전화한 착신자 전화번호가 A가입자인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520단계에서 B가입자 네트워크(504)는 상기 B가입자 단말(506)에게 중지메시지를 보내어 522단계에서 B가입자가 A가입자에게 했던 통화 시도를 해제시킨다.
524단계에서 상기 HLR(502)로 PRN ACK메시지를 전송하고, 526단계에서 상기 HLR(502)은 A가입자 네트워크(500)로 SRI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528단계에서 B가입자 네트워크(304)는 상기 B가입자 단말(306)과 페이징을 시도하고, 이후 530단계에서 A가입자 네트워크(500)로부터 IAM 메시지가 수신된다. 532단계 내지 542단계는 A가입자와 B가입자의 착신 호 처리절차(550)를 시도를 하는 것으로, 상기 B가입자 네트워크(504)는 SIFIC를 거쳐서 532단계에서 착신 설정 메시지를 B가입자단말(506)에게 전송한다.
534단계에서 상기 B가입자 단말(506)은 호 확인메시지를 B가입자 네트워크(504)로 전송하여, 536단계에서 상기 B가입자 네트워크(504)는 상기 A가입자 네트워크(500)로 ACM메시지를 전송한다. 538단계에서 전화벨을 울리고, 540단계에서 B가입자 단말(506)은 호 연결메시지를 B가입자 네트워크(504)로 전송하고, 542단계에서 상기 B가입자 네트워크(504)는 상기 A가입자 네트워크(500)로 연결 메시지인 ANM(Answer Message)를 전송하여 B가입자가 A가입자와 통화(560)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어, 착신측 네트워크에서 발신측 전화번호, 즉 MS-ISDN을 포함하고 있는 특정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SCTM알고리즘으로 비교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한쪽 가입자와 다른 한쪽 가입자가 동시에 상대방에게 전화를 거는 경우 통화 중 상태로 빠지는 부분이었던, 한쪽의 가입자 VLR이 P-Busy_IAM_Sent 상태이고 다른쪽 가입자의 VLR이 P-Busy_SIFOC인 경우와, 한쪽 가입자가 P-Busy_SRI_sent 상태이고 다른쪽 가입자의 VLR이 P-Busy_SIFOC인 경우에 가입자들이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를 하더라도 통화에 성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 성공률 향상 방법에 있어서,
    제 1가입자가 제 2가입자로 통화를 시도함에 따라, 제 2가입자 네트워크가 제 1가입자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1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시작주소 메시지(IAM)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IAM을 수신한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는 상기 제 2가입자가 상기 제 1가입자로의 착신을 요청하였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가 상기 제 1가입자로의 착신을 요청하였다면, 상기 제 2가입자의 발신 호 시도를 중단시키는 과정과,
    상기 발신 호 시도를 중단시킨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가 상기 제 2 가입자로 페이징을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의 페이징에 성공한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와 상기 제 1가입자 네트워크가 상기 제1가입자와 상기 제2가입자 사이에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입자가 통화중이고, 상기 제2가입자가 상기 제1가입자로의 착신을 요청하지 않았다면, 해제(REL)메시지와 통화 중 신호음을 상기 제1가입자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상기 제1가입자의 호 연결 시도를 해제(Release)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제 2가입자로부터 착신번호가 담긴 설정 메시지를 상기 제 2가입자네트워크가 수신하여 외부 호출 메시지를 위한 정보 전송 (SIFOC)메시지를 상기 제 2가입자네트워크 내의 MSC에서 VLR로 전송한 상태임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제 1가입자로부터 요청된 착신측 번호와 상기 제 2가입자의 번호를 비교하고, 상기 제 2가입자로부터 요청된 착신측 번호와 상기 제 1가입자의 번호를 비교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제 1가입자와 상기 제 2가입자의 단말기국가번호와 이동망번호, 단말기 식별번호의 일치 여부를 체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호 시도를 중단시키는 과정은,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2가입자에게 중지(Abort)메시지와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를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 2가입자에게 설정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로부터 호 확인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가 상기 제 1가입자 네트워크로 어드레스 완성메시지(ACM)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로 전화벨을 울리고, 상기 제 2가입자로부터 호 연결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 1가입자 네트워크로 응답 메시지(ANM)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 성공률 향상 방법에 있어서,
    제 1가입자가 제 2가입자로의 통화를 시도함에 따라, 제 2가입자 네트워크가 홈위치등록기(HLR)로부터 상기 제 1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로밍넘버 제공(PRN)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PRN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는 상기 제 2가입자가 상기 제 1가입자로의 착신을 요청하였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가 상기 제 1가입자로의 착신을 요청하였다면, 상기 제 2가입자의 발신 호 시도를 중단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는 상기 HLR로 PRN 확인(ack)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2가입자로 페이징을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의 페이징에 성공하고,상기 제 1가입자 네트워크로부터 시작주소 메시지(IAM)를 수신한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가 상기 제 1가입자 네트워크가 상기 제 2가입자와 상기 제 1가입자 사이에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넘버 제공(PRN)메시지는,
    상기 제 1가입자의 전화번호로서 이동국 국제 가입자 디렉토리 번호(MS-ISDN)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입자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1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라우팅 정보전송(SRI)메시지를 상기 HLR에서 수신한 후, 상기 HLR이 상기 제 2 가입자 네트워크로 상기 PRN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입자가 통화 중이고 상기 제2가입자가 상기 제1가입자로의 착신을 요청하지 않았다면, 해제메시지와 통화 중 신호음을 상기 제1가입자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상기 제1가입자의 호 연결 시도를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제 1가입자로부터 요청된 착신측 번호와 상기 제 2가입자의 번호를 비교하고, 상기 제 2가입자로부터 요청된 착신측 번호와 상기 제 1가입자의 번호를 비교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제 1가입자와 상기 제 2가입자의 단말기국가번호와 이동망번호, 단말기 식별번호의 일치 여부를 체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호 시도를 중단시키는 과정은,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2가입자에게 중지(Abort)메시지와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호를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IAM에 따라 상기 제 2가입자에게 설정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로부터 호 확인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가 상기 제 1가입자 네트워크로 어드레스 완성메시지(ACM)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로 전화벨을 울리고, 상기 제 2가입자로부터 호 연결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 1가입자 네트워크로 응답 메시지(ANM)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 성공률 향상 방법에 있어서,
    제 1가입자가 제 2가입자로 통화를 시도함에 따라 제 2가입자 네트워크가, 제 1가입자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1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는 상기 제 2가입자가 상기 제 1가입자로의 착신을 요청하였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가 상기 제 1가입자로의 착신을 요청하였다면, 상기 제 2가입자의 발신 호 시도를 중단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호 시도를 중단시킨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가 상기 제 2 가입자로 페이징을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의 페이징에 성공한 후,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와 상기 제 1가입자 네트워크가 상기 제1가입자와 상기 제2가입자 사이에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입자가 통화 중이고 상기 제2가입자가 상기 제1가입자로의 착신을 요청하지 않았다면, 해제(REL)메시지와 통화 중 신호음을 상기 제1가입자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상기 제1가입자의 호 연결 시도를 해제(Release)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입자의 전화번호는,
    상기 이동국 국제 가입자 디렉토리 번호(MS-ISDN)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제 1가입자로부터 요청된 착신측 번호와 상기 제 2가입자의 번호를 비교하고, 상기 제 2가입자로부터 요청된 착신측 번호와 상기 제 1가입자의 번호를 비교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제 1가입자와 상기 제 2가입자의 단말기국가번호와 이동망번호, 단말기 식별번호의 일치 여부를 체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호를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 2가입자에게 설정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로부터 호 확인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2가입자 네트워크가 상기 제 1가입자 네트워크로 어드레스 완성메시지(ACM)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 2가입자로 전화벨을 울리고, 상기 제 2가입자로부터 호 연결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 1가입자 네트워크로 응답 메시지(ANM)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50004679A 2005-01-18 2005-01-1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성공률 향상 방법 KR100770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679A KR100770843B1 (ko) 2005-01-18 2005-01-1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성공률 향상 방법
US11/334,785 US7450938B2 (en) 2005-01-18 2006-01-18 Method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uccess rate in simultaneous call trial between subscrib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679A KR100770843B1 (ko) 2005-01-18 2005-01-1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성공률 향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752A true KR20060083752A (ko) 2006-07-21
KR100770843B1 KR100770843B1 (ko) 2007-10-26

Family

ID=3668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679A KR100770843B1 (ko) 2005-01-18 2005-01-1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성공률 향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50938B2 (ko)
KR (1) KR100770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810B1 (ko) * 2006-08-29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1144B2 (en) * 2007-03-16 2011-08-02 Fujitsu Toshiba Mobile Communications Limited Voice communication terminal
CN102362483B (zh) * 2009-03-31 2014-08-06 阿尔卡特朗讯公司 通信网络中处理呼叫冲突的方法和相关设备
KR101058942B1 (ko) 2009-05-13 2011-08-23 주식회사 케이티 프리 픽스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장치
CN102958026B (zh) * 2011-08-24 2016-10-05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一种呼叫链路的控制方法及装置
CN103179287B (zh) * 2011-12-22 2015-12-02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呼叫遇忙处理方法及业务平台设备
CN103052171A (zh) * 2012-12-21 2013-04-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建立通话连接的方法、设备及系统
CN103118020B (zh) * 2013-01-24 2016-03-16 北京中创信测科技股份有限公司 实现主题呼叫的方法及装置
CN104239325B (zh) * 2013-06-17 2018-02-1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区块定位方法和装置
EP2849418B1 (en) * 2013-09-14 2015-10-14 Aleksandra Kosatka-Pioro Apparatus and method for network initiated redial
ITRM20130607A1 (it) * 2013-11-04 2015-05-05 Francesco Bindi Sistema di gestione di chiamate telefoniche.
CN103957330A (zh) * 2014-04-03 2014-07-3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处理呼叫占线的方法、装置和系统
CN104363329A (zh) * 2014-09-22 2015-02-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电子设备
CN105764077A (zh) * 2014-12-19 2016-07-13 中国移动通信集团甘肃有限公司 一种主被叫同抢的处理方法及装置
CN105554811A (zh) * 2015-12-04 2016-05-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通话处理方法及装置
US11239907B2 (en) 2015-12-07 2022-02-01 Hytera Communications Corporation Limited Cal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5611081B (zh) * 2015-12-28 2019-06-18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话互拨占线的处理方法及系统
CN107426446A (zh) * 2017-05-16 2017-12-01 青岛网信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通信终端
CN107197108A (zh) * 2017-05-16 2017-09-22 青岛宇硕云联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服务器及通信方法
CN111182158B (zh) * 2019-07-26 2022-09-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通话处理方法、装置及设备
US11665211B2 (en) * 2020-11-02 2023-05-30 Mediatek Singapore Pte. Lt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all addition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0823B2 (en) * 1997-02-14 2005-03-22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lert with information signal between a mobile switching center and a base station
US6662017B2 (en) * 1999-12-23 2003-12-09 Tekelec Methods and systems for routing messages associated with ported subscribers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7050563B2 (en) * 2002-02-27 2006-05-23 Dammrose J Mark Call path reduction via correlation of call legs in a hairpin loop scenario
KR20030076078A (ko) * 2002-03-22 200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 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
US20040198326A1 (en) * 2002-04-09 2004-10-07 Vijay Hirani Personalized language announcements
KR100561276B1 (ko) * 2002-07-23 200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환기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호제어 방법
US20040174983A1 (en) * 2003-03-07 2004-09-09 Comverse Ltd. Configurable call progress tones
KR100934183B1 (ko) * 2003-05-03 2009-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40102646A (ko) * 2003-05-28 2004-12-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호 동시통화 요청시 호연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810B1 (ko) * 2006-08-29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60531A1 (en) 2006-07-20
US7450938B2 (en) 2008-11-11
KR100770843B1 (ko) 200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84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성공률 향상 방법
EP0656167B1 (en) Method for call establishment
US73307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tional roaming and call bridging
EP1560456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ll barge-in
KR10094688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전달 장치
AU683894B2 (en) Method for call establishment
US72633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services using an access network and a core network based on different technologies
CN1443419A (zh) 在允许呼叫转移的情况下对占线用户的呼叫接通
US20040235462A1 (en) Notification of calling party when mobile called party becomes available
CA2689628A1 (en)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mvno) provisioning and voicemail routing by a mobile virtual network enabler (mvne)
KR100500056B1 (ko) 서비스 전달 모드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 서비스를실시하기 위한 장치 및 관련 방법
KR100282569B1 (ko) 이동 비동기 전달방식 가상채널 교환기에서의 보류 호 처리방법
KR100286751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착신 가입자 위치에 따른 이동 입 호거부 방법
KR102341243B1 (ko) 5g 망에서 lte 망으로의 천이시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19665B1 (ko) 비동기 imt-2000망에서의 익명호 수신 제한 방법
KR100234833B1 (ko) 호 전환 실패 호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전환 방법
KR20010019815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설정 방법
KR20040086669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완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3034A (ko) 상대방과 동시 통화 시 통화연결 방법
KR20060122388A (ko) 통화중 호 처리 방법
KR100645111B1 (ko) 착신 제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911306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82775B1 (ko) 통화 중 효과 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60989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폐쇄사용자그룹 서비스 제공방법
KR100668708B1 (ko) 화상 통화의 통화 요금 부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