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183B1 -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183B1
KR100934183B1 KR1020030028402A KR20030028402A KR100934183B1 KR 100934183 B1 KR100934183 B1 KR 100934183B1 KR 1020030028402 A KR1020030028402 A KR 1020030028402A KR 20030028402 A KR20030028402 A KR 20030028402A KR 100934183 B1 KR100934183 B1 KR 100934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er
signal
called par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4545A (ko
Inventor
김덕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8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183B1/ko
Publication of KR20040094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22Synchronisa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59Making use of the calling party ident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102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교환기의 두 호출자가 서로 상대방을 호출하는 경우, 먼저 호출한 호출자를 기준으로 호접속 처리하는 것으로, 국선과 접속되고 호접속 요청신호와 통신신호를 정합상태로 입출력하는 국선부; 국선부와 접속되고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피호출자의 통신선로가 점유되어 있는 경우는 피호출자의 호출번호와 호출자의 발신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먼저 호출한 호출자 기준으로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호설정부; 호설정부와 접속되고 요청에 의하여 국번호와 착신번호의 경로를 번역하고 출력하는 번호번역부; 호설정부와 접속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통신선로 점유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호설정부에 보고하며, 시그널 신호 출력과 정합상태로 피호출자와 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가입자부로 이루어지는 특징과, 교환국의 호설정부에 의하여 호접속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접속 요청신호의 번호번역을 하고 상기 번호번역 정보에 의하여 피호출자의 경로를 스위칭하여 설정하는 호처리과정; 상기 호처리과정에서 설정된 피호출자 경로가 점유된 비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비지 상태이면 피호출자의 호출번호와 호출자의 발신번호가 동일한 것인지 판단하는 확인과정; 상기 확인과정에서 호출자의 발신번호와 피호출자의 호출번호가 동일한 경우는 피호출자의 호접속 요청을 해제하고 호출자와 피호출자의 호를 접속하여 통신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및 방법{A DEVICE AND A METHOD OF CALL PROCESSING WITH MUTUAL CALLING FOR EXCHANGE}
도1 은 일반적인 교환국시스템 간의 연결 기능 구성도,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호설정부와 번호번역부의 상세 기능 구성도,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국선부 200 : 호설정부 210 : 입출력부
220 : 제어부 230 : 국번요청부 240 : 착번요청부
250 : 호처리부 300 : 번호번역부 310 : 국번번역부
320 : 착번번역부 400 : 가입자부
본 발명은 다른 교환국에 각각 가입된 두 호출자가 서로 상대방을 동시 호출하는 경우의 호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출자 번호와 피호출자의 호출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먼저 호출한 호출자를 기준으로 즉시 호접속 처리하는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환국(EXCHANGE)은, 다수 가입자와 접속되고, 특정 가입자로부터 호접속 요청신호 또는 다이얼링 신호를 인가 받는 경우, 상기 인가되는 다이얼링 신호를 분석하고 스위칭(SWITCHING) 처리하여, 통신경로 설정 및 호접속에 의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시스템 장치이다.
상기 교환국은, 통신경로가 설정된 피호출자의 선로(LINE) 점유상태를 확인하여, 선로를 점유중인 비지(BUSY) 상태이면, 호출자에게 비지톤(BUSY TONE) 신호를 출력하고, 선로를 점유하지 않는 대기(IDLE) 상태이면, 상기 피호출자에게 착신링 또는 착신벨 신호를 출력하여 링(RING) 또는 벨(BELL) 소리가 발생하도록 하므로, 피호출 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하고, 호출자에게는 링백톤(RING BACK TONE) 신호를 출력하여 피호출 상대방의 응답상태와 후크 언/오프(HOOK ON/OFF) 상태를 인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교환국은 통신경로상의 피호출자 선로 상태를 감지하여 확인하고 분석하여 비지(BUSY) 상태가 아닌 대기(IDLE)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피호출자에게 착신벨 신호를 출력한다.
일 예로, 각각 다른 교환국에 가입된 상대방을 서로 동시에 호출하는 상호호출의 경우 각각의 교환국에 의한 해당 통신선로는 비지 상태이고, 각각의 교환국은 상대방에게 비지톤 신호를 출력하여 호접속되지 않으므로 통신을 할 수 없으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대방과의 호접속 시도를 다시 하여야 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교환국간 가입자가 긴급한 통신을 위하여 서로의 상대방을 동시에 호출하는 상호호출의 경우, 즉시 호접속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교환국시스템 간의 연결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교환국시스템 간의 연결은, 교환국에 가입되고 호출 및 피호출에 의하여 호접속 되고 통신하는 다수의 가입자(10,50,70)와; 상기 다수의 가입자(10,50,70)와 접속되고 호접속 요청신호에 의하여 스위칭 처리하므로 해당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제1 내지 제3 교환국(20,40,60)과; 상기 제1 내지 제3 교환국(20,40,60) 사이의 국간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중계교환국(30)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일반적인 교환국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일 예로, 상기 제1 교환국(20)에 가입된 가입자(10)가 제2 교환국(40)에 가입된 가입자(50)를 호출하고자 하는 경우, 제2 교환국(40)을 지정하는 지역번호와 해당 국번호 및 착신번호를 순서대로 다이얼링하여 입력한다.
상기와 같은 일 예의 경우, 가입자(10)는 호출가입자(10)가 되고, 제1 교환국(20)은 호출교환국(20)이 되며, 상기 제2 교환국은 피호출교환국(40)이 되고, 가 입자(50)는 피호출가입자(50)가 된다.
상기 제1 교환국(20) 또는 호출교환국(20)은 가입자(10) 또는 호출가입자(10)로부터 입력되는 다이얼링 신호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결과 입력된 지역번호가 제1 교환국(20)을 지정하는 것인지 또는 다른 교환국(40,60)을 지정하는 것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다른 교환국을 지정하는 것이면, 입력된 다이얼링 신호를 중계교환국(30)으로 전송하며, 상기 중계교환국(30)은 입력된 다이얼링 신호 중에서 지역번호만을 분석한다.
상기 중계교환국(30)은 분석된 지역번호가 제2 교환국(40) 또는 피호출교환국(40)을 지정하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상기 호출교환국(20)으로부터 입력된 다이얼링 신호를 피호출교환국(40)에 전송하고, 상기 피호출교환국(40)은 입력된 다이얼링 신호 중에서, 국번호와 착신번호를 분석하여 해당 가입자(50) 또는 피호출가입자(50)와 접속하도록 하는 통신경로를 설정하므로 상기 호출가입자(10)와 피호출가입자(50) 사이에 호접속이 이루어지고 통신이 진행된다.
상기 각 교환국(20,40,60)은 다수 국번호를 수용하며, 자신이 관리하는 가입자 사이에 호출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중계교환국(30)을 거치지 않고, 자체적으로 다이얼링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가입자 사이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호접속에 의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각 교환국은 해당 가입자로부터 입력되는 다이얼링 신호를 분석하여, 지역번호가 다른 교환국을 지정하는 경우, 중계교환국에 다이얼링 신호를 전송하고, 중계교환국의 경로설정에 의하여 해당 교환국과 교환국 사이의 통신경로를 설정하 므로 국간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도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일 예에 의한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피호출교환국(40)에 의하여 호출가입자 또는 호출자(10)로부터 호접속 요청신호가 인가되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S10)와; 상기 제1 단계(S10)에서 판단하여 호출자(10)로부터 호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는 상기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SWITCHING)하고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제2 단계(S20)와; 상기 제2 단계(S20)에서 설정된 통신경로에 접속된 피호출자(50)를 상기 피호출교환국(40)이 감시하여, 라인 비지(LINE BUSY) 상태인지 또는 대기(IDLE)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S30)와; 상기 제3 단계(S30)에서 판단하여 피호출자(50)의 통신경로가 대기 상태이면, 상기 피호출교환국(40)은 피호출자(50)에게 착신벨 신호를 출력하여 피호출 되었음을 통보하고, 호출자(10)에게는 상기 착신벨 신호에 연동되는 링백톤 신호를 출력하여 피호출자(50)의 호출상태와 후크 온/오프 상태를 인지하도록 하는 제4 단계(S40)와, 상기 제4 단계(S40)의 착신벨 신호를 입력한 피호출자(50)가 통신하기 위하여 후크오프하는지를 판단하는 제5 단계(S50)와; 상기 제5 단계(S50)에서 피호출자(50)가 후크오프하는 경우는 호출자(10)와 피호출자(50) 사이에 호접속에 의하여 통신이 진행되고 나서 종료로 진행하는 제6 단계(S60)와; 상기 제3 단계(S30)에서 판단하여 피호출자(50)의 라인(LINE)이 비지(BUSY)인 경우 상기 피호출교환국(40)은 호출자(10)에게 비지톤(BUSY TONE) 신호를 출력하고 종료로 진행하는 제7 단계(S70)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의 일 예에 의한 것으로,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피호출교환국(40)은 호출자(10)로부터 호접속을 요청하는 신호, 일 예로, 통신 상대방인 피호출자(50)의 고유전화번호를 다이얼링(DIALING)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S10), 상기 입력되는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고 스위칭 처리하므로 호출자와 피호출자 사이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며(S20), 상기와 같이 설정된 통신경로에 접속된 피호출자(50)의 선로상태가 비지(BUSY) 상태인지 또는 대기(IDLE) 상태인지를 확인 판단한다(S30).
상기 판단(S30)에서 피호출자(50)의 선로 상태가 대기(IDLE) 상태이면, 상기 피호출교환국(40)은 피호출자(50)에게 착신벨 신호를 출력하여 피호출 되었음을 인식하도록 하고, 호출자(10)에게는 링백톤(RING BACK TONE) 신호를 출력하므로(S40), 상기 호출자(10)는 통신경로가 접속되고, 상기 피호출교환국(40)은, 피호출자(50)의 호출 진행상태를 확인하는 동시에 후크오프(HOOK OFF) 상태인지 또는 후크온(HOOK ON) 상태인지를 판단하며(S50), 상기 판단(S50)에서 통신상대방인 피호출자(50)가 후크오프(HOOK OFF)하는 경우 호접속을 진행시켜 통신하도록 하고(S60) 종료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제3 단계(S30)에서 피호출된 상대방의 통신선로 또는 라인(LINE)이 점유되어 사용중인 비지(BUSY)의 경우, 상기 피호출교환국(40)은 호출자(10)에게 비지톤(BUSY TONE) 신호를 출력하여 피호출자(50)가 현재 통신선로를 점유하여 사용 중에 있으므로 통신이 불가능하다는 표시를 하고(S70) 종료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상기 호출자(10)가 피호출자(50)를 호출하는 동시에 상기 피호출자(50)가 호출자(10)를 호출하는, 교환국간 상호호출의 경우, 상기 호출자는 자신의 통신선로를 점유하여 사용하는 비지(BUSY) 상태이고, 상기 피호출자도 자신의 통신선로를 점유하여 사용하는 비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피호출교환국(40)은 호출자(10)에게 비지톤(BUSY TONE)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호출교환국(20)은 피호출자(50)에게 비지톤 신호를 각각 출력하므로 호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아 통신을 할 수 없고 일정한 시간을 기다린 후에 다시 호접속하여 통신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각각 다른 교환국에 가입된 호출자와 피호출자가 서로 상대방을 동시에 호출하는 상호호출의 경우, 각각의 발신번호와 호출번호 확인을 통하여 상호호출을 확인하고, 먼저 호출한 호출자 기준으로 피호출자와 통신경로를 설정하므로, 즉시 호접속 및 통신하는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국선과 접속되고 호접속 요청신호와 통신신호를 정합상태로 입출력하는 국선부와; 상기 국선부와 접속되고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피호출자의 통신선로가 점유되어 있는 경우는 피호출자의 호출번호와 호출자의 발신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먼저 호출한 호출자 기준으로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호설정부와; 상기 호설정부와 접속되고 요청에 의하여 국번호와 착신번호의 경로를 번역하고 출력하는 번호번역부와; 상기 호설정부와 접속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통신선로 점유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호설정부에 보고하며, 시그널 신호 출력과 정합상태로 피호출자와 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가입자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교환국의 호설정부에 의하여 호접속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접속 요청신호의 번호번역을 하고 상기 번호번역 정보에 의하여 피호출자의 경로를 스위칭하여 설정하는 호처리과정과; 상기 호처리과정에서 설정된 피호출자 경로가 점유된 비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비지 상태이면 피호출자의 호출번호와 호출자의 발신번호가 동일한 것인지 판단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호출자의 발신번호와 피호출자의 호출번호가 동일한 경우는 피호출자의 호접속 요청을 해제하고 호출자와 피호출자의 호를 접속하여 통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교환국의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호설정부와 번호번역부의 상세 기능 구성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3과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는, 국선(CO)과 접속되고 호접속 요청신호와 통신신호를 정합상태로 입출력 하는 국선부(100)와,
상기 국선부(100)와 접속되고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피호출자의 통신선로가 점유되어 있는 경우는 피호출자의 호출번호와 호출자의 발신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먼저 호출한 호출자 기준으로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국선부와 접속되어 정합상태로 신호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210); 상기 입출력부(210)와 접속되고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국번호와 착신번호의 경로를 번역하도록 하며 상기 번역된 경로의 피호출자와 접속하도록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호처리부(250)를 통하여 가입자부(400)로부터 피호출자의 선로가 점유된 것으로 보고되면, 상기 피호출자가 호출한 번호를 분석하여 호출자의 발신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고, 상기 분석결과 동일하면 피호출자의 호접속요청을 해제하고, 먼저 호출한 호출자 기준으로 호접속 제어하는 제어부(220); 상기 제어부(220)와 접속되고 인가되는 호접속 요청신호로부터 국번호를 분리하여 번호번역부(300)에 국번호의 라우팅 경로번역을 요청하는 국번요청부(230); 상기 제어부(220)와 접속되고 인가되는 호접속 요청신호로부터 착신번호를 분리하여 번호번역부에 착신번호의 경로번역을 요청하는 착번요청부(240); 상기 제어부(220)와 접속되고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경로가 설정되도록 스위치 처리하는 호처리부(250)로 이루어지는 호설정부(200)와,
상기 호설정부(200)와 접속되고 해당 요청에 의하여 국번호와 착신번호의 경로를 번역하고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호설정부(200)로부터 인가되는 국번호 경로번역 요청신호를 입력받고 국번호의 라우팅(ROUTING) 경로정보를 분석하여 출력하 는 국번번역부(310); 상기 호설정부로부터 인가되는 착신번호 경로번역 요청신호를 입력받고 착신번호의 경로정보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착번번역부(320)로 이루어지는 번호번역부(300)와,
상기 호설정부(200)와 접속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통신선로 점유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호설정부에 보고하며, 시그널 신호 출력과 정합상태로 피호출자와 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호설정부(200)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의 피호출자와 접속되는 선로상태를 감시하여 보고하고, 점유되지 않은 상태이면 피호출자에게 착신벨 신호를 출력하며 호출자에게는 링백톤 신호를 출력하고, 점유된 상태이면 호출자에게 비지톤 신호를 출력하는 가입자부(400)와,
상기 가입자부(400)에 접속되고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호출자와 통신하는 피호출자(50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교환국은 국선부(100)에 접속되는 국선을 통하여 다른 교환국에 가입된 호출자로부터 인가되는 호접속 요청 신호를 정합상태로 입력하고 호설정부(200)에 인가하며, 상기 호설정부(200)는 입출력부(210)에 의하여 정합상태로 입력하고 제어부(220)에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입력된 호접속 요청신호를 국번요청부(230)와 착번요청부(240)에 각각 인가하여 번역하도록 제어하고, 상기와 같은 제어를 받은 국번요청부(230)는 입력된 호접속 요청신호로부터 국번호를 분리 검출하여 번호번역부(300) 의 국번번역부(310)에 인가하고, 착번요청부(240)는 입력된 호접속 요청신호로부터 착신번호를 분리 검출하여 번호번역부(300)의 착번번역부(320)에 인가한다.
상기 번호번역부(300)의 국번번역부(310)는, 상기 국번요청부(230)로부터 입력된 국번호를 SSP(SWITCHING SUBSYSTEM PROTOCOL)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RCO(ROUTING CONTROL) 처리로 분석하여 라우팅 경로정보를 번역하고 상기 번역된 라우팅 경로정보를 국번요청부(230)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착번번역부(320)는, 상기 착번요청부(240)로부터 인가된 착신번호를 SSP(SWITCHING SUBSYSTEM PROTOCOL) 프로그램과 SNP(SWITCHING NETWORK PROCESSOR)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NTR(NUMBER TRANSLATION) 처리로 분석하여 경로정보를 번역하고 상기 번역된 경로정보를 착번요청부(24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국번요청부(230)가 번역하여 인가하는 국번호 라우팅 경로정보와 착번요청부(240)가 번역하여 인가하는 착신번호 경로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호처리부(250)에 출력하며, 상기 호처리부(250)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스위칭하므로 해당 통신경로를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통신경로에 접속된 가입자부(400)는 해당 피호출자(500)의 선로 점유상태를 LTAS(LINE & TRUNK ACCESS SUBSYSTEM) 처리에 의하여 감시하고, 상기와 같이 감시된 선로상태가 점유된 비지(BUSY) 상태인지 또는 점유되지 않은 대기(IDLE)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호설정부(200)에 보고한다.
상기와 같은 피호출자(500)의 선로점유 상태 정보를 보고 받은 호설정부(200)의 제어부(220)는, 상기 선로가 대기(IDLE) 상태인 경우에 호접속을 진행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가입자부(400)에 전송하므로, 상기 가입자부(400)는 피호출자(500)에게 착신벨 신호를 출력하고, 호출자에게는 링백톤 신호를 출력하여 통신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피호출자(500)에 접속된 선로가 점유되어 사용중인 비지 상태의 경우, 상기 피호출자(500)가 호접속하여 통신중인 호출번호를 읽고, 또한, 호출자의 발신번호를 읽어 동일한 번호인지를 비교 판단하며, 상기 판단에서 동일하지 않은 경우는 호출자에 비지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동일한 경우는 상기 피호출자(500)의 호접속 요청신호를 해제하며, 먼저 호접속 요청한 호출자 기준으로 호접속되도록 제어하여 통신이 즉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호출자에게 출력되는 링백톤 신호와 비지톤 신호 그리고, 피호출자(500)에게 출력되는 착신링 신호를 시그널링(SIGNALING) 신호라고 하고, 상기 가입자부(400)에 의하여 발생되고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장치는 피호출자가 선로를 점유하여 사용중인 경우, 상기 피호출자가 호출한 호출번호를 확인하고, 다른 교환국에 위치하며 상기 피호출자를 호출한 호출자의 발신번호를 확인하여 비교하며, 동일한 번호인 경우에 상호호출인 것으로 판단하므로, 비지톤 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먼저 호접속 요청신호를 발생한 호출자를 기준으로, 상기 호출자와 피호출자의 호(CALL)를 즉시 접속시켜 통신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교환국의 호설정부(200)는 상대방으로부터 호접속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접속 요청신호의 번호번역을 하고 상기 번호번역 정보에 의하여 피호출자의 경로를 스위칭하여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교환국의 호설정부(200)에 의하여 호출자로부터 호접속 요청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판단하여 호출자로부터 호접속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국번호의 라우팅 경로정보와 착신번호의 경로정보를 번역하는 과정(S110); 상기 과정(S110)에서 번호 번역된 경로정보로 스위칭하고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과정(S120)으로 이루어진 호처리과정과,
상기 호처리과정에서 설정된 피호출자 통신경로의 선로가 점유된 비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비지 상태이면 피호출자의 호출번호와 호출자의 발신번호가 동일한 것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호처리과정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의 피호출자 선로를 감시하고 점유된 비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과정(S130); 상기 과정(S130)에서 피호출자의 통신경로에 접속되는 선로가 점유되어 비지 상태로 판단되면 호출자의 발신번호와 피호출자의 호출번호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과정(S140)으로 이루어진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호출자의 발신번호와 피호출자의 호출번호가 동일한 경우는 피호출자의 호접속 요청을 해제하고 호출자와 피호출자의 호를 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상기 교환국의 피호출자(500)에 의하여 발생된 호접속 요청을 해제하는 과정(S150); 상기 과정(S150)의 호출자와 피호출자가 통신하도록 호를 즉시 접속하는 과정(S160); 상기 과정(S160)에서 호접속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호출자와 피호출 자가 통신하는 과정(S170)으로 이루어진 통신과정과,
상기 확인과정(S130)에서 판단하여 피호출자(500)의 선로가 점유되지 않는 상태이면, 피호출자에게 착신벨 신호를 출력하고 호출자에 링백톤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S180)과,
상기 과정(S180)에 의한 피호출자가 후크오프(HOOK OFF) 하는지를 판단하고 후크오프하지 않으면 상기 과정으로 궤환하며 후크오프하면 통신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S190)과,
상기 확인과정(S140)에서 판단하여 호출자 발신번호와 피호출자의 호출번호가 동일하지 않고 다르면, 호출자에 비지톤 신호를 출력하고 종료하는 과정(S200)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교환국을 구성하는 호설정부(200)는 국선부(100)를 통하여 다른 교환국의 호출자로부터 호접속 요청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S100)에서 호접속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번호번역을 통하여 국번호와 착신번호의 경로정보를 번역하여 입력하며(S110), 상기와 같이 번호 번역된 정보를 이용하여 스위칭 처리하므로 통신경로를 설정한다(S120).
상기와 같이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접속된 피호출자의 선로가 점유되어 사용중인 비지(BUSY) 상태인지 또는 점유되지 않은 대기(IDLE) 상태인지를 판단하고(S130), 상기 판단(S130)에서 피호출자 선로가 비지인 경우, 상기 호설정부(200) 는 피호출자의 호출번호와 호출자의 발신번호가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한다(S140).
상기 판단(S140)에서 호출자의 발신번호와 피호출자의 호출번호가 동일하고 호출자가 먼저 호출한 것일 경우, 즉, 호출자는 피호출자를 호출하고, 피호출자는 호출자를 호출하는 상호호출의 경우, 상기 호설정부(200)의 제어에 의하여 피호출자의 호접속 요청을 해제하고(S150), 상기 상호호출하는 호출자와 피호출자의 통신경로를 상호 연결하는 호접속 처리(S160)하며, 즉시 통신하도록 한다(S170).
따라서, 호출자와 피호출자가 서로 상대방을 호출하는 상호호출로 판단되면, 먼저 호출한 호출자를 기준으로, 호접속하여 통신이 진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확인과정(S130)에서 판단하여 피호출자의 선로가 점유되지 않은 대기(IDLE) 상태인 경우, 상기 호설정부(200)는 가입자부(400)를 제어하여 피호출자에 착신벨 또는 착신링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피호출되었음을 알리고, 호출자에게는 링백톤 신호를 출력하여 피호출자를 호출하고 있음을 알리며(S180), 상기 피호출자가 핸드셋(HANDSET)을 후크오프(HOOK OFF)하는 경우(S190)는 호출자와 피호출자의 호를 접속하여(S160) 통신이 진행되도록 한다(S170).
또한, 상기 확인과정(S140)에서 판단하여 호출자의 발신번호와 피호출자의 호출번호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피호출자(500)가 다른 상대방과 통신하고자 하거나 통신하는 것이므로, 상기 가입자부(400)는 호출자에 비지톤 신호를 출력하고 종료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상호호출하는 경우, 종래에는 현재의 호출과정을 종료하고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호출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 한 것으로, 먼저 호출한 호출자를 기준으로 즉시 호출자와 피호출자의 통신경로를 접속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른 교환국의 호출자와 피호출자가 서로 상대방을 동시 호출하는 상호호출의 경우, 발신번호와 호출번호가 동일한지 확인하고, 먼저 호출한 호출자 기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호처리에 의하여, 즉시 호접속하고 통신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교환국간 상대방을 서로 동시 호출하는 상호호출의 경우, 비지톤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호접속 처리하므로, 일정한 시간동안 기다린 후에 다시 호접속 요청하지 않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국선과 접속되고 호접속 요청신호와 통신신호를 정합상태로 입출력하는 국선부와,
    상기 국선부와 접속되고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피호출자의 통신선로가 점유되어 있는 경우는 피호출자의 호출번호와 호출자의 발신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먼저 호출한 호출자 기준으로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호설정부와,
    상기 호설정부와 접속되고 요청에 의하여 국번호와 착신번호의 경로를 번역하고 출력하는 번호번역부와,
    상기 호설정부와 접속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통신선로 점유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호설정부에 보고하며, 시그널 신호 출력과 정합상태로 피호출자와 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가입자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설정부는,
    상기 국선부와 접속되어 정합상태로 신호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와,
    상기 입출력부와 접속되고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국번호와 착신번호의 경로를 번역하도록 하며 상기 번역된 경로의 피호출자와 접속하도록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고 인가되는 호접속 요청신호로부터 국번호를 분리하여 상기 번호번역부에 국번호의 라우팅 경로번역을 요청하는 국번요청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고 인가되는 호접속 요청신호로부터 착신번호를 분리하여 상기 번호번역부에 착신번호의 경로번역을 요청하는 착번요청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고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경로가 설정되도록 스위치 처리하는 호처리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처리부를 통하여 가입자부로부터 피호출자의 선로가 점유된 것으로 보고되면, 상기 피호출자가 호출한 번호를 분석하여 호출자의 발신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 상기 피호출자의 호출 번호와 상기 호출자의 발신번호가 동일하면 피호출자의 호접속요청을 해제하고, 먼저 호출한 호출자 기준으로 호접속 제어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번역부는,
    상기 호설정부로부터 인가되는 국번호 경로번역 요청신호를 입력받고 국번호의 라우팅 경로정보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국번번역부와,
    상기 호설정부로부터 인가되는 착신번호 경로번역 요청신호를 입력받고 착신번호의 경로정보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착번번역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부는,
    상기 호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의 피호출자와 접속되는 선로상태를 감시하여 보고하고, 점유되지 않은 상태이면 피호출자에게 착신벨 신호를 출력하며 호출자에게는 링백톤 신호를 출력하고, 점유된 상태이면 호출자에게 비지톤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6. 교환국의 호설정부는 호접속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접속 요청신호의 번호번역을 하고 상기 번호번역 정보에 의하여 피호출자의 경로를 스위칭하여 설정하는 호처리과정과,
    상기 호처리과정에서 설정된 피호출자 통신경로의 선로가 점유된 비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비지 상태이면 피호출자의 호출번호와 호출자의 발신번호가 동일한 것인지 판단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호출자의 발신번호와 피호출자의 호출번호가 동일한 경우는 먼저 호출한 호출자 기준으로 호출자와 피호출자의 호를 접속하여 통신하는 통신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과정에서 판단하여 피호출자의 선로가 점유되지 않는 상태이면, 피호출자에게 착신벨 신호를 출력하고 호출자에 링백톤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과정에 의한 피호출자가 후크오프하는지를 판단하고 후크오프하지 않으면 상기 출력과정으로 궤환하며 후크오프하면 통신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과정에서 판단하여 호출자 발신번호와 피호출자의 호출번호가 동일하지 않고 다르면, 호출자에 비지톤 신호를 출력하고 종료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과정은,
    상기 교환국의 호설정부에 의하여 호출자로부터 호접속 요청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과정에서 판단하여 호출자로부터 호접속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국번호의 라우팅 경로정보와 착신번호의 경로정보를 번역하는 과정과,
    상기 번역 과정에서 번호 번역된 경로정보로 스위칭하고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과정은,
    상기 호처리과정에 의하여 설정된 피호출자 통신경로의 선로를 감시하고 점유된 비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비지 상태 판단 과정에서 피호출자 통신경로의 선로가 점유되어 비지 상태로 판단되면 호출자의 발신번호와 피호출자의 호출번호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방법.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과정은,
    상기 호출자가 상기 피호출자보다 먼저 호출한 경우, 상기 피호출자에 의하여 발생된 호접속 요청을 해제하는 과정과,
    상기 호접속 요청 해제 과정의 호출자와 피호출자가 통신하도록 호를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호접속 과정에서 호접속된 통신경로로 호출자와 피호출자가 통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방법.
KR1020030028402A 2003-05-03 2003-05-03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934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402A KR100934183B1 (ko) 2003-05-03 2003-05-03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402A KR100934183B1 (ko) 2003-05-03 2003-05-03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545A KR20040094545A (ko) 2004-11-10
KR100934183B1 true KR100934183B1 (ko) 2009-12-29

Family

ID=37374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402A KR100934183B1 (ko) 2003-05-03 2003-05-03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843B1 (ko) * 2005-01-18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성공률 향상 방법
KR100896706B1 (ko) * 2005-08-10 2009-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발신자 상호 동시 통화 연결 시도시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0957402B1 (ko) * 2007-03-02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호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0833297B1 (ko) * 2007-05-01 2008-05-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호 발신시 음성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
CN105228112B (zh) * 2015-10-09 2018-09-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同时呼叫识别方法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8115B1 (ko) * 1995-11-10 1998-12-01 김광호 무선 사설교환기에서의 착호전환 처리방법
KR20010081834A (ko) * 2000-02-19 2001-08-29 윤종용 전화기를 이용한 발신 번호 자동 전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8115B1 (ko) * 1995-11-10 1998-12-01 김광호 무선 사설교환기에서의 착호전환 처리방법
KR20010081834A (ko) * 2000-02-19 2001-08-29 윤종용 전화기를 이용한 발신 번호 자동 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545A (ko) 200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7035A (en) Interswitch telephone status monitoring
JPH057246A (ja) キヤンプオンサービス通信方式
KR100934183B1 (ko)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US6111943A (en) Rapid call set-up for multiple leg telecommunications sessions
KR100934184B1 (ko) 교환국내 상호호출의 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228300B1 (ko) 교환시스템의 그룹 예약 호 서비스방법
KR100978114B1 (ko) 사용자 기반의 호 대기 서비스 방법
KR100242705B1 (ko) 다이얼 펄스 전화기의 디지트를 훅 플레쉬로 처리하는 방법
KR100211890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통화중 가입자에게 메시지 송출서비스 방법
KR100331463B1 (ko) 사설 교환 시스템의 국선 가입자 간 통화 연결방법
KR100869879B1 (ko)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내부 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454938B1 (ko) 교환기의다중착신서비스방법
KR100277063B1 (ko) 사설교환시스템의 전용선 재착신 방법
KR100255319B1 (ko) 키폰시스템에서 국선착신호 처리방법
KR100210766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착신측 송수화기 이탈상태 경보방법
KR10021076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호전환제어방법
KR100225733B1 (ko) 전전자교환기의 안내대 호접속제어방법
KR19990041509A (ko) 구내교환기의 국선보류 신호방법
JPH05300244A (ja) 交換機におけるコールウェイティング装置
KR19990016005A (ko) 교환시스템의 국선호 착신 서비스방법
JPH0451755A (ja) Isdn回線制御方式
JP2000092208A (ja) 構内交換機及び電話交換方法
JP200003690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3101355A (ja) 呼出音送出制御方式
JPH07123154A (ja) 通話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