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304A -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304A
KR20060083304A KR1020050003773A KR20050003773A KR20060083304A KR 20060083304 A KR20060083304 A KR 20060083304A KR 1020050003773 A KR1020050003773 A KR 1020050003773A KR 20050003773 A KR20050003773 A KR 20050003773A KR 20060083304 A KR20060083304 A KR 20060083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at
refrigerator
unit
subject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1593B1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03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593B1/ko
Publication of KR20060083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47C19/045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with entire frame height or inclination adjus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의 도어(110)에 각각 수직되게 도어핸들(111)이 설치되는 양문형 냉장고(100)에 있어서, 피측정자의 신장, 체중, 연령, 성별 등의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입력부(120)와, 도어핸들(111)마다 피측정자의 손가락과 손바닥이 접촉하는 전류전극(131)과 전압전극(132)이 절연부재(133)에 의해 각각 절연되도록 설치되는 인체접촉부(130)와, 전류전극(131) 및 전압전극(132)에 접촉되는 피측정자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140)와, 정보입력부(120)에 입력된 정보와 임피던스 측정부(140)에 의해 측정된 임피던스를 통해 피측정자의 체지방값을 산출하는 제어부(150)와, 제어부(150)에 의해 산출된 체지방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장고에 체지방 측정 기능을 부여하여 언제든지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체지방 측정에 4단자법을 이용함으로써 측정의 균일성 및 정확도를 높이며, 체온이나 맥박 측정, 그 밖의 측정값에 대한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구비함으로써 측정의 편리성 및 효용성을 증진시키고, 성인병의 예방 및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REFRIGERATOR FOR MONITORING A BODY FA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의 제어를 위한 블록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의 인체접촉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의 인체접촉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의 접촉감지센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의 정자세감지센서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도어 111 : 도어핸들
120 : 정보입력부 130 : 인체접촉부
131 : 전류전극 132 : 전압전극
133 : 절연부재 134,135 : 커버
136 : 접촉감지센서 140 : 임피던스 측정부
141 : 전류공급수단 142 : 전압측정수단
150 : 제어부 160 : 디스플레이부
171 : 스피커 172 : 메모리부
173 : 측정주기설정부 174 : 타이머
175 : 전자석 176 : 정자세감지부
177 : 신장측정부 178 : 체온검출부
179 : 맥박검출부 181 : 인터넷접속부
본 발명은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에 체지방 측정 기능을 부여하여 언제든지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체지방 측정에 4단자법을 이용함으로써 측정의 균일성 및 정확도를 높이며,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가지는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종류의 음식이나 음료를 냉동이나 냉장상태에서 장시간 보관하거나 냉각시키기 위하여 냉장고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냉장고는 전면의 도어에 의해 각각 개폐되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구비되고, 냉동실과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압축기가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켜 응축기로 보내면 응축기에서 냉매의 열을 방출하여 저온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변환시키며, 이러한 상태의 냉매는 모세관을 통과하면서 저온고압상태의 액상냉매로 변환되어 냉동실의 후측에 설치된 냉각기로 보내지고, 냉각기로 보내진 냉매는 냉각기의 냉매파이프를 통과하여 저압상태가 되면서 증발하여 냉동실과 냉장실의 온도를 낮추게 되는 사이클을 진행한다.
이러한 냉장고는 그 형태에 따라 냉동실이 상부에 그리고 냉장실이 하부에 위치하는 상하형과, 냉동실이 좌측에 그리고 냉장실이 우측에 위치하는 양문형으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대형화가 가능하고 외양이 고급스러운 양문형이 더욱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냉장고의 효용성은 식품을 장기간 보관하도록 하는 기능에서 출발하여 현재는 정수 및 얼음을 공급해 주거나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킹 기능을 위한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기능을 제공해 주는 등 점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식생활이 풍족해지고, 각종 인스턴트 음식이 풍부해짐에 따라 성인성 질환의 발병률이 상승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이와 함께 성인성 질병의 발병 원인이 될뿐만 아니라 미용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체내 지방량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체내 지방량을 측정하는 측정기가 널리 개발되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체지방 측정기는 가격이 저렴하고, 인체에 무해한 이유로 인해 대부분 생체 전기 임피던스법을 사용하고 있다.
생체 전기 임피던스법은 인체에 약한 정현파 교류 전류를 흘려주고, 체내 수 분이 많으면 전기가 쉽게 흘러 전기 저항이 낮아지고, 수분이 적으면 전기가 흐를 수 있는 통로가 좁아져 저항이 높아진다. 인체 대부분의 수분은 근육에 포함되어 있고, 지방은 수분을 거의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원리로 인해 인체의 체지방량은 물론 근육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전기 임피던스법에 의한 체내 지방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피측정자의 신장, 체중, 연령, 성별 등에 대한 데이터와 도체층인 수분과 절연층인 지방의 구성비에 따른 임피던스값이 필요하며, 임피던스값의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단자의 수에 따라 2단자법, 4단자법, 8단자법 등이 사용된다.
체지방을 측정하는 기기 등과 같은 여러 의료 진단기기들은 병원에서 전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외에도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저가형으로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용 체지방 측정기 등의 의료 진단기기들은 특정 질병에 대한 관심이 있다거나 이미 질환을 앓고 있는 일부 계층의 사용자들이 긴박한 필요에 의해 사용하게 됨으로써 그 이외 대부분의 사람들은 예방차원만으로는 이러한 기기들을 이용하는 것을 번거롭게 생각하여 구입을 등한시함으로써 필요시에 직접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어려움을 가지거나 이용할 기회가 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별도로 구입해야 했다.
그러므로, 이러한 체지방 측정 등과 같은 진단 기능들을 가정에 널리 보급되는 냉장고에 부여하게 됨으로써 체지방의 측정이 편리하고, 그 밖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각종 성인병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냉장고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에 체지방 측정 기능을 부여하여 언제든지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체지방 측정에 4단자법을 이용함으로써 측정의 균일성 및 정확도를 높이며, 체온이나 맥박 측정, 그 밖에 측정된 체지방값에 해당하는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등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구비함으로써 측정의 편리성 및 효용성을 증진시키고, 성인병의 예방 및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는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의 도어에 각각 수직되게 도어핸들이 설치되는 양문형 냉장고에 있어서, 피측정자의 신장, 체중, 연령, 성별 등의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입력부와, 도어핸들마다 피측정자의 손가락과 손바닥이 접촉하는 전류전극과 전압전극이 절연부재에 의해 각각 절연되도록 설치되는 인체접촉부와, 전류전극 및 전압전극에 접촉되는 피측정자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와, 정보입력부에 입력된 정보와 임피던스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임피던스를 통해 피측정자의 체지방값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체지방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 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의 제어를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100)는 양문형 냉장고로서, 피측정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입력부(120)와, 도어핸들(111)마다 전류전극(131) 및 전압전극(132)이 절연부재(133)에 의해 각각 절연되어 설치되는 인체접촉부(130)와, 피측정자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140)와, 입력 정보와 측정된 임피던스를 통해서 피측정자의 체지방값을 산출하는 제어부(150)와, 산출된 체지방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정보입력부(120)는 도어(1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버튼을 통해 피측정자의 신장, 체중, 연령, 성별, 그 밖에 본인을 나타내는 식별 번호나 기호 등을 입력하게 된다. 정보입력부(120)에 입력된 정보는 직접 또는 후술하게 될 별도의 메모리부(172)에 저장된 후 제어부(150)에 수신된다.
인체접촉부(130)는 도 1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측정자의 양쪽 손의 손가락과 손바닥이 서로 절연된 상태로 접촉될 수 있도록 양측 도어(110)의 도어핸들(111)마다 전류전극(131)과 전압전극(132)이 절연부재(133)에 의해 각각 절연되도록 설치되며, 전류전극(131)과 전압전극(132)은 손가락과 손바닥이 쉽게 접촉될 수 있도록 절연부재(133)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설치된다.
전류전극(131)과 전압전극(132)은 손가락, 특히 엄지와 손바닥이 각각 접촉되며, 전류전극(131)이 엄지에, 전압전극(132)이 손바닥에 접촉됨을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서로 달리하여 접촉될 수 있도록 상하 위치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절연부재(133)는 전류전극(131)과 전압전극(132)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서로 절연 시키게 되며, 도어핸들(111)이 합성수지가 아닌 금속재질의 도전체인 경우 도어핸들(111)과의 절연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 전류전극(131)의 상측과 전압전극(132)의 하측에도 각각 설치된다.
인체접촉부(130)는 전류전극(131) 및 전압전극(132)이 평상시에 사용자의 손 등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커버(134)가 마련된다.
커버(134)는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전극(131)과 전압전극(132)을 감싸기 위하여 전류전극(131)과 전압전극(132) 외측에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커버(134)는 내측을 볼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도어핸들(111)에 상하로 각각 형성되는 걸림돌기(112)와 스톱퍼(113)에 각각 걸리도록 상단과 하단에 상부 및 하부플랜지(134a,134b)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커버(134)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돌기(112)에 상부플랜지(134a)가 걸림으로써 전류전극(131)과 전압전극(132)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며, 도 3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힘에 의해 상부플랜지(134a)가 걸림돌기(112)를 통과하여 하측으로 슬라이딩되어 하부플랜지(134b)가 스톱퍼(113)에 걸림으로써 도어핸들(111) 하측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135)는 피측정자가 전류전극(131)과 전압전극(132)을 쥘 수 있도록 전류전극(131)과 전압전극(132)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는 전면커버(135a) 및 후면커버(135b)로 이루어지며, 후면커버(135b)는 도어핸들(111)과 일체를 이루며, 전면커버(135a)는 일측이 후면커버(135b)에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타측이 후크(135c)에 의해 후면커버(135b) 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커버(135)는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35c)의 분리에 의해 후면커버(135b)를 전면커버(135a)로부터 회전시킴으로써 개방된다. 한편, 전면커버(135a)는 내측을 볼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인체접촉부(130)는 전류전극(131) 또는 전압전극(132)에 설치되어 피측정자가 접촉에 의해 가압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접촉감지센서(136)를 더 포함한다.
접촉감지센서(136)는 전류전극(131)이나 전압전극(132) 표면에 접촉에 의해 일정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스위치일 수 있으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전극(131) 또는 전압전극(132)측의 도어핸들(111) 내측에 형성되는 장착공간(114)에 설치되는 스위치(136)로서 장착공간(114)에 반경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스프링(136a)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하는 가압편(136b) 끝단과 접촉하는 버튼(136c)이 마련된다. 따라서, 피측정자가 전류전극(131)과 전압전극(132)에 접촉을 위해 가압시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편(136b)이 장착공간(114) 내측으로 삽입되어 버튼(136c)이 눌려짐으로써 스위치(136)는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150)로 출력하며, 제어부(150)는 이 신호에 의해 체지방 측정의 시점을 감지하여 전원을 온(on)시키거나 기타 측정 절차 등을 진행시킬 수 있다.
접촉감지센서(136)는 도어핸들(111) 각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두 개로 이루어짐으로써 체지방 측정 시점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임피던스 측정부(140)는 전류전극(131) 및 전압전극(132)에 접촉되는 피측정자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전류전극(131)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수단(141)과 전압전극(132)간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수단(142)이 각각 마련된다.
제어부(150)는 정보입력부(120)에 입력된 정보와 임피던스 측정부(140)에 의해 측정된 임피던스를 통해 피측정자의 체지방값을 산출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체지방량이나 체지방율과 같은 체지방값뿐만 아니라 체수분량, 비만도, 근육량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정보입력부(120)와 임피던스 측정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은 미도시된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어 제어부(150)에 수신되며, 이 때, 제어부(150)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A/D 컨버터(151)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수신받는다.
제어부(150)에 의해 산출된 체지방값 등을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부(172)가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도어(110) 전면에 정보입력부(120)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LED 또는 LCD 등으로써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부(150)에 의해 산출된 체지방값 등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리 또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도어(110) 전면에 스피커(171)가 마련된다.
피측정자에 의해 측정주기가 설정되는 측정주기설정부(173)가 도어(110) 전면에 정보입력부(120)와 인접하도록 마련되고, 측정주기설정부(173)에 의해 설정된 측정주기를 카운트하여 측정주기가 도래시 제어부(150)로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174)가 구비된다. 이 때, 제어부(150)는 타이머(174)의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스피커(171)를 통해 측정주기의 도래를 알리는 메시지 또는 소리나 음성을 출력하도록 한다.
메모리부(172)는 체지방 측정 절차가 미리 저장되어 있음으로써 제어부(150)가 메모리부(172)에 저장된 체지방 측정 절차를 안내하는 메세지 또는 음성을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스피커(171)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부(172)는 체지방값에 해당하는 비만정도, 주의를 요하는 질병, 권장 식사, 다이어트 방법 또는 운동방법 등을 미리 데이터로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제어부(150)에 의해 산출된 체지방값에 해당하는 비만정도 등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스피커(171)를 통해서 메시지나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출력한다.
도어(110)의 개방을 차단하는 미도시된 록킹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때, 제어부(150)는 산출된 체지방값이 메모리부(172)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록킹수단을 제어하여 도어(110)의 개방을 일정 시간 또는 피측정자의 조작에 의한 해제시까지 제한한다. 제어부(150)는 도어(110)의 개방을 일정 시간 제한하는 경우 피측정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을 타이머(174)에 의해 카운팅하여 설정시간 경과후 도어(110)가 개방되도록 하며, 피측정자의 조작에 의해 해제시까지 제한하는 경우 피측정자가 조작할 수 있는 별도의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도어(110)가 개방되도록 한다.
록킹수단은 도어(110)의 회전축(미도시)상에 설치되어 도어(110)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부재에 의해 도어(110)의 개방을 차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어(110)와 본체(115)가 서로 접하는 면에 설치되는 전자석(175)과 도체(미도시)로 이루어져서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전자석(175)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전자석(175)에 도체(미도시)가 부착됨으로써 도어(110)의 개방을 차단시킬 수도 있다.
피측정자가 올바른 측정자세를 유지하는지를 감지하는 정자세감지부(176)를 구비할 수 있다. 정자세감지부(176)는 도어(110) 또는 도어핸들(111)에 마련되며, 피측정자가 올바른 측정자세, 즉 체지방값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양팔을 수평으로 곧게 편 상태에서 머리를 바로 세운 자세를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데, 이를 위해 어깨의 감지여부에 따라 양팔을 수평으로 곧게 폈는지를 감지하는 한 쌍의 센서(176a,176b)와 머리 또는 목부위의 감지여부에 따라 머리를 바로 세웠는지를 감지하는 하나의 센서(176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자세감지부(176)를 이루는 센서(176a,176b,176c) 각각은 일정한 파장의 광을 출력하는 발광다이오드와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수신받아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포토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정자세감지부(176)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피측정자가 정자세를 벗어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스피커(171)를 통해 경보메세지 또는 경보음을 출력한다.
도어(110) 또는 도어핸들(111)에 피측정자의 신장을 측정하는 신장측정부(177)를 구비할 수 있다. 신장측정부(177)는 머리, 특히 정수리에 반사되는 초음파를 통해서 피측정자의 신장을 측정하는 초음파센서이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1)상에 수직되게 복수로 배열되는 센서(미도시)를 통해 피측정자의 신 체가 감지되지 않는 센서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센서의 높이를 피측정자의 신장으로 산출하도록 하는 센서어레이일 수 있다.
신장측정부(177)에 의해 측정된 신장은 제어부(150)가 전기적인 신호로 수신받아 체지방값을 산출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함으로써 피측정자의 신장에 대한 데이터의 입력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메모리부(172)에 저장되어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전류전극(131) 또는 전압전극(132)에 피측정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체온검출부(178)가 설치된다. 체온검출부(178)는 전류전극(131) 또는 전압전극(132)에서 피측정자의 손가락이나 손바닥이 접촉되는 부분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피측정자의 체온을 제어부(150)로 측정신호로 출력하며, 제어부(150)는 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스피커(171)를 통해 측정된 체온을 숫자나 기호 또는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류전극(131) 또는 전압전극(132)에 피측정자의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맥박검출부(179)가 설치된다. 맥박검출부(179)는 전류전극(131) 또는 전압전극(132)에서 피측정자의 손가락이나 손바닥,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정확한 맥박 측정이 가능한 검지가 접촉되는 부분에 별도로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측정되는 피측정자의 맥박을 측정하여 제어부(150)로 측정신호로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스피커(171)를 통해 측정된 맥박을 숫자나 기호 또는 음성으로 출력한다.
맥박 측정시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하여 맥박검출부(179)에 접촉되는 피측정자의 손가락이나 손바닥을 통해 심장에서 발생된 심전도(Electro Cardio Gram, ECG) 신호를 감지하여 맥박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동안의 진동수를 1분간 진동수로 환산한 맥박을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스피커(171)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체온검출부(178) 및 맥박검출부(179)를 통해 검출되는 피측정자의 체온이나 맥박은 메모리부(172)에 저장되어 그 변화추이를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서 출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외부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하여 인터넷접속부(181)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인터넷접속부(181)에 의해 제어부(150)로부터 산출된 체지방값 등을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외부의 기관, 예컨대 피측정자의 주치의가 소속되는 병원의 서버(10)로 전송하거나 이러한 기관으로부터 전송된 체지방값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피측정자가 체지방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신의 신장, 체중, 성별, 연령, 본인 식별 번호나 기호 등을 정보입력부(120)를 통해 입력하거나, 메모리부(172)에 이러한 정보가 입력된 경우 본인 식별 번호나 기호를 선택한다. 그런 다음 커버(134,135)를 하측으로 슬라이딩(도 3b 참조) 또는 전면으로 회전(도 4b 참조)시킴으로써 인체접촉부(130)를 노출시킨 후 양손을 도어핸들(111)마다 구비된 인체접촉부(130)에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엄지와 손바닥을 전류전극(131)과 전압전극(132)에 각각 접촉시킨다. 이 때, 양손의 가압에 의해 가압편(136b)이 장착공간 (114)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접촉감지센서(136)가 동작하게 되며, 접촉감지센서(136)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받은 제어부(150)는 체지방의 측정 시점을 인식하게 되고, 이후 측정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한편, 정자세감지부(176)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한 체지방 측정을 위하여 양쪽 어깨와 머리를 각각 감지하는 센서(176a,176b,176c)들에 의해 피측정자가 양팔을 수평되게 편 상태에서 머리를 수직되게 세웠는지를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즉 양쪽 어깨를 감지하는 센서(176a,176b)는 양팔을 수평되게 편 상태로 정자세일 때 어깨를 감지하지 않게 됨으로써 정자세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머리를 감지하는 센서(176c)는 머리가 수직되게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일정 위치를 감지하게 됨으로써 정자세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제어부(150)는 정자세감지부(176)를 통해 피측정자가 정자세를 벗어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스피커(171)를 통해 경보메세지 또는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피측정자의 정자세유지를 유도한다.
또한, 신장측정부(177)에 의해 피측정자의 신장을 측정하게 됨으로써 피측정자의 신장 입력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메모리부(172)에 저장된 체지방 측정 절차를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스피커(171)를 통해 안내하는 메시지 또는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피측정자의 체지방 측정을 가이드하며, 임피던스 측정부(140)에 의해 측정된 피측정자의 인체 임피던스, 정보입력부(120)에 의해 입력된 피측정자의 체중, 연령, 성별, 그리고 신장측정부(177)에 의해 측정된 신장 등의 데이터로부터 체지방량이나 체지방율과 같은 체지방값뿐만 아니라 체수분량, 근육량 등의 체성분이나 비만도 등을 산출하게 된다.
제어부(150)는 산출된 체지방값 등을 디스플레이(160) 또는 스피커(171)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며, 메모리부(172)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산출된 체지방값에 해당하는 비만정도, 주의를 요하는 질병, 권장 식사, 다이어트 방법 또는 운동방법을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스피커(172)를 통해서 메시지나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피측정자의 건강생활에 도움을 준다.
제어부(150)는 산출된 체지방값이 메모리부(172)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서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록킹수단, 즉 본체(115)와 도어(110)가 서로 접하는 면에 도체(미도시)와 함께 설치된 전자석(175)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자석(175)이 자력에 의해 도체(미도시)에 부착됨으로써 도어(110)를 피측정자가 조작에 의해 설정된 시간 또는 피측정자가 별도로 설치되는 스위치의 조작시까지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피측정자는 측정주기설정부(173)를 통해 측정을 원하는 주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측정주기설정부(173)에 설정된 측정주기는 타이머(174)에 의해 카운트되어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스피커(171)를 통해 측정주기의 도래를 알리는 메시지 또는 소리나 음성을 출력하게 된다.
피측정자는 전류전극(131) 또는 전압전극(132)에 마련되는 체온검출부(178)와 맥박검출부(179)에 의해 측정된 체온과 맥박이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스피커(171)를 통해 숫자나 기호 또는 음성으로 표시됨으로써 현재의 건강상태를 용이하 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접속부(181)에 의해 산출된 체지방값 등 체성분이나 체온, 맥박 등을 외부의 기관, 특히 주치의가 소속된 병원서버(10)로 전송하거나 역으로 이들 기관으로 데이터를 수신받음으로써 주치의 등으로부터 전문적인 건강 상담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에 체지방 측정 기능을 부여하여 언제든지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체지방 측정에 4단자법을 이용함으로써 측정의 균일성 및 정확도를 높이며, 체온이나 맥박 측정, 그 밖의 측정값에 대한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구비함으로써 측정의 편리성 및 효용성을 증진시키고, 성인병의 예방 및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는 냉장고에 체지방 측정 기능을 부여하여 언제든지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체지방 측정에 4단자법을 이용함으로써 측정의 균일성 및 정확도를 높이며, 체온이나 맥박 측정, 그 밖의 측정값에 대한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구비함으로써 측정의 편리성 및 효용성을 증진시키고, 성인병의 예방 및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양측의 도어에 각각 수직되게 도어핸들이 설치되는 양문형 냉장고에 있어서,
    피측정자의 신장, 체중, 연령, 성별 등의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입력부와,
    도어핸들마다 상기 피측정자의 손가락과 손바닥이 접촉하는 전류전극과 전압전극이 절연부재에 의해 각각 절연되도록 설치되는 인체접촉부와,
    상기 전류전극 및 상기 전압전극에 접촉되는 상기 피측정자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와,
    상기 정보입력부에 입력된 정보와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임피던스를 통해 상기 피측정자의 체지방값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체지방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접촉부는,
    상기 전류전극과 상기 전압전극이 상기 절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접촉부는,
    상기 전류전극 및 상기 전압전극이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전류전극 및 상기 전압전극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를 더 포함하는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리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를 더 포함하는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자에 의해 측정주기가 설정되는 측정주기설정부와,
    상기 측정주기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측정주기를 카운트하여 상기 측정주기가 도래시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측정주기의 도래를 알리는 메시지 또는 소리나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체지방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를 더 포함하는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체지방 측정에 대한 절차를 안내하는 메시지 또는 음성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출력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체지방값에 해당하는 비만정도, 주의를 요하는 질병, 권장 식사, 다이어트 방법 또는 운동 방법을 안내하는 메시지나 음성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출력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9.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도어핸들에 마련되며, 상기 피측정자가 올바른 측정자세를 유지하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정자세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자세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피측정자가 정자세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보메세지 또는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도어핸들에 마련되며,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신장측정부
    를 더 포함하는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12.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극 또는 상기 전압전극에 설치되며, 접촉되는 상기 피측정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측정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측정된 체온을 숫자나 기호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체온검출부
    를 더 포함하는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13.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극 또는 상기 전압전극에 설치되며, 접촉되는 상기 피측정자의 맥박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측정신호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측정된 맥박을 숫자나 기호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맥박검출부
    를 더 포함하는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체지방값을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외부의 기관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기관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도록 하는 인터넷접속부
    를 더 포함하는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KR1020050003773A 2005-01-14 2005-01-14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KR100681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773A KR100681593B1 (ko) 2005-01-14 2005-01-14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773A KR100681593B1 (ko) 2005-01-14 2005-01-14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304A true KR20060083304A (ko) 2006-07-20
KR100681593B1 KR100681593B1 (ko) 2007-02-09

Family

ID=37173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773A KR100681593B1 (ko) 2005-01-14 2005-01-14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5286B2 (en) 2013-12-06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service and refrigerator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081B1 (ko) 2015-04-06 2019-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5200B2 (ja) * 1999-09-22 2006-02-15 株式会社タニタ 記憶されている情報の変更が容易な測定装置
KR100381187B1 (ko) * 2000-06-19 2003-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가능한 냉장고
JP2002306424A (ja) 2001-04-13 2002-10-22 Toto Ltd 生体情報表示装置
JP2003038494A (ja) 2001-07-30 2003-02-12 Denso Corp 生体情報検出方法
JP2004164442A (ja) 2002-11-15 2004-06-10 Hitachi Hometec Ltd 宅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40094941A (ko) * 2003-05-06 2004-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일체형 체지방 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5286B2 (en) 2013-12-06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service and refrigerator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593B1 (ko) 200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5033B2 (en) Refrigerator with advice generating unit
JP4975249B2 (ja) 生理学的情報及び/又はコンテキストパラメータを用いて個人の状態パラメータを測定する装置
CN109855755A (zh) 生物数据测量装置
KR20050032119A (ko) 인체의 생리 및 컨텍스츄얼 정보를 검출하는 장치
KR100681595B1 (ko) 인체진단 기능을 구비하는 양문형 냉장고
KR100645125B1 (ko)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KR100681593B1 (ko)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US20060122532A1 (en) Refrigerator with body fat meter
JP5012866B2 (ja) 生体情報処理装置、および、生体情報処理方法
CN105496136B (zh) 一种智能水杯的信息网络化方法
Farhad et al. Measurement of vital signs with non-invasive and wireless sensing technologies and health monitoring
JP2011206252A (ja) 最大酸素摂取量計測装置、最大酸素接種量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81594B1 (ko) 인체진단 기능을 구비하는 양문형 냉장고
JP6748601B2 (ja) 冷蔵庫
KR100827894B1 (ko) 체지방 측정형 냉장고
JP2019152431A (ja) 冷蔵庫
JP6049424B2 (ja) 活動量測定端末を用いた健康管理システム
KR2006009673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손잡이
KR20060018408A (ko) 냉장고
KR100714565B1 (ko) 비만관리형 냉장고
KR100964794B1 (ko) 휴대형 운동량 측정 장치 및 운동관리 시스템
Doga et al.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on improving people's quality of life: global experience
KR100608447B1 (ko) 냉장고 도어의 체지방량 측정장치
JPS63147433A (ja) 心拍計
JP2022154989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